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358B1 - 와전류에 의한 비파괴 시험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와전류에 의한 비파괴 시험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358B1
KR880000358B1 KR828201232A KR820001232A KR880000358B1 KR 880000358 B1 KR880000358 B1 KR 880000358B1 KR 828201232 A KR828201232 A KR 828201232A KR 820001232 A KR820001232 A KR 820001232A KR 880000358 B1 KR880000358 B1 KR 880000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lute
differential
probe
signa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8201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비드 베르나르
피종 미셸
Original Assignee
피 · 쇼무죠
코미싸리아트 아르 에너지에 아토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 · 쇼무죠, 코미싸리아트 아르 에너지에 아토미크 filed Critical 피 · 쇼무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9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using eddy currents
    • G01N27/904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using eddy currents by analysing electrical signals
    • G01N27/9053Compensating for probe to workpiece spac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와전류에 의한 비파괴 시험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와전류에 의한 검사 및 시험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2개형의 탐침 또는 감지기를 보인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이중 차동 브리지와 절대 측정 브리지.
제4도는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탐침의 특수 실시예.
제5도는 차동 및 또는 절대 측정 채널의 도면.
제6도는 절대 측정 채널의 특수 실시예의 도면.
제7도는 장치의 실현화에 유용한 몇개의 추가회로.
제8도는 차동 및 절대 측정 신호와 본 발명에 따라 고정된 차동 측정신호를 각각 보인 실험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검사될 부재 10 : 탐침(probe)
12 : 발진기 13, 15 : 접속선
14 : 차동 분석 채널 16 : 절대 분석 채널
18 : 제산회로 20, 22 : 입력
26 : 트랜스 30 : 전위차계
32 : 가변콘덴서 34 : 예비 증폭기회로
40, 44 : 증폭회로 42, 54 : 대역필터
46 : 메모리 추출회로 50, 52 : 출력선
53 : 이상기 60 : 증폭기
62 : 평형회로 64 : 진폭 검출회로
66 : 대역필터 72 : 이득 증폭기
74 : 가산기 76 : 전원
78 : 보호 릴레이 71/1 : 신호입력
78/2 : 제어입력 80: 비교기
80/1, 80/2 : 입력 82 : 가변전원
본 발명은 공극의 영향을 보정한 와전류에 의한 비파괴 검사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금속편 특히 관, 판 등의 시험과 검사에 사용된다.
와전류에 의한 검사는 코일의 자장에 의해 금속편내에 유기되는 전류의 변화, 즉 교류 여자 전류에 의한 전류의 변화를 검토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이 전류는 자계를 발생하고 이 자계는 유도자계에 반대이므로 여자 코일의 임피던스를 변경하고 이 코일은 검사 또는 시험될 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감지기 또는 탐침에 위치된다. 검사 또는 시험될 부재에 결함이 있거나 파손이 있으면(예를들어 크기의 변화, 도전성의 변화, 크랙 등)와전류의 통로 또는 감도를 수정하고 거기에 상호 관계해서 코일의 임피던스를 수정한다.
일반적으로 탐침은 측정 브리지의 인접하는 2개의 지로에 반대방향으로 공급된 2개의 코일로서 구성된다. 탐침의 영역내를 결함이 있는 부분이 통과하면 브리지의 평형이 두번 즉 처음에는 일방향 그후 다른방향으로 불 평형이 된다. 탐침에 의해 입력되는 전압은 분석되고, 음극관의 화면에 여자 전류와 동위상의 성분인 저항성분X(또는 실수성분)와 여자 전류와 위상차가 90°인 리액턴스성분Y(허수성분)를 표시한다. 탐침에 의해 입력되는 복소수 전압은 X, Y좌표의 점으로 표시된다. 탐침의 자계가 결함이 있는 지점을 통과할때 나타나는 점은 제8도의 형태의 두가지의 로우브(lobe)를 갖는 곡선을 그린다. 각 결함은 로우브의 위상(기준측에 대한 경사)과 그 진폭에 의해 동일시 될 수 있다.
결함의 위치결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대단히 작은 탐침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공극의 변화의 문제에 당면하게 된다. 본 발명이 이해의 기초가 되는 이런 문제를 쉽게 이해시키기 위해 우선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와전류로 검사 및 시험하는 분야에 사용되는 두종류의 탐침 또는 감지기를 보인 것이다. 이 탐침들은 두개의 권선(Z1과 Z2)을 구비한 본체(2)를 구비하고 검사될 부재(4)의 정면 또는 중앙에서 움직인다. 공극은 검사될 부재와 탐침간의 간격에 의해 형성되고 제1도에서 E로 표시한다.
탐침은 검사될 부재에 반드시 평행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사실상 평균 공극이다. 그러므로 각 권선의 공극 사이의 차를 나타내는 e로 표시된 "차동"공극이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여파함으로써 그 영향이 보정될 수 있는 차동 공극은 이후 고려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초는 양 권선에 공통인 공극 E의 보정에 관한 것이다.
만약 이 공극이 측정하는 동안 시종 일정하다면 신호의 감쇄만이 일어나며, 이는 검출된 신호를 증폭하여 보상시킬 수 있다. 실제로 부재를 따라 탐침을 이동함으로써 상기 공극은 일정하게 변한다. 그 결과, 측정 신호의 예측 불가능한 변화가 항상 발생한다. 그러므로 이 신호의 강도는 검출된 결함에 관계될뿐만 아니라 탐침과 검사 또는 시험될 부재 사이의 거리에도 관계가 된다.
이는 검사될 부재의 영역에서 유기된 전류의 강도는 이 영역에서 생긴 유도자계에 의존하며 계자권선에서의 거리가 증가하면 유도자계는 감소한다는 사실에 의한다.
같은 방식으로, 권선에 대한 와전류의 작용은 또한 이거리에 의존한다.
만약 측정 결과 공극 변동의 영향을 보정하길 원한다면 항상 공극의 값을 기록할 필요가 있다. 비록 그런 처리가 행해질 수 있다하더라도 그것은 아주 어려운데 그이유는 공극 측정수단뿐만 아니라 그 속성에 의해 대단히 복잡한 법칙에 의한 보정 회로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극히 간단한 보정방법과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난점을 없애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절대 측정에 의해 구해진 결과에 의해 차동 측정을 보정하는 것을 제시한다. 이보정은 차동 측정의 결과를 절대 측정의 결과로 나눔으로써 간단히 구해질 수 있으며 이는 놀라울 정도로 공극에 무관한 결과를 이끈다.
상기와 같은 방법은 공극을 결정하거나 공극의 함수인 보정 신호의 처리를 요하지 않고 탐침에 의해 공급된 신호의 처리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방법이 간단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즉, 출원인은 절대신호가 어느정도까지 공극의 영향을 합성하고 이 신호가 그 자체로 보정수단을 수립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동일 탐침으로 차동 측정과 절대 측정을 동시에 행할 수 있음을 함축하고 있다. 만약 탐침의 두 권선이 검사될 부품의 결점 또는 결함에 민감하다면 브리지는 차동 측정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만약 이들 권선중의 한개만이 검사될 부재의 결함에 민감하다면 브리지는 절대 측정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몇개의 브리지는 차동 측정 브리지와 절대 측정 브리지를 모두 구비하고 있다는 점에는 이중이며, 상기 두 브리지는 검사 또는 시험될 부재의 결점에 민감한 권선들 중의 한개를 공동으로 가지고 있다. 절대 측정 브리지는 본 발명의 수행에 적합하다. 또한 시험될 부재에 민감한 두개의 권선과 특수 권선과 함께 차동 측정 브리지를 갖고 있는 탐침이 사용될 수도 있고 특수 권선은 절대신호를 출력한다.
특히 본 발명은 공극의 영향의 보정을 행하는 와전류에 의한 비파괴검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여자 전류를 반대 방향으로 공급할 수 있는 2개의 권선으로 구성된 탐침을 사용하며, 상기 권선은 검사될 부재에 민감하며 평형 브리지에 속하고, 그 브리지의 불평형 전압을 검출해서 상기 주파수에서의 이 전압을 분석함으로써 차동 측정을 하는 방법이며, 또한 검사될 부재에 민감한 1개의 권선에 대한 전압을 검출하고 이를 상기 주파수에서 분석하여 절대 측정을 하며, 그 차동 측정의 결과를 절대 측정의 결과로 나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얻을 수 있다.
절대측정에 대해 사용된 권선은 차동 측정에 대해 사용된 두 개의 권선중의 1개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공극 효과의 보정을 하는 와전류에 의한 비파괴 검사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이후 설명될 것이다. 이 장치는 주어진 주파수를 가지는 여자 전류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접속된 적어도 두개의 권선을 가지는 탐침을 구비하며, 상기 권선은 차동 측정 브리지에 속하고 검사될 부재에 민감하며, 또한 상기 장치는 차동 측정 브리지에 의해 공급된 차동분석 채널을 구비하며, 또한 사용된 탐침은 검사될 부재에 민감한 절대 측정 권선을 구비하고 또한 장치는 절대 측정 권선에 의해 공급된 절대 분석채널과 두개의 입력을 가진 제산회로를 구비하며 피제수 입력은 차동 측정 채널의 출력에 접속되며, 제수의 입력은 절대 측정 채널의 출력과 공극의 영향에 관해 보정된 차동 측정 신호를 공급하는 출력에 접속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도의 설명은 이미 하였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제2도의 장치는, 예를들면 두 개의 출력 즉 차동 출력인 Sd와 절대 출력인 Sa를 가지는 이중 측정 브리지를 갖는 형태의 측정 탐침 또는 감지기(10), 주어진 주파수를 탐침에 출력하는 발전기(12), 차동 분석 채널(14), 절대 분석 채널(16), 두 개의 입력 즉 차동 측정 신호가 한개의 입력(20)에 공급되는 경우에는 피제수 신호, 절대 측정 신호가 다른 한개의 입력(22)에 입력되는 경우에는 제수 신호를 가지는 제산회로(18)와 제산회로(18)에 의해 공급된 신호의 기록 또는 표시를 하는 부분(24)을 구비한다.
상기 설명된 것으로부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탐침(10)은 차동 브리지로부터의 신호와 절대 브리지로부터의 신호의 2개를 출력한다. 채널(14와 16)은 신호를 분석한다. 그러므로, 이들은 탐침의 여자 전류와 동위상의 성분 및 위상차가 90°인 성분의 이 신호들을 측정한다. 이 목적을 위해, 채널(14와 16)은 두개의 접속선(13및 15)을 통해 발진기(12)에서 탐침(10)에 가해진 각각 여자 전류와 동위상 및 위상차가 90°인 전류를 수신한다. 차동 측정의 결과는 제산회로(18)에서 절대 측정의 결과로 제산된다. 그러므로 보정된 차동측정은 검사 또는 시험될 부재와 탐침을 분리하는 공극과 실질적으로 무관하다.
제3도~제6도는 탐침(10)및 채널(14와 16)을 구성할 수 있는 장치의 실시예들을 보인 것이다. 이들 각각의 수단은 독립하여 생각한다면 공지되어 있는 것이다.
제3도는 절대 측정 브리지와 차동측정 브리지를 구비하는 2중 브리지를 보인것이다. 차동 측정 브리지는 두개의 저항기(R1과 R2)와 검사될 부재(4)에 의해 이동되는 두개의 권선(Z1과 Z2)에 구비한다.
개량된 실시예에 따라 추가 저항(R5와 R6)이 두개의 권선(Z1과 Z2)에 평행하게 접속될 수 있다. 차동 측정을 행할 수 있는 출력은 Sd로 나타낸다. 트랜스(26)의 일차측은 발진기(12)에서 여자 전류를 입력하며, 그 2차측을 통해 전력이 브리지에 입력된다.
절대 측정 브리지에 대응하는 부분은 두개의 저항(R3과 R4), 권선(Z1)(및 그 병렬저항(R5))및 여기 전압을 보상시킬 수 있는 회로로써 구성된다. 이 회로는 전위 차계(30)를 구비하고, 전위차계의 각 전압은 트랜스(26)의 1차측과 가변 콘덴서(32)에 입력전압으로 각각 인가된다. 절대신호(Sa)의 기록은 저항(R3과 R4)사이에서 일어난다. 전위차계(30)와 콘덴서(32)의 조정으로 절대출력접속(Sa)에 나타나는 전압이 여자 신호와 무관하게 하기 위하여 절대 브리지의 평형을 시킬 수 있다.
다른 형태의 탐침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예를들면, 보정에 필요한 절대신호를 얻기 위하여 보조권선을 차동 브리지에 부가할 수 있다. 또한 제4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계자권선과 두개의 수신권선을 가지는 탐침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4도에서 전원(12)은 계자권선(Zi)에 입력하고, 두개의 수신 권선(Z1과 Z2)은 권선(Zi)내에 위치되면서 반대 방향으로 접속된다. 이 탐침은 자기 코어가 없다. 차동권선은 높은 온도(250℃)를 견딜 수 있는 수지맨드럴 상에 감긴다. 차동신호(Sd)는 권선(Z1)과 (Z2)사이에서 연출되고 절대신호(Sa)는 계자권선(Zi)의 단자 또는 수신권선(Z1과 Z2)들 중의 1개의 단자 또는 계자권선 둘레에 감긴 보조 권선(Zs)의 단자에서 샘플된다.
제5도의 회로는 탐침의 출력(Sd)에 나타나는 차동 신호에 대한 측정 채널(14) 또는 출력(Sa)에 나타나는 절대신호의 측정채널(16)을 나타내며, 그 채널(16)은 제6도를 참조하여 뒤에 설명되는 바와같이 단순화 될 수 있다.
제5도에 보인 회로는 예비 증폭기 회로(34)를 구비하며 이 증폭기는 평형 조작을 수행할 수 있는 적당한 레벨을 측정신호에게 줄 수 있는 30데시벨의 이득을 가진다. 또한 평형조작은 탐침의 구조의 불평형을 보상하는 것이며 회로(36)에 의해 수행된다. 이 회로는 접속선(13및 15)에 의해 발진기(12)에 접속되며, 탐침의 여자 전류와 동위상 및 위상차가 90°인 시호를 각각 절단한다. 평형이 된후 측정 신호는 이득이 60데시벨인 증폭회로에서 증폭되고, 상기 증폭도로 신호가 포화되지 않는 것이다. 증폭회로(40)에 의해 출력된 신호는 여자 주파수에서 중심을 가지는 대역필터(42)로 여파된다. 필터는 옥타브당 24데시벨의 예리한 경사도를 가지는 것이 좋다. 여파된 신호는 증포회로(44)에 인가된 후 메모리 추출회로(46)또는 어떤 다른 복조시스템(승산기, 동기검파기등)에 의해 분석된다.
이 회로는 접속선(13과 15)을 통해 탐침의 여자 전류와 동위상 및 위상차가 90°인 두개의 기준신호를 수신한다. 이 메모리 추출기는 두개의 출력선(50, 52)에 여자 전류와 동위상의 신호성분 X와 위상차가 90°인 신호성분 Y를 공급한다. 이 추출기에는 경우에 따라서 평면 XY를 0°~360°의 범위의 1각도만 회전 시킬 수 있는 이상기를 접속시켜도 좋고 이상기(53)에는 추출조작에 기인하는 주변 잔류잡음을 제거하거나 또는 공극차의 효과를 제거시킬 수 있는 대역필터(54)를 접속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도시된 채널은 차동 또는 절대 신호의 저항 성분 X와 리액턴스 성분 Y를 부여한다. 이 신호(X와Y)는 탐침의 변위와 함께 서서히 변할 수 있는 D.C전압이다.
이 회로는 예시 목적으로 주어졌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신호의 저항 및 리액터스 성분을 결정시킬 수 있는 어떤 수단의 사용도 허용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제5도의 것과 같은 채널은 절대신호에 대한 분석회로로 사용된다면, 신호의 두개의 성분(X와 Y)이 유용하며 보정을 행하기 위해 이들 성분중 어느하나 또는 두개 또는 절대치인
Figure kpo00002
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공극이 증가할때, 성분(X)은 감소하기 때문에 특히 유용하며 제산변수로서 항상 바람직하다. 또한 이상기(53)에 의해 구해진 위상회전은 성분 X에 대한 최대 감도를 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절대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제6도에 보인것과 같은 단순화한 채널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채널은 각각 성분 X와 성분 Y를 출력하지는 않지만 신호의 절대치를 출력한다. 도시된 채널을 증폭기(60), 평형회로(62), 진폭 검출회로(64) 및 대역필터(66)로 구성된다.
또한 단순화한 채널에서 추출된 절대치를 사용할 때는 주의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만약 감지기 또는 탐침이 부재에 근접되었을때 평형조작이 행해졌다면, 공극이 클때에는 측정신호의 절대치가 크고 공극이 작을때에는 측정신호의 절대치가 작다. 이와같은 신호의 변화는 바람직하지 않기때문에, 그런신호는 보정제수를 형성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평형조작은 탐침이 측정표면에서 멀어질때 행해진다. 이 경우, 접속선(13과 15)에 의해 반송된 여자 신호의 성분에서 평형된 신호의 절대치가 영인 성분을 절대 측정신호의 성분에 대립시킨다. 그러면 탐침이 검사될 부재를 향해 이동할때, 회로(64)에 의해 공급된 절대치는 증가하고 이 절대치는 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7도에 나타낸 방식에서, 소정 개수의 부속회로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수행을 유용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차동 채널에 의해 출력된 신호는 20데시벨의 이들을 갖는 회로(70)에 의해 증폭될 수 있다. 절대신호는 임피던스 정합이 이루어진 단위 이득 증폭기(72)를 통할수 있고 가변 전원(76)에 의해 출력된 가산기(74)에 의해 영조정을 행할 수 있다. 탐침이 어떤 금속편에서 떨어지면, 전원(76)은 회로(74)의 출력에서 영점을 구성하는영신호가 구해질때까지 조정된다. 차동 신호를 제산하는데 사용된 절대신호가 영이되지 않는것을 보상하는 것이 또한 필요하며, 이 경우 제산회로(18)에 의해 출력된 보정신호는 무한대가 된다. 따라서, 제산회로(18)의 출력측에 보호 릴레이(78)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보호 릴레이의 한개의 신호입력(78/1)은 보정 차동 신호를 수신하며 제어입력(78/2)은 비교기(80)에서 출력된 전압을 수신한다. 이 비교기는 두개의 입력(80/1과 80/2)을 가지며, 입력(80/1)은 가산기(74)로부터의 신로를 수신하고, 입력(80/2)는 가변 전원(82)으로 부터의 신호를 수신한다. 제산회로의 입력(22)에 가해진 절대신호가 전원(82)에 의해 고정된 임계값 이하의 값까지 떨어지면, 비교기(80)는 릴레이(78)를 개방할 수 있는 전압을 출력한다. 이것은 하기 기록장치(24)의 포화를 방지한다. 따라서, 공극이 어떤값을 초과하고 신호 대 잡음비가 너무 낮게될때 기록은 불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임계값은 탐침 부재 접점(간극이 영 또는 영에서 가까운)에 대응하는 절대신호의
Figure kpo00003
로 설정한다.
제8도의 곡선은 본 발명의 경과로써 구해진 결과의 일예를 나타낸다. 탐침 부근에서 금속편을 회전시키면서 증가하는 공극값 E1'E2…E5에서 측정을 행한다. 도면 제8(a)도는 보정되지 않은 차동신호를 나타내며, 도면제8(b)도는 대응 절대 신호를 나타낸다. 이들 두 도면은 공극이 증가할 때 측정의 감도가 감소하는 것을 보이고 있다. 도면제8(c)도는 본 발명에 따라 보정된 차동신호, 즉, 절대신호(b)에 의해 차동 신호(a)를 제산해서 구해진 차동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므로 보정된 신호는 E1과 E4사이의 공극값이 무엇인가에 관계없이, 실질적으로 일정한 강도를 가진다는 것을 알수 있다. E5값에 대해서는, 보정신호의 기록은 중단된다. 그 이유는 절대신호가 너무 낮고 제7도의 릴레이(78)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이며 측정의 특성을 이미 만족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지시하고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관의 내측 또는 외측 또는 원통형이나 원추형 보어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 결함의 검출에 대해서는 높은 주파수(1KHZ~1MHZ)로 또는 접합점 또는 용접의 검사와 피막 아래의 결함의 검출에 대해서는 낮은 주파수(수HZ~수KHZ)로 어떤 형태의 표면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1)

  1. 탐침의 사용으로 공극의 영향을 보정하는 와전류에 의한 비파괴 시험방법으로서, 상기 탐침은 소정 주파수의 여자 전류가 반대 방향에서 공급되는 두개의 권선으로 구성되고 상기 권선은 시험될 부재에 민감하고 또한 하나의 평형 브리지에 속하고, 상기 주파수에서 평형 브리지의 불평형 전압을 추출하고 이 전압을 분석함으로써 차동측정을 행하며, 또한 시험될 부재에 민감한 권선의 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주파수로 이 전압을 분석함으로써 절대측정을하여, 그 차동측정의 결과를 그 절대측정의 결과로 제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전류에 의한 비파괴 시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차동측정의 결가를 제산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절대신호는 그 여자 전류와 동위상 또는 위상차가 90°인 추출전압의 2개의 성분중 어느 한쪽 또는 그 양쪽 혹은 그 신호의 절대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전류에 의한 비파괴 시험방법.
  3. 소정 주파수를 갖는 여자 잔류에의해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접속되어, 차동측정 브리지에 속하며 또한 검사될 부재에 민감한 최소한 2개의 권선을 구비한 탐침과, 그 차동측정 브리지에 의해 공급된 차동 분석 채널로 구성되고, 상기 탐침은 검사될 부재에 민감한 절대 측정 권선으로 구성되며 또한 그 절대측정 권서에 의해 공급되는 절대분석 채널과 2개의 입력, 즉, 차동측정 채널의 출력에 접속되어 있는 피젯수 입력과 절대 측정 채널의 출력에 접속되어 있는 젯수 입력을 가지며 공극의 영향에 대해서 보정된 차동측정 신호를 공급하는 제산회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전류에 의한 비파괴 시험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절대측정 권선은 차동측정 브리지의 권선중 1개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절대측정 권선이 추가권선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탐침은 계자권선과 계자권선내에 배치되고 반대 방향으로 접속된 두개의 수신권선(reception windings)을 구비하며, 절대측정권선은 계자권선이나 수신권선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3항에있어서, 절대측정 채널의 출력과 제산회로의 제수 입력과의 사이에, 가변전원에 의해서 제어되는 영 조정회로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제1의 입력이 영 조정회로의 출력에 접속되고 제2의 입력이 가변전원과 접속된 비교기와, 제산회로의 출력에 접속된 신호입력과 비교기의 출력에 접속된 제어입력을 갖고 상기 비교기의 제1입력에 인가된 전압이 제2 입력에 인가된 전압보다 적을때 열리는 보호 릴레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차동분석 채널과 절대분석 채널이 여자 전류에 관해 동위상 및 위상차가 90°인 두성분을 측정할 수 있는 회로를 각 경우에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그 회로는 동위상의 성분 X를 출력하고 성분 X를 증가시킬 수 있는 이상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차동분석 채널은 여자 전류에 관해 동위상 및 위상차가 90°인 두 성분을 측정할 수 있는 회로를 구비함과 동시에 절대분석 채널은 증폭기, 평형회로, 진폭 검출기 및 필터를 구비하며, 탐침이 검사 또는 시험될 부재에서 멀때 평행이 행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828201232A 1981-03-23 1982-03-23 와전류에 의한 비파괴 시험 방법 및 장치 KR8800003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105753A FR2502337A1 (fr) 1981-03-23 1981-03-23 Procede de controle non destructif par courants de foucault avec correction des effets d'entrefer et dispositif de mise en oeuvre
FR05753 1981-03-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0358B1 true KR880000358B1 (ko) 1988-03-20

Family

ID=9256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8201232A KR880000358B1 (ko) 1981-03-23 1982-03-23 와전류에 의한 비파괴 시험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488114A (ko)
EP (1) EP0061956B1 (ko)
JP (1) JPS57211058A (ko)
KR (1) KR880000358B1 (ko)
DE (1) DE3266987D1 (ko)
FR (1) FR2502337A1 (ko)
ZA (1) ZA8219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3931A (en) * 1987-08-14 1989-05-30 Westinghouse Electric Corp. Thermally self-adjusting mount for proximity sensor
JP2929402B2 (ja) * 1992-07-10 1999-08-03 日石三菱株式会社 炭素繊維強化管状複合材の検査方法及び装置
US5446382A (en) * 1993-06-23 1995-08-29 The Babcock & Wilcox Company Eddy current probe having one yoke within another yoke for increased inspection depth, sensitivity and discrimination
DE10045715A1 (de) * 2000-09-15 2002-03-28 Busch Dieter & Co Prueftec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Prüfung eines Werkstücks mittels Wirbelströmen
FR2904694B1 (fr) * 2006-08-03 2008-11-07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et dispositif de controle par courants de foucault a fonctions emission/reception separees d'une piece electriquement conductrice
FR3040492B1 (fr) * 2015-08-31 2019-03-29 Safran Aircraft Engines Dispositif et procede de controle non destructif combinant une mesure differentielle et une mesure absolu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85824A (en) * 1958-04-14 1961-05-23 Jr Claus J Renken Nondestructive eddy current testing
FR1308785A (fr) * 1961-10-13 1962-11-09 Gkn Group Services Ltd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x procédés et appareils pour déceler la présence de défauts dans des solides cohérents électriquement conducteurs
DE2049486A1 (de) * 1969-10-10 1971-04-22 Automation Ind Inc Material Prüfgerät
GB1475517A (en) * 1974-06-27 1977-06-01 British Steel Corp Detection of surface defects in elongate metallic members
FR2339170A1 (fr) * 1976-01-22 1977-08-19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ont de mesure pour dispositif de controle par courants de foucault
US4079312A (en) * 1976-08-17 1978-03-14 Allegheny Ludlum Industries, Inc. Continuous tes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magnetic characteristics of a strip of moving material, including flux inducing and pick-up device therefor
FR2443682A1 (fr) * 1978-12-07 1980-07-04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Circuit de correction automatique d'un signal emis par un capteur differentiel desequilibre
FR2451032A1 (fr) * 1979-03-09 1980-10-03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Appareil numerique pour le controle de pieces par courants de foucaul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266987D1 (en) 1985-11-28
EP0061956A1 (fr) 1982-10-06
JPS57211058A (en) 1982-12-24
FR2502337A1 (fr) 1982-09-24
ZA821958B (en) 1983-04-27
FR2502337B1 (ko) 1983-04-22
EP0061956B1 (fr) 1985-10-23
US4488114A (en) 1984-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03885A (en) Digitally controlled multifrequency eddy current test apparatus and method
US5689183A (en) Electromagnetic-induction type inspection device employing two induction coils connected in opposite phase relation
US3535625A (en) Strain and flaw detector
US3197693A (en) Nondestructive eddy current subsurface testing device providing compensation for variation in probe-to-specimen spacing and surface irregularities
US4191922A (en) Electromagnetic flaw detection system and method incorporating improved automatic coil error signal compensation
US3422346A (en) Eddy current inspection system
US2744233A (en) Apparatus for detecting flaws in metal stock
US4061968A (en) Process of and apparatus for non-destructive eddy current testing involves the suppression of displayed lobes corresponding to fault parameters to be eliminated from the display
KR880000358B1 (ko) 와전류에 의한 비파괴 시험 방법 및 장치
US4631688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esting a metal body by means of eddy currents
JPH0338542B2 (ko)
US4127813A (en) Method for balancing the sensitivity of two channels in a differential detection apparatus
US189673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rails or the like
JPS6314905B2 (ko)
US4954778A (en) Eddy current testing system using two samples with different time lags
US3823368A (en) Calibration and balance system in pulse eddy current testing apparatus
US6534976B2 (en) Device having active and reference coils for performing non-destructive inspection by eddy current
JPS599552A (ja) 電磁誘導試験装置
CN116256305A (zh) 一种腐蚀监测系统及方法
JP2666301B2 (ja) 磁気探傷法
US2844787A (en) Means for detecting flaws
CA1124328A (en) Multifrequency eddy current testing device
JPH0627729B2 (ja) 渦流探傷装置
Vigness et al. Eddy Current Type Flaw Detectors for Non‐Magnetic Metals
JPS60113147A (ja) 渦流探傷におけるリフトオフ指示の消去、感度補正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