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464Y1 - 경보용수신기의 부호입력장치 - Google Patents
경보용수신기의 부호입력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80000464Y1 KR880000464Y1 KR2019850006804U KR850006804U KR880000464Y1 KR 880000464 Y1 KR880000464 Y1 KR 880000464Y1 KR 2019850006804 U KR2019850006804 U KR 2019850006804U KR 850006804 U KR850006804 U KR 850006804U KR 880000464 Y1 KR880000464 Y1 KR 88000046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put
- input
- inverter
- low
- flop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4—Automatic detun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 1 도는 본고안 장치의 회로도.
본고안은 경보용수신기의 주(主) 및 부(副)방송스위치를 자동온/오프하기위하여 부호코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어신호와 음성신호를 명백히 분별하기 위한 부호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경보용수신기는 페이져(pager)와 같은 종류의 수신장치만 있어서 페이져의 사용자나 착용자는 자신이 착용한 페이져의 비상호출의 특정주파수신호가 도래하면 미리 약속된 전화를 해야하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특히 호출내용이 어떤내용인가는 전화를 걸어야만 알 수 있으므로 긴급상황인 경우 신속히 대처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없이 하도록 변조암호 신호로서 일반수신기에서의 일반방송인 주방송과 비상방송인 부방송을 자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장치로서 변조된 암호신호가 입력되면 주파수를 분별하여 소정주파수가 입력되면 2개의 주파수분별기중 하나를 로우상태로 변환시켜 주방송 및 부송방을 자동선택하기 위한 부호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고안의 구성,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A)에 트랜지스터(Q)로 된 증폭기를 통하여 연결된 1.2㎑주파수 분별기(1)의 출력은 반전기(3)를 통하여 익스클루시브게이트(5)와 앤드게이트(9)의 일측입력 및 반전기(6)의 입력에 연결하고, 입력(A)에 1.2㎑주파수 분별기(1)와 병렬연결된 2.4㎑주파수 분별기 (2)의 출력은 반전기(4)를 통하여 익스클루시브 오아케이트(5)의 타측입력과 앤드게이트(8)의 일측입력에 연결하되 앤드게이트(9)의 타측입력에 연결하며, 익스클루시브 오아게이트(5)의 출력은 반전기(7)를 통하여 D플립플롭(10)의 입력(D)에 연결하고, 반전기(3)의 출력은 반전기(6)를 통하여 앤드게이트(8)의 타측입력에 연결하며, 앤드게이트(8,9)의 출력은 J-K플립플롭(11)의 입력(J, K)에 각각 연결하고, J-K 플립플롭(11)의 출력(Q)은 직병렬변환기(12)의 입력(IN)에 또한 플립플롭(10)의 출력(Q)은 직병렬변환기(12)의 클리어단자(CLR)에 연결하되, 직병렬변환기(12)의 출력은 기준스위치(14)로서 소정기준값이 설정된 비교기(13)에 입력시켜 비교기(13)의 출력을 출력(B)에 연결하여서된 구성으로서, 이러한 본고안 구성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A)에 2.4㎑의 신호가 입력되면 1.2㎑주파수 분별기(1)의 출력이 '로우'이고 2.4㎑ 주파수 분별기(2)의 출력이 '하이'가 되며 반전기(3)의 출력은 '하이'가 되고 반전기(4)의 출력은 '로우'가 되어 익스클루시브 오아게이크(5)의 입력은 '하이' 및 '로우'가 되므로 익스클루시브 오아게이트(5)의 출력은 '하이'가 된다. 동시에 반전기(6)의 출력은 '로우'가 되므로 반전기(4, 6)의 출력 '로우'가 입력되는 앤드게이트(8)의 출력은 '로우'가 되고 반전기(3)의 출력 '하이' 와 2.4㎑주파수 분열기(2)의 출력 '하이'가 입력되는 앤드게이트(9)의 출력은 '하이'가 되므로 J-K 플립플롭(11)의 입력(J, K)은 각각 '로우', '하이'가 되어 그 출력은 '로우'가 된다. 또한 반전기(7)의 출력은 '로우'가 되므로 D플립플롭(10)의 출력은 '하이'가 되어서 직병렬변환기(12)의 소거입력(CLR)이 하이가 되어 직병렬변환기(12)는 작동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클록(15)의 동기에 의하여 J-K프립플롭(11)의 출력 '로우'는 직병렬변환기(12)에 입력되는 것이다. 따라서 직병렬변환기(12)내의 쉬프트레지스터(2a)에는 '로우'신호가 기억된다. 또한 이후 입력(A)에 1.2㎑의 주파수신호가 입력되면 1.2㎑주파수분별기(1)의 출력이 '하이,가 되고 2.4㎑ 주파수분별기(2)의 출력이 '로우'가 된다.
따라서 반전기(3)의 출력은 '로우' 그리고 반전기(4)의 출력은 '하이'가 되며 반전기(6)의 출력은 '하이'가 되고 동시에 익스클루시브 오아게이크(5)의 출력은 '하이'가 되므로 반전기(7)의 출력은 역시 '로우'가 된다.
그러므로 2.4㎑ 주파수분별기(2)의 출력 '로우'와 반전기(3)의 출력 '로우'가 입력되는 앤드게이크(9)의 출력은 '로우'가 되고 반전기(4, 6)의 출력 '하이'가 입력되는 앤드게이트(8)의 출력은 '하이' 상태가 되므로 J-K 플립플롭(11)의 입력(J, K)은 '하이' '로우'가 되므로 그 출력(Q)은 '하이'가 된다. 동시에 반전기(7)의 출력은 '로우'가 되어 플립플롭(10)의 출력(Q)은 '하이'가 됨에 따라서 직병렬변환기(12)의 클리어단자(CLR)는 '하이'가 되어 직병렬변환기(12)는 작동상태가 유지되어 J-K 플립플롭(11)의 출력 '하이'는 직병렬변환기(12)에 입력되는 것이다.
따라서 직병렬변환기(12)내의 쉬프트레지스터(12a)에는 '하이'가 기억되고 쉬프트레지스터(12b)에는 '로우'신호가 기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J-K 플립플롭(11)의 출력이 직병렬변환기(12)에 입력되면 직병렬변환기(12)내에 소장된 쉬프트레지스터(12a-12e)에 J-K 플립플롭(11)의 출력이 순차기억되고 비교기(13)내에서 기준스위치(14)에 의하여 설정된 디자탈 기준값과 비교되어 기준스위치(14)의 디지탈기준값과 직병렬변환기(12)의 쉬프트레지스터(12a-12e)의 값과 동일하면 비교기(13)에서는 출력(B)에 '하이'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비교기(13)의 내부구성은 AND게이트와 비교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공지의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1.2㎑ 및 2.4㎑ 주파분별기(1, 2)의 출력이 동시에 '로우' 또는 '하이'가 되면 반전기(3, 4)의 출력이 동시에 '하이' 또는 '로우'가 되어서 익스클루시브 오아게이트(5)의 출력은 '로우'가 되어 반전기(7)를 통한 플립플롭(10)의 입력(D)은 '하이'가 되므로 그 출력(Q)은 로우가 되어서 직병렬변환기(12)의 소거입력(CLR)에 '로우'가 인가되어 직병렬변환기(12)내의 쉬프트레지스터(12a-12e)의 기억값은 모두 소거되고 직병렬변환기(12)의 출력은 모두 "0"이 된다.
따라서 J-K 플립플롭(11)의 출력은 어떤 상태가 되는간에 무시되므로 비교기(13)는 작동되지 않아 출력(B)은 '로우'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출력(B)에 연결된 수신기(가)가 아날로그 스위치(SW)는 오프되어 수신기는 일반방송(주방송)을 출력하게 된다. 또한 출력(B)의 '하이'가 되는 경우에는 수신기(가)의 전원이 온됨과 동시에 비상방송(부방송)이 수신기(가) 내부의 증폭기에 공급되어 수신자는 비상방송을 청취할 수 있다.
또한 기준스위치(14)와 수신기의 아날로그스위치(SW)는 공지의 것이므로 더 이상 설명은 명세서의 간편함을 위하여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본고안에 의하면, 암호변조신호가 입력(A)에 입력되면 주파수분별기에서 주파수분별하여 주 및 부방송스위치를 자동온/오프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 입력(A)에 트랜지스터(Q)로 된 증폭기를 통하여 연결된 1.2㎑ 주파수분별기(1)의 출력은 반전기(3)을 통하여 익스클루시브 게이트(5)와 앤드게이트(9)의 일측압력 및 반전기(6)의 입력에 연결하고, 입력(A)에 1.2㎑ 주파수분별기(1)와 병렬연결된 2.4㎑ 주파수분별기(2)의 출력은 반전기(4)를 통하여 익스클루시브 오아게이트(5)의 타측입력과 앤드게이트(8)의 일측입력에 연결하되 앤드게이트(9)의 타측입력에 연결하며, 익스클루시브 오아게이트(5)의 출력은 반전기(7)를 통하여 D플립플롭(10)의 입력(D)에 연결하고, 반전기(3)의 출력은 반전기(6)를 통하여 앤드게이트(8)의 타측입력에 연결하며, 앤드게이트(8, 9)의 출력은 J-K 플립플롭(11)의 입력(J, K)에 각각 연결하고, J-K 플립플롭(11)의 출력(Q)은 직병렬변환기(12)의 입력(IN)에 또한 D프립플롭(10)의 출력(Q)은 직병렬변환기(12)의 클리어단자(CLR)에 연결하되 직병렬변환기(12)의 출력은 기준스위치(14)로서 소정기준값이 설정된 비교기(13)에 입력시켜 비교기(13)의 출력을 출력(B)에 연결하여서 된 경보용수신기의 부호입력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50006804U KR880000464Y1 (ko) | 1985-06-07 | 1985-06-07 | 경보용수신기의 부호입력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50006804U KR880000464Y1 (ko) | 1985-06-07 | 1985-06-07 | 경보용수신기의 부호입력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70001317U KR870001317U (ko) | 1987-02-20 |
KR880000464Y1 true KR880000464Y1 (ko) | 1988-03-12 |
Family
ID=19242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50006804U KR880000464Y1 (ko) | 1985-06-07 | 1985-06-07 | 경보용수신기의 부호입력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80000464Y1 (ko) |
-
1985
- 1985-06-07 KR KR2019850006804U patent/KR88000046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70001317U (ko) | 1987-02-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GB1507684A (en) | Broadcast receiver including a transmission search device | |
KR880000464Y1 (ko) | 경보용수신기의 부호입력장치 | |
GB1129464A (en) | Digital frequency and phase detector | |
CA2075884A1 (en) | Integrated frequency synthesizer circuit for transmit-and-receive operation | |
US4197504A (en) | Common indicator unit for radio receiver and transceiver | |
US4232296A (en) | Remote control/digital tuning interface with parallel operation with manual switches | |
JPS6033637Y2 (ja) | デジタル時計付チュ−ナの表示装置 | |
GB1489828A (en) | Broadcast receiver including a station finding circuit | |
US3890574A (en) | Time-sharing scanning receiver | |
JP2576476B2 (ja) | 無線通信装置 | |
SU1713081A1 (ru) | Формирователь частотно-модулированных сигналов | |
JPS6121018B2 (ko) | ||
CA1106925A (en) | Frequency synthesizer for transmitter/receiver | |
KR100226477B1 (ko) | Tv 음성 신호 제어 회로 | |
SU658786A1 (ru) | При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адресного вызова | |
JPS5620347A (en) | Fm stereophonic tuner circuit | |
SU832748A1 (ru) | Стереодекодер | |
KR930005227Y1 (ko) | 스테레오 방송시의 모노출력 보상회로 | |
SU660296A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дачи четырехпозиционного частотноманипулированного сигнала с непрерывной фазой | |
GB937574A (en)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emote control systems | |
JPS57113625A (en) | Input circuit | |
JPS6159907A (ja) | プリセツトチユ−ナ | |
JPS5724130A (en) | Rotary type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channel selection | |
JPS5523613A (en) | Reproducing system of timing information | |
KR950030525A (ko) | 생활 무전기 겸용 카스테레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41227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