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3531Y1 - 직기의 북운동 감시장치 - Google Patents

직기의 북운동 감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3531Y1
KR870003531Y1 KR2019850006899U KR850006899U KR870003531Y1 KR 870003531 Y1 KR870003531 Y1 KR 870003531Y1 KR 2019850006899 U KR2019850006899 U KR 2019850006899U KR 850006899 U KR850006899 U KR 850006899U KR 870003531 Y1 KR870003531 Y1 KR 8700035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om
drum
cam
north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68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0727U (ko
Inventor
정원일
Original Assignee
정원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원일 filed Critical 정원일
Priority to KR20198500068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3531Y1/ko
Publication of KR8700007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7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35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5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18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40Shuttle stop mo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5/00Looms with automatic weft replenishment
    • D03D45/02Controlling replenishment
    • D03D45/04Pirn feelers or other detectors for initiating replenishment
    • D03D45/12Pirn feelers or other detectors for initiating replenishment optical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18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44Automatic stop motions acting on defective operation of loom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2700/00Auxiliary apparatus associated with looms; Weavening combined with other operations; Shuttles
    • D03J2700/06Auxiliary devices for inspecting, counting or meas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직기의 북운동 감시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도(불량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수광기와 캠등이 직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이 장착된 직기의 일부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 캠과 마이크로스윗치의 작동상태 측면도.
제5도는 바디와 샷틀레이스가 결합된 생태의 단면도.
본 고안은 북의 운동을 정밀하게 감시하여 북이 비정상운동을 할때는 지체없이 직기를 정지시키도록 한 북운동 감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직기의 북은 스틱의 타력등 여러가지 원인에 의하여 종종 비정상운동을 하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비정상운동으로 북이 날줄 사이에 걸려 있을때 바디가 북을 치면 수많은 날줄이 끊어지고 직기자체에도 무리가 가므로 직기의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바디의 안전키가 직접 직기의 몸체와 충돌하여 강제로 바디의 운동을 중지시키는 방법등이 있었으나 충돌시의 충격이 지나치게 커 직기를 손상시키는 폐단이 있어 현재에는 별로 사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바디크랭크샤프트에 축설된 캠이 필러박스와 연결된 릴레이스윗치를 작동시키는 순간 북이 수광기의 광원을 차단하여 릴레이스윗치로 흐르는 전류를 끊어주므로서 직기가 정지되지 않도록하고 만일 북이 비정상운동을 하여 적시에 수광기의 광원을 차단하지 못하면 릴레이스윗치를 통과한 전류가 필러박스를 작동시켜 직기가 정지되도록 한 것으로서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직기(1)의 양측북집(2) 입구에 발광램프(3)와 통상의 수광기(4)를 착설하고 수광기(4)는 "제1도"에서와 같이 수동스윗치(5)와 마이크로스윗치(6)를 통하여 필러박스(7)와 연결하였으며 필러박스(7)는 마그넷트박스(15)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였다.
마이크로스윗치(6)의 작동롤러(8)는 보텀샤프트(bottom shaft)(9)에 축설된 캠(10)과 당접하고 작동롤러(8)가 캠(10)의 요홈(11)에 접하면 마이크로스윗치(6)는 ON상태가 되고 요홈(11)을 이탈하면 off 상태가 된다.
캠(10)의 요홈(11)은 북이 정상적인 운동으로 수광기(4)위를 통과하는 순간에 롤러(8)와 접하도록 형성하였다.
즉 바디크랭크 샤프트(12)가 일회전 하면 바디(13)가 한번 왕복하고 북은 한쪽 북집(2)에서 반대쪽의 북집으로 이동하고 그림 1에서와 같이 수평선을 0로 하여 출발한 바디크랭크샤프트(12)가 110회전할때 북이 반대쪽으로 출발하고 230에서 반대편 북집(2)에 도착하므로 대체로 바디 크랭크샤프트(12)가 210일때 북이 수광기위를 통과하는 것이 정상이다.
(이는 기계마다 다소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바디크랭크샤프트(12)가 210일때 캠(10)의 요홈(11)이 롤러(8)와 접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이는 필요에 따라 다소 조정할 수 있으며 캠(10)의 요홈(11)은 반대로 돌설하여 돌기를 형성하여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미설명부호 (14)는 마그넷트박스 (15)의 제어레버 (16)은 운전핸들 (17)은 바디(13)를 샷틀레이스(18)에 탄설하기 위한 스프링 (19)는 샷틀레이스(18)내에 요설된 스프링집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북이 정상운동을 하면(바디크랭크샤프트가 210일때 수광기위를 북이 통과하면) 직기가 정지하지 않는다.
즉 롤러(8)가 캠(10)의 요홈(11)에 접하지 않을때는 마이크로스윗치(6)가 off 상태이므로 발광램프(3)에 의하여 수광기(4)에서 발생한 약전류는 마이크로스윗치(6)에 의하여 차단되어 (수동스윗치(5)는 기계가 정상가동시 항상 ON 위치에 둔다)필러박스(7)로 흐르지 않으며 캠(10)이 보텀샤프트(9)와 함께 회전하여 작동롤러(8)가 캠(10)의 요홈(11)에 접하고 마이크로스윗치(6)가 ON 상태가 될때는 북이 수광기(3)위를 통과하므로 발광램프(3)의 빛이 차단되어 수광기(4)로부터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필러박스(7)가 작동하지 않고 따라서 직기는 계속 가동된다.
그러나 북이 이상운동을 하면(정상보다 빠르거나 늦게 수광기위를 통과하면) 작동롤러(8)가 캠(10)의 요홈(11)과 접하여 마이크로스윗치가 ON상태가 되어도 북이 발광램프(3)의 빛을 차단하여 주지 않으므로 발광램프(3)에 의하여 수광기(4)에서 발생한 약전류가 수동스윗치(5)와 마이크로스윗치(6)를 통하여 필러박스로 흐르고 필러박스(7)가 작동하여 모터(20)에서 인입되는 메인파워전류를 마그넷트박스(15)로 흐르게 하므로 제어레버(14)가 작동하여 운전핸들(16)을 정지위치로 밀어 직기(1)를 정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직기(1)가 정지할때는 이미 작동롤러(8)가 요홈(11)을 이탈하고 마이크로스윗치(6)가 다시 off되어 필러박스(7)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기 때문에 직기(1)가 정지중에는 수광기(4)에서 전류가 발생하여도 제어레버(14)가 다시 작동하지 않으며 직기(1)를 재가동시킬때는 일단 수동스윗치(5)를 off시킨후 가동시키고 직기가 정상 속도로 가동되면 즉시 수동스윗치(5)를 ON상태로 하여 주므로서 가동초기의 저속 때문에 본 고안 감시장치가 불필요하게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북이 정확히 수광기(4)위를 통과하지 않으면 지체없이 직기가 정지하므로 북이 정상궤도를 이탈하여 날줄 사이에 걸리는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스틱파워나 날줄의 장력등을 점검 조정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 북이 날줄에 걸리는 사고가 발생하여도 북이 북집을 출발하여 반대쪽 북집에 도착하는 시간은 약 0.2초이고 본 고안은 이 0.2초 이내에 한번씩 이상 유무가 확인되어 이상이 있으면 직기가 정지하므로 바디크랭크 샤프트(12)의 일회전 시간이 통상적으로 약 0.5초임을 감안하면 사고 발생후 바디크랭크 샤프트(12)가회전이내에서 정지하므로 바디가 북을 치거나 날줄이 끊어지는 일이 없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북의 비정상운동으로 인한 날줄의 절사를 방지하여 많은 인력과 시간을 절감하고 불량품발생을 방지하여 북과 바디의 충돌로 인한 충격 때문에 부품이 파손되고 직기의 수명이 단축되는 폐단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수광기(4)와 필러박스(7)를 마이크로스윗치(6)로 연결하고 요홈(11)이 형성된 캠(10)을 보텀샤프트(9)에 축삽하여 작동롤러(8)와 당접케 하되 북이 정상 운동으로 수광기(4)위를 통과할때만 마이크로스윗치(6)가 ON상태가 되도록 요홈(11)의 위치를 정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북운동 감시장치.
KR2019850006899U 1985-06-07 1985-06-07 직기의 북운동 감시장치 KR8700035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6899U KR870003531Y1 (ko) 1985-06-07 1985-06-07 직기의 북운동 감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6899U KR870003531Y1 (ko) 1985-06-07 1985-06-07 직기의 북운동 감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727U KR870000727U (ko) 1987-02-20
KR870003531Y1 true KR870003531Y1 (ko) 1987-10-16

Family

ID=19242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6899U KR870003531Y1 (ko) 1985-06-07 1985-06-07 직기의 북운동 감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353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727U (ko) 1987-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286589A (en) Blade grabber for band saws
US2661780A (en) Automatic magnetic brake for band saws
KR870003531Y1 (ko) 직기의 북운동 감시장치
NO155426B (no) Drivanordning for gulvbehandlingsapparat.
KR850001578B1 (ko) 유체분사식 직기에 있어서의 불량위사 처리방법
US4470435A (en) Selvedge cutting device for a weaving machine
EP0820081B1 (fr) Procédé de protection de défaillance d'un disjoncteur
US630151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the cutting function of a thread cutter driven by an electric motor in looms
US2819737A (en) Weft stop motion for weaving looms
US4177838A (en) Stop motion system for high speed looms and the like
US4461415A (en) Device for breaking at least one continuous rod in a machine for making products for smokers
US2977996A (en) Weft control mechanism
US2142551A (en) Emergency cut-out switch for well pumping mechanism
KR970015820A (ko) 직물검사기(검포기, INSPECTING MACHINE)에 부착된 무북직기(Shuttlessloom)용 변사(selvage YARN)처리장치
US3059309A (en) Slasher control
FR2540899A1 (fr) Dispositif casse-trame de metier a tisser
US5940945A (en) Shed insertible sensor for dividing-shed formation on a sectional warping machine
US3734144A (en) Weft inserter drive means safety device of a shuttleless loom
US3098367A (en) Control system for warp knitting machine
US1341020A (en) Rotary circuit-interrupter
US2495501A (en) Means for detecting caught threads in circular looms
KR810001873Y1 (ko) 사단포착사(絲端捕捉絲)의 이상 검지장치
JPH0680222B2 (ja) 無杼織機における緯糸切断装置
US2620834A (en) Loom for weaving tufted pile fabrics
KR840000090Y1 (ko) 링방적기의 사절 조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