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057Y1 - 고추가루 분말기 - Google Patents

고추가루 분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057Y1
KR880000057Y1 KR2019850016889U KR850016889U KR880000057Y1 KR 880000057 Y1 KR880000057 Y1 KR 880000057Y1 KR 2019850016889 U KR2019850016889 U KR 2019850016889U KR 850016889 U KR850016889 U KR 850016889U KR 880000057 Y1 KR880000057 Y1 KR 8800000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red pepper
casing
fixed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68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9279U (ko
Inventor
이종로
Original Assignee
이종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로 filed Critical 이종로
Priority to KR20198500168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0057Y1/ko
Publication of KR8700092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92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0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0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4Dried sp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05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 A47J43/0711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08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추가루 분말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평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터축 2 : 회전판
3 : 분쇄핀 4 : 돌출핀
3a, 4a : 분리층 5, 5' : 분리핀
7 : 케이싱 S, S' : 간극
본 고안은 분쇄되어 입자 상태로 배출되는 고추가루의 분말 기에 관한 것이다.
고추를 건조시켜 분쇄하게 되면 로울러의 압착 상태와 고추자체의 수분에 의하여 덩어리지게 된다.
고추가루가 덩어리진것을 분리시키지 않으면 자체의 미세한 습기로 인해 부패할 우려가 있으며 이러므로서 분리시키는 번거러움이 항상 뒤따랐던 것이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분쇄핀을 다수개 입설시키고 주연에 익편을 고정한 회전판이 호퍼와 배출구가 연결되는 케이싱내의 모터축에 축 고정되게 한 것이 안출되었으나 이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덩어리진 고추가루를 분쇄하는 과정에서 케이싱내에는 회전판에 의한 바람으로 고추가루가 분말기 외부로까지 날리게 되는 폐단이 발생하였던 것이고 단순히 분쇄핀에 부딪치게 하는 작용만을 수행케하므로서 분말 상태가 작은 덩어리로 배출되는 불균일한 분말 상태가 발생되었다.
그러나 본 고안은 회전판의 회전시 각각의 높이 다른 분리층을 형성케 하므로서 원심 분리 상태에서도 각각의 층에 의해 공간의 차단 역활을 이루게 하여 미분화 상태로 분리 되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모터(M) 내장시켜세워 고정하여 모터 상부에 호퍼(11)와 분출구(12)가 연결되는 케이싱(7)을 구성시키되 호퍼(11)는 입공(9)에 연결되게 하고 분출구(12)는 측면의 배출공(7a)으로 연결되게 하여서 고추가루가 나팔관 형상의 호퍼(11)로 공급되어 케이싱 (7)내에서 분말화되어 분출구(12)를 통하여 분출공(13)으로 배출되게 한 것으로 모터(M)의축(1)을 받침판(10)에 삽입시켜서 회전판(2)의 축공(2a)과 축 결합되게 구성하여 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되며 회전판(2)의 중심부위에는 분쇄핀(3)을 대향고정시켜서 하방으로 분리핀(5)이 외향 공정되는 구성을 갖추게 하고 중심의 외향부위에 돌출핀(4)을 고정시키되 분쇄기(3)보다 짧게 하여 이 역시 분리핀(5')이 외향 고정되게 구성한다.
상기의 분쇄핀(83)과 돌출핀(4)의 길이는 케이싱(7)결합시 투입공(9)으로 분쇄핀(3)이돌출되어 호퍼(11)내로 제4도와 같이 지입되는 길이를 갖추게 하고 돌출핀 (4)은 케이싱(7)내의 중간위치까지 차지하는 길이를 갖추게 한다. 또한 회전판(2)의 주연에는 X - Y 방향으로 익편(6)을 부착시켜서 회전시 바람을, 일으켜 고추가루가 와류되게 하는 작용을 이루게 하고 상기의 분리핀(5)(5)c 분쇄핀(3)과 돌출핀(4)에서 일정한 간극(S)(S')으로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회전시에 각각의 원형선을 이루는 분리층 (3a) (4a)이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고추의 분쇄시 자체의 수분과 분쇄시의 로울러의 압착력에 의해 가루가 덩어리진 것을 호퍼(11)의 상부로 공급하여 모터(M)에 전원을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로서 인가시키면 모터축(1)의 회전과 동시에 축고정된 회전판(2)이 회동하게 된다.
회전판(2)의 회전으로 분쇄핀(3)과 돌출핀(4)은 원형선을 케이싱(7)내에 구성하게 되며 이때 분쇄핀(3) 하방과 돌출핀(4) 상방의 분리핀(5)(5')은 원형선의 층(3a )(4a)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뭉쳐진 고추가루는 분쇄핀(3)과 돌출핀(4)에 부딪쳐 분리되기도 하지만 실질상으로 각각의 층(3a)(4a)을 회전시 구성하는 분리핀 (5)(5')에 의해 모두 분리되어 입자 형태로 해주는 작용이 제공된다. 즉, 회전판(2)은 덩어리진 고추가루에 원심력을 제공하며 이때에 분리핀(5)(5')은 덩어리진 고추가루와 부딪치는 작용을 하게 되고 케이싱(7)내벽의 돌편(8)역시 부딪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작용에서 원심력에 의해 이싱(7)의 벽이나 돌편(8)에 부딪친후 튀어나오는 것이 있어 이것 역시 분리핀(5)(5')의 층(3a)(4a)에 부딪체게 되는 작용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분리핀(5)(5')은 회전판(2)의 익편(6)으로 발생되는 바람이 고추가루를 호퍼(11)로 나가게 하는 경우에 이를 차단하는 역활을 하게 되어 고추가루의 날림 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덩어리진 고추가루는 습기가 있더라도 외부로 날리지 않고 곱게 분리되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고추가루가 습기로 덩어리진 상태에서도 외부로 날리지 않고 곱게 분리되는 파쇄효과와 작업상 주변의 청결 효과를 아울러서 제공하게 되는 것이어서 사용자가 덩어리진 고추가루를 분리해야 하는 번거러움을 제거하고 분리시켜주므로서 습기에 의한 부태를 방지할 수있는 것이다.

Claims (1)

  1. 통상의 모터(M)를 내부에서 입설 고정시켜 분쇄핀(3)이 구성되고 주연으로 익편(6)을 구성한 회전판(2)이 모터축(1)에 고정되게 하여 호퍼(11)와 배출구(12)가 연결되는 케이싱(7)을 씌우도록한 분말기에 있어서, 회전판(2)에 대향 입설시켜 호퍼 (11)로 돌출되게 구성시킨 분쇄핀(3)의 하방과 돌출핀(4)의 상방에 분리핀(5)(5')을 고정시켜 각각의 간극(S)(S')에 의한 분리층(3a)(4a)이 회전시 케이싱(7)내에 형성되게 한 고추가루 분말기.
KR2019850016889U 1985-12-13 1985-12-13 고추가루 분말기 KR8800000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6889U KR880000057Y1 (ko) 1985-12-13 1985-12-13 고추가루 분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6889U KR880000057Y1 (ko) 1985-12-13 1985-12-13 고추가루 분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279U KR870009279U (ko) 1987-07-07
KR880000057Y1 true KR880000057Y1 (ko) 1988-03-08

Family

ID=19247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6889U KR880000057Y1 (ko) 1985-12-13 1985-12-13 고추가루 분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005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279U (ko) 1987-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4555A (en) Waste disposer
KR880000057Y1 (ko) 고추가루 분말기
KR101530421B1 (ko) 곡물분쇄장치용 임펠러
KR200182514Y1 (ko) 분쇄기
KR200219312Y1 (ko) 철분제거기가 부착된 고춧가루 분해기
KR900009830Y1 (ko) 맷돌 분쇄기
JP3668877B2 (ja) クラッシャー
KR200177742Y1 (ko) 커피분쇄기의 커터
JPS6145885Y2 (ko)
KR19990022826U (ko) 원두커피분쇄기의분쇄날
SU1597211A1 (ru) Измельчитель
KR200303094Y1 (ko) 곡물용 분쇄기
JPS5855959Y2 (ja) 発泡スチロ−ルの粉砕装置
JPS6144538B2 (ko)
KR200188594Y1 (ko)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장치
KR870002016Y1 (ko) 분쇄기
KR970008348B1 (ko) 고추 분쇄장치
US1680894A (en) Pulverizer
JPS6125876Y2 (ko)
JPS5916497B2 (ja) 竪型微粉砕機
KR200196597Y1 (ko) 곡물 분쇄장치
KR930006960Y1 (ko) 분쇄기용 커터
KR100198197B1 (ko) 폐스치로폴 입자분리장치
SU1319896A1 (ru) Измельчитель
KR890007698Y1 (ko) 사료 분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