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679B1 - 잡음 저감 장치 - Google Patents

잡음 저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679B1
KR880000679B1 KR8203284A KR820003284A KR880000679B1 KR 880000679 B1 KR880000679 B1 KR 880000679B1 KR 8203284 A KR8203284 A KR 8203284A KR 820003284 A KR820003284 A KR 820003284A KR 880000679 B1 KR880000679 B1 KR 880000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put
output
circui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3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1021A (ko
Inventor
야스오 고미나미
가쯔오 와다나베
후미히고 요고가와
노부히로 스즈기
Original Assignee
미쓰다 가쓰시게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마쯔모도 세이야
파이오니아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다 가쓰시게,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마쯔모도 세이야, 파이오니아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다 가쓰시게
Publication of KR840001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2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for providing a predistortion of the signal in the transmitter and corresponding correction in the receiver, e.g. for improving the signal/noise ratio
    • H04B1/64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9/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types of control, e.g. gain control and tone control
    • H03G9/02Combinations of two or more types of control, e.g. gain control and tone control in untuned amplifiers
    • H03G9/025Combinations of two or more types of control, e.g. gain control and tone control in untuned amplifiers frequency-dependent 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e.g. multiple-ban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Reduction Or Emphasis Of Bandwidth Of Signals (AREA)
  • Tone Control, Compression And Expansion, Limiting Amplitud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잡음 저감 장치
제1도는 주지의 돌비C형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이 C형 엔코디로서 동작하기 위한 회로 불럭을 표시한 회로도.
제2도는 주지의 돌비 C형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이 데코피로서 동작하기 위한 회로 불럭을 표시한 회로도.
제3도는 주지의 돌비 B형 엔코더 출력신호의 진폭-주파수 특성을 표시한다.
제4도는 주지의 돌비 C형 엔코더의 엔코더 출력신호의 진폭-주파수 특성을 표시한다.
제5도는 돌비 C형 엔코더와 돌비 C형 데코더와의 구성에 의한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의 잡음 감량과 돌비 B형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에 의한 잡음저감량과를 표시하며,
제6도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돌비 C형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의 블럭 다이어그램(diagram)을 표시한다.
제7도는 제6도의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의 돌비 C형 엔코더로서 동작할때의 신호전달경로(信號傳達經路)를 표시한다.
제8도는 제6도의 리덕숀 시스템이 돌비 C형 데코더로서 동작할때의 신호 전달경로를 표시하는 회로도.
제9도는 제6도의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의 돌비 B형 엔코더로서 동작할때의 신호 전달경로를 표시하는 회로도.
제10도는 제6도의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의 돌비 B형 데코더로서 동작할때의 신호 전달 경로를 표시하는 회로도.
본 발명은 잡음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전에서 부터 어느 특정한 통신계 혹은 특정한 기록 재생계의 S/N비를 개선하기 위하여 그 계통에 신호압축기(信號壓縮機)와 신호 신장기(信號伸張器)를 구비한 잡음 저감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발명이 목적하는 것은 교루 바이어스 신호에 따른 엔코더 오차가 저감된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신호 압축기의 회로구성 부품과 신호 신장기의 회로 구성 부품과를 공통으로 사용하는 모드 스위치(mode switch)의 절환에 의하여 신호 압축기의 기능과 신호 신장기의 기능과를 절환할 수 있게 한 잡음저감 장치가 소사이어티 오브 텔렉트랙크앤드 라디오 테그니션(society of electronic and radio technicion) 지(誌) 제8권 1974년 5월/6월호에 의하여 제안되어 있다.
이 종류의 절환가능형 신호 압축기/신호 신장기는 돌비 B형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으로서 당업자 간에 주지되어 있다(돌비라는 문구는 돌비 연구소의 등록상표이다).
이 돌비 B형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을 신호 압축기에 절환하므로서 이 시스템은 엔코더가 된다.
신호 압축기(엔코더)는 입력신호가 녹은 테이프에 기록되기 전에 이 입력신호의 다이나믹 레인지(dynamic range)를 압축한다. 이 시스템을 신호 신장기에 절환하므로서 이 시스템은 데코더(decoder)가 된다.
신호 신장기(데코더)는 입력 신호에 대한 다이나믹 레인지의 직선성을 원상태로 회복 시킨다.
기록/재생 과정 중에 들어가게 되는 잡음은 상당히 감소되며, 따라서 신호 압축기-신호 신장기의 구성은 잡음 저감 장치가 될 수 있다.
돌비 B형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에는 통상 200Hz 보다 높은 주파수의 신호 성분에 대하여 신호 압축/신호 신장의 동작이 행하여 진다. 한편 돌비 B형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을 기초로 그 회로 구성이 유사한 돌비 C형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이 최근 개발되어 있다. B형과 C형에 있어서 크게 차이가 있는 것은 잡음 저감 효과이며, B형이 5KHz의 주파수에서 약 10dB의 잡음저감량인데 대하여 C형은 5KHz의 주파수에서 약20dB의 잡음 저감량으로 개선되어 있다.
제1도는 주지의 돌비 C형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이 엔코더로 동작할때의 회로 블럭을 도시한 것이다.
입력단자 T1에 공급되는 녹음 입력신호는 스펙트랄·스퀴잉(spectral skewing)회로 11의 입력단자에 가해진다. 테이프 특성에 대한 대 진폭 녹음시의 고 주파이득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10KHz~20KHz의 주파수의 신호 레벨은 스펙트랄 스퀴잉 회로에 의하여 저감된다.
이렇게하여 10KHz~20KHz의 특정 주파수에 있어서의 엔코드 데코드 오차가 현저히 저감된다.
스팩트랄 스퀴잉회로 11의 출력신호는 결합회로 12의 한쪽의 입력 단자에 인가됨과 동시에 고 레벨 사이드체인13을 통하여 결합회로 12의 또 하나의 입력단자에 가해지고 단자 T2로 부터 결합회로 12의 출력신호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단자T1, T2사이의 신호 경로는 돌비 C형 엔코더의 제1레벨 처리회로를 구성한다.
또한 단자 T3, T4사이의 신호 경로는 돌비 C형 엔코더의 제2레벨 처리회로를 구성한다.
단자 T2와 단자T3가 접속됨으로서 결합회로 12의 출력신호는 앤티 새츄 레인숀(anti saturation)회로 14와 저레벨 사이드 췌인(side chain of low level)15에 인가된다.
앤티 새츄 레이숀 회로 14는 고 신호 레벨에서 동작하므로서 테이프의 포화, 고주파 신호손실, 찌그러짐의 증가를 방지한다. 앤티 새츄 레이숀 회로 14의 출력신호와 저레벨 사이드 췌인 15의 출력신호가 각각 결합회로 16의 한쪽 입력단자와 또 한쪽의 입력단자에 인가되기 때문에 결합회로 16의 출력단자 T4로 부터 돌비 C형 엔코더의 엔코드출력신호를 얻을 수가 있다.
돌비 B형 엔코더의 엔코드 출력신호가 그림3에 도시한 것과 같은 진폭-주파수 특성을 갖게 되는 것에 대하여 돌비 C형의 엔코더의 엔코드 출력은 그림4에 도시한 진폭-주파수 특성을 갖고 잇다.
즉, 신호 진폭 레벨의 저하에 따라 돌비 C형 엔코더의 엔코드 출력신호에 포함되는 200Hz 이상의 주파수 성분의 진폭치는 (振幅値) 돌비 B형 엔코더의 엔코드 출력신호에 포함되는 그것의 약 2배에 해당되는 것이다.
제2도는 주지의 돌비 C형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이 데코더로서 동작하기 위한 회로 불럭을 도시한 것이다.
입력단자 T5는 재생 전치증폭기로 부터의 재생 입력신호가 인가 됨과 동시에 결합회로 16의 한쪽의 입력단자에도 접속되어 있다.
결합회로 16의 출력신호는 신호 반전기(信號反轉器) 17을 통하여 앤티 새츄 레이숀 회로 14에 인가된다.
앤티 새츄 레이숀 회로 14의 출력신호는 단자 T6에 공급됨과 동시에 저레벨 사이드 췌인 15를 통하여 결합회로 16의 다른쪽의 입력단자에 공급된다.
그리하여 단자 T5, T6사이의 신호 경로는 돌비 C형 데코더의 제1레벨 처리회로를 구성한다.
신호 반전기 17과 결합회로 16과의 결합은 신호 감산을 실행하기 위하여 이 제1레벨 처리 회로의 출력신호의 진폭-주파수 특성의 200Hz 이상의 신호 성분은 신호 레벨의 저하에 따라 점차적으로 적은 진폭치를 갖게 된다.
또한 단자 T7, T8사이의 신호 경로는 돌비 C형 데코더의 제2레벨처리회로를 구성한다.
즉, 단자 T6와 단자 T7이 접속되므로서 앤티 새츄 레이숀 회로14의 출력신호가 결합회로 12의 한쪽의 입력단자에 공급되어진다.
결합회로 12의 출력신호는 신호 반전기 18을 통하여 스펙트랄 스퀴잉 회로 11의 입력단자에 공급됨과 동시에 고레벨·사이드 체인13을 통하여 결합회로 12의 다른 쪽의 입력단자에 공급된다. 신호 반전기 18과 결합회로 12와의 결합은 같은 신호감산을 실행하기 위하여 단자 T8로 부터 얻어지는 스펙트랄 스퀴잉 회로 11의 출력신호의 진폭-주파수 특성의 200Hz 이상의 신호 성분은 신호 레벨의 저하에 따라 점차적으로 적은 진폭치를 갖게 된다.
이리하여, 단자 T5로 부터 단자 T8까지의 신호 경로의 종합특성은 제4도의 진폭-주파수특성의 역 특성으로 된다.
제5도는 상술한 돌비 C형 엔코더와 돌비 C형 데코더와의 구성에 의한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의 잡음 저감량과 돌비 B형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에 의한 잡음 저감량과를 표시한 것이다.
한편, 자기 테이프의 오디오 신호의 녹음은 60KHz~100KHz의 교류바이어스 신호를 중첩시켜 실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공지의 B형 혹은 C형의 돌비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의 사이드 췌인은 고주파의 오디오 신호 성분에 응답할 뿐만 아니라 60KHz~100KHz의 교류 바이어스 신호에도 민감하게 응답하므로 공지의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은 비교적 큰 엔코드, 데코드 오차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을 실시예 제6도에서 설명하면, 제6도는 이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돌비 C형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의 불럭 다이야그람을 표시하고 있다. 파선(破線)으로 표시한 IC 내부의 회로소자는 모노리딕(monolithic) 반도체 집적회로(이하 IC라함)의 내부에 형성되고 원형내의 숫자는 IC의 외부접속단자를 표시하고 있다.
IC의 1번 단자에는 저항 R101를 통하여 바이어스 전압 VREF가 공급이 되고 동시에 저항 R122와 캐패시터 C101과를 통하여 오디오 녹음 신호 REC INPUT가 공급된다.
IC의 2번 단자는 캐패시터 C102를 통하여 접지되고 IC의 3번 단자는 접지단자로써 접지전위 GND에 접속되어 있다.
IC의 4번 단자는 저항 R103을 통하여 바이어스 전압 VREF가 공급되는 동시에 오디오 재생신호 PR INPUT가 공급된다.
IC의 5번 단자는 교류 리플 제거용 캐패시터 C104를 통하여 접지되어 있고 회로 각부에 공급되어지는 바이어스 전압 VREF가 5번 단자로 부터 발생된다.
IC의 6번 단자에는 R104, 저항 R105를 통하여 바이어스 전압 VREF가 공급된다.
IC의 7번 단자와 8번단자와의 사이에는 캐패시터 C105, C106, C107, C108, 저항 R106, R123에 의하여 구성된 필터회로망 100이 접속되어 있다.
IC의 9번단자는 캐패시터 C109, C110, 저항 R107에 의하여 구성된 주파수 특성 결정회로 101에 접속됨과 동시에 이 발명에 따라서 특히 인덕터(inductor) L102와 캐패시터 C132에 의하여 구성된 바이어스 트랩회로 102에 접속되어 있다. 이 바이어스 트랩회로 102의 병렬공진 주파수는 후에 설명하는 바이어스 발진기 107에 의하여 발생되는 교류 바이어스 신호의 주파수와 거이 같게 정하여져 있다.
IC의 10번 단자, 11번 단자, 12번 단자, 13번 단자는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의 사이드 췌인의 검파다이오드 D1, D2의 검파 특성을 결정하는 시정회수로 103에 접속되어 있다.
시정수회로 103은 캐패시터 C111, C112, C113, C114, 저항 R108, R109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IC의 14번 단자는 캐패시터 C115저항 R127를 통하여 접지되어 있으며, 캐패시터 C115와 R127과의 공통접속점은 녹음 증폭기 104의 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녹음 증폭기 104의 출력단자는 출력 결합 캐패시터 C135와 바이어스·트랩회로 105를 통하여 녹음 자기 헤드108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바이어스 발진기 107로 부터 발생된 교류 바이어스 신호가 녹음 자기 헤드 108에 공급되어 진다.
바이어스 트랩회로 105는 인턱터 L104와 캐패시터 C135에 의하여 구성되며, 그 병렬공진 주파수는 바이어스 발진기 107에 의하여 발생되는 교류 바이어스 신호의 주파수와 거이 같게 정하여져 있다.
IC의 15번 단자는 위상보상용 캐패시터 C116를 통하여 접지됨으로서 IC 내부의 신호 반전기 17의 교류 동작이 안정화된다.
IC 16번 단자와 17번 단자와는 캐패시터 C117, C118저항 R110, R111, R112에 의하여 구성 되어진 필터회로 109에 접속되여 이 필터회로는 앤티 새츄 레이숀 회로 14의 일부를 구성한다.
IC의 17번 단자와 18번 단자는 캐패시터 C119, C120, C121, C122저항 R114, R115, R124에 의하여 구성된 필터회로망 110에 접속되어 있다.
IC의 19번 단자는 캐패시터 C123, C124저항 R116에 의하여 구성된 주파수 특성 결정회로 111에 접속된 것과 동시에 이 발명에 따른 특히 인덕터 L103과 캐파시터 C133과에 의하여 바이어스 트랩회로 112에 접속되어 있다.
이 바이어스 트랩회로 112의 병렬 공진 주파수는 바이어스 발진기 107에 의하여 발생되는 교류 바이어스 신호의 주파수와 거의 같게 정하여져 있다.
IC의 20번 단자와 21번 단자와는 노이즈 리더숀 시스템의 사이드 체인의 검파 다이오드 D3, D4의 검파 특성을 정하는 시정수 회로 113에 접속되어 있다. 시정수 회로 113은 캐패시터 C125, C126저항 R117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IC의 22번 단자, 23번 단자, 24번 단자, 25번 단자는 캐패시터 C127, C128, C129인덕터 L101, 저항 R118, R119, R120, R121, R128에 의하여 구성되어진 필터회로 114에 접속되며, 이 필터회로 114는 스팩트랄 스퀴잉 회로 11의 일부를 구성한다.
IC의 26번 단자에는 녹음·재생 절환 제어신호 R/P CONT가 인가된다.
IC의 27번 단자는 캐패시터 C130을 통하여 접지전 위에 접속됨과 동시에 저항 R122를 통하여 돌비 -OFF/B/C 절환 제어 신호 OFF/B/C CONT가 인가된다.
IC의 28번 단자는 캐패시터 C131를 통하여 접지전 위에 접속됨과 동시에 전원 전압 VCC가 공급된다.
전원 공급회로 20에는 28번 단자로 부터 전원 전압 VCC가 공급되는 것에 의하여 특히 5번 단자에 바이아스 전압 VREF(약 VCC/2의 레벨)을 발생한다.
돌비-OFF/B/C 절환 제어 회로 21에는 27번 단자로 부터 제어신호 OFF/B/C가 인가된다.
제어회로 OFF/B/C 가 제1레벨로 되면 노이즈.리덕숀.시스템의 고레벨 사이드 췌인 13과 저레벨.사이드.췌인 15가 그 진폭-주파수 특성 제어동작을 정지하도록 절환 제어 회로 21의 출력이 스위치 S4, S5를 온 상태로 제어한다
이와 동시에 절환 제어 회로 21의 출력은 스위치 S1, S2, S3를 온 상태로 제어한다.
제어신호 OFF/B/C가 제2레벨로 되면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의 저레벨 사이드 췌인 15가 그 진폭-주파수 특성 제어동작을 정지하여 이러한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이 돌비 B형으로써 동작하도록 절환 제어 회로 21의 출력이 스위치 S5를 온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동시에 절환 제어 회로 21의 출력 스위치 S1, S2, S3를 온 상태가 되게하고 또, 스위치 S4를 오프 상태가 되게 제어한다. 이리하여, 스위치 S4가 오프 상태이기 때문에 고레벨 사이드 췌인 13이 그 진폭-주파수 특성 제어동작을 실행한다.
또한, 제어신호 OFF/B/C가 제2레벨로 되면 절환 제어 회로 21의 출력이 스위칭 증폭기 26, 30을 제어하며 그 결과 스위칭 증폭기 26, 30은 B 사이드의 비 반전 입력단자(
Figure kpo00001
)에 인가된 입력신호에 응답하고 C 사이드의 비 반전 입력단자(
Figure kpo00002
)에 인가된 입력신호는 비 응답이 된다.
제어신호 OFF/B/C가 제3레벨로 되면 노이즈.리덕숀.시스템의 고레벨 사이드 췌인 13과 저 레벨 사이드 췌인 15가 그 진폭-주파수 특성 제어동작을 실행하여 이러한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이 돌비 C형으로서 동작하도록 절환 제어 회로 21의 출력은 스위치 S4, S5를 오프 상태로 제어한다.
이와 동시에 절환 제어 회로의 출력은 스위치 S1, S2, S3를 오프 상태에 제어 한다.
또한 제어신호 OFF/B/C가 제3레벨로 되면 절환 제어 신호 21의 출력이 스위치 증폭기 26, 30을 제어하며, 그 결과 스위칭 증폭기 26, 30은 C 사이드의 비반전 입력단자(
Figure kpo00003
)에 인가된 입력신호에 응답하고 B 사이드의 비반전 입력단자(
Figure kpo00004
)에 인가된 입력신호에는 비 응답이 된다.
녹음/재생 절환 제어 회로 22에는 26번 단자로 부터 제어신호 R/P가 인가된다.
제어신호 R/P가 제1레벨로 되면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이 엔코더로써 동작하도록 절환제어 회로 22로 부터 제어신호가 발생한다.
즉, 이때 각 스위칭 증폭기는 아래와 같이 동작한다.
(1) 스위칭 증폭기 23, 24, 29는 R 사이드의 비반전 입력단자(
Figure kpo00005
)와 비반전 입력단자(
Figure kpo00006
)와에 각각 인가된 입력신호에 응답하며, P 사이드의 비반전 입력단자(
Figure kpo00007
)와 반전 입력단자(
Figure kpo00008
)와 각각 인가된 입력신호에는 비 응답이 된다.
(2) 스위칭 증폭기 26, 27, 28, 30, 31은 R 사이드의 비반전 입력단자(
Figure kpo00009
)에 인가된 입력신호에 응답하고 P 사이드의 비반적 입력단자 (
Figure kpo00010
)에 인가된 입력신호에 비응답으로 된다.
제어신호 R/P가 제2레벨로 되면,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이 데코더로서 동작하도록 절환제어회로 22로 부터 제어 신호가 발생된다. 즉, 이때 각 스위칭 증폭기 아래와 같이 동작한다.
(3) 스위칭 증폭기 23, 24, 29는 P 사이드의 비반전 입력단자(
Figure kpo00011
)와 반전입력단자(
Figure kpo00012
)와에 각각 인가된 입력신호에 응답하고 R 사이드의 비 반전 입력단자(
Figure kpo00013
)와 반전 입력단자(
Figure kpo00014
)와에 각각 인가된 입력신호에는 비응답으로 된다.
(4) 스위칭 증폭기 26, 27, 28, 30, 31은 P 사이드의 입력단자 (
Figure kpo00015
)에 인가된 입력신호에 응답하고 R 사이드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된 입력신호에는 비응답으로 된다.
가변 임피던스 33, 신호 증폭기 34, 이득제어 증포기 35, 정류 다이어오드 D1, D2, 전압/전류 변환기 36, 오버슈트 서프렛서 37은 고레벨·사이드·췌인 13의 일부를 구성한다.
필터회로망 100을 통하여 가변 임피던스 33에 전달되는 신호 레벨이 저하되면, 신호 증폭기 34, 이득제어 증폭기 35, 정류 다이오드 D1, D2전압 전류 변환기 36(특히 전압/전류 변환기 36의 출력 신호)은 가변 임피던스 23의 임피던스를 높혀 오버슈트·서프렛서 37을 통하여 결합회로 12에 공급되고 있는 신호 증폭기 34의 출력신호(고레벨 사이드 체인 13의 출력신호)를 증가시킨다. 스위치 S4가 온 상태로 되면 정 전류원 I1으로 부터 소정의 제어전류가 가변 임피던스 33에 유입하여 그 결과 가변 임피던스 33의 임피던스는 현저히 저하한다.
그러면 오버 슈터 서프렛서 37을 통하여 결합회로 12에 신호 증폭기 34의 출력신호가 공급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고레벨 사이드 췌인 13은 그 진폭-주파수 특성 제어동작을 정지한다. 가변 임피던스 38, 신호 증폭기 39, 이득제어 증폭기 40, 정류 다이오드 D3, D4, 전압/전류 변환기 41 오바슈트 사프렛서 42는 저레벨 사이드 췌인 15의 일부를 구성한다.
필타회로망 110을 통하여 가변 임피던스 38에 전달되는 신호레벨이 저되되면 신호 증폭기 39, 이득제어 증폭기 40, 정류 다이오드 D3, D4, 전압/전류 변환기 41(특히 전압/전류 변환기 41의 출력신호)는 가변 임피던스 38의 임피던스를 높혀 오버슈트 서프렛서 42를 통하여 결합회로 16에 공급되고 있는 신호 증폭기 39의 출력신호(저레벨 사이드 췌인 15의 출력신호)를 증가 시킨다.
스위치 S5가 온 상태로 되면 정 전류원 I2로 부터 소정의 제어전류가 가변 임피던스 38에 유입되어 그 결과 가변 임피던스 38의 임피던스는 현저히 저하한다.
그러면, 오버슈트 서퍼렛서 42를 통하여 결합회로 16에 신호 증폭기 39의 출력신호가 공급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저 레벨 사이드 췌인은 그 진폭-주파수 특성제어동작을 정지한다.
제7도는 제어신호 OFF/B/C가 제3레벨로 되고 다른 제어신호 R/P가 제1레벨로 되기 때문에 제6도의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이 C형 엔코더로써 동작할때의 신호전달경로를 표시한 회로도이다.
제7도에 표시한 신호 전달경로는 제1도의 돌비 C형 엔코더로서 동작하고 제7도의 단자 T4로 부터 얻어지는 엔코드 출력신호(녹음 오디오 출력신호)는 제6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녹음 증폭기 104에 의하여 증폭된 후에 바이아스 트랩 105를 통하여 녹음 헤드 108에 인가된다.
녹음 해드 108에는 바이어스 발진기 107로 부터 60KHz~100KHz의 교류 바이어스 신호가 인가되어 있으나 자기 테이프의 주파수 특성에 의하여 자기 테이프상에는 오디오 신호만이 기록되고 교류 바이어스 신호는 실제적으로 기록되지 않는다.
제8도는 제어신호 OFF/B/C가 제3레벨로 되고 다른 제어신호 R/P가 제2레벨로 되므로서 제6도의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이 C형 데코더로써 동작할때의 신호 전달회로를 표시하는 회로도이다.
제8도는 표시한 신호전달회로는 제2도의 돌비 C형 데코더로서 동작한다.
상술한 녹음 헤드 108에 녹음된 자기 테이프상에 기록된 오디오 신호는 재생 헤드(도시없음)에 의하여 검출되며, 또한 재생등화회로(도시없음)를 통하여 재생 입력신호 PB INPUT로서 단자 T5에 공급된다.
제9도는 제어신호 OFF/B/C가 제2레벨로 되고 다른 제어신호 R/P가 제1레벨로 되므로서 제6도의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이 돌비 B형 엔코더로서 동작할때의 신호 전달 경로를 표시하는 회로도이다.
제9도에 표시한 신호 전달경로의 단자 T4로 부터 얻어지는 엔코드 출력신호(녹음 오디오 출력신호)는 제6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녹음 증폭기 104에 의하여 증폭된 후에 바이어스. 트랩회로 105를 통하여 녹음 헤드 108이 인가된다.
녹음 헤드 108에는 바이어스 발진기 107로 부터 60KHz∼100KHz의 교류 바이어스 신호가 같이 인가되어 있으나 자기 테이프의 주파수 특성에 의하여 자기테이프 상에는 오디오 신호만이 기록되고 교류 바이어스 신호는 기록되지 않는다.
제10도는 제어신호 OFF/B/C가 제2레벨로 되고 다른 제어신호 R/P가 제2레벨로 되므로서 제6도의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이 돌비 B형 데코더로써 동작할때의 신호전달경로를 표시하는 회로도이다.
제10도에 표시한 신호 전달회로는 돌비 B형 데코더로써 동작한다.
상술한 녹음 헤드 108에 의하여 녹음된 테이프상에 기록된 오디오 신호는 재생헤드(도시없음)에 의하여 검출되고 또한 재생등화회로(도시없음)을 통하여 재생입력회로 PB INPUT 로써 단자 T5에 공급된다.
제6도의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이 B형 또는 C형의 데코드로써 동작할때 바이어스 발진기 108은 그 발진 동작을 정지하고 그 결과 교류 바이어스 신호는 바이어스 발진기 108로 부터 발생되지 않는다.
제6도의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이 B형 또는 C형의 데코드로써 동작할때 바이어스 발진기 107은 비교적 큰 전압진폭(100 VP-P)의 교류 바이어스 신호를 발생한다.
한편,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이 B형 엔코더로서 동작할때, 녹음 입력신호 REC INPUT 의 신호 레벨의 저하에 의하여 고레벨 사이드 체인 13의 가변 임피던스 33은 높은 임피던스에 제어 되지 않으면 안된다.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이 C형 엔코더로서 동작할때, 녹음 입력 신호 REC INPUT의 신호 레벨의 저하에 의하여 고레벨·사이드·췌인 13의 가변 임피던스 33과 저레벨·사이드·췌인 15의 가변 임피던스 38과는 같이 높은 임피던스에 제어되지 않으면 안된다.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이 B형 또는 C형의 엔코더로써 동작할때에 바이어스발진기 107은 큰 전압진폭의 교류 바이어스 신호가 발생되어 있으므로 바이어스 회로 107의 출력과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 각부와의 사이의 용량 결합 혹은 유도 결합에 의하여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 각부에 무시 할 수 없는 레벨의 교류 바이어스 신호 성분이 유기된다.
제6도의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에 있어서 만약 바이어스·트랩회로 102, 112가 생략되었다 하면, 녹음 입력신호 REC INPUT의 오디오 신호 레벨이 적더라도 무시할 수 없는 교류 바이어스 신호전류가 고레벨·사이드·췌인 13의 주파수 특성 결합회로 101과 저레벨 사이드·췌인 15의 주파수 특성 결정회로 111과 에 흐른다.
무시할 수 없는 교류 바이어스 신호 전류가 주파수 특성 결정회로 101과 111에 흐름으로 이득제어 증폭회로 35, 40의 출력 신호가 바람직하지 않게도 증대한다.
따라서, 녹음 입력신호 REC INPUT 가 적음에도 불구하고 유기된 교류 바이어스 신호에 의하여 고레벨 사이드 췌인 13의 가변 임피던스 33과 저레벨 사이드 췌인 15의 가변 임피던스 38과는 같이 불소망하게도 낮은 임피던스로 제어된다.
그 결과 바이어스 트랩회로 102, 112가 생략되었을 때에는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이 B형 C형 엔코더로서 동작하여도 각각 이상적인 엔코드 특성으로부터 실제의 엔코드 특성이 현저히 이탈한다.
이에 대하여 이 발명에 따른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에 있어서는 제6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바이어스 트랩회로 102, 112가 특히 배치되어 있다.
바이어스 트랩회로 102, 112의 병렬공진 주파수는 바이어스 발진기 107로 부터 발진되는 교류 바이어스 신호의 주파수와 거의 같이 정하여져 있으므로 교류 바이어스 신호의 주파수에 있어서는 바이어스. 트랩회로 102, 112의 임피던스는 극히 큰 값으로 된다. 이리하여, 교류 바이어스 신호 전류는 이득제어 증폭기 35, 40의 출력으로 부터 각각 주파수 특성 결정회로 101, 111을 통하여 바이어스 트랩회로 102, 112에 흘러 들어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녹음 입력 신호 REC INPUT가 적을 때는 이득제어 증폭 회로 35, 40의 출력신호는 녹음 입력신호 REC INPUT의 레벨에 비례하여 적은 레벨로 되고, 제6도의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이 B형 엔코더 혹은 C형 엔코더로서 동작할지라고 그 엔코드 특성은 각각의 이상적인 엔코드 특성으로 부터 현저히 이탈하게 되는 일은 없다.
이 발명의 기본적 기술 사상에 따른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은, 시스템이 엔코더로서 동작할때에 녹음 헤드 108에 공급되는 교류 바이어스 신호에 대한 사이드 췌인 13의 이득-주파수 특성제어감도가 엔코드 입력신호 REC INPUT에 대한 사이드 췌인 13의 이득-주파수 특성 제어감도 보다 적은치로 되도록 구성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기본적 기술 사상을 기초로 여러가지로 변형 실시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이어스 트랩회로 102, 112는 각각 주파수 특성 결정회로 101, 102와 직렬 접속 되지 아니하고, 각각 신호 증폭기 34의 출력단자와 이득제어 증폭기 35의 비반전 입력단자(
Figure kpo00016
)와의 사이 그리고, 신호 증폭기 39의 출력단자와 이득제어 증폭기 40의 비반전 입력단자(
Figure kpo00017
)와의 사이에 접속될 수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신호 증폭기 34, 39의 출력단자와 이득제어 증폭기 35, 40의 비반전 입력단자와의 각 접속은 IC 내부에서 직격되는 것이 불가능하고 IC의 외부 접속단자수가 네개(4)증가 한다는 불리한 문제가 생긴다. 그러나,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이 B형 혹은 C형의 데코더로서 동작할때에는 바이어스 발진기 107로 부터의 교류 바이어스 신호의 발진은 정지된다. 따라서, 이때에는 바이어스 트랩회로 102, 112를 그 동작상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돌비 B형 혹은 돌비 C형의 전용 노이즈 리덕숀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가 있다.
또, 스위칭 증폭기 23, 24, 26, 27, 28, 29, 30은 MOSFET 등에 의하여 구성된 아나로그 스위치 등의 스위칭 수단에 의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6)

  1. 제1 및 제2의 입력단자를 가진 제1의 결합회로(12)와, 상기 제1의 결합회로의 상기 제2의 입력단자에 접속된 출력단자를 갖는 제1의 사이드 체인(13), 상기 제1의 결합회로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입력 단자를 갖는 제1의 반전기(18)와, 엔코드 입력신호(REC INPUT) 또는 상기 제1의 반전기(18)의 출력 신호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제1의 사이드 체인(13)의 입력단자에 공급하기 위한 제1의 스위칭 수단(28)과, 상기 엔코드 입력 신호(REC INPUT)가 상기 제1의 스위칭 수단(28)을 통하여 상기 제1의 사이드 체인(13)의 상기 입력단자에 공급되어 상기 제1의 반전기(18)의 출력단자에서 엔코드 출력 신호가 얻어지는 때에, 상기 제1의 결합회로의 상기 제1의 입력단자에 상기 엔코드 입려 신호를 공급 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제1의 반전기(18)의 상기 출력 신호가 상기 제1의 스위칭 수단을 통하여 상기 제1의 사이드 췌인의 상기 입력단자에 공급되어 상기 제1의 반전기의(18)의 상기 출력단자에서 데코드 출력신호가 얻어지는 때에, 상기 결합 회로(12)의 상기 제1의 입력단자에 데코드 입력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과, 적어도 상기 제1의 반전기(18)의 상기 출력 단자에서 엔코드 출력신호를 공급하고 있는 주기 동안 상기 엔코드 입력신호에 대한 상기 제1의 사이드 체인(13)의 이득-주파수 특성 제어 감도 보다 상기 교류 바이어스 신호에 대한 상기 제1의 사이드 체인(13)의 이득-주파수 특성 제어 감도가 적은 값을 세트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되며, 녹음 동작 동안 녹음 헤드(108)에 교류 바이어스 신호를 공급하는 녹음 장치에서 사용하기 위한 잡음 저감 장치.
  2. 특허 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사이드 체인은 상기 제1의 사이드 체인의 상기 입력 단자에 접속된 입력을 갖는 제1의 가변 임피던스(33)과, 상기 제1의 가변 임피던스의 출력에 접속된 입력을 갖는 제1의 신호 증폭기(34)와, 상기 제1의 신호 증폭기의 출력에 접속된 비반전 입력단자(
    Figure kpo00018
    )와 제1의 이득 제어 증폭기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반전 입력단자(
    Figure kpo00019
    )를 갖는 제1의 이득제어 증포기(35)와, 상기 제1의 이득 제어 증폭기의 상기 반전 입력 단자와 접지 전위와의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제1의 주파수 특성 결정회로(101)과 제1의 바이어스 트랩회로(102)와, 상기 제1의 이득제어 증폭기의 출력에 접속된 입력을 갖는 제1의 정류 다이오드 수단(D1, D2)와, 상기 제1의 정류 다이오드 수단의 출력에 접속된 입력과, 상기 제1의 가변 임피던스의 제어 입력에 접속된 출력을 갖는 제1의 전압 전류 변환기(36)과, 상기 제1의 신호 증폭기의 상기 출력에 접속된 입력과 상기 제1의 결합회로의 상기 제2의 입력 단자에 접속된 출력을 갖는 제1의 오버슈트 서프렛서(37)로 구성 하는 잡음 저감 장치.
  3. 특허 청구의 범위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팅 수단은 상기 교류 바이어스 신호의 주파수와 같은 값에서 병렬 공진 주파수 세트를 가지는 상기 제1의 바이어스 트랩회로(102)를 구성하는 잡음 저감 장치.
  4. 특허 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팅 수단은 상기 제1의 사이드 체인(13)에 결합되고, 상기 교류 바이어스 신호의 주파수와 같은 값에서 병렬 공진 주파수 세트를 가진 바이어스 트랩회로를 구성하는 잡음 저감 장치.
  5. 특허 청구의 범위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트랩 회로는 다른 하나와 병렬로 인턱터와 캐패시터로 구성하는 잡음 저감 장치.
  6. 특허 청구의 범위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 공진 주파수는 60KHz와 100KHz사이의 값의 범위인 잡음 저감 장치.
KR8203284A 1981-08-28 1982-07-23 잡음 저감 장치 KR8800006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134004A JPS5836030A (ja) 1981-08-28 1981-08-28 雑音低減装置
JP134004 1981-08-28
JP56~134004 1981-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021A KR840001021A (ko) 1984-03-26
KR880000679B1 true KR880000679B1 (ko) 1988-04-20

Family

ID=15118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3284A KR880000679B1 (ko) 1981-08-28 1982-07-23 잡음 저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473852A (ko)
JP (1) JPS5836030A (ko)
KR (1) KR880000679B1 (ko)
DE (1) DE3231985A1 (ko)
GB (1) GB21051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1181A (ja) * 1984-02-29 1985-09-14 Aica Kogyo Co Ltd 水分散二液型接着剤
US6597301B2 (en) 2001-10-03 2003-07-22 Shure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level-dependent companding for wireless audio noise reduc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8715A (en) * 1979-05-29 1980-12-10 Sony Corp Gain control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105154B (en) 1985-07-24
JPS5836030A (ja) 1983-03-02
US4473852A (en) 1984-09-25
GB2105154A (en) 1983-03-16
DE3231985A1 (de) 1983-04-14
JPS6335130B2 (ko) 1988-07-13
KR840001021A (ko) 198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5142A (en) Noise reduction device in an electroacoustic system
US4298884A (en) Chroma amplifier and color killer
EP0106368B1 (en) Noise reduction circuit arrangement of solid-state video camera
KR880000679B1 (ko) 잡음 저감 장치
US4415868A (en) One and one half pole audio power amplifier frequency compensation
KR920002671B1 (ko) 신호 전달회로
US4476502A (en) Noise reduction system
US3497621A (en) Audio reproduction system with low frequency compensation
US4412189A (en) Switchable signal compressor/signal expander
US3927382A (en) Amplifying circuit
US4431973A (en) Operational amplifier
KR100301805B1 (ko) 신호압축장치
KR0127491B1 (ko) 헤드 앰프
KR880001940Y1 (ko) 증폭회로
US4449234A (en) Reverberation apparatus
US5185569A (en) Peak value detecting circuit
JPH05235660A (ja) ノイズ検出回路
JPS6316053B2 (ko)
JPH0883316A (ja) 対数増幅器
JPH042407Y2 (ko)
JPH041923B2 (ko)
JPS6190019A (ja) 信号検出装置
JPH07297647A (ja) 自動利得制御回路
JPH08125558A (ja) Amラジオ受信機
JPS63176073A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