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746B1 - 슬랙 샘플러 - Google Patents

슬랙 샘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746B1
KR880000746B1 KR828201286A KR820001286A KR880000746B1 KR 880000746 B1 KR880000746 B1 KR 880000746B1 KR 828201286 A KR828201286 A KR 828201286A KR 820001286 A KR820001286 A KR 820001286A KR 880000746 B1 KR880000746 B1 KR 880000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lack
resistant material
sample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8201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9482A (ko
Inventor
요시히로 하라
마사아끼 다게우찌
Original Assignee
스즈기 가나오
오오사까 산소고오교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즈기 가나오, 오오사까 산소고오교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스즈기 가나오
Publication of KR830009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9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And Analyzing Materials By Characteristic Method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슬랙 샘플러
제1도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슬랙 샘플러(slag sampler)를 일부 파단도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표시한 슬랙 샘플러의 철사형 금속제 내열재가 감겨진 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봉제내관 4,5 : 봉제외관
6 : 철사형 금속내열재 7 : 시멘트
8 : 박육금속통 9 : 보호용지관
본 발명은 용융금속조에 있어서 부유하는 슬랙의 성분분석시료를 채취하는 슬랙 샘플러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같이 근래 철강정련법의 진보는 현저하다. 특히 온도측정, 산소, 탄소등의 성분 측정 또는 함유성분 측정의 샘플러등도 많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더우기 정련효율의 향상과 지원의 유효이용화는 용융금속에 부유하는 슬랙의 온도나 성분을 신속하게 알고 투입원료의 끝내기를 향상시키고저 하는 시험으로서 나타나 있다.
일반으로 용융금속의 온도측정은 열전대를 지관(祗管)등 부터된 봉재의 선단에 부착하여 용융금속증에 침지하는 것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이 종류의 측온장치로서는 열전대를 조입한 소모형 유닛을 비소모부품인 홀더의 선단에 부착하여 각 측정후마다 소모형 유닛의 부분을 교환하게한 것이 사용된다. 한편 시료 채취의 방법으로서는 필요한 시료가 용융금속의 중앙부의 것인 경우는 소모형 유닛내부에 시료 채취실을 설치하여 용융금속중에 유닛 벽부의 시료도입공부터 이 실내에로 용융금속을 도입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있지만 필요한 시료가 슬럭인 경우의 시료채취방법으로서는 지관부터된 봉상의 외주의 일부에 금속제 내열재를 감장하고 용융금속중으로의 치지중에 이 금속제내열재에 슬랙을 부착시켜 이 슬랙을 부착한대로의 부착한대로의 봉제를 용융금속조부터 끄집어내어 이 봉재부터 시료를 분리채취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금속제 내열재를 사용하는 기지의 슬랙 샘플러에서는 보지부봉재를 구성하는 지관이 슬랙의 고열과 반응하여 비말등을 내기 때문에 금속제내열재에 부착하는 슬랙의 양이 적었다. 또. 이 샘플러는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측온장치, 당면위치 검출장치, 용강 샘플러등과 조합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이경우 일반으로 기계장치를 거쳐서 사용되지만 이들은 그 성격상 지관부터된 봉재구성이 될 수 있는데로 가늘게 되어있어서 이것에 슬랙 샘플러를 붙인경우 이 부분만큼 두께가 얇게되어 사용시에 회수를 불가능하게 하는 경우가 있었다. 특히 전로(轉爐)중부터 슬랙을 샘플링하는 경우는 이 일이 현저하였다. 더우기 전로에 있어서는 임의의 개소에 있어서의 슬랙의 샘플링이 안된다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결점을 제거하여 더우기 채취슬랙의 양이 보다 많고 또 확실한 슬랙샘플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서 (1) 및 (4), (5)는 봉제를 형성하는 요소로서 필요한 두 께의 지관부터 되어있다. 각각 (1)은 내관(4)는 외관, (5)는 외관이다. 내관(1)의 선단부에는 센서(senser)(2)가 고정되어 있다. 센서(2)는 주지의 창면위치우검출 기능을 가진것 또 온도 검지기능을 가진것 어느것도 좋다. (3)은 센서(2)에 부착된 전기열결기로 도시안되어 있지만 대응하는 연결 기구를 거쳐서 온도표시 또는 기타 필요한 계기에 접속된다. 이슬랙샘플러를 자동 기계장치를 사용하여 침지하는 경우 센서(2)가 슬랙면 또는 초기 온도의 검지를 행하므로 이것부터 채취하여야할 슬랙층 위치 및 용가온도측정위치를 자동적으로 판단시킬 수가 있다. 자동기계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수공에 의한 슬랙샘플링만의 경우는 센서(2)를 없애고 별도로 마게를 고착시켜도 좋다.
외관(4)의 길이는 센서(2)의 종류에 의하여 다르지만 예를들면 진로내에서 사용하는 경우 센서(2)가 온도센서이면 700mm정도이다.
봉재의 외주 일부에는 철사형 금속제 내열제(6)가 감어져 이 내열재(6)의 인접하는 권회간의 위치에는 내열재 각 권회의 외주 일부를 노출시키는 상태로 시멘트(7)가 도포된다. 이 시멘트(7)는 철사형 금속제 내열재(6)를 고정하는 동시에 슬랙부착량을 증가하게하는 작용을 한다. 내열재(6)는 철부터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관(1)과 외관(4) 및 외관(5)의 사이에는 박육(薄肉)금속통(8)이 외관(4) 및 외관(5)에 충분히 중첩되게 장입고정된다 박육 금속통(8)의 모양은 특별한 것이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0.25mm 정도의 함석판을 마룬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박육금속관(8)을 설치하는 이유는 내관(1)의 두께가 얇고 이 샘플러의 사용시에 외관(4), 외관(5)의 중간부에서 분리하여 힘써 채취한 슬랙을 탁하신키고 마는 일이 없는 것과 철사형 금속제내열제(6)에 부착한 슬랙을 시멘트(7)의 박층을 거쳐 급격히 냉각고화시키는 것에 있다. 또 박육금속관(8)의 외관(4), (5)과의 중첩부분은 분리방지와 고정을 위한 것으로 외관(4), (5)의 고정은 예를들면 스테이블, 침등을 타입하는 것에 의하여 행하진다.
철사형 금속제내열재(6)로서는 예를 들면 직경이 4mm의 연철봉을 핏치(8), 자유장 498mm의 코일을 작성한 것이 사용되어 이것을 내관(1)에의 외관(5)의 장입전에 장입하는 것에 의하여 부착한다.
시멘트(7)로서는 채취슬랙성분의 분석에 영향을 끼치지 않은 예를 들면 일본특수로재주식회사제 HH-18C형 시멘트가 사용된다. 시멘트(7)는 상술한 고정 및 슬랙부 착량증가의 작용 외로 금속조내의 고열 및 슬랙열등부터 박육금속관(8)을 보호하는 작용도하여 그 보호 및 부착한 슬랙의 냉각고화를 위한 박유금속통(8)에의 진열을 고려하여 보호작용을 부여하는데 필요한만큼 두껍게 또는 전열작용을 부여하는데 필요한만큼 얇은 범위내에서 얇게 도포된다. 따라서 시멘트(7)에는 내열재(6)의 권회의 외주 일부를 남기게 도포된다. 제2도는 내열재(6)가 감겨지는 봉재부분을 보다 명확하게 표시하고 있다.
감겨진 금속제내열재(6)의 주위에는 외관(4), (5)의 외경을 두께 예를들면 4mm 전후의 두께의 보호용지관(9)이 설치된다.
제조에 있어서는 이 슬랙샘플러는 내관(1)에 외간(4)을 장입하고 내열재(6)를 장입하여 시멘트(7)로 고정하고 보호용지관(9)을 장입하고 최후에 외관(5)을 장입고정하여 완성된다.
완성된 샘플러의 치수의 예를들면 전로용에서 사용하는 경우의 예로서 각각의 치수는 전장이 2000mm, 외관(4)의 길이는 700mm, 보호용지판(9)의 길이는 500mm, 외관(5)의 길이는 750mm,이고 또 내관(1)의 내경은 56mm, 외관(4), (5)의 외경은 85mm이다.
이상의 설명부터 명백히 알게되는 바와같이 발명은 지관등을 소재로하는 봉재의 외주에 슬랙체취용의 철사형 금속제내열재를 감아붙인 슬랙샘플러로서 슬랙 부착량을 증가하게한 것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철사형 금속제내열재가 감겨지는 봉재부분에 박육금속통을 감삽하는 양상으로 실시하는 것에 의하여 그 냉각작용을 이용하여 더우기 슬랙부착을 확실하게 하여 도 봉재의 강도가 높아지므로 봉재가 센서등을 부착한 내관을 가진 형의 것의 경우에 특히 유리하게 사용된다.

Claims (4)

  1. 지관등을 소재로 한 봉재의 외주에 철사형 금속제 내열재를 휘감고, 철사형 금속제 내열재를 고정함과 동시에 슬랙 부착량을 증가시키도록 분석성분에 영향을 주지 않는 시멘트를 내열재의 각 권회의 외주 일부를 남기고 서로 인접하는 내열재 권회사이의 위치에 도포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랙 샘플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사형 금속재 내열재가 철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랙 샘플러.
  3. 제1항에 있어서, 슬랙부착량을 증가시키고 또한 봉재의 강도를 높이도록 봉재와 감겨진 철사형 금속제 내열재 사이에 철사형 금속제 내열재의 양단을 넘어서 연장하는 길이의 박육 금속통을 장입 공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랙샘플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봉재는 내관 및 이 내관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갖고 2부분으로 나뉘어져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외관으로 구성되며, 박육 금속통은 적어도 외관의 2부분 사이의 간격을 덮도록 내관과 외관 사이에 장입 고정되고, 철사형 금속제 내열재는 상기 박육 금속통에 감겨져서 시멘트로 그정되며, 이 감겨진 철사형 금속재 내열재의 주위에는 외관의 외경을 초과하지 않는 두께를 가진 보호용 지관이 끼워 넣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랙 샘플러.
KR828201286A 1981-03-26 1982-03-25 슬랙 샘플러 KR8800007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1042452U JPS647325Y2 (ko) 1981-03-26 1981-03-26
JP56-42452 1981-03-26
JP?????42452 1981-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9482A KR830009482A (ko) 1983-12-21
KR880000746B1 true KR880000746B1 (ko) 1988-05-04

Family

ID=29839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8201286A KR880000746B1 (ko) 1981-03-26 1982-03-25 슬랙 샘플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47325Y2 (ko)
KR (1) KR8800007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9403B2 (ja) * 2000-02-18 2010-07-21 ヘレーウス エレクトロ−ナイト インターナシヨナル エヌ ヴイ 溶融物用試料採取装置
DE102005043852B3 (de) * 2005-09-13 2006-12-21 Heraeus Electro-Nite International N.V. Eintauchsond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24456U (ko) * 1972-06-06 1974-03-01
US4024215A (en) * 1975-04-24 1977-05-17 Fmc Corporation Production of uranium peroxide
JPS5629745Y2 (ko) * 1978-07-07 1981-07-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9482A (ko) 1983-12-21
JPS647325Y2 (ko) 1989-02-27
JPS57155459U (ko) 1982-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5220B2 (en) Device for measuring cooling/heating curves of molten masses
US5360269A (en) Immersion-type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using thermocouple
US2660061A (en) Immersion type thermocouple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US5772324A (en) Protective tube for molten metal immersible thermocouple
JP2795146B2 (ja) 測温用二重被覆光ファイバ
US3709040A (en) Lances for taking samples of molten metal
US3668099A (en) Apparatus for measuring oxygen content of a fluid
KR20160092949A (ko) 용융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광섬유 급송 디바이스
UA75693C2 (en) Measuring device for determining activity of oxygen in metal or slag melt
KR880000746B1 (ko) 슬랙 샘플러
UA82243C2 (uk) Спосіб та пристрій для корекції вимірювальних сигналів і для вимірювання температури розплавів за допомогою оптичних волокон і застосування пристрою
JP3158839B2 (ja) 溶融金属の温度測定装置および温度測定方法
US4685812A (en) Probe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temperatures of the walls of coke oven flues
CA2209207A1 (en) Method of measuring temperature of hot melt, method of controlling temperature of hot melt and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for use in temperature measuring and controlling methods
US4468009A (en) Refractory protection tube for immersion molten metal devices
US3398027A (en) Pyrometric probe
US5975755A (en) Shield for molten metal immersible thermocouple support pole
CA21997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ement of temperatures of molten aluminum and aluminum alloys
US2672493A (en) Immersion thermocouple construction
RU2683376C1 (ru) Погружной зонд для замера температуры и отбора пробы металлического и шлакового расплава в конвертере
JPH10501628A (ja) 電気−化学的な活動度の測定方法
CA2102969C (en) Immersion-type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using thermocouple
US3201277A (en) Immersion thermocouple
US3664882A (en) Immersion temperature responsive device
JPH0321464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