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2613Y1 - 곡선 에스컬레이터 - Google Patents

곡선 에스컬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2613Y1
KR870002613Y1 KR2019840002467U KR840002467U KR870002613Y1 KR 870002613 Y1 KR870002613 Y1 KR 870002613Y1 KR 2019840002467 U KR2019840002467 U KR 2019840002467U KR 840002467 U KR840002467 U KR 840002467U KR 870002613 Y1 KR870002613 Y1 KR 8700026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us
guide track
chain
curvatur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24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7597U (ko
Inventor
히로시 나까다니
마꼬도 도미도꼬로
히로시 요시까와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덴끼 가부시기가이샤
가다야마 니하찌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덴끼 가부시기가이샤, 가다야마 니하찌로오 filed Critical 미쯔비시덴끼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8400024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2613Y1/ko
Publication of KR8500075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75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26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6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0Kinds or typ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2Escalators
    • B66B21/06Escalators spira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0Kinds or typ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2Escalator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곡선 에스컬레이터
제1도는 본원 고안이 적용되는 곡선 에스컬레이터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곡선 에스컬레이터의 평면도.
제3도는 평면으로 나타낸 계단로의 여러가지 곡율반경을 나타낸 도면.
제4도는 본원 고안의 스텝을 기하학적으로 설명한 도면.
제5도는 본원 고안에 의한 곡선 에스컬레이터의 구동 및 안내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제6도는 본원 고안에 의한 곡선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및 안내장치의 측면도.
제7도는 본원 고안에 의한 곡선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및 안내장치의 평면도.
제8도는 본원 고안에 의한 곡선 에스 컬레이터의 구동체인 기어의 측면도.
제9도는 본원 고안에 의한 곡선 에스컬레이터의 연결평판을 나타낸 도면.
제10도는 곡선 에스컬레이터의 다른 실시예의 안내장치를 나타낸 도면.
제11도는 제10도의 실시예의 스텝과 구동 및 안내장치를 나타낸 도면.
제12도는 제10도의 곡선 에스컬레이터의 실시예의 스텝 및 안내장치의 평면도.
제13도는 제10도의 실시예의 반전부의 측면도.
제14도는 본 에스컬레이터의 구동 및 안내기구를 나타내는 본원 고안의 에스컬레이터의 제3실시예의 단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및 안내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
제16도는 제14도의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및 안내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
제17도는 제14도의 에스컬레이터의 반전부의 부분 측면도.
제18도는 본원 고안에 의한 곡선 에스컬레이터의 제4실시예의 수평랜딩부 및 내측 반전부의 부분 측면도.
제19도는 제18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제18도의 곡선 에스컬레이터의 외측의 입면도.
제20도는 본원 고안의 곡선 에스컬레이터의 반전부에 있어서 구동 및 안내기구를 나타내는 제18도 XX-XX선에 의한 단면도.
제21도는 하중운반 및 귀환운전부분의 단면을 나타내는 제18도 XXI-XXI선에 의한 단면도.
제22도는 본원 고안에 의한 곡선 에스컬레이터의 부채꼴스텝의 치수를 나타낸 도면.
제23도는 본원 고안의 스텝에 대한 조정트랙의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
제24도는 본원 고안의 곡선 에스컬레이터의 랜딩 및 반전부에 있어서 일련의 스텝을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
본원 고안은 에스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평면상으로 원호형태의 계단로를 구비한 곡선 에스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대표적인 원형 또는 곡선 에스컬레이터는 일련의 스텝이 이동해가는 계단로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계단로는 에스컬레이터의 상단 및 하단끝부분에 수평으로 이동하는 랜딩(landing)부를 포함하여 그 전체길이를 통해서 평면상으로 곡선 또는 원형의 일정한 반경을 가지고 있다. 이 계단로는 스텝에 설치된 여러가지 롤러들을 지지하고 안내하는 안내트랙에 의해서 형성된다. 원형으로 된 계단로의 외측에 있는 안내트랙과 내측에 있는 안내트랙은 경상도가 서로 다르다. 그러므로, 앞에 설명한 에스컬레이터에서와 같이 일정한 곡율반경의 안내트랙에 있어서 이 스텝을 구동체인에 연결시키는 스텝축의 축선들간의 거리는 상단이나 하단의 수평랜딩부와 경사져 있는 중간부 사이의 전이부(轉移部)에 있어서와 같이 경사각도가 변화하는 여러 위치들에 있어서도 이 스텝의 외측과 내측의 스텝의 각속도(角速度)가 동일하도록 여러가지로 변화될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은 본 곡선 에스컬레이터에 있어서 복잡하고도 값이 비싼 구동 및 안내장치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원 고안의 주목적은 구조상 단순하고 저렴하며, 상기 문제를 해소한 곡선 에스컬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조상 단순하고 콤팩트한 곡선 에스컬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단순하고 콤팩트한 반전부(反轉部)를 구비한 곡선 에스컬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 고안은 엔드레스(endless) 벨트와, 이 엔드레스 벨트에 설치된 부채꼴 모양의 복수의 스텝과, 이 스텝이 이동해 가는 계단로를 따라서 하나의 루프(loop)형으로 설치된 엔드레스벨트의 구동수단과, 스텝에 설치된 회전 가능한 복수의 안내롤러 및 계단로를 따라서 배설되어 이롤러를 안내하는 안내트랙을 구비한 엔드레스벨트를 루프형으로 안내하며 지지하는 안내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곡선 에스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에스컬레이터에 설치된 계단로는 예를들면 평면상에 있어서 원호(圓弧)형태를 이루고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며, 곡선을 이루고 있다. 이 계단로는 상단 및 하단의 수평랜딩부와, 소정의 경사각이 일전한 중간부와, 상단 및 하단의 랜딩부와 중간 경사부 사이에 있는 전이부로 이루어진다. 평면상으로 본 안내트랙은 경사도가 일정하면 평면곡율반경이 일정하고, 상기 계단로의 경사각이 변화하는 부분(전이부)에 있어서 경사각의 증가에 대응하여 평면곡율반경이 감소하고, 경사각의 감소에 대응하여 평면곡율반경이 증가한다.
이와 같은 배치로서 부채꼴 모양의 스텝의 외연과 내연의 각속도가 서로 동일하게 되며, 이 스텝축간의 거리를 변화시키기 위한 복잡한 기구로 스텝체인을 장치할 필요가 없게 되어 보다 간편하고 저렴한 곡선 에스컬레이터의 구조를 가져오게 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원 고안이 적용되는 대표적인 곡선 에스컬레이터를 도시하고 있다. 이 곡선 에스컬레이터는 나선형의 일반적인 배열형대를 이루고 있으며, 평면상으로 볼 때 원호형태로 연결되어 있고, 수직으로 분리되어 있는 2개의 끝부분을 갖추고 있다. 이 에스컬레이터는 다음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엔드레스벨트(12)(제5도-제9도 참조)와 구동 및 안내장치(제5도-제9도 참조)가 설치된 주프레임(10)을 갖추고 있다. 이 에스컬레이터는 또한 앤드레스벨트(12)에 연결된 복구의 스텝(14)으로 이루어져 있다. 스텝(14)은 부체꼴 모양을 이루고 엔드레스벨트(12)를 따라 이동한다. 이 곡선 에스커레이터는 평면상으로 원호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수평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있는 중간부(16)를 포함하고 있다. 이 중간부(16)은 하중을 운반하는 엔드레스벨트 형태로 되어 있는 스텝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이 중간부(16)의 상단과 하단의 양쪽 끝부분은 상단 및 하단의 전이부(18),(20)을 통해서 대략 수평으로된 상단 및 하단의 렌딩부(22),(24)에 각기 연결되어 있다. 전이부(18),(20)은 경사진 중간부(16)와 수평으로 된 랭딩부(22),(24)를 원활하게 연결시키며, 이 전이부(18),(20)이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경사각을 갖도록 하여 원활하게 연결된다. 수평으로 된 랜딩부(22),(24)는 양쪽 가장 끝부분에서 엔드레스벨트(12)가 그 이동방향을 변경하여 하중 운반운행으로부터 반대방향의 귀환운행으로 바뀌는 곳에 반전부(26),(28)을 갖추고 있다.
이 곡선 에스컬레이터는 그 양쪽에 핸드레일(30)을 갖춘 난간(29)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3도는 본원 고안의 곡선 에스컬레이터의 평면배열 형태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제3도에 있어서 원호 A0-A1-A2-A3-A4-A5-A6-A7은 이 곡선 에스컬레이터의 외연상에 있는 구동롤러를 안내하기 위한 외측안내트랙을 표시하고 있으며, 원호B0-B1-B2-B3-B4-B5-B6-B7은 내연측의 안내롤러를 위한 내측안내트랙을 표시하고 있다. 뒤에 설명하지만 이 외측 및 내측의 안내트랙은 구동체인에 부채꼴 모양의 스텝을 연결시키는 스텝축의 외측 및 내측의 각 끝부분에 장치된 구동롤러를 그곳에서 회전시키기 위하여 안내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원호 A0-A2및 A5-A7는 곡율반경이 R1인 외측 안내트랙의 상하단의 수평부이며, 원호 B0-B2및 B5-B7은 곡율반경이 R2인 내측안내트랙의 상하단의 수평부이다. 상단부트랙의 중심은 0이며 하단부 트랙의 중심은 0"이다. 원호 A2-A3및 A4-A5는 외측안내트랙의 상하단의 전이부이며, 원호 B2-B3및 B4-B5는 내측안내트랙의 상하단의 전이부이다. 이들원호는 곡율반경이 변동되며, 이들의 중심도 역시 0또는 0"로부터 0'까지 변동된다. 원호 A3-A4및 B3-B4는 외측 및 내측의 안내트랙이 각기 일정한 경사도를 가지고 있는 부분이며, 이들은 공동 중심0'을 가지면서 곡율반경이 R11) 및 R22)로 일정하다. 상하단부의 바닥판의 빗살무늬의 미끄럼 방지인 평판 끝부분위 위치는 선 A1-B1와 A6-B6에 의해서 각기 표시되었으며, 부채꼴 모양의 스텝은 안내레일을 따라서 하중 운반운전에서 귀환운전으로 체인기어와 맞물려 있는 구동체인에 의해서 A0-B0및 A7-B7의 외측에서 반전하여 돌아온다. 귀환운전에 있어서 외측 및 내측안내레일의 형면상의 곡율반경도 역시 점진적으로 수평부로부터 일정 경사부로 감소한다.
제4도는 본원 고안의 스텝 구성의 원리를 나타내며, 인접된 스텝의 스텝축이 롤러체인이나 링크체인에 의해서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이 스텝을 기하학적으로 여기에 도시한다.
상하단의 수평부에서 스텝 윗면은 인접하고 있는 스텝간에 높이의 차이로 인하여 겹쳐지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사다리꼴인 ABCD의 부채꼴 모양으로 고안될 수 있다. 일정한 경사부에 있어서 스텝의 노출된 표면은 계단의 내연과 외연에 상응하는 부분에 있어서 경사각도가 각각 θ1' 및 θ2'일때, AB'C'D이다. 그러므로 인접 스텝간의 겹쳐진 부분은 BB'C'C이다. 이와 같이 연결된 스텝의 노출된 표면은 나란히 놓인 상태에 있는 하나의 평면상에 위치된 다수의 사다리꼴 AB'C'D로 구성된 다각형 AB'EF……DC'GH이다. 다각형의 외연이 있는 AB'EF를 연결하고 있는 외접원의 반경이 R1'(θ1')이고, 같은 다각형의 내연에 있는 DC'GH를 연결하고 있는 외접원의 반경이 R2'(θ2')이면, 다음 방정식이 증명된다. θ1'=θ2'=0일때 상기 다각형의 외연 및 내연상의 외접원의 반경은 각기 R1' 및 R2'이며, 원호 AB=11이고, 원호 CD=12이다.
방정식(3),(4)사이의 스텝이 누락되어도 방정식(4)가 대략 0.01%의 정확성으로 근사치를 나타낸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그러므로, 외측 안내트랙의 반경은 아래와 같이 되지 않으면 안된다.
그리고, 내측안내트랙의 반경은 아래와 같이 되지 않으면 안된다.
이와 같이, 외측 및 내측안내트랙의 경사각이 각기 θ1및 θ2이며, 스텝이 경사도가 일정한 중간부에서 지지되고 안내된다고 생각할 때 원형안내트랙은 곡율반경 R11) 및 R22), 그리고 중심 0'를 갖는다.
이들 스텝이 상하단부의 수평부에서 안내된다고 생각할 때 이들 스텝을 안내하는 안내트랙은 곡율반경 R1및 R2, 중심이 0나 0"이다. 중간부내에서는 경사가 일정하므로 안내트랙의 곡율 반경은 또한 일정하고, 상하단의 전이부내에서의 안내트랙의 곡율 반경은 θ1및 θ2의 변화에 따라 방정식(5),(6)에 의하여 변화한다.
제5도 내지 제9도는 본원 고안의 곡선 에스컬레이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에스컬레이터는 제1도에 도시한 엔드레스 벨트(12)를 구성하고 있는 외측구동체인(32) 및 내측구동체인(34)을 갖추고 있다.
외측 및 내측구동체인(32),(34)는 각 스텝(14)에 설치된 스텝축(36)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스텝축(36)의 각 끝부분에는 회전 가능한 구동롤러(38)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롤러(38)은 본 에스컬레이터의 주프레임(10)이나 트러스상에 고착되어 있는 외측 및 내측안내트랙(40),(42) 위에 지지되어 안내된다. 스텝(14)은 또한 종동(從動)롤러(44)가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또 다른 하나의 축을 가지고 있다. 이 종동롤러(44)는 또 주프레임(10)에 고착되어 있는 안내트랙(46),(48)에 의해서 지지되어 안내된다.
제5도 내지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 생략된 부속장치를 통해서 부채꼴 모양의 스텝(14)을 지지하고 있는 스텝축(36)은 하중 운반운전에서 외측구동롤러(38)가 내측구동롤러(38)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끝부분이 엇갈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각 구동롤러(38)을 지지하고 안내하는 안내트랙(40),(42)는 또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한다. 뒤에 상세하게 설명될 구동기구에 의해서 움직이는 외측 및 내측체인(32),(34)는 스텝(14)이 안내트랙(40),(42)를 따라 구동되도록 한다. 안내트랙(46),(48)위에 있는 종동롤러(44)는 이들이 엔드 레스벨트의 하중운반운전 및 귀환운전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 스텝(14)의 바람직한 수평적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구동롤러(38)의 아래 안쪽에 설치되어 구동롤러(38) 및 안내트랙(40),(42)의 안내기능과 협동하여 그 기능을 발휘한다. 외측안내트랙(40),(46), 그리고 내측안내트랙(42),(48)은 본 에스컬레이터의 경사도와 곡율반경 사이의 상술한 관계에 따라서 배열되어 있다.
즉, 이것은 안내트랙이 경사각의 증가에 대응하여 평면곡율 반경이 감소하고, 경사각의 감소에 대응하여 평균곡율 반경이 증가하며, 결과적으로 스텝축(36)은 외측 및 내측구동체인(32),(34)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스텝(14)은 또한 이 에스컬레이터의 주프레임(10)에 고착되고 중심에 배치된 안내트랙(52)와 서로 결합되어 있는 안내슈(shoe)(50) 또는 안내차륜을 갖추고 있다. 이 안내슈(50)은 스텝(14)의 측면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트랙(52)을 따라 움직이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스텝(14)은 트레드(tread)(54)와 라이저(riser)(56)로 이루어지며, 이트레드 및 라이저는 트레드(54) 위에 클리트(cleat)(도시되지 않음)와 맞물려 있으면서 트레드(54)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클리트(표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에스컬레이터의 앤드레스벨트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는 구동체인(60)을 구동시키는 전기모터(58)와 체인기어(62),(64)로 이루어지며, 제8도에 구동장치와 함께 앤드레스 벨트의 반전부를 도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및 내측구동체인(32),(34)은 각기 대 및 소체인기어(62),(64)에 감겨 있다. 외측구동체인(32)과 결합되어 있는 대체인기어(62)의 피서치클은 엔드 레스벨트의 수평 랜딩부의 체인의 교율 반경비를 R1" 및 R2"에 의해서 결정된 양만큼 내측구동체인(34)과 결합하고 있는 소체인기어(64)의 피서클 보다 크다. 그러므로, 외측 및 내측체인(32),(34)는 동일하고도 일정한 각속도로 구동되는 것이 확실하다.
이 곡선 에스컬레이터의 하단반전부에 외측 및 내측구동체인을 안내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된 장치와 비슷한 치수로 되어 있는 대 및 소종동체인기어를 갖추고 있다는 절이 주목된다. 2개의 하단 종동체인기어는 체인을 긴장시키는데 따라서 관절트랙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이동가능한 플랫폼에 설치되어 이 체인에 소정의 소요 인장력을 가한다. 그러한 체인긴장기의 배치는 이 기술분야에서 이미 알려져 있는 하나의 종래의 방법이다.
앤드레스벨트의 반전부에서 스텝축(36)은 하나의 절단된 원추형면 위에 기어축(도시되지 않음)을 회전시키고 있다.
외측 및 내측체인기어(62),(64)의 곡율 반경이 각기 r1및 r2이고, 수평부내에 있어서 외측 및 내측체인의 곡율반경이 각기 R1" 및 R2"일때 스텝축(36)의 끝부분의 위치간의 수직거리 h는 다음의 방정식으로 표시된다.
제7도 및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앤드레스벨트는 스텝축(36)의 외측 및 내측 끝부분에 설치된 외측연결평판(66) 및 내측연결평판(68)을 각기 포함하고 있다. 이 연결평판(66),(68)은 체인연장선 방향에서 이들의 길이가 서로 다르다는 것 이외에는 동일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 제9도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연결평판(68)에는 양끝부에 관통공(70)을 통하여 체인(34)의 끝부분에 있는 체인링크(74) 사이에 있는 핀(72)이 배설된다. 연결평판(68)의 끝부분에 있는 각 관통구멍(70)은 이 구멍(70)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내측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된 점에 주목하여햐 한다. 또 연결평판(68)의 두 관통구멍(70)의 중심거리 a는 외측 및 내측 체인의 피치 p를 정수배한 수치와 같지 않도록 선정한다. 체인의 피치 p를 정수배한 수치와 동일하지 않아야 한다는 이유는 이 에스컬레이터의 실제 설계에 있어서 외측 및 내측구동체인(32),(34) 사이의 폭방향 치수는 원하는 값으로 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동 핸드레일은 이 에스컬레이터의 반전부에 배설된 체인기어로부터 나오는 구동력에 의해서 가동된다. 이 배열은 핸드 레일을 이동시키는 여러가지 속도에 대한 필요성이나 각 속도의 차이가 없어도 계속적으로 핸드레일을 구동시킬 수 있다.
앞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원 고안의 에스컬레이터에 있어서 수평랜딩부, 전이부 및 경사도가 일정한 중간부를 포함한 여러 부분에서 안내트랙을 평면상으로 볼때 곡율반경은 그 위치의 경사각도가 증가하면 평면곡율 반경이 감소하고, 경사각도가 감소하면 평면곡율반경이 증가한다. 또, 상기 배치의 안내트랙은 스텝의 스텝축상에 설치된 구동롤러를 지지하고 안내한다. 이 스텝축은 하중 운반운전 및 귀환운전에서 수평축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한 저렴하고 신뢰할 수 있는 구조물과 인접 스텝간의 치수관계의 제한이 적고, 구조가 간단하게 되므로 이 스텝축을 스텝의 이동을 위한 구동체인에 직접 연결할 수 있다.
제10도 내지 제13도는 본 에스컬레이터의 콤팩트한 반전부를 위해 신규의 개선된 배치가 채택된 본원 고안의 곡선 에스컬레이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2실시예의 곡선 에스컬레이터는 트레드(82),라이저(84) 및 측면(86)이 있는 복수의 스텝(80)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스텝(80)은 이 스텝(80)의 한측면(86)으로부터 대향하는 측면으로 배설된 스텝축(88)에 설치되어 있고, 이의 연장선 끝에 구동롤러(90)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구동롤러(90)은 에스컬레이터 주프레임(96)에 고착된 외측안내트랙(92) 및 내측안내트랙(94)에 의해서 지지되고 안내된다. 주프레임(96)에 고착된 외측 및 내측안내트랙(98)(100)은 스텝(80)에 설치된 종동롤러(102)를 지지하고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이 종동롤러(102)와 이 롤러의 안내트랙(98),(100)은 구동롤러의 안내트랙(92),(94)의 아래 안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제10도에서 알 수 있다.
콘트롤레버암(104)가 스텝축(88)의 외측끝부분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 레버암(104)의 짧은 끝부분은 연결핀(108)을 통해서 외측구동체인(106)에 연결되어 있으며, 레버암(104)의 긴 끝부분은 종동롤러의 외측안내트랙(98)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콘트롤안내트랙(112)를 따라 이동하는 콘트롤롤러(110)를 설치하고 있는 사실에 유의하여야한다. 내측체인(114)은 각 스텝축(88)에 연결되어 있다.
제13도에는 본원 고안 에스컬레이터의 반전부가 도시되어 있다. 반전부는 외측 및 내측체인(106)과(114)이 각기 감겨 있는 대 및 소체인기어(116)과(118)을 포함하고 있다. 전기모터, 구동체인 및 체인기어를 갖추고 있는 구동장치가 배치되어 기어(116),(118)을 구동시키는 것을 또한 알 수 있다.
앞에서도 설명된 바와 같이 스텝(80)은 스텝축(88)을 통해서 곡선계단로의 내부측에서 엔드레스내측구동체인(114)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에스컬레이터의 곡선계단로의 외측은 연결핀(108), 콘트롤레버암(104) 및 스템축(88)을 통해서 외측의 앤드레스구동체인(106)에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13도의 구동장치가 작동할 때 외측 및 내측 구동체인(106),(114)은 여러가기의 안내롤러들을 통해서 지지되고 안내되는 스텝(80)에 있는 안내트랙을 따라서 스텝(80)을 구동시킨다. 외측구동체인(106)에 여결되어 있는 스텝축(88)이 레버암(104)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으므로 계단로의 외측면에 있는 스텝(80)에 대한 외측구동체인(106)의 위치는 다음의 식으로 나타낸 거리 A만큼 스텝(80)의 내측면상에 있는 구동체인(114)의 위치보다 높게 되어 있다.
r2: 소기어(118)의 피치서클반경
R1: 외측구동체인(106)의 중심선의 곡율반경
R2: 내측구동체인(114)의 중심선의 곡율반경
제10도 및 제13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외측구동체인(106)은 대체인기어(116)에서 반전하여 돌아오고, 내측구동체인(114)은 소체인 기어(118)에서 반전하여 돌아오므로, 반전위치에서 외측 및 내측체인위의 한점씩을 연결하는 하나의 직선은 절단된 원추형 표면을 형성하며 회전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본원 고안에 의하면 스텝(80)은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외측 및 내측구동체인(106),(114)에 연결되어 있으며, 스텝(80)에 설치된 종동롤러(102)는 안내트랙(98),(100)에 의해서 지지되고 안내되므로, 이 에스컬레이터의 반전부에 있는 스텝(80)은 원추형면보다는 원주형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조정된다. 또, 이 스텝(80)이 계단로를 따라 이동하므로 조정롤러(110)는 스텝(80)의 측면(86)에 대하여 레버암(104)를 위치상 관계에서 조정할 수 있도록 조정트랙(112)에 의해서 안내된다.
안내트랙(92),(94),(98),(100)은 특히 하중운반운전에서는 정확한 나선형을 형성하여야하며, 정확한 위치에 위치하여야 한다. 그리고, 스텝(80)이 서로 간섭하기 쉬운 안내트랙의 어떠한 위치변동이나 스텝(80) 간에 틈새가 생기면 스텝(80)에 대해사 레버암(104)를 적절하게 이동시키는 조정트랙(112)의 적절한 위치선정은 스텝(80)간에 유지되어온 적당한 위치상의 상호관계를 가지고 스텝(80)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요약하면 본원 고안의 제2실시예의 의해서 평면상 원호형태로 되어 있고 경사져 있는 계단로에 배치된 이 스텝의 내측은 이 스텝에서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치된 스텝축을 통해서 엔드레스내측구동체인에 연결되며, 이 스텝의 외측은 내측구동체인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주축으로 선회 할 수 있는 레버암 위에서 움직이고 있는 연결핀을 통해서 외측구동체인에 연결된다. 또 이 스텝과 연관해서 레버암의 위치는 조정롤러와 이 조정롤러를 지지하고 안내하는 조정트랙에 의해서 조정된다. 그리고, 반전기구는 서로 직경이 다른 체인기어를 감고 있는 외측 및 내측구동체인으로 원주형면을 따라서 이 스텝이 반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원 고안의 제2실시예의 이러한 배치를 가지는 이 곡선 에스컬레이터의 반전기구는 구조상 간단하고 콤팩트하게 되어 있어 주프레임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있다. 또, 스텝간의 간섭현상이나 스텝의 제작 또는 조립에러 때문에 스텝간에 틈새가 생기는 것과 같은 비정상적인 현상들이 이 조정트랙 및 레버암을 통한 조정롤러에 의해서 교정되므로, 이 곡선 에스컬레이터는 정밀하고 믿을만하다.
제14도 내지 제17도는 제10도 내지 제13도에 의하여 설명된 제2실시예와 유사한 본원 고안의곡선 에스컬레이터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4도 내지 제17도에 도시한 곡선 에스컬레이터는 제10도 내지 제13도에 도시한 것과는 조정레버암(120)의 배치가 서로 다르다. 레버암(12)은 한쪽끝부가 스텝(80)의 스텝축(88)의 내측 끝 부분에 고착되어 있고, 다른쪽 끝부분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조정트랙(124)에 의해서 지지되고 안내되는 조정롤러(122)를 갖추고 있다. 내측구동체인(114)은 앞에 설명된 실시예와 같이 A만큼 외측구동체인(106) 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연결핀(126)을 통해서 레버암(12)의 중간지점에 연결되어 있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레버암이 곡선으로 된 계단로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이 배치로 인해서 스탭(80)의 트레드(82)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는 스텝축(88)으로 인해서 스텝(80)의 길이를 작게할 수 있는 부가적인 이점을 얻을 수 있으며, 이것은 트러스나 프레임의 깊이도 작게할 수 있다. 또, 스텝축(88)에 구동롤러(90)이 구동체인(106),(114)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어 교환이나 정비를 위해서 본 에스컬레이터의 반전부에서 구동롤러(90)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제18도 내지 제24도는 본원 고안에 의한 곡선 에스컬레이터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8도는 도시된에스컬레이터의 내측에 있는 반전부를 나타내며, 제19도는 제18도와 같은 곡선 에스컬레이터의 외측에 있는 반전부를 나타낸다. 제20도는 반전기구를 나타내는 제18도의 선 XX-XX에 의한 단면을 도시하며, 제21도는 제18도의 선 XXI-XXI에 의한 에스컬레이터의 단면을 도시한다. 이들 도면에서 본 곡선 에스컬레이터는 외측 안내트랙(13)을 포함하여 여러가지의 안내트랙을 지지하고 있는 주프레임(128)과, 내측 안내트랙(132)과, 한쌍의 종동안내트랙(134),(135)로 구성되어 있다. 스텝축(144)에 의해서 구동롤러(138)를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있는 복수의 부채꼴 모양의 스텝(142)의 적절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이 안내트랙은 구동롤러(138)과 종동롤러(140)을 포함한 이들 각각의 롤러를 지지하고 안내한다. 외측 및 내측의 엔드레스구동체인(146),(148)은 스텝축(144)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외측 구동체인(146)은 제19도의 대체인기어(150)(반경 r1)에 감겨 있으며, 내측구동체인(148)은 제18도의 소체인기어(152)(반경 r2)에 감겨있다. 이러한 상관관계를 제20도에 나타낸다. 이 대소 체인기어(150),(152)는 앞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구동기구에 의해서 가동되는 회전축(154)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제18도 및 제1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142)에서 종동롤러(140)을 안내하는 안내트랙(134)와(135)는 각기 조정부(156),(158)을 갖추고 있다. 이 조정부(156),(158)은 각기 안내트랙(134),(135)과 일체 부분이며, 주프레임(128)에 의해서 견고하게 지지되어 있다. 트랙(156),(158)은 이들 스텝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서 종동롤러(140)을 지지하고 안내하도록 설치된 반전운전안내트랙(134),(135)의 일체부분인 축과 또다른 뱅크트랙(160),(162)을 부분적으로 둘러싼 후에 체인기어(150),(152)의 축을 조금 지난 위치에서 끝난다.
제23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스텝(142)은 트레드(160) 및 라이저(162)를 포함하며, 라이저(162)는 인접 스텝(142)의 반대쪽 끝부분에 구성된 크리트(166)와 맞물러 있는 다수의 크리트(164)를 포함한다.
이들 크리트(164),(166)는 인접 스텝간에 틈새 G를 형성하고, 에스컬레이터의 상단 및 하단 운전에서 맞물러 있는 상관관계로 유지되어 있다. 스템(142)이 계단로의 반전부에 있을때 종동롤러(140)은 롤러(138)에서 스텝(142)이 회전하도록 조정트랙(156),(158) 들에 의해서 소정의 각도θ만큼 안내롤러(138)에 대하여 들어 올려진다.
스텝(142)의 회전운동은 스텝(142)간의 틈새 G가 g만큼 증가되도록 하며, 반전부는 G와 g가 합한 것이 되며, 크리트간에 맞물려 있는 연관관계는 제2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되지 못한다.
이 에스컬레이터의 엔드레스벨트의 반전부에서 제2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단된 원추형면을 따라 스텝(142)이 순조롭게 반전할 수 있도록 하기 의해서 다음의 연관관계가 유지되어야 한다.
r1: r2=R1' : R2'
R1' : 계단로의 중간부 및 수평부에서 내측체인(148)의 평면상 곡율반경
R2' : 계단로의 중간부 및 수평부에서 외측체인(146)의 평면상 곡율반경
r1: 소체인 기어(152)의 반경
r2: 대체인기어(150)의 반경
제2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레스벨트의 수평부에서 내측체인(148)은 곡율반경이 R1'이고, 외측체인(146)은 곡율반경이 R2'이며, 그리고엔드레스벨트의 반전부에서 스텝(142)의 내측에지가 주프레임(128)의 중심선을 향해서 또는 아래쪽으로 이동함으로서 내측체인(148)은 평면상 R1'보다 작은 곡율반경 R1이며, 외측체인(146)은 평면상 R2'보다 작은 곡율반경 R2이다.
본원 고안의 곡선 에스컬레이터의 제4실시예에 의하면 중간부 및 수평부에 있어서 맞물려진 스텝의 크리트는 엔드레스벨트의 반전부에서 맞물린 것이 풀려져서 결과적으로 이 스텝이 단순한 반전기구를 가진콤팩트한 원추형면을 따라 순조롭게 반전하도록 하는 것이다.

Claims (8)

  1. 앤드레스벨트와,
    이 엔드레스벨트에 설치된 부채꼴 모양의 복수의 스텝과,
    소정의 경사각이 일정한 중간부와, 경사각이 영인 수평상의 상, 하단의 랜딩부와, 이 상·하단의 랜딩부를 원활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경사각을 변화시켜 상·하단부에 상기 중간부를 연결시키는 전이부로 구성되는 평면상 곡선의 계단로를 따라서 하나의 루프형으로 설치된 상기 엔드레스벨트를 구동시키는 수단과,
    상기 스텝에 설치된 회전 가능한 복수의 안내롤러와 상기 계단로를 따라서 배치된 안내트랙을 구비한 상기 엔드레스벨트를 루프형으로 안내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곡선 에스컬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안내트랙이 상기 계단로의 경사각이 변화하는 부분(전이부)에 있어서, 경사각의 증가에 대응하여 평면 곡율반경이 감소하고, 경사각의 감소에 대응하여 평면 곡율반경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 에스컬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트랙이 외측안내트랙 및 내측안내트랙을 포함하며, 상기 안내트랙의 상기 곡율반경과 상기 계단로의 상기 경사각과의 관계가 다음 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 에스컬레이터.
    식중, R11) : 임의의 위치에서의 외측안내트랙의 수평곡율반경
    R22) : 임의의 위치에서의 내측안내트랙의 수평곡율반경
    R1: 상·하단의 랜딩부에서의 외측안내트랙의 곡율반경
    R2: 상·하단의 랜딩부에서의 내측안내트랙의 곡율반경
    θ1 : 외측안내트랙의 경사각
    θ2: 내측안내트랙의 경사각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채꼴 모양의 스텝은 다음 식의 동심원호로 되어 있는 외측연 및 내측연을 가지며, 라이저는 스텝의 외측연에서 곡율반경이 R1'이고, 스텝의 내측연에서 곡율반경이 R2'인 절단된 원추형면의 한 부분의 하나의 라이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 에스컬레이터.
    식중, 11: 스텝의 외측연의 원호의 길이
    12: 스텝의 내측연의 원호의 길이
    R1' : 상·하단의 랜딩부의 스텝의 외측연의 곡율반경
    R2' : 상·하단의 랜딩부의 스텝의 내측연의 곡율반경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 스텝은 스텝축을 통하여 상기 안내트랙에 지지되며, 이 스텝축은 엔드레스벨트의 하중지지면에 있어서 외측끝부분이 내측끝부분보다 더 높은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 에스컬레이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레스벨트는 외측 및 내측체인을 포함하며, 상기 스텝축의 상기 끝부분의 높이의 차이는 다음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 에스컬레이터.
    식중, h : 높이의 차이
    r1: 외측체인을 위한 체인기어의 반경
    r2: 내측체인을 위한 체인기어의 반경
    R1" : 랜딩부에 있는 외측체인의 수평곡율반경
    R2" : 랜딩부에 있는 내측체인의 수평곡율반경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및 내측체인은 계단로의 반전부에서 대 및 소체인기어에 각기 감겨지며 상기 스텝은 상기 체인기어의 구동으로 순환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 에스컬레이터.
  7. 제1항과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레스벨트는 상기 곡선계단로의 내측을 따라 배설된 엔드레스내측체인과, 상기 곡선계단로의 외측을 따라 배설된 엔드레스외측체인을 포함하며, 상기 엔드레스벨트의 구동수단은 상기 외측체인이 감겨져 있는 대체인기어와, 상기 내측체인이 감겨져 있는 소체인기어를 갖추고 있는 반전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엔드레스벨트의 안내수단은 스텝의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상기 각 스텝에 장착된 스텝축과, 이 스텝축에 장착되어 상기 안내트랙에 의해서 안내되는 안내롤러 및 종동롤러와, 이 안내롤러 및 종동롤러를 안내하는 안내트랙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텝은 하중운반운전중에 있을때 수평으로 위치하고, 상기 계단로의 반전(反轉) 위치에서 절단된 원추형표면을 따라 반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 에스컬레이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트랙수단은 인접스텝 위에 형성된 크리트를 풀어주기에 충분한 양에 의해서 스텝의 선두 롤러에 대하여 종동롤러를 끌어올리는 안내트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 에스컬레이터.
KR2019840002467U 1984-03-21 1984-03-21 곡선 에스컬레이터 KR8700026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2467U KR870002613Y1 (ko) 1984-03-21 1984-03-21 곡선 에스컬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2467U KR870002613Y1 (ko) 1984-03-21 1984-03-21 곡선 에스컬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597U KR850007597U (ko) 1985-10-15
KR870002613Y1 true KR870002613Y1 (ko) 1987-08-12

Family

ID=19233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2467U KR870002613Y1 (ko) 1984-03-21 1984-03-21 곡선 에스컬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261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597U (ko) 1985-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04696A (en) Curved escalator
US4809840A (en) Curved escalator
US8083048B2 (en) Conveyer apparatus
KR940005950B1 (ko) 에스컬레이터
EP0390631B1 (en) Curved escalator with fixed center and constant radius path of travel
US4883160A (en) Curved escalator with fixed center constant radius path of travel
EP0390632B1 (en) Curved escalator with fixed center and constant radius path of travel
US6454079B1 (en) Variable-speed moving walkway
EP0390630B1 (en) Curved escalation with fixed center and constant radius path of travel
EP0412836B1 (en) Step chain for curved escalator
US4775043A (en) Step for a curved escalator
KR870002613Y1 (ko) 곡선 에스컬레이터
JPH03138295A (ja) 垂直な平らなステップ蹴込み及び一定の水平速度を有するカーブしたエスカレータ
US5009302A (en) Curved escalator with fixed center constant radius path of travel
EP0443039B1 (en) Conveying machine
JPH0133584Y2 (ko)
JPS627113B2 (ko)
JPS58188283A (ja) 螺旋型エスカレ−タ
JPS6240275B2 (ko)
JPS582914B2 (ja) イドウテスリベルトソウチ
JPH0230993B2 (ko)
JPS6160026B2 (ko)
JPH021151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8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