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8305A - 비데오 신호 레코딩 및 판독방법과 그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와 상기 방법에 의한 자기 레코드 캐리어 - Google Patents

비데오 신호 레코딩 및 판독방법과 그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와 상기 방법에 의한 자기 레코드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8305A
KR870008305A KR870000770A KR870000770A KR870008305A KR 870008305 A KR870008305 A KR 870008305A KR 870000770 A KR870000770 A KR 870000770A KR 870000770 A KR870000770 A KR 870000770A KR 870008305 A KR870008305 A KR 870008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put
switching means
output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70000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 하안 게라르드
Original Assignee
이반 밀러 레르너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반 밀러 레르너,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filed Critical 이반 밀러 레르너
Publication of KR870008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830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08Pulse-modulation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2Masking of heads; circuits for Selecting or switching of heads between operative and inoperative functions or between different operative functions or for selection between operative heads; Masking of beams, e.g. of light beams
    • G11B15/14Masking or switching periodically, e.g. of rotating he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2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 H04N5/7826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involving helical scanning of the magnetic tape
    • H04N5/78263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involving helical scanning of the magnetic tape for recording on tracks inclined relativ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tape
    • H04N5/78266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involving helical scanning of the magnetic tape for recording on tracks inclined relativ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tape using more than one track for the recording of one television field or frame, i.e. segmented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equentially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데오 신호 레코딩 및 판독방법과 그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와 상기 방법에 의한 자기 레코드 캐리어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Claims (31)

  1. 선회 헤드 드럼상에 설치된 둘 또는 그 이상의 기록 또는 판독 헤드에 의해 테이프 형태로 자기 레코드 캐리어의 길이 방향에 비례하여 경사지는 트랙내/으로부터 비데오 신호를 레코딩하고 판독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비데오 신호는 라인 동기 신호를 포함한 제 1 신호 블럭과, 비데오 신호의 색도 및 휘도 정보를 포함한 제 2 신호 블럭에 따른 라인 순차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 1 신호 블럭은 라인 동기 신호 이외에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 신호를 포함하는데, 레코딩시에 특정한 제 1 신호 블럭내의 적어도 부가적인 신호는 메모리내에 기억되어, 비데오 신호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적절한 라인과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 2 신호 블럭내에서 연속적으로 누산된 후에, 상기 제 2 신호 블럭은 레코드 캐리어상의 트랙내에서 레코드되며, 그리고 판독시에 부가적인 신호는 트랙으로부터 판독되는 적절한 제 2 신호 블럭으로부터 인출되어 메모리내에 기억된 후에, 상기 부가적인 신호는 적절한 제 1 신호 블럭내로 다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신호 레코딩 및 판독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레코딩할 경우에 한 기록 헤드에 따라 레코딩하여 다른 기록 헤드에 따라 레코딩할때까지 변환될 시에 특정한 제 1 신호 블럭내의 적어도 부가적인 신호가 메모리내에 기억되어, 적절한 제 2 신호 블럭내에 연속적으로 누산되며, 그리고 판독시에 트랙으로부터 판독되는 적어도 제 1 신호 블럭이 시간 간격 T만큼 지연된 후에, 부가적인 신호는 적절한 제 1 신호 블럭내로 다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신호 레코딩 및 판독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한 필드시에, 한 기록 헤드에 따라 레코딩하여 다른 기록 헤드에 따라 레코딩할때까지 한번만 변환되는 자기 레코드 캐리어상의 비데오 신호를 레코딩하기 위하여, 레코딩시에 변환되는 연속 X라인과 관련된 상기 제 1 신호의 적어도 부가적인 신호는 메모리내에 기억되어, 비데오 신호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적절한 라인과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특정한 제 2 신호 블럭내에서 연속적으로 누산된 후에, 레코드 캐리어상의 트랙내에 레코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신호 레코딩 및 판독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한 필드시에, 한 기록헤드에 따라 레코딩하여 다른 기록헤드에 따라 레코딩할때까지 변환이 m번 이루어지는 자기 레코드 캐리어상의 비데오 신호를 레코딩 하기 위하여, 레코딩시에, 변환될 경우에 m 제 1 신호 블럭의 적어도 부가적 신호는 메모리내에 기억되어, 비데오 신호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적절한 라인과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특정한 제 2 신호 블럭내에서 누산된 후에 레코드 캐리어상의 트랙내에 레코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신호 레코딩 및 판독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한 필드시에, 한 판독 헤드에 의해 판독하여 다른 판독 헤드에 의해 판독할때까지 한번만 변환되는, 제 3 항에서 청구된 방법에 의해 자기 레코드 캐리어상에 레코드된 비데오 신호를 판독하기 위하여, 판독시에 X부가 신호가 적절한 트랙으로부터 판독된 제 2 신호 블럭으로부터 인출되어 메모리내에 기억되며, 그리고 트랙으로부터 판독된 적어도 제 1 신호 블럭은 지연되고, 부가적인 신호는 적절한 X 제 1 신호 블럭내로 다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신호 레코딩 및 판독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트랙으로부터 판독된 제 1 신호 블럭은 (X+1)t1과 같은 적어도 시간 간격 T만큼 지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신호 레코딩 판독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한 필드시에, 한 판독 헤드에 의해 판독하여 다른 판독 헤드에 의해 판독할때까지 변환되는, 제 4 항에서 청구된 방법에 의해 자기 레코드 캐리어상에 레코드된 비데오 신호를 판독하기 위하여, 판독시에 m 부가 신호가 테이프로부터 판독된 적절한 제 2 신호 블럭으로부터 인출되어 메모리내에 기억되며, 트랙으로부터 판독된 적어도 제 1 신호 블럭이 지연되고, 부가 신호가 관련된 m 제 1 신호 블럭내로 다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신호 레코딩 및 판독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트랙으로부터 판독된 제 1 신호 블럭은 적어도 tr와 같은 시간 간격 T만큼 지연되는데, 여기서 tr은 필드 주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신호 레코딩 및 판독방법.
  9. 제2,3 또는 4항에서 청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테이프 형태로 자기 레코드 캐리어의 길이방향에 대해 비교적 경사진 트랙내의 비데오 신호를 레코딩하기 위한 장치로서, 비데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단자, 및 입력, 둘 또는 그 이상의 출력과, 제어 입력을 갖는 제 1 스위칭 수단을 구비하는데 상기, 제 1 스위칭 수단은 제어 입력에 인가된 제 1 제어 신호의 영향하에 한 출력에 입력을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입력단자는 제 1 스위칭 수단의 입력에 결합되고 상기 스위칭 수단의 각 출력은 관련된 기록 헤드에 결합되며, 상기 장치는 또한 메모리 및 제 2 스위칭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메모리는, 메모리의 제어 입력에 인가된 제어 신호의 영향하에 한 기록 헤드에 따라 레코딩하여 다른 기록 헤드에 따라 레코딩할 때까지의 스위칭 오버의 순간에 부가적인 신호를 상기 제 1 신호 블럭내에 기억시키기에 적합하며, 이런 목적을 위하여, 상기 메모리의 입력은 스위칭 오버의 적어도 순간에서 입력단자에 결합되고, 메모리의 출력은 제 1 스위칭 수단의 입력에 결합된 출력을 갖는 제 2 스위칭 수단의 두 입력중의 제 1 입력에 결합되며, 상기 제 2 스위칭 수단은 상기 수단의 제어 입력에 인가된 제 3 제어 신호의 영향하에 두 입력중의 하나를 출력에 결합하기에 적합함으로써, 제 1 입력은 비데오 신호의 비적절한 라인과 관련된 제 2 신호 블럭이 레코드되는 순간에서 출력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신호 레코딩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입력단자는 스위칭 수단의 제 2 입력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신호 레코딩장치.
  11. 제 9 또는 10항에 있어서, 제 3 항에서 청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는 제어 입력에 인가된 제어신호의 영향하에 스위칭 오버가 실행될시에 X연속 라인과 관련된 상기 제 1 신호 블럭의 부가 신호를 기억시키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신호 레코딩 장치.
  12. 제 9 또는 10항에 있어서, 제 3 항에서 청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가 제어 입력에 인가된 제어 신호의 영향하에 스위칭 오버가 실행될 시에 상기 m 제 1 신호 블럭의 부가 신호를 기억시키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신호 레코딩 장치.
  13. 제2,5,6,7 또는 8항에서 청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비데오 신호를 재생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둘 또는 그 이상의 판독 헤드, 둘 또는 그 이상의 입력, 출력 및 제어 입력을 가지며, 제어 입력에 인가된 제 1 제어 신호의 영향하에 한 입력을 출력에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제 1 스위칭 수단, 비데오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출력 단자를 구비하는데, 상기 장치는 메모리, 지연 수단 및 제 2 스위칭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메모리는 메모리의 제어 입력에 인가된 제 2 제어 신호의 영향하에 트랙으로 부터 판독된 적절한 제 2 신호 블럭내에 포함된 부가 신호를 기억시키기에 적합하며, 이런 목적을 위하여 상기 메모리의 입력은 적절한 제 2 신호 블럭이 판독되는 최소한의 순간에서 제 1 스위칭 수단의 출력에 결합되며, 제 1 신호 블럭이 판독되는 최소한의 순간에서 지연 수단의 입력은 제 1 스위칭 수단의 출력에 결합되며, 메모리 및 지연 수단의 출력은 제각기 제 2 스위칭 수단의 제 1 입력 및 제 2 입력에 결합되며, 그리고 제 2 스위칭 수단은 이 수단의 제어 입력에 인가된 제 3 제어 신호의 영향하에 상기 수단의 두 입력중의 하나를 출력에 결합하기에 적합함으로써 제 1 입력은 스위칭 오버 시간에 출력에 결합되어, 한 판독 헤드에 따라 판독하여 다른 판독 헤드에 따라 판독할때까지 시간 간격 T만큼 지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신호 재생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제 2 스위칭 수단의 출력은 출력단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신호 재생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제 1 스위칭 수단의 출력은 메모리 및 지연수단의 입력에 제각기 결합된 제 1 출력 및 제 2 출력을 갖는 제 3 스위칭 수단의 입력에 결합되며, 제 2 스위칭 수단의 출력은 제 3 스위칭 수단의 제 1 출력에 결합된 제 2 입력을 갖는 제 4 스위칭 수단의 제 1 입력에 결합되며, 제 4 스위칭 수단의 출력은 출력 단자에 결합되는데, 제 3 스위칭 수단은 상기 제 3 스위칭 수단의 제어 입력에 인가된 제 4 제어 신호의 영향하에 입력을 한 출력에 결합시키기에 적합하며, 제 4 스위칭 수단은 제 4 스위칭 수단의 제어 입력에 인가된 제 5 제어 신호의 영향하에 한 입력을 출력에 결합시키기에 적합하며, 제 3 스위칭 수단의 제 1 출력 및 입력은 제 2 신호 블럭을 판독할 시에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신호 재생장치.
  16. 제13,14 또는 15항에 있어서, 제 5 항에서 청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는 제어 입력에 인가된 제어 신호의 영향하에 트랙으로부터 판독된 적절한 제 2 신호 블럭내에 포함된 X부가 신호를 기억시키기에 적합하며, 제 2 스위칭 수단은 시간 간격 T만큼 지연되는 스위칭 오버 시간에 제 1 입력이 출력에 결합될 정도로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신호 재생장치.
  17. 제13,14 또는 15항에 있어서, 제 7 항에서 청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메모리는, 제어 입력에 인가된 제어 신호의 영향하에, 트랙으로부터 판독된 적절한 제 2 신호 블럭내에 포함된 m 부가 신호를 기억시키기에 적합하며, 그리고 제 2 스위칭 수단은 한 필드에서 시간간격 T만큼 지연된 m 스위칭 오버 시간의 경우에 제 1 입력이 출력에 결합될 정도로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시간 재생장치.
  18. 제15항에 부속될시에, 제15, 또는 16 및 17항에 있어서, 제 2 신호 블럭내에 포함된 신호는 아나로그 신호인데, 다른 지연 수단은 제 3 스위칭 수단의 제 1 출력과 제 4 스위칭 수단의 제 1 입력 사이에 배치되고, 전술된 제 1 지연 수단의 지연 시간과 거의 같게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신호 재생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레코딩할 경우에 한 기록 헤드에 따라 레코딩하여 다른 기록 헤드에 따라 레코딩할 때가지 스위칭 오버할 시에 제 1 신호 블럭내의 적어도 부가적인 신호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라인 주기만큼 지연되어, 다른 제 1 신호 블럭내에서 연속적으로 누산되고 레코드 캐리어상에서 레코드되며, 그리고 상기 다른 제 1 신호 블럭의 부가적인 주 제 1 신호가 지연되어, 레코드 캐리어상에서 레코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신호 레코딩 및 판독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한 필드시에, 한 기록 헤드에 의해 레코딩하여 다른 기록 헤드에 의해 레코딩할때까지 한번만 변환되는 자기 레코드 캐리어상에 비데오 신호를 레코딩하기 위해, 레코딩시에 스위칭 오버될 경우에 연속 X라인과 관련된 X 제 1 신호 블럭의 부가적인 신호가 적어도 X라인 주기만큼 지연되어, 다른 X 제 1 신호 블럭내에서 누산되며, 필드의 적어도 연속적인 X 제 1 신호 블럭의 부가적인 신호가 메모리내에 기억되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적절한 비데오선과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 2 신호 블럭내에서 연속적으로 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신호 레코딩 및 판독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한 필드시에, 한 헤드에 따라 레코딩하여 다른 헤드에 따라 레코딩할때까지 변환이 m번 이루어지는 자기 레코드 캐리어 상에 비데오 신호를 레코딩하기 위해, 레코딩시에, 레코딩시에 스위칭 오버될 경우에 m 제 1 신호 블럭의 부가적인 신호가 적어도 한 라인 주기만큼 지연되어, 다른 m 제 1 신호 블럭내에 연속적으로 누산되며, 필드의 적어도 연속적인 m 제 1 신호 블럭의 부가적인 신호가 메모리내에 기억되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적절한 비데오 라인과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 2 신호 블럭내에서 연속적으로 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신호 레코딩 및 판독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각 필드내에서, 한 판독 헤드에 의해 판독하여 다른 판독 헤드에 의해 판독할때까지 한번만 변환되는, 제20항에서 청구된 방법에 의해 자기 레코드 캐리어상에 레코드된 비데오 신호를 판독하기 위해, 판독시에 X 부가 신호는 트랙으로부터 판독된 적절한 제 2 신호 블럭으로부터 인출되고, 메모리내에 기억되어, 적절한 연속적인 X 제 1 신호 블럭내로 다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신호 레코딩 및 판독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한 필드시에, 한 판독 헤드에 의해 판독하여 다른 판독 헤드에 의해 판독할 때까지 변환이 m번 이루어지는, 제21항에서 청구된 방법에 의해 자기 레코드 캐리어상에 레코드된 비데오 신호를 판독하기 위해, 판독시에 m 부가적인 신호가 트랙으로부터 판독된 적절한 제 2 신호 블럭에서 인출되어 메모리내에 기억된 후, m 부가 신호가 관련된 m 연속적인 제 1 신호 블럭으로 다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신호 레코딩 및 판독방법.
  24. 제19,20 또는 21항에서 청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테이프 형태로 자기 레코드 캐리어의 길이 방향에 대해 비교적 경사진 트랙내의 비데오 신호를 레코딩하기 위한 장치로서, 비데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단자 및, 입력, 둘 또는 그 이상의 출력과, 제어 입력을 갖는 제 1 스위칭 수단을 구비하는데, 상기 제 1 스위칭 수단은 제어 입력에 인가된 제 1 제어 신호의 영향하에 한 출력에 입력을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입력단자는 제 1 스위칭 수단의 입력에 결합되고 상기 스위칭 수단의 각 출력은 관련된 기록 헤드에 결합되며, 상기 장치는 또한 메모리 및 제 2 스위칭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메모리는 메모리의 제어 입력에 인가된 제 2 제어 신호의 영향하에 상기 다른 제 1 신호 블럭내의 부가적인 신호를 기억시키도록 구성되며, 연속적인 제 1 신호 블럭이 입력 단자에 인가되는 최소한의 순간에서 상기 메모리의 입력은 상기 입력단자에 결합되며, 상기 메모리의 출력은 제 1 스위칭 수단의 입력에 결합된 출력을 갖는 제 2 스위칭 수단의 두 입력중의 하나에 결합되며, 제 2 스위칭 수단은, 제 1 입력이 비데오 신호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적절한 라인과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 2 신호 블럭을 레코딩하는 순간에서 출력에 결합될 정도로 상기 제 2 스위칭 수단의 제어 입력에 인가된 제 3 제어 신호의 영향하에 출력의 한 입력을 결합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신호 레코딩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제20항에서 청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메모리는 상기 연속적인 X 제 1 신호 블럭내의 부가적인 신호를 기억시키기에 적합하며, 입력단자가 스위칭 오버될 시에 연속적인 X 라인과 관련된 적어도 X 제 1 신호 블럭을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 수단의 입력에 결합되며, 지연 수단의 출력이 제 2 스위칭 수단의 제 1 입력에 결합된 출력과 메모리의 출력에 결합된 제 2 입력을 갖는 제 3 스위칭 수단의 제 1 입력에 결합되며, 상기 제 3 스위칭 수단은 이 수단의 제어 입력에 인가된 제어 신호의 영향하에 한 입력을 출력에 결합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신호 레코딩 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제21항에서 청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메모리는 상기 m 연속적인 제 1 신호 블럭의 부가적인 신호를 기억시키기에 적합하며, 입력단자는 또한 스위칭 오버될 시에 적어도 m 제 1 신호 블럭을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 수단의 입력에 결합되며, 상기 메모리의 출력은 제 2 스위칭 수단의 제 1 출력에 결합된 출력을 갖는 제 3 스위칭 수단의 제 1 입력에 결합되며, 상기 지연 수단은 제 3 스위칭 수단의 제 2 입력에 결합된 출력을 갖는 제 4 스위칭 수단의 관련된 입력에 결합되는 각각의 m 태핑을 구비하며, 그리고 제 3 및 제 4 스위칭 수단은 제각기 제 3 스위칭 수단 및 제 4 스위칭 수단의 제어 입력에 인가된 제어 신호의 영향하에 한 입력을 출력에 결합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신호 레코딩 장치.
  27. 제19,22 또는 23항에서 청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테이프 형태로 자기 레코드 캐리어의 길이 방향에 대해 비교적 경사진 트랙내의 비데오 신호를 판독하기 위한 장치로서, 둘 또는 그 이상의 판독 헤드 둘 또는 그 이상의 입력, 출력 및 제어 입력을 가지며, 제어 입력에 인가된 제 1 제어 신호의 영향하에 한 입력을 출력에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제 1 스위칭 수단, 비데오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출력 단자를 구비하는데, 상기 장치는 메모리 및 제 2 스위칭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메모리는 메모리의 제어 입력에 인가된 제 2 제어 신호의 영향하에 트랙으로부터 판독된 적절한 제 2 신호 블럭내에서 누산된 부가 신호를 기억시키도록 구성되며, 이런 목적을 위하여 적절한 제 2 신호 블럭이 판독되는 최소한의 순간에서 메모리의 입력은 제 1 스위칭 수단의 출력에 결합되며, 메모리의 출력은 제 2 스위칭 수단의 두 입력중의 제 1 입력에 결합되며, 상기 제 2 스위칭 수단의 출력은 출력 단자에 결합되며, 제 2 스위칭 수단은 상기 제 2 스위칭 수단의 제어 입력에 인가된 제어 신호의 영향하에 한 입력을 출력에 결합시키기에 적합하여 제 1 입력은 부가적인 신호가 적절한 연속적인 제 1 신호 블럭내로 삽입되는 순간에서 출력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신호 판독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제22항에서 청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는 트랙으로부터 판독된 적절한 제 2 신호 블럭내에 누산된 X 부가 신호를 기억시키기에 적합하며, 제 2 입력은 제 1 스위칭 수단의 출력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신호 판독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제23항에서 청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가 트랙으로부터 판독된 적절한 제 2 신호 블럭내에 누산된 m 부가 신호를 기억시키기에 적합하며, 상기 장치는 또한 지연수단, 제 3 스위칭 수단 및 제 4 스위칭 수단을 구비하며, 제 1 스위칭 수단의 출력은 제 2 스위칭 수단의 제 2 입력과 지연수단의 입력 양자에 결합되며, 메모리의 출력은 제 3 스위칭 수단의 출력이 제 2 스위칭 수단의 제 1 입력에 결합되는 제 3 스위칭 수단의 제 1 입력에 결합되며, 지연 수단은 제 3 스위칭 수단의 제 2 입력에 결합된 출력을 갖는 제 4 스위칭 수단의 관련된 입력에 결합되는 각각의 m 태핑을 구비하며, 그리고 제 3 및 4 스위칭 수단은 제각기 제 3 및 제 4 스위칭 수단의 제어 입력에 인가된 제어 신호의 영향하에 한 입력을 출력에 결합시키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신호 판독장치.
  30. 제28 또는 29항에 있어서, 다른 지연 수단은 제 2 스위칭 수단의 제 2 입력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 신호 판독장치.
  31. 제1,2,3,19,20 또는 21항에서 청구된 방법에 의해 성취된 자기 레코드 캐리어로서, 상기 레코드 캐리어의 길이방향에 대해 비교적 경사진 트랙내의 제 1 및 2신호 블럭에 따른 라인 순차로 이루어진 비데오 신호를 포함하는데, 적어도 하나의 제 2 신호 블럭은 필드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신호 블럭의 부가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레코드 캐리어.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870000770A 1986-02-03 1987-01-31 비데오 신호 레코딩 및 판독방법과 그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와 상기 방법에 의한 자기 레코드 캐리어 KR8700083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8600254A NL8600254A (nl) 1986-02-03 1986-02-03 Werkwijze voor het schrijven en/of lezen van een videosignaal, bij voorbeeld een mac-signaal, inrichting voor het uitvoeren van de werkwijze en een magnetische registratiedrager verkregen volgens de werkwijze.
NL8600254 1986-02-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305A true KR870008305A (ko) 1987-09-25

Family

ID=19847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70000770A KR870008305A (ko) 1986-02-03 1987-01-31 비데오 신호 레코딩 및 판독방법과 그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와 상기 방법에 의한 자기 레코드 캐리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232940B1 (ko)
JP (1) JPS62202695A (ko)
KR (1) KR870008305A (ko)
AT (1) ATE62368T1 (ko)
DE (1) DE3768977D1 (ko)
NL (1) NL860025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92766C (nl) * 1986-10-28 1998-01-06 Mitsubishi Electric Corp Registratie- en reproductieapparaat voor gesegmenteerde videorastersignal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0285A (en) * 1981-03-12 1982-09-17 Victor Co Of Japan Ltd Magnetic recording system of sound signal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DE3310890C2 (de) * 1983-03-25 1986-01-30 Telefunken Fernseh Und Rundfunk Gmbh, 3000 Hannover System zur Übertragung eines Fernsehsignals, insbesondere für eine Aufzeichnung und eine Wiedergabe
JPS60140993A (ja) * 1983-12-27 1985-07-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32940B1 (en) 1991-04-03
JPS62202695A (ja) 1987-09-07
NL8600254A (nl) 1987-09-01
ATE62368T1 (de) 1991-04-15
DE3768977D1 (de) 1991-05-08
EP0232940A1 (en) 1987-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67759A (en) Apparatus for inserting an address signal in a frame of the vertical blanking period of a television signal
CA208174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random data on a digital video recorder
EP0512626A3 (en) Recording and reproduction of an extended definition video signal
US5625739A (en) Editing apparatus using delay means for inserting a desired signal into a desired portion of a prerecorded signal and for erasing segments of a prerecorded signal without creating a blank portion in the prerecorded signal
KR890012496A (ko) 자기 기록·재생 장치
EP0338812A3 (en) Magnetic tape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for digital video signals and associated digital sound signals, and corresponding recording/reproducing method
EP0187510A3 (en) Processing time-compressed component video signals
KR870008305A (ko) 비데오 신호 레코딩 및 판독방법과 그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와 상기 방법에 의한 자기 레코드 캐리어
MY120302A (en) Video data shuffling method and apparatus.
US4348698A (en) Magnetic devices for changing video recordings
KR880011773A (ko) 디지탈콤포지트 비데오신호의 기록/재생장치
WO1998018255A3 (en) Recording of an information signal so as to enable editing
JPS5774809A (en) Voice signal processing device
US5210618A (en) Method, apparatus and record carrier for video signal recording and reading wherein signal blocks occurring during switching are repositioned and preserved
ATE218241T1 (de) Aufzeichnung von einem datenreduzierten digitalen videosignal in schrägen spuren auf einem aufzeichnungsträger
JPS6460165A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SU533968A1 (ru) Способ маркировки кадров при видеозаписи
TW370668B (en) Recording of a trick play signal in a helical scan type recording apparatus
KR930014481A (ko) 자기기록 재생 장치
MY103404A (en) Process for quick-motion reproduction of a recorded picture signal consisting of single picture sequences
JPS5564613A (en) Data file chaining unit
GB1516369A (en) Video tape recorders
JPS6439884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S60239965A (ja) ビデオテ−プレコ−ダ
JPS5641566A (en) Digital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