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3722Y1 - 동력분무기의 분무정지장치 - Google Patents

동력분무기의 분무정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3722Y1
KR870003722Y1 KR2019850011452U KR850011452U KR870003722Y1 KR 870003722 Y1 KR870003722 Y1 KR 870003722Y1 KR 2019850011452 U KR2019850011452 U KR 2019850011452U KR 850011452 U KR850011452 U KR 850011452U KR 870003722 Y1 KR870003722 Y1 KR 8700037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uel
carburetor
drug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14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4580U (ko
Inventor
송재순
Original Assignee
송재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순 filed Critical 송재순
Priority to KR20198500114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3722Y1/ko
Publication of KR8700045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45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37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7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06Spraying by means of explos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ozzl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동력분무기의 분무정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전체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결하여 인입공기를 차단시키는 동작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조립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약제통 2 : 이그니숑코일
2' : 점화플러그 3 : 분사관
3a : 연소실 4 : 송출관
5 : 에어공기펌프 6 : 저장실
7 : 연료통 8 : 카브레터
9 : 안내캡 9' : 통공
10 : 여과판 11 : 단속판
11' : 인입공 12 : 커버
13 : 레버 14 : 스프링
15 : 차단판
본 고안은 농약제를 초미립상태로 분무시키기 위한 동력분무기에 있어서 모든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분무정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부에 노출되어 신속하고 정확히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었던 동력분무기의 정지장치로는 전원을 점화플러그에서 방전시켜 폭발하도록 하는 전류를 차단하여 동력을 정지시키는 방법으로 분무기 전체의 동작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농약분무도 차단시켰으므로 이는 폭발이 일시에 정지되기는 하나 압축에어에 의하여 급유되는 오일이나 약제는 기압이 어느정도 잔유하는 동안 시동이 꺼진후에도 일정시간 약간의 오일과 약제가 공급되어 외부로 누출되어 쓸데없는 곳으로 낭비되는 경우가 있었으며 다시 시동을 걸어 분무시킬때에는 처음에 기압을 압축시키고 이 기압의 힘으로 오일과 약제를 공급할때까지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였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간단히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므로서 오일과 약제의 공급을 신속히 차단할 수 있고 다음의 시동을 신속하고 원활히 이루워질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와 혼합된 연료가 이그니숑코일(2)로 부터 발생되는 전류를 점화플러그( 2')에서 스파크를 일으켜 혼합연료를 분사관(3)의 연소실(3a)에서 폭발케 하고 약제통 (1)에 연결된 송출관(4)을 분사관(3)의 선단으로 연결하여 폭발력으로 약제를 분무할 수 있도록 된 통상의 동력분무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에어공기펌프(5)에 의하여 압축공기가 저장된 저장실(6)에 약제통(1), 연료통(7), 캬브레터(8)를 각각 연결하여 약제와 혼합연료를 캬브레터(8)로 인입시켜 연소실(3a)에서 폭발된 후 캬브레터(8)의 상부에 나착된 안내캡(9)의 통공(9')을 통해 여과판(10)과 단속판(11)에 천공된 인입공(11')을 거쳐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연료와 약제를 계속 공급하고 이를 차단시에 커버(12)에 스프링(14)으로 탄설된 레버(13)를 압압하여 차단판(15)으로 안내캡(9)의 입구를 밀폐시켜 오일과 약제의 공급을 방지시킴과 동시에 동력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된것으로 도면중 미설명부호 16은 차단판(15)을 레버(13)에 나착하기 위한 볼트, 17은 와셔, 18은 고정볼트, 19는 습동레버, 20은 축봉, 21은 혼합노즐, 22는 에어연결관, 23은 에어공급관, 24는 에어송출관, 25는 오일공급관을 표시한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습동레버(19)를 다수회 왕복시켜 에어공급펌프(5)에 연결된 저장실(6)로 기압을 가하여 저장실(6)에 각각 연결된 캬브레터(8)와 연료통(7), 약제통(1)으로 기압이 고루 전달되게 하면 그 기압에 의하여 연료통(7)내의 연료는 혼합노즐(21)에서 저장실(6)로 부터 공급되는 에어와 혼합되어 혼합연로 상태로 캬브레터(8)로 공급함과 동시에 에어공급관(23)에서 분출되는 에어 힘으로 연소실(3a)쪽으로 혼합가스를 분출시키고, 약제통(1)에는 혼합노즐(21)과 에어공급관(23)으로 부터 공급되는 기압이 캬브레터(8)내로 충진된 후 기압 일부가 에어연결관(22)을 통하여 기압이 가해져 약제가 액체 상태로 분사관(3)의 선단으로 이동되는 순간 사용자는 펌프 작업을 멈추고 스위치(S. W)를 ON으로 접점시키면 건전지의 전원으로 이그니숑코일 (2)이 발생하는 전류가 점화플러그(2')에서 스파크가 발생되어 캬브레터(8)에 혼입되어 있던 연료가 연소실(3a)에서 폭발하게 된다.
이때 연소실(3a)에서 폭발된 힘은 분사관(3)을 통하여 외부로 분출하려는 힘으로 공기압으로 이동되어 있던 약제가 이 폭발력으로 초미립화로 분산되면서 분사관(3)의 외부로 분무되는 것이며 주기적으로 이그니숑코일(2)로 부터 통상의 것과 같이 발생되는 전류가 계속 점화플러그(2')에서 스파크를 일으키고 혼합연료를 계속 폭발시키게 되는데 연소실에서 혼합가스가 폭발될때는 캬브레터(8)내의 모든 공기가 연소되어 외부로 분출되는 현상으로 외부의 공기를 캬브레터(8)의 상부에 나착된 안내캡(9)에 천공된 통공(9')으로 계속 유입시키는 힘이 강하게 작용되어 저장실(6)내의 공기가 다 소비되더라도 새로운 외부공기를 캬브레터(8)내로 보충시킨 후 저장실로 여분의 에어를 계속 공급하면서 연료통(7)과 약제통(1)으로 압축공기를 이송시켜 별다른 동작없이도 계속 폭발되고 약제를 분무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모든 작동을 멈추워 분무를 정지하고자 할때는 커버(12)에 스프링(14)으로 탄설된 레버(13)를 인위적으로 압압하면 첨부도면 제3도에서 가상선으로 표시한 것과같이 레버(13)가 이에 나착된 볼트(16), 차단판(15)이 함께 하강되면서 안내캡(9)의 상면을 밀폐시키게 되므로 계속 유입되던 공기를 공급되지 못하도록 차단하게 되어 유입공기의 압축력으로 분출되는 약제와 연료의 공급이 동시에 차단되면서 연료가 없게 되므로 폭발되지 못하는 순간 모든 동작이 멈추게 되는 것이며 완전히 정지된후 레버(13)를 압압하던 손을 분리시킨후 스위치(S. W)를 전환하여 전류의 낭비를 방지하는 것이 좋다.
안내캡(9)의 통공(9')과 단속판(11)에 천공된 인입공(11')이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이의 위치가 동일하게 되면 많은 양의 공기가 캬브레터(8)내로 유입될 수 있는 것이며 위치가 약간 어긋나면 통공(9')과 인입공(11')의 일치 면적이 줄어들게 되어 유입되는 공기량도 줄어들어 사용자는 인위적으로 필요한 양을 조절할 수가 있고 여과판(10)은 깨끗한 공기의 유입을 위하여 먼지등을 여과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사용자가 다시 약제를 분무하고자할 때는 습동레버(19)를 전기한 바와같이 동일한 방법으로 수회 왕복하여 저장실(6)로 압축공기를 충진시킨 후 스위치(S. W)를 ON으로 하면 정상적으로 약제와 연료가 공급되면서 초미립 약제가 분무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은 간단히 레버(13)를 압압하므로서 모든 동작을 신속하고 원활히 차단시키고 에어의 유입을 밀폐하여 정지 작업시에 약제나 연료가 외부로 낭비되는 것이 전혀 없으며 동작이 용이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취급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공기와 혼합된 연료가 이그니숑코일(2)로 부터 발생되는 전류를 점화플러그 (2')에서 스파크를 일으켜 혼합연료를 분사관(3)의 연소실(3a)에서 폭발케 하고 약제통(1)에 연결된 송출관(4)를 분사관(3)의 선단으로 연결하여 폭발력으로 약제를 분무할 수 있도록 된 통상의 동력분무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에어공기펌프(5)에 의하여 압축공기가 저장된 저장실(6)에 약제통(1), 연료통(7), 캬브레터(8)를 각각 연결하여 약제와 혼합연료를 캬브레터(8)로 인입시켜 연소실(3a)에서 폭발된 후 캬브레터 (8)의 상부에 나착된 안내캡(9)의 통공(9')을 통하여 여과판(10)과 단속판(11)에 천공된 인입공(11')을 거쳐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연료와 약제를 계속 공급하고 이를 차단시에 커버 (12)에 스프링(14)으로 탄설된 레버(13)를 압압하여 차단판(15)으로 안내캡(9)의 입구를 밀폐시켜 오일과 약제의 공급은 방지시킴과 동시에 동력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분무기의 분무정지장치.
KR2019850011452U 1985-09-07 1985-09-07 동력분무기의 분무정지장치 KR8700037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1452U KR870003722Y1 (ko) 1985-09-07 1985-09-07 동력분무기의 분무정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1452U KR870003722Y1 (ko) 1985-09-07 1985-09-07 동력분무기의 분무정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580U KR870004580U (ko) 1987-04-20
KR870003722Y1 true KR870003722Y1 (ko) 1987-10-23

Family

ID=19245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1452U KR870003722Y1 (ko) 1985-09-07 1985-09-07 동력분무기의 분무정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372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580U (ko) 1987-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86067C (en) Fuel injection system for combustion-powered tool
RU206789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пуска сред
JPH09222075A (ja) 流動物用排出装置
TW200524714A (en) Combustion type power tool facilitating cleaning to internal cleaning target
US5192009A (en) Device for spraying fluids, having electrically operated air compressor and free blowing nozzle
JPS575546A (en) Fuel injector
DE3934131C2 (de) Pulsierender Zerstäuber
US4811901A (en) Pulse fog generator
KR870003722Y1 (ko) 동력분무기의 분무정지장치
KR870003721Y1 (ko) 동력분무기의 역류방지장치
JP3077978B1 (ja) エンジンの吸気管路洗浄装置
JPS6241955A (ja) 内燃機関の始動燃料供給装置
KR840002257Y1 (ko) 분무기의 분무레버 자동폐쇄장치
KR200155101Y1 (ko) 휴대용 방역분무기
KR890001798Y1 (ko) 방역 소독 연무기의 공기 공급장치
JP2588608Y2 (ja) 電動スプレー
JPH0313572Y2 (ko)
KR970002393Y1 (ko) 젯트엔진식 분무기의 노즐구조
JPH0390651U (ko)
KR100360338B1 (ko) 휴대용 연막 연무 살충기
JPH0721236Y2 (ja) 噴霧ノズル
KR200242858Y1 (ko) 휴대용 연막 연무 살충기
KR870003713Y1 (ko) 분무기의 약제통 연결공급장치
KR910000837Y1 (ko) 동력 분무기의 폭발 및 가압장치
KR200264596Y1 (ko) 고압추진 농약 방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02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