KR880001279Y1 - 모니터의 칼라 및 녹색 절환회로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칼라 및 녹색 절환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279Y1
KR880001279Y1 KR2019850006202U KR850006202U KR880001279Y1 KR 880001279 Y1 KR880001279 Y1 KR 880001279Y1 KR 2019850006202 U KR2019850006202 U KR 2019850006202U KR 850006202 U KR850006202 U KR 850006202U KR 880001279 Y1 KR880001279 Y1 KR 8800012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witch
color
green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62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5540U (ko
Inventor
박노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062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1279Y1/ko
Publication of KR8600155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55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2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2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2Multi-standard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44Colour synchronisation
    • H04N9/455Generation of colour burst signals; Insertion of colour burst signals in colour picture signals or separation of colour burst signals from colour pictur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니터의 칼라 및 녹색 절환회로
본 고안은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IC1, IC2: 셀렉터 스위치(전자스위치 집적소자) R1, R2, R3… : 저항
C1, C2… : 콘덴서 10 : 신호 제어 회로
35 : 밴드 패스 필터 CP : 합성영상신호
Y : 휘도신호 Q1, Q2…Q6: 트랜지스터
So : 녹색절환스위치 20 : 트랩
25 : 지연소자 CP : 칼라버어스트 신호
LR : 가변인덕턴스 30 : 구동회로.
본 고안은 모니터의 칼라 및 녹색(GREEN) 절환회로에 관한 것으로 녹색 질환스위치로 칼라 및 녹색 모우드를 수신할 수 있게 하며 녹색 모우드시에 칼라 영상신호가 인가되면 자동으로 칼라 모우드로 절환되게 한 것이다.
칼라 모니터에서 칼라신호 수신시에는 색상신호(chroma signal)가 칼라 복조회로를 통과하게 되므로 색상 신호의 위상이 휘도 신호보다 늦어지게 되기 때문에 휘도 신호를 지연회로에서 지연시켜 색상 신호와 휘도 신호의 위상을 일치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칼라 모니터로 흑백 신호나 문자의 캐렉터(텍스트 모우드라 함) 신호를 인식하고자 할때에는 휘도 신호가 지연회로에서 지연되기 때문에 비데오 대역폭이 좁아져 해상도가 떨어지는 주 원인이 되는 것이었고 녹색 절환 스위치로 칼라 및 녹색 모니터의 절환만 되기 때문에 칼라 영상신호가 인가시 자동으로 칼라 모우드로 절환되지 못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하지가 못한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칼라 모니터에서 칼라 신호 인가시에는 휘도 신호를 지연시켜 색상 신호와 동일한 위상으로 출력되게 하고 흑백 신호나 텍스트 모우드시에는 휘도 신호가 지연되지 않고 바로 출력되게 함으로써 해상도가 뛰어나게 함과 동시에 칼라 영상신호 인가시에는 녹색 절환 스위치의 절환 유무에 관계 없이 칼라 영상신호를 수신 할 수 있는 모니터의 칼라 및 녹색 절환회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칼라버어스트 신호의 인가 유무에 따라 신호 제어회로에서 셀렉터 스위치의 스위치 절환 상태를 제어하게 구성시키며 버퍼용 트랜지스터를 통하여 인가되는 합성 영상신호가 흑백 영상신호일 때에는 휘도 신호를 지연시키지 않고 칼라 영상신호 인가시에는 지연 회로를 통하여 지연되게 구성시킨 후 녹색 스위치의 각접점 단자를 통하여 공지의 구동 회로에 인가되게 구성시켜 된 것이다.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칼라 영상신호 수신시 인가되는 칼라버어스트 신호(CP1)에 의하여 신호 제어회로(10)의 트랜지스터(Q2)(Q3)가 제어되게 구성시켜 셀렉터 스위치(IC1) (IC2)의 각 스위치(S1-S6)의 접속 상태가 선택되게 구성시키고 합성 영상신호(CP)가 버퍼용 트랜지스터(Q1)를 통하여 일측으로 밴드 패스 필터(35)와 콘덴서(Cb)를 통하여 색상 신호가 출력되게 구성한 후 타측으로 셀렉터 스위치(IC1)의 스위치(S1)의 접속 상태에 따라 흑백 영상신호 수신기 저항(R1)과 콘덴서(C2)로 구성된 잡음제거 회로를 통하여 콘트라스트 콘트롤(CC) 단자에 인가되게 구성하며 칼라 영상신호 수신시에는 저항(R4), 콘덴서(C4), 가변인덕턴스(LR)로 구성된 트랩(20)에서 색상 신호를 제거시키고 지연소자(DL)에서 지연된 휘도 신호가 콘트라스트 콘트롤 단자에 인가되게 구성시킨다.
그리고 신호 제어회로(10)의 구동 상태에 따라 셀렉터 스위치(IC2)의 각 스위치(S1-S6)가 제어되어 휘도신호(Y)와 전원(B+)이 녹색절환 스위치(So)의 스위치(S7) 절환 상태에 따라 접점단자(A)(B )(C)(D)를 통하여 구동회로(30)의 각 트랜지스터(Q4)(Q5)(Q6)의 에미터측에 인가되게 구성시킨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저항(R2)(R3) 및 콘덴서(C1)(C5)는 전원(B+)을 공급하기 위하여 구성시킨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 합성영상신호(CP)가 임퍼턴스 매칭용 트랜지스터(Q1)를 통하여 셀렉터스위치(IC1)의 단자(14)에 인가되게 된다.
이때에 흑백신호 및 텍스트 신호가 인가될 경우에는 신호 제어 회로(10)의 입력 단자에 칼라버어스트 신호(CP1)가 인가되지 못하여 트랜지스터(Q2)(Q3)가 차단 상태를 유지 하게 되므로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측 노우드점(P)은 저전위 상태 신호를 유지하게 되고 이 저전위 상태 신호가 셀렉터스위치(IC1)의 스위치(S1)(S2)(S3)에 인가되므로 도면과 같이 접속하게 된다.
즉 칼라버어스트 신호(CP1)가 인가되지 않으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가 저전위 상태가 되어 트랜지스터(Q2)가 "턴오프"상태가 되고 트랜지스터(Q2)의 "턴오프"로 트랜지스터(Q3)도 "턴오프"되게 되므로써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측 즉 노우드점(P)은 저전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러한 저전위 상태 신호에 의하여 셀렉터 스위치(IC1)의 스위치(S1-S3) 접점 상태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로 접속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흑백 신호 및 텍스트 신호가 스위치(S1)를 통하여 잡음제거용 저항(R1) 및 콘덴서(C2)를 거쳐 스위치(S3)에서 콘트라스트콘트롤(CC)단자에 인가될때 지연회로를 통과하지 못하므로 주파수 대역의 감소가 없어 높은 해상도를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칼라 영상신호 수신시에는 신호 제어신호(10)에 칼라 버어스트신호(CP1)가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Q2)가 도통하게 되어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측이 저전위상태 신호를 유지하게 되어 트랜지스터(Q3)도 도통한다. (여기서 콘덴서 C3는 급작스런 구동에 의하여 순간적인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저항 R5에서 R9는 분배 저항이다.)
이때에는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측이 고전위 상태로 전환되므로 셀렉터스위치(IC1)의 스위치(S1)(S2)(S3)에 고전위 상태 신호가 인가되어 스위치(S1-S3)의 접점은 도면의 하방으로 접속되게 된다.
따라서 임피던스 매칭용 트랜지스터(Q1)를 통하여 인가되는 칼라 영상신호는 셀렉터 스위치(IC1)의 단자(14)-스위치(S1)-단자(13)로 출력되어 저항(R4), 콘덴서(C4), 가변이덕턴스(TR)로 구성된 트랩(20)에서 색상신호(Chroma Signal)를 제거시킨 후 휘도 신호만 지연소자(DL)를 통하여 지연되어 셀렉터 스위치(IC1)의 단자(3)-스위치(S3)-단자(4)로 출력되어 콘트라스트 콘트롤 단자로 인가되게 된다.
그러므로 칼라 영상신호 인가시에는 휘도 신호가 일정시간 지연된 후 출력되므로 칼라 복조 회로를 통하여 출력되는 색상 신호와 동위상이 되어 선명한 칼라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녹색절환스위치(So)의 절환은 녹색모니터모우드시에는 스위치(S7)를 접점단자(B)(C)(D)가 접속되게 절환시키고, 그 이외의 모우드시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S7)의 접점단자(A)(B)(C)가 접속되게 절환시키며 셀렉터 스위치(IC2)는 노우드점(P)이 저전위 상태가 되면 도면과 같이 접속되고, 노우드점(P)이 고전위 상태가 되면 도면의 하방으로 접속되게 된다.
따라서 녹색절환 스위치(So)의 스위치(S7)가 아래쪽으로 접속되는 녹색모니터 모우드에서 신호 제어회로(10)에 칼라 버어스트 신호(CP1)가 인가되지 않을 때에는 노우드점(P)이 저전위 상태가 되어 셀렉터 스위치(IC2)의 스위치(S4-S6)를 도면과 같이 접속시켜 주게 되므로 휘도신호(Y)는 스위치(S4)를 통하여 구동회로(30)의 트랜지스터(Q5)의 에미터측에 인가되어 휘도신호(교류신호)에 의하여 베이스 접지증폭기로 구동하게 되고 직류전원(B+)은 스위치(S6)를 통한 후 녹색절환스위치(So)의 접점단자(C)(D)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4)(Q6)의 에미터측에 인가되므로 에미터와 베이스간에 역 바이어스가 걸려 차단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칼라 버어스트 신호(CP1)가 인가되지 않고 녹색절환스위치(So)를 도면의 아래쪽으로 접속시킨 상태에서는 화면에 녹색만 나타나게 되는 녹색 모니터 수신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칼라 버어스트 신호(CP1)가 안가되지 않고 녹색절환스위치(So)의 스위치(S7)를 도면과 같이 접속시키게 되면 셀렉터 스위치(IC2)는 도면과 같이 접속되게 되므로 휘도 신호(Y)는 스위치(S4)를 통한후 스위치(S7)의 접점단자(A)(D)를 통하여 구동회로(30)의 트랜지스터(Q4)(Q5)(Q6)에 인가되므로 백색 신호가 출력되는 상태가 된다.
즉 칼라버어스트 신호(CP1)가 인가되지 않고 녹색절환스위치(So)를 "오프"시키면 모니터는 모노 모니터 수신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칼라 모니터 모우드시에는 칼라 버어스트 신호(CP1)가 인가되므로 신호 제어회로(10)의 노우드점(P)이 고전위 상태 신호가 되어 셀렉터 스위치(IC2)의 스위치(S4) (S5)(S6)가 아래쪽으로 접속되게 된다.
이때 녹색절환스위치(So)르 아래로 연결한 녹색모니터 모우드시에는 일측의 휘도 신호(Y)가 셀렉터 스위치(IC2)의 단자(14)-스위치(S4)-단자(13)-트랜지스터(Q5)의 에미터에 인가되며 타측의 휘도신호(Y)는 단자(15)-스위치(S5)-단자(1)-접점단자(B)-스위치(S7)-접점단자(D)-트랜지스터(Q4)(Q6)의 에미터측에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Q4)(Q5) (Q6)가 구동하여 자동적으로 칼라 모니터로 절환되게 된다.
그리고 녹색절환스위치(So)를 도면과 같이 접속한 상태에서는 휘도 신호(Y)가 셀렉터 스위치(IC2)의 단자(14)-스위치(S4)-단자(13)-스위치(S7)의 접점단자(A)에 인가되게 되고 접점단자(A)에 인가된 휘도신호(Y)는 트랜지스터(Q5)의 에미터에 인가됨과 동시에 스위치(S7)와 접접단자(D)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4)(Q6)의 에미터에 인가되게 되므로써 트랜지스터(Q4)(Q5)(Q6)가 구동하여 칼라 모니터 모우드로 절환되게 된다.
따라서 칼라 영상신호 인가시에는 녹색 절환 스위치(So)의 절환 유무에 관계없이 칼라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칼라모니터로서 흑백 신호나 텍스트모우드 수신시에 휘도 신호를 지연시키지 않게 출력되게 하고 칼라 영상신호 수신시에는 휘도 신호가 지연되어 색상 신호와 위상을 일치시킬수가 있으므로 녹색 및 칼라 모니터의 해상도를 높일 수 있는 동시에 녹색절환스위치의 절환 유무 상태에 관계없이 칼라 영상신호 인가시에는 칼라 모니터 모우드로 자동 절환 될 수 있어 사용하기 편리한 모니터의 칼라 및 녹색절환 회로를 제공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트랜지스터(Q2)(Q3), 저항(R5-R10), 콘덴서(C3)로 구성된 신호 제어회로(10)와, 상기 신호 제어회로(10)에 의하여 스위치(S1-S6)의 절환 상태가 되는 셀렉터 스위치(IC1) (IC2)와, 상기 셀렉터 스위치(IC2)와 공지의 구동회로(30) 사이에 연결된 녹색 절환 스위치(So)와,셀렉터 스위치(IC1)에 연결되어 합성 영상신호(CP)가 안가되는 저항(R1)과 콘덴서(C2) 및 트랩(20)과 지연소자(25)로 구성된 모니터의 칼라 및 녹색 절환 회로.
KR2019850006202U 1985-05-23 1985-05-23 모니터의 칼라 및 녹색 절환회로 KR8800012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6202U KR880001279Y1 (ko) 1985-05-23 1985-05-23 모니터의 칼라 및 녹색 절환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6202U KR880001279Y1 (ko) 1985-05-23 1985-05-23 모니터의 칼라 및 녹색 절환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5540U KR860015540U (ko) 1986-12-30
KR880001279Y1 true KR880001279Y1 (ko) 1988-04-02

Family

ID=19242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6202U KR880001279Y1 (ko) 1985-05-23 1985-05-23 모니터의 칼라 및 녹색 절환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127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5540U (ko) 1986-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703579A (ko) 다중-표준 신호 수상기
KR100187909B1 (ko) 종속 접속된 스위치를 갖는 스위칭 장치
RU2115262C1 (ru) Цветной телевизионный приемник
KR880001279Y1 (ko) 모니터의 칼라 및 녹색 절환회로
US4982444A (en) Television tuning apparatus capable as serving selectively as a UHF tuner and a VHF tuner
US4135201A (en) Dynamic damping for SECAM high-frequency de-emphasis
KR100774265B1 (ko) 누화를 감소시킨 비디오 신호 선택기
KR960008946B1 (ko) 신호 접속용 회로 장치
JP3054558B2 (ja) 発振回路
US4631502A (en) Transistor modulator for converting video game signals into antenna input signals for a television receiver
JPS646585Y2 (ko)
KR960008675Y1 (ko) 티브이/에이브이 절환시 칼라신호 비피에프의 주파수 자동절환회로
JP2578854B2 (ja) 受信回路
KR920003404Y1 (ko) 멀티 방식의 칼라 트랩 스위칭회로
US5270579A (en) Circuit arrangement for generating an inverse voltage for switching diodes
JPH0210687Y2 (ko)
KR880004484Y1 (ko) 2입력모드용 테레비젼의 혼선제거회로
KR910000103Y1 (ko) 테레비젼의 입력모우드 자동전환회로
KR100189518B1 (ko) 케이블텔레비젼의 스위칭 회로
KR900010959Y1 (ko) Pal/secam tv의 secam칼라노이즈 제거회로
JP3101832U (ja) 中間周波回路
KR880000670Y1 (ko) 분배기(Distributor)회로
KR930007598Y1 (ko) 팔/ntsc 방식 공용프리엠파시스회로
KR910002784Y1 (ko) 멀티시스템 tv의 색신호 대역 보상회로
KR920005454Y1 (ko) 컬러 tv의 전송방식에 따른 휘도지연시간 선택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