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2379Y1 - 후크-아이 조립체 - Google Patents

후크-아이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2379Y1
KR870002379Y1 KR2019850016629U KR850016629U KR870002379Y1 KR 870002379 Y1 KR870002379 Y1 KR 870002379Y1 KR 2019850016629 U KR2019850016629 U KR 2019850016629U KR 850016629 U KR850016629 U KR 850016629U KR 870002379 Y1 KR870002379 Y1 KR 8700023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eye
fabric
fastener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66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9302U (ko
Inventor
타케오 후쿠로이
기헤이 다카하시
게이이치 이나자와
Original Assignee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111484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41934Y2/ja
Priority claimed from JP709785U external-priority patent/JPS61123720U/ja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filed Critical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93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93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23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3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05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A44B13/0017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made of metal plat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29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 A44B13/0035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using prongs
    • A44B13/0041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using prongs and a backing element on which prongs are bent o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6Button with fastener
    • Y10T24/3691Eye shank type butt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47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 Y10T24/45524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 Y10T24/45545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forming total external surface of projection
    • Y10T24/4555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forming total external surface of projection and encircling hollow central area
    • Y10T24/45555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forming total external surface of projection and encircling hollow central area having separate mounting means inserted into area
    • Y10T24/4556Plastic deformation of means or surface required for mounting

Landscapes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후크-아이 조립체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아이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난 아이를 직물에 부착시키는 파스너의 사시도.
제3도는 직물에 함께 결합되기 전 제1도 및 제2도의 아이 및 파스너의 횡 단면도.
제4도는 직물 위에 견고하게 조립된 제1도 및 제2도의 아이 및 파스너의 횡 단면도.
제5도는 변형된 아이의 사시도.
제6도는 파스너에 의해 직물에 부착되기 전 제5도의 아이의 횡 단면도.
제7도는 다른 변형된 아이의 사시도.
제8도는 정면판이 위를 향하고 있는, 본 고안에 따른 후크의 사시도.
제9도는 배면판이 위를 향하고 있는 제8도의 후크의 사시도.
제10도는 제8도 및 제9도의 후크를 직물에 부착하기 위한 파스너의 횡 단면도.
제11도는 제10도에 나타난 파스너의 저부도.
제12도는 직물에 함께 결합되기 전 제8도-제11도의 파스너 및 후크의 횡 단면도.
제13도는 직물 위에 견고하게 조립된 제12도의 후크 및 파스너의 횡 단면도.
제14도는 변형된 후크의 사시도.
제15도는 파스너에 의해 직물에 부착되기 전 제14도의 후크의 횡 단면도.
제16도는 각각 직물에 부착되어 있는 제5도의 아이 및 제14도의 후크의 횡 단면도로서 아이 및 후크가 서로 결합되는 방식을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30,40 : 아이(eye) 15 : 제 1 요철부
16 : 제 1 구멍 17 : 제 1 브릿지(bridge)
18 : 제 1 돌출부 19 : 파스너
22 : 리세스(recess) 49 : 제 2 브릿지
50,65 : 후크(hook) 51 : 정면판
52 : 배면판 54 : 제 2 요철부
55 : 제 2 돌출부 57 : 제 2 구멍
본 고안은 두 개의 리벳 가능한 돌출물을 가지는 파스너에 의해 직물에 각각 부착 가능한 후크 및 아이로 구성된 후크-아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금속제의 후크-아이 조립체는 후크 및 아이로 구성되어 있으며 후크 및 아이는 각각 그들과 한 몸으로 된 돌출물에 의해 직물에 부착된다. 이러한 후크-아이 조립체 중 하나가 1978년 7월 18일자 일본 실용신안공고 제 53-28567에 개시된다. 개시된 후크는 일정간격 떨어진 정면판 및 배면판으로 구성된 U형으로 되어 있으며, 정면판은 후크-아이 조립체의 우연적 분리를 막도록 아이와 계합하기 위해서 배면판을 향해 돌출하는 압압된 융기부를 가진다.
그러나 개시된 구성에 있어서 단지 하나의 융기부만이 정면판에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아이를 후크와 안정되게 계합시켜 보유할 수가 없다. 더우기 스키바지와 같은 의복에는 두 개의 후크-아이 조립체가 가끔 사용된다. 한 후크-아이 조립체를 연결시키고 난 다음 다음번 후크-아이 조립체를 결합시키려 할 때 먼저번의 후크-아이 조립체는 상기 다음번 후크-아이 조립체를 조립할 적에 상용자에 의해 가해진 힘 때문에 분리되어 버리는 경향이 있다.
다른 공지된 후크-아이 조립체는, 작은 구멍 혹은 돌출물을 각각 가지는 별개의 파스너에 의해 의복직물에 부착되는 후크 및 아이로 구성된다. 이런 후크-아이 구조는 한 몸인 파스너를 가지는 구조보다 쉽게 제조할 수 있고, 또한 후크 및 아이가 철과 같은 저렴한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지금까지 널리 사용되어 왔다. 작은 구멍 파스너를 가진 후크-아이 조립체는 일본 의장등록 제586152호-유사의장1에 개시된다. 두 개의 돌출물 파스너를 가진 후크-아이 조립체는 영국특허 제1014390에 개시된다.
작은 구멍 파스너를 갖춘 후크-아이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진다. 즉, 작은 구멍 파스너가 원통형이기 때문에, 후크 및 아이는 파스너 및 직물에 대하여 회전하기 쉽고, 원통형의 작은 구멍 파스너가 직물에 삽입될 때 작은 구멍 파스너는 직물의 실들을 당겨 절단시키거나 직물들을 주름지게 만든다. 작은 구멍 파스너를 후크 및 아이에 결합시킬 때, 작은 구멍 파스너의 말단부는 방사상 외축으로 강제로 펼쳐지면서 후크 및 아이에 대하여 압압된다. 만일 작은 구멍 파스너의 말단부가 약한 힘으로 압압되었다면 작은 힘에 의해서도 후크 및 아이는 회전하게 될 것이다. 만일 지나치게 강한 힘으로 작은 구멍 파스너가 압압되었다면, 이 작은 구멍 파스너는 직물을 손상시킬 것이다. 또한 죄어진 작은 구멍 파스너가 직물에 구멍을 내게 되므로 대체하여 부착될 다음번 작은 구멍 파스너는 앞선 작은구멍 파스너가 만들어 놓은 직물의 구멍에 일치되도록 조심스럽게 배치되지 않으면 안된다. 또 다른 단점이 있다. 아이 및 후크가 서로 결합될 때, 후크와 결합되는 부분의 아이는 작은 구멍 파스너가 삽입되어 있는 아이의 구멍의 중심에 거의 일치된다. 아이의 계합부분에 가해지는 축방향 인장력은 아이를 작은구멍 파스너 및 따라서 직물에 대하여 회전하게 하고, 그 결과 방사상 외축으로 비틀어진 작은 구멍 파스너의 말단부는 아이와의 죄임 계합부분으로 부터 융기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두 갈래 파스너는 각각 두 개의 경사진 날을 가진다. 날은 압압되어 후크나 아이를 직물에 부착시킨다. 파스너를 고정시키기 위해 가해지는 힘이 너무 적다면 부착된 파스너는 사용 중에 흔들흔들 거릴 것이다. 더구나 아이와 아이의 두 갈래 파스너를 서로 조립시키는 작업은 지루하고 시간낭비적인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파스너 및 직물에 대한 회전이 방지된 후크 및 아이를 가지는 후크-아이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직물을 주름잡거나 손상시키지 않고 직물에 부착될 수 있는 후크-아이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후크 및 아이가 서로 결합될 때 각각에 가해지는 인장력하에 서로에 대해 회전하지 않게 한 후크 및 아이로 구성된 후크-아이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쉽게 조립될 수 있는 후크-아이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원활하게 연결되고 분리될 수 있는 후크 및 아이를 가지는 후크-아이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우기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후크 및 아이를 분리시키려는 의도적인 손의 힘이 가해지기 전에 우연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고 안정되게 서로 결합되어 보유되는 후크 및 아이를 가진 후크-아이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제 1 파스너에 의해 제 1 직물에 부착된 아이와 제 2 파스너에 의해 제 2 직물에 부착된 후크로 구성된 후크-아이 조립체가 제공된다. 아이는 기판을 가지며 기판은 기판의 한 면으로 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하고 그와 함께 개구를 형성하는 한 쌍의 아암을 가진다. 또한 기판은 제 1 요철부를 가지며 이 제 1 요철부는 아암들로 부터 떨어져 돌출하고 있으며 아암의 연부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진 중심을 가진다. 또한 제 1 요철부는 제 1 브릿지(bridge)에 의해 분리된 한 쌍의 제 1 구멍들을 가진다. 제 1 파스너는 제 1 구멍들에 각각 삽입된 다음 제 1 파스너를 향하고 있는 제 1 요철부의 제 1 브릿지를 감싸며 굽혀짐으로써 제 1 직물을 그 사이에 위치지우는 한 쌍의 제 1 돌출부를 가진다. 후크는 아이의 개구에 삽입되는 정면판과 여기서 떨어져 있는 배면판을 가진다. 배면판은 제 2 요철부를 가지며, 제 2 요철부는 제 2 브릿지에 의해 분리된 한 쌍의 제 2 구멍을 가지며 또한 정면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제 2 파스너는 한 쌍의 제 2 돌출부를 가지며 제 2 돌출부는 제 2 구멍에 각각 삽입된 다음, 제 2 파스너를 향하고 있는 제 2 요철부의 제 2 브릿지를 감싸며 굽혀짐으로써 제 2 직물을 그 사이에 위치지운다.
본 고안의 다른 많은 장점 및 특징들은 상세한 서술 및 첨부도면에 따라 명백해질 것이다. 첨부도면에는 본 고안의 원리에 부합되는 바람직한 구조적 실시예가 예를 통해 나타난다.
제1도,제3도 및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후크-아이 조립체의 아이(10)를 나타낸다. 아이(10)는 기판의 한면 혹은 한 축면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한 쌍의 일체 아암(12,12)을 구비한 기판(11)과 서로의 말단부가 각각 접촉하도록 평평하게 되어 있는 평탄부(13)를 가진 아암(12,12)으로 구성된다. 평탄부(13,13) 및 기판(11)은 함께 개구(14)를 이루고, 개구(14)는 후크(후에 서술됨)의 정면판을 그 안으로 삽입시킨다. 기판(11)은 또한 아암(12,12)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져서 압압에 의해 기판의 뒷면에 형성된 원형의 요철부(15)를 가진다. 요철부(15)는 아암(12,12)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한다. 요철부(15)는 중앙의 브릿지(17)에 의해 분리되어 파스너(19)(제 2 도)의 돌출부(18,18)를 각각 그 내부에 수용하는 한 쌍의 구멍(16,16)을 가진다. 원형 요철부(15)는 아암(12,12)의 평탄부(13,13)의 일렬의 연부(21)로 부터 거리 D만큼 떨어진 중심(20)을 가진다. 요철부(15)는 제 4 도에 잘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돌출부(18,18)의 두께보다 큰 깊이만큼 기판(11)으로 부터 융기한다. 요철부(15)는 아암(12)에 배치된 기판(11) 표면을 향해 펼쳐진 절두원추형 리세스(22)를 형성한다. 리세스(22)는 돌출부(18,18)가 구멍(16)들을 통해 삽입되어 브릿지(17)를 감싸며 리세스 내에 고정될 때 돌출부(18,18)를 수용한다. 제 1 도 및 제 3 도에 나타나는 바와같이 기판(11)은 표면으로 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굽혀진 반원형의 주연부(23)를 가진다.
제 2 도에서 제 4 도에 걸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파스너(19)는 돌출부(18,18)가 일정간격 떨어져 돌출하고 있는 디스크(disc)(24)와 디스크(24)의 주연부를 따라 둘러싸며 고정된 원주연부(26)를 포함한다. 각 돌출부(18,18)는 경사진 단부(27)를 가지는 거의 삼각형의 형태를 취한다. 제 3 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경사진 단부(27,27)는 서로 약간 어긋나게 되어 있어 돌출부(18,18)가 아이(10)의 브릿지(17)를 덮으며 굽혀질 때 돌출부(18,18)가 서로 일직선상에 있지 않도록 한다. 돌출부(18,18)는 아이(10)의 구멍들(16,16)이 서로 떨어져 있는 거리만큼 서로 떨어져 있다.
직물(F A)(제 3 도 및 제 4 도)에 아이(10)를 부착시키기 위해 아이(10)는 요철부(15)를 직물(F A)에 마주보게 하면서 직물(F A) 위에 놓인다. 그리고 파스너(19)는 돌출부(18,18)를 직물(F A)에 향하게 하면서 직물(F A)의 아래에 놓인다. 다음, 아이(10) 및 파스너(10)는 프레스 등에 의해 서로를 향해 압압되어 돌출부(18,18)의 경사진 단부(27,27)가 직물(F A)를 꿰뚫고 난 다음 각각 구멍(16,16)을 통하여 삽입된다. 그 다음, 돌출부(18,18)는 내측 방향으로 각각 굽혀져 브릿지(17) 위를 감싸면서 일부는 상대편 구멍 내에 들어가, 아이(10)가 파스너(19)에 견고하게 연결되어 직물(F A)이 그 사이에 놓여지게 한다. 이는 제 4 도에 나타난다.
돌출부(18,18)가 브릿지(17)에 대해 변형되기 때문에 파스너(19)는 아이(10) 위에 안정되게 고정된다. 날카로운 돌출부(18,18)는 직물(F A)의 실들을 당기거나 절단하지 않으면서 직물(F A)을 관통한다. 따라서 직물은 주름지거나 손상되지 않고 원래 그대로를 유지한다. 굽혀진 돌출부(18,18)는 리세스(22) 안에 산뜻하게 수용되어 아이(10)의 기판(11) 위로 돌출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아이(10)와 후크(후에 서술함)의 계합 및 분리를 방해하지 않는다. 아이(10)가 두 개의 돌출부(18,18)에 의해 직물(F A)에 고정되기 때문에, 아이(10)는 직물(F A) 및 파스너(19)에 대해 회전하지 않는다. 구멍들(16,16) 사이에 위치한 요철부(15)의 중심(20)이 아암(12,12)의 평판부(13,13)의 연부로 부터 D거리만큼 떨어져 있기 때문에, 연부(21)를 중심으로 아이(10)를 회전시키려 하는 힘에 대해 아이(10)는 저항할 수 있다. 아이(10) 및 후크가 서로 계합된 상태에서 서로 당겨질 때, 단지 기판(11)이 측방향으로만 당겨질 뿐이다. 단일한 한 몸의 구성인 아이(10)는 미리 조립될 필요가 없고 압압에 의해 파스너(19)를 아이(10) 위에 단지 고정시킴에 의해서 직물에 쉽게 부착될 수 있다. 아이(10)는 철 등의 저렴한 금속으로 파스너는 황동과 같은 비산화 금속재질로 양자다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아이(10) 및 파스너(19)가 이런 금속들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돌출부(18,18)가 고정될 때 돌출부(18,18)는 갈라지거나 쪼개지지 않고 또한 도금층이 돌출부(18,18)로 부터 벗겨지더라도 산화되지 않아 보기 좋게 유지된다.
제 5 도 및 제 6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변경된 아이(30)를 나타낸다. 아암(31,31)의 평탄부(33,33)의 단부로부터 기판(11)을 향하면서 횡 방향으로 변위된 피압압부(32,32)를 구비하는 한 쌍의 아암(31,31)을 아이(30)가 가진다는 점에서, 그리고 그 피압압부(32,32)가 서로 접촉 보유되고 기판(11)의 거의 중심에서 횡방향으로 배치된다는 점에서 아이(30)는 제 1 도의 아이(10)와 다르다. 피압압부(32,32)는 각 평탄부(33,33)의 한 연부(34)로부터 다른 연부(35)까지 뻗어 있다. 각 아암(31,31)은 L1의 두께를 지니고, 이 L1의 두께는 하나의 피압압부(32,32)가 상응하는 평탄부(33,33)로부터 횡 방향으로 변위되는 거리 혹은 간격인 L2보다 크다. 아암(31,31) 및 기판(11)은 함께 서로의 사이에서 개구(36)를 형성한다.
제 7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변형 아이(40)를 나타낸다. 아이(40)는 한 쌍의 아암(41,41)을 가지고, 아암(41,41)은 평탄부(42,24)를 가지고, 평탄부(42,42)는 각각 피압압부(43,43)를 가진다. 각 피압압부(43,43)는 기판(11)의 거의 중앙에서 말단부를 마주 보게 하고 있다. 각 피압압부(43,43)는 두연부(44,45)의 사이에 두 연부(44,45)보다 짧게 종결되면서 측방향 중앙에 위치한다. 아암(41)과 기판(11)이 함께 개구(46)를 형성한다.
제1도,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나는 아이(10)는 제8도,제9도,제12도 및 제13도에 나타나는 후크(50)와 결합되어 사용한다. 후크(50)는 빌(bill)로 알려진 정면판(51)및 여기서 떨어진 배면판(52)으로 구성된 거의 U형으로 되어 있다. 정면판(51)은 도시되지 않은 펀치(punch)를 삽입하도록 된 중앙의 원형구멍(53)을 가진다. 배면판(52)은 중앙에 요철부(54)를 가지며, 이 요철부(54)는 정면판(5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며 구멍(53)과는 거의 측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있다. 제10도 및 제11도에 나타나는 파스너(56)의 돌출부(55,55) 각각의 두께보다 약간 더 두꺼운 거리만큼 요철부(54)는 후면판으로 부터 융기한다. 요철부(54)는 한 쌍의 간격진 구멍(57,57)을 가지며 이 구멍들(57,57)은 돌출부(55,55)가 각각 통과할 수 있도록 브릿지(49)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제10도 및 제11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파스너(56)는 중앙의 원형구멍(59)을 갖춘 디스크(58) 돌출부(55)가 그로부터 돌출하여 구멍(59)을 통과하는 택(tack)기부(60), 및 택기부(60) 위에 놓이며 디스크(58) 둘레에 고정되는 원주연부(62)를 가지는 원형캡(cap)(61) 등을 포함한다. 돌출부(55)는 서로 어긋난 말단부를 향해 경사져 있고, 구멍들(57)이 서로 간격진 거리만큼 서로 간격진다.
후크(50)가 직물(F B)에 부착될 때, 후크(50)는 요철부(54)를 직물(F B)과 마주보게 하면서 직물(F B) 아래에 놓인다. 그리고 파스너(56)는 돌출부(55,55)가 직물(F B)을 향하게 하면서 직물(F B) 위에 놓여진다. 그 다음, 후크(50) 및 파스너(56)는 프레스 등에 의해 서로에 대해 압압되어 돌출부(55,55)의 경사진 단부가 직물(F B)을 꿰뚫은 다음 구멍(57,57)에 각각 삽입되도록 한다. 그 다음, 돌출부(55,55)는 구멍(53)을 통해 삽입된 펀치에 의해 구부려지고 서로를 향해 내측 방향으로 뻗으면서 브릿지(49)를 감쌈으로써, 후크(50)를 파스너(56)에 견고하게 연결시켜 제13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직물(F B)이 그 사이에 놓이도록 한다.
돌출부(55,55)가 브릿지(49)에 대해 변형되기 때문에 파스너(56)는 후크(50)에 안전하게 고정된다. 돌출부(55,55)가 직물(F B)을 관통할 때, 날카로운 돌출부(55,55)는 직물(F B)의 실들을 당기거나 절단하지 않는다. 굽혀진 돌출부(55,55)의 뾰족한 말단부는 제13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대편 구멍(57,57)속에 놓임으로서 후크(50) 및 파스너(56)는 서로 안전하게 결합된다.
굽혀진 돌출부(55,55)가 요철부(54)의 리세스(48) 속에 산뜻하게 수용되기 때문에 굽혀진 돌출부(55,55)는 배면판(52)을 넘어서 정면판(51)을 향해 융기하지 않고 따라서 후크(50)와 아이(10)의 계합 및 분리를 방해하지 않는다. 두 개의 돌출부(55,55)에 의해 후크(50)가 직물(F B)에 고정되기 때문에, 파스너(56) 및 직물(F B)에 대해 후크(50)가 회전하는 일은 없다. 후크(50) 및 파스너(56)는, 후크(50)를 철 등의 값싼 금속으로, 파스너(56)를 황동 등의 비산화 금속재질로 제조함으로서 값싸게 제조될 수 있다. 후크(50) 및 파스너(56)가 이런 재질들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고정될 때 돌출부(55,55)는 갈라지지 않으며 그리고 돌출부(55,55)의 도금층이 벗겨지더라도 돌출부(55,55)는 산화하지 않고 보기 좋게 유지된다.
제14도 및 제15도는 제 5도 및 제6도의 아이(3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변형 후크(65)를 보여준다. 이 후크(65)는 제 8도 및 제9도에 나타난 후크와 거의 같지만, 한 쌍의 상호 대립적인 융기부(66,66)가 원형구멍(53)의 주연부를 따라 뻗으면서 배면판(52)을 향해 돌출한다는 점이 다르다. 각 융기부(66)는 정면판(51)의 자유단부를 향해 뻗은 앞경사연부(67), 배면판(52)과 평행하게 뻗은 중앙의 평탄연부(68), 및 배면판(52)과 연결되는 정면판(51)의 단부를 향해 뻗은 뒷경사연부(69) 등을 가진다. 뒷경사연부(69)는 앞경사연부(67)보다 더 경사져 있다. 중앙의 평탄연부(68)는 배면판(52)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정면판(51)과 마주보고 있으며, 제 5도 및 제6도에 나타나는 평탄한 아암부분(33)의 각 두께 L1과 거의 동일한 L3만큼의 거리를 두고 평탄연부(68)는 정면판(51)과 떨어져 있다.
제16도는 파스너(56)에 의해 직물(F B)에 부착된 후크(65)가 파스너(19)에 의해 직물(F A)에 부착된 아이(30)와 결합되는 방식을 나타낸다. 정면판(51)은 아이(30)의 기판(11) 아래에 놓이면서 개구(36)에 삽입되어 아암(31)이 융기부(66) 너머의 후크(65)의 정면판 및 배면판(51,52) 사이에 깊게 위치할 때까지 삽입된다. 이때, 직물(F A)을 물고 있는 기판(11)의 굽혀진 연부(23)는 정면판(51)의 자유단부가 직물(F A)과 기판(11) 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한다. 일단 후크(65)와 아이(30)가 서로 조립되면, 융기부(66)는 아암(31)의 후크(65)로 부터의 우연적인 분리를 막아 준다. 더구나 특히, 피압압부(32)는 융기부(69)와 계합 보유되고 있으므로 아암(31)을 후크(65)로부터 제거하려고 의도적으로 손의 힘을 가하지 않는 한 피압압부(32)는 후크(65) 내에 안정적으로 놓여진다. 거리 L3(제15도)와 두께 L1(제 6 도)이 서로 거의 같기 때문에, 일단 후크(65)와 아이(30)가 서로 조립된 후에는 쉽게 서로 분리될 수 없다. 아암(31)이 후크(65)에 삽입되거나 제거될 때, 아암(31)의 연부(34)가 앞 및 뒷경사연부(67,69)와 활주하면서 계합하기 때문에 후크(65)와 아이(30)는 상대적으로 원활하게 서로 결합되고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더 경사진 뒷경사연부(69)와 계합하기 때문에 아암(31)이 후크(65)로부터 빠져나올 때는 연부(34)가 더 큰 마찰 저항력에 직면하게 된다.
비록 여러 가지 작은 변형이 가해질 수 있지만 우리는 청구된 범위 내에서 실시되기를 바란다.

Claims (10)

  1. 기판(11)의 한 면으로 부터 측방으로 돌출하면서 기판(11)과 함께 개구(14;36;46)를 형성하는 한 쌍의 아암(12;31;41)을 가지는 기판(11)으로 구성된 아이(10;30;40)로서, 상기 아암(12;31;,41)이 대향 단부들을 가지고, 상기 기판(11)은 상기 아암(12;31;41)으로 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며 또한 상기아암(12;31;41)의 연부(21;34;44)로 부터 일정간격 떨어진 중심(20)을 갖는 제 1 요철부(15)를 가지고, 상기 제 1 요철부(15)가 브릿지(17)에 의해 분리된 한 쌍의 제 1 구멍들(16)을 갖는 아이(10;30;40); 상기 제 1 구멍들(16)에 삽입된 다음 제 1 파스너(19)를 향한 제 1 요철부(17)에 있는 제 1 브릿지(17)를 감싸며 굽혀짐으로써 제 1 직물(F A)을 그 사이에 놓이도록 하는 한 쌍의 제 1 돌출부(18)를 가지는 제 1 파스너(19); 상기 개구(14;36;46)에 삽입되는 정면판(51)과 이로부터 떨어진 배면판(52)을 가지는 후크(50;65)로서, 상기 배면판(52)이 상기 정면판(51)로 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여 또한 제 2 브릿지(49)에 의해 분리된 한 쌍의 제 2 구멍들(57)을 갖는 제 2 요철부를 가지는 후크(50;65); 상기 제 2 구멍들(57)에 각각 삽입된 다음 상기 제 2 파스너(56)를 향한 제 2 요철부에 있는 제 2 브릿지(49)를 감싸며 굽혀짐으로써 제 2 직물(F B)을 그 사이에 놓이도록 하는 한 쌍의 제 2 돌출부를 가지는 제 2 파스너(55);를 포함하는 후크-아이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요철부(15)가 상기 각 제 1 돌출부(18)의 두께보다 큰 거리만큼 융기됨으로써, 상기 브릿지(17)를 감싸며 굽혀진 상기 제 1 돌출부(18)를 수용하는 리세스(22)를 형성하는 후크-아이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직물(F A)과 물림 계합하도록 상기 기판(11)의 상기 한 면으로 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굽혀진 주연부(23)를 상기 기판(11)이 가지는 후크-아이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31;41)의 마주 보는 단부에 상기 아암(31;41)이 한 쌍의 피압압부(32;43)를 가지고 상기 피압압부(32;43)는 상기 기판(11)을 향해 변위되어 있으며, 상기 정면판(51)이 상기 배면판(52)을 향해 돌출하며 상기 피압압부(32)와 잠금 계합하게 되는 한 쌍의 융기부(66)를 가지는 후크-아이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피압압부(32)가 상기 아암(31) 중 하나의 대향 연부들(34,35) 사이의 전체를 뻗고 있는 후크-아이 조립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피압압부(32)가 상기 각 아암(41) 중 하나의 두 대향 연부들(44,45)의 사이의 중앙에서 두 연부(44,45)보다 짧게 종결되도록 배치된 후크-아이 조립체.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판(51)이 중앙의 원형구멍(53)을 가지고, 상기 융기부(66)가 서로 정반대되는 관계로 위치하면서 상기 중앙의 원형구멍(53)의 주연부를 따라 뻗어 있는 후크-아이 조립체.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판 및 배면판(51,52)이 그 한 단부에서 연결되며, 상기 각융기부(66)가 정면판 및 배면판(51,52)의 한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뻗은 제 1 경사연부(67), 중앙의 평탄연부(68), 및 상기 한 단부를 향해 뻗고 상기 제 1 경사연부(67)보다 더 경사진 제 2 경사연부(69)를 가진 후크-아이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융기부(66)의 상기 중앙의 평탄연부(68)가 상기 아암(31;41) 중 하나의 두께와 거의 같은 거리만큼 상기 배면판(52)으로부터 떨어진 후크-아이 조립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파스너(19;56)가 비산화 금속재질로 만들어진 후크-아이 조립체.
KR2019850016629U 1984-12-17 1985-12-12 후크-아이 조립체 KR87000237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1114 1984-12-17
JP19111484U JPS6341934Y2 (ko) 1984-12-17 1984-12-17
JP7097 1985-01-22
JP709785U JPS61123720U (ko) 1985-01-22 1985-0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9302U KR860009302U (ko) 1986-08-08
KR870002379Y1 true KR870002379Y1 (ko) 1987-07-16

Family

ID=26341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6629U KR870002379Y1 (ko) 1984-12-17 1985-12-12 후크-아이 조립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625370A (ko)
EP (1) EP0185312B1 (ko)
KR (1) KR870002379Y1 (ko)
AU (1) AU560548B2 (ko)
BR (1) BR8506538A (ko)
CA (1) CA1288932C (ko)
DE (1) DE3571192D1 (ko)
GB (1) GB2168235B (ko)
HK (1) HK92589A (ko)
MY (1) MY100964A (ko)
SG (1) SG56589G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39385A (zh) * 2014-03-26 2015-09-30 Ykk株式会社 挂钩配件用安装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730Y2 (ja) * 1988-04-13 1994-02-23 吉田工業株式会社 フックにおける雌部の受け部本体
US4953268A (en) * 1990-01-10 1990-09-04 Chang C C Safety dress fastener
FR2769802B1 (fr) * 1997-10-16 1999-12-17 Applic De Brevets Sab Soc D Oeillet plaque d'un revetement de surface
JP3952433B2 (ja) * 2000-02-29 2007-08-01 Ykk株式会社 衣服用フック
US7021718B2 (en) * 2002-12-02 2006-04-04 Dahti,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accessories to load-bearing fabric
US8209819B2 (en) * 2007-12-07 2012-07-03 Donald Seung-Yeup Rhee Hook and eye fastener
ITPD20120276A1 (it) * 2012-09-20 2014-03-21 Berning Italia S R L Procedimento per realizzare il fissaggio di elementi decorativi su capi di abbigliamento e su accessori con l'uso di chiodi a due punt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482A (en) * 1893-12-26 Button-fastener
US496155A (en) * 1893-04-25 Button
US1784389A (en) * 1929-04-27 1930-12-09 Daniel I Reiter Shiftable fastener
US1808535A (en) * 1930-09-26 1931-06-02 Lawrence B Erwin Button fastener
US2668340A (en) * 1950-05-25 1954-02-09 United Carr Fastener Corp Snap fastener assembly
US2930094A (en) * 1957-10-31 1960-03-29 United Carr Fastener Corp Pants fastener
US3016593A (en) * 1958-08-06 1962-01-16 Universal Button Company Hook
US3248768A (en) * 1964-05-01 1966-05-03 Rau Fastener Company Hook and eye structure
FR1494892A (fr) * 1966-08-02 1967-09-15 Henri Turquais Ets Agrafe perfectionnée
US3613181A (en) * 1970-08-26 1971-10-19 Scovill Manufacturing Co Snap fastener socket
DE2623600A1 (de) * 1976-05-26 1977-12-08 Berning & Soehne Verschluss fuer einander ueberlappende verschlussteile an kleidungsstuecken, guerteln, koffern, taschen o.dgl., insbesondere bundverschluss
JPS5328567A (en) * 1976-08-30 1978-03-16 Babcock Hitachi Kk Desulfurization and denitration method by wet process
JPS586152A (ja) * 1981-07-03 1983-01-13 Mitsubishi Electric Corp トランジスタパツケ−ジの製造方法
JPS5946115U (ja) * 1982-09-20 1984-03-27 日本ノ−シヨン工業株式会社 被服用留め具
DE3312974A1 (de) * 1983-04-12 1984-10-18 William Prym-Werke Kg, 5190 Stolberg Druckknopfteil mit zackenring-befestig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39385A (zh) * 2014-03-26 2015-09-30 Ykk株式会社 挂钩配件用安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625370A (en) 1986-12-02
AU560548B2 (en) 1987-04-09
GB8530727D0 (en) 1986-01-22
HK92589A (en) 1989-12-01
MY100964A (en) 1991-06-15
CA1288932C (en) 1991-09-17
KR860009302U (ko) 1986-08-08
BR8506538A (pt) 1986-09-09
EP0185312B1 (en) 1989-06-28
AU5076685A (en) 1986-06-26
GB2168235A (en) 1986-06-18
EP0185312A1 (en) 1986-06-25
GB2168235B (en) 1988-05-25
DE3571192D1 (en) 1989-08-03
SG56589G (en) 1989-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40001280Y1 (ko) 단추조립체
CA1146340A (en) Fabric-covered button
US4706344A (en) Button assembly
JPS6310729Y2 (ko)
KR870002379Y1 (ko) 후크-아이 조립체
US4698881A (en) Socket element assembly for snap fasteners
US4570307A (en) Button having plate for deflecting an attaching tack
EP0123215B1 (en) Button
US3975803A (en) Fastening snap
CA2068783C (en) Snap-fit button
JP5615848B2 (ja) ボタン
US3028646A (en) Button construction
CA1317743C (en) Button
US2986790A (en) Snap fastener construction
EP0080697B1 (en) Grommet
EP0610812B1 (en) Hook-and-eye fastener
US4761863A (en) Structure of snap
US4000547A (en) Snap fastener
JPH0436655Y2 (ko)
US4815173A (en) Open-faced button
JP3905637B2 (ja) スナップファスナー
JPS6341934Y2 (ko)
US2332167A (en) Fastener installation
US4627134A (en) Ball-side piece of snap fastener
US2690604A (en) Snap fastener socke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6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