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3732Y1 - 1회용 음식용구 - Google Patents

1회용 음식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3732Y1
KR870003732Y1 KR2019850002147U KR850002147U KR870003732Y1 KR 870003732 Y1 KR870003732 Y1 KR 870003732Y1 KR 2019850002147 U KR2019850002147 U KR 2019850002147U KR 850002147 U KR850002147 U KR 850002147U KR 870003732 Y1 KR870003732 Y1 KR 8700037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knife
cutlery
food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21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1421U (ko
Inventor
홍민표
Original Assignee
홍민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민표 filed Critical 홍민표
Priority to KR20198500021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3732Y1/ko
Publication of KR8600114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14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37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7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2Forks; Forks with ejectors; Combined forks and spoons; Salad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1회용 음식용구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를 포장한 상태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을 사용하기 위해 절단하는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저수 2 : 포오크
3 : 나이프 5 : 포장지
본 고안은 대중 음식중 양식을 섭취하는 1회용 음식용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1회용 음식용구가 있으나었, 이는 손잡이 부분을 목재로 하고 음식 섭취용구인 수저 단부에 사용시 절단시켜 사용되었음을 표시하는 절취편이 부착된 것이 있으나 수저의 단부 절취편은 단순히 수저의 사용 유무만 확인하는 것이어서 경제 부담만 가중시킬 뿐만 아니라 손잡이의 목재가 취급 및 사용 부주위로 절단되는 폐단이 있었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1회용으로서 전체를 합성수지재로 성형하여 “수저와 젓가락” 그리고 “수저와 포오크”를 각각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유통 및 보관하였다가 사용시 연결부를 절단하여 “수저 및 젓가락” 그리고 “수저 및 포오크”로 각각 사용하도록 하였는데 이는 한식과 분식용 음식용구로마 적합할 뿐 “습”을 섭취하는 수저와 절단하는 “나이프” 및 포오크를 1개조오로 사용하는 양식 섭취용 음식용구로는 부접합한 폐단등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폐단을 시정보완하여 안출된 것으로 양식을 섭취하는데 필요한 음식 용구로서 수저, 포오크, 나이프가 제1도와 같이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게 일체로 성형하여 제2도와 같이 포장하여 유통 및 보관하였다가 음식을 섭취하는 장소에서 직접 제3도와 같이 각각 연결부에서 절단시키므로서 “습”을 섭취하는 수저와 절단하는 나이프, 그리고 기타 음식을 섭취하는데 필요한 포오크로 각각 사용하고 연결부에서 절단시킨 용구는 이미 사용된 용구로 간주되어 재사용하지 아니하게 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조 및 상세한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냉온에 강한 합성수지재로 성형함에 있어서 제1도와 같이 일측방향으로는 수저 (1)와, 포오크(2)가 그리고 타측방향으로는 나이프(3)가 위치되고 연결부(4)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게 1개 조오로 성형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5는 포장지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사용상태 및 효과에 있어서, 수저(1)와 포오크(2) 그리고 나이프(3)를 1개 조오로 연결부(4)에 의해 연결되게 일체로 성형되었기 때문에 성형된 상태의 제1도와 같이 펼쳐진 상태로 유통 및 보관이 불편하므로 제2도와 같이 나이프(3)를 수저(1) 및 포오크(2)와 합하여 포장지(5)내에 주입하여 포장한 상태로 유통 및 보관하므로서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대중 음식을 섭취하는 용구로 사용하는데 양식을 주문한 고객에게 제2도와 같이 포장된 상태로 제공하면 직접 포장지(5)를 절재시킨 다음 1개 조오의 수저 및 포오크(1)(2)와 나이프(3)를 포장지(5) 내에서 인출시켜 제3도와 같이 연결부(4)를 절단시키므로서 각각 별개로 사용하게된 수저(1) 포오크(2) 나이프(3)으로 독립되어 음식을 섭취하게되는데, 양식중 “습”은 수저로 섭취하고 이어서 나이프 (3)으로 기타 음식을 절단시키며 절단된 음식 또는 야채등을 포오크(2)로 섭취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음식을 절단 또는 섭취 용구로 사용하는 도중 본 고안의 재질이 강질이면서도 냉온에 강한 합성수지재로 성형하였기 때문에 변형될 염려가 없게된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하기 위해 연결부(4)에서 절단된 수저(1) 포오크(2) 나이프(3)는 사용된 것임을 알수 있게한 것으로 위생적이고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재질은 강질 또는 냉,온에 강한 합성수지재로 하고 연결부(4)에 연결된 일측방향의 수저(1) 및 포오크(2)는 통상의 것에 있어서, 수저(1) 및 포오크(2)의 타측 방향으로는 나이프(3)이 연결되게 1개조오로 일체가 되게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 1회용 음식 용구.
KR2019850002147U 1985-03-05 1985-03-05 1회용 음식용구 KR8700037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2147U KR870003732Y1 (ko) 1985-03-05 1985-03-05 1회용 음식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2147U KR870003732Y1 (ko) 1985-03-05 1985-03-05 1회용 음식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1421U KR860011421U (ko) 1986-10-02
KR870003732Y1 true KR870003732Y1 (ko) 1987-10-23

Family

ID=19240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2147U KR870003732Y1 (ko) 1985-03-05 1985-03-05 1회용 음식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373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1421U (ko) 1986-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2907B2 (en) All-in-one multipurpose eating utensil adapted to be separated into pieces
US5711027A (en) Hand and finger shield
WO2001006900A1 (en) Candystraw
KR870003732Y1 (ko) 1회용 음식용구
JP2004261336A (ja) 食卓用器具複合体
JPH06121727A (ja) プラスチック製親子箸
KR870003736Y1 (ko) 1회용 수저, 포오크
CA2521326A1 (en) Themed eating utensils
KR101262823B1 (ko) 피자 고정구
KR870003734Y1 (ko) 1회용 수저, 젓가락
KR20130051055A (ko) 분리 사용을 가능케 한 일체형 다용도 식사도구
CN217309802U (zh) 一种便携式组合餐具
CN213248221U (zh) 刀叉勺三合一餐具
KR870001824Y1 (ko) 조립식 일회용 수저
KR200423184Y1 (ko) 쥬스용기와 아이스크림용기의 복합구조
JP2004261337A (ja) 食卓用器具複合体
KR100647478B1 (ko) 음식물용 꼬치
KR840000536Y1 (ko) 일회용 수저
KR970000757Y1 (ko) 음식용구
JPH11155717A (ja) 食卓用品
KR200329696Y1 (ko) 꼬치 받침대
KR200322251Y1 (ko) 일체형 숟가락과 젓가락 겸용 수저
KR0122005Y1 (ko) 아이스크림 용기
CN215126884U (zh) 一种碗
KR200242082Y1 (ko) 식사도구용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