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3108Y1 - 선박용 타(舵)받침 - Google Patents

선박용 타(舵)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3108Y1
KR870003108Y1 KR2019850001859U KR850001859U KR870003108Y1 KR 870003108 Y1 KR870003108 Y1 KR 870003108Y1 KR 2019850001859 U KR2019850001859 U KR 2019850001859U KR 850001859 U KR850001859 U KR 850001859U KR 870003108 Y1 KR870003108 Y1 KR 8700031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rudder
height
ship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18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0680U (ko
Inventor
왕영효
박용철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정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정몽준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018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3108Y1/ko
Publication of KR8600106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06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31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108Y1/ko

Links

Landscapes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선박용 타(舵)받침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조의 단면 설명도.
제2도는 종래 구조의 단면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타받침 8 : 수직 베어링
10 : 패킹 11 : 그랜드
본 고안은 선박의 조타장치중 타축(舵軸 : RUDDER STOCK)을 받쳐 직접 하중을 지지 해주는 타받침(RUDDER CARRIER)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타받침으로 사용되고 있는 구조는 제2도와 같이 타축(1)의 회전시 타축과 같이 고정된 스플리트(SPLIT)베어링 링(2)도 같이 돌게되며, 베어링(3)(3')의 부위에서 실지 하중 받게되는 것이나 부시(BUSH)(4) 하단부위(5)의 갭으로 인하여 해수가 침수될 우려가 있고 또한 스티어링 기어룸(STEERING GEAR ROOM)의 플래트(FLAT)(6)위에 설치되어 있음으로 상대적으로 타축의 길이도 그위로 올라간만큼 길어져야하고 기어룸 내의 기기 배치도 난이하며, 그 안에 모든 기기를 점검하기 위해서 높이가 높으므로 따로 발판인 그레이팅(GRATING)을 설치해야 하므로 그 설치에 따른 부재가 많이 소요되어 비경제적이고 점검 작업이 불편하다.
그러나 타축의 길이를 짧게하기 위하여 타받침만 단순히 높이를 낮추게된다면 수직베어링의 길이가 짧아 타축을 충분히 잡아주지 못함으로 외부 충격에 대한 안전도가 낮고 그 구조 조립과 분해가 복잡해진다.
본 고안은 타받침의 높이를 최대로 낮추되 수직 베어링의 길이는 안전치로 유 되게하며, 하부 패킹 장치식으로서 수밀을 기함과 동시 타받침을 기어룸 플래트아래에 설치되게하여 기어룸 내의 기기배치를 용이하게하며, 별도의 그래이팅이 없어도 보수점검이 용이하게 한 것으로서 그 요지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타받침(7)의 높이를 낮추되 수직 베어링(8)의 높이는 안전치를 유지되게 하며, 부시(9)와 타받침의 하단에 패킹(10)을 끼워 글랜드(GLAND(11)로서 수밀되게 고정시킨 구조로서 스티어링 기어룸 플래트(12)의 아래에 설치되게 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3은 타축, 14는 스플리트베어링, 15는 수평하중 베어링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하부 수직베어링의 길이는 안전치를 유지하며, 타받침의높이는 낮아져서 받침자체 또 상대적으로 타의 규격이 축소되는 것인데, 이것은 선박에 사용되는 일부 부품이라 할지라도 그 기능상 중량은 큰 것이므로 목형 주물 기타 자재절감을 기할 수 있어 원가 절감을 기하며, 선박의 무게를 감량시킴으로 그만큼 많은 하물을 적재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패킹 장치식으로서 조립분해가 간단하며, 보수점검이 편리하고 수밀을 기하여 기기의 손상을 방지하였고, 타받침이 기어룸 플래트 아래에 설치되어 있음으로 기어룸 내의 기기 배치가 용이하며 별도의 그래이팅이 필요없음으로 역시 자재절감과 작업을 단순하고 능률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타받침의 높이를 낮춘만큼 타축지지 및 충격에 대한 안전도 문재를 설시하면, 타받침(RUDDER CARRIER)이란 타와 타축의 무게를 지지하고 타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위한 하나의 베어링으로서 종래의 방법인 제2도에서 타받침의 높이가 높은 것은 "A"(PACKING GLAND)가 S/G(STEERING GEAR) 플래트(FLAT)에서 조작가능토록 하기 위해 "B"의 높이가 필요하였고 이로인해 타받침의 높이가 높아진 것인데 본 고안은 제1도와 같이 종래의 A를 S/G플래트 아래쪽으로 옮기므로서 낮아진 것이며 제1도의 수직베어링(8) 높이를 낮춘 것은 아니며 수직베어링이 받는 힘은 타에서 작용한 힘의 10% 밖에 적용치 않는다는 선급규정(DNV Pt3 Ch3 Sec 2의 402항)이 있으므로 수직베어링의 유효길이 (안전치)는 타축 (RUDDER STOCK)직경의 70%이면 허용범위에 들게 되는 것이다.
(참고 : DNV : 노르웨이 선급협회)
일레의 계산(수직 BEARING의 경우), 타받침에 작용하는 REACTION FORCE(RFC), RFC=0.1RF(RF=RUDDER FORCE), RUDDER FORCE=14.47 AV2(A=타면적, V=배의 속력) 마찰계수를 적용한 수직 BEARING의 REACTION FORCE RFC'=μxRFC=0.2RFC(μ=마찰계수=0.2) 수평베어링에 작용하는힘은 종래의 베어링이나 본 고안의 베어링이 동일하다.
따라서 타받침을 낮추므로 인한 타축의 지지 및 충격에 대한 안전도는 종래의 타받침이나 본 고안의 타받침이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타받침이 낮아져 타와 가깝다고 해서 타받침이 충격을 더 받는다거나 하중을 더 받는 상태는 아니고 이는 일반 화물선을 건조하는 국내 조선사에 모든 타계 장치가 특별한 장치를 쓰고 있지 않기 때문이며 특별한 경우는 특별한 설계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타받침의 개량으로서 선박설계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타받침(7)의 높이를 낮추되 수직 베어링(8)은 안전치 이상의 높이를 유지하며 부시(9)와 타받침의 하단에 패킹(10)을 끼워 글랜드(11)로 수밀되게 하여 기어룸 플래트(12)의 아래에 설치되게 한 선박용 타(舵)받침.
KR2019850001859U 1985-02-25 1985-02-25 선박용 타(舵)받침 KR8700031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1859U KR870003108Y1 (ko) 1985-02-25 1985-02-25 선박용 타(舵)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1859U KR870003108Y1 (ko) 1985-02-25 1985-02-25 선박용 타(舵)받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0680U KR860010680U (ko) 1986-09-08
KR870003108Y1 true KR870003108Y1 (ko) 1987-09-19

Family

ID=19240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1859U KR870003108Y1 (ko) 1985-02-25 1985-02-25 선박용 타(舵)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310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6007A (ko) * 2013-12-05 2015-06-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러더 캐리어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선박
KR20160011981A (ko) * 2014-07-23 2016-02-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러더 캐리어 조립체
KR102006403B1 (ko) * 2018-04-09 2019-10-01 주식회사 파커이엔지 러더 캐리어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러더스톡 지지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6007A (ko) * 2013-12-05 2015-06-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러더 캐리어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선박
KR20160011981A (ko) * 2014-07-23 2016-02-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러더 캐리어 조립체
KR102006403B1 (ko) * 2018-04-09 2019-10-01 주식회사 파커이엔지 러더 캐리어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러더스톡 지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0680U (ko) 1986-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9301776L (sv) Marin drivanordning med två motroterande, ytarbetande propellrar
BR8603099A (pt) Estrutura de apoio e embarcacao flutuante compreedendo essa estrutura
KR870003108Y1 (ko) 선박용 타(舵)받침
KR840007084A (ko) 승유관 지지장치
US4958805A (en) Windlass for offshore structures
ES2003555A6 (es) Perfeccionamientos en un sistema de amarre
US5310067A (en) Compensating crane and method
GB1378989A (en) Outrigger for a material handling apparatus having a jack system
KR840001928A (ko) 데리크 크레인
US3718378A (en) Tail-shaft bearing assembly
KR840002313A (ko) 유체 이송용 싱글-포인트 계류 시스템
KR102006403B1 (ko) 러더 캐리어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러더스톡 지지구조
US5797703A (en) Elevating unit for use with jack-up rig
KR890009179Y1 (ko) 선박용 타받침
JPS6448725A (en) Unloader
US5975806A (en) Elevating unit for use with jack-up rig
NO761904L (ko)
SU1244406A1 (ru) Опорный подшипник судового валопровода
GB1224690A (en) Sailing boat with improved mast structure
JPH10316094A (ja) 舵頭軸の支承構造
SU296361A1 (ru)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а поворотного стола
SU123608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дъема длинномер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SU1334285A1 (ru) Вертикальна электрическа машина
CN114228934A (zh) 一种可以调节高度的船舶用鳍板装置
JPS5855119Y2 (ja) マリ−ナ型の舵装置における舵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9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