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2363Y1 - 플로우 콘트롤 밸브(Fiow-Control Valve)의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플로우 콘트롤 밸브(Fiow-Control Valve)의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2363Y1
KR870002363Y1 KR2019840014407U KR840014407U KR870002363Y1 KR 870002363 Y1 KR870002363 Y1 KR 870002363Y1 KR 2019840014407 U KR2019840014407 U KR 2019840014407U KR 840014407 U KR840014407 U KR 840014407U KR 870002363 Y1 KR870002363 Y1 KR 8700023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resistor
diode
scr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44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8375U (ko
Inventor
장철수
Original Assignee
금성전선 주식회사
문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전선 주식회사, 문박 filed Critical 금성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400144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2363Y1/ko
Publication of KR8600083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83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23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3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75Electromagnet aspects, e.g. electric supply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플로우 콘트롤 밸브(Fiow-Control Valve)의 제어회로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VR1: 가변저항 TR1-TR4: 트랜지스터
R1-R13: 저항 TG : 다이액
IPT :펄스트랜스 C1-C7: 콘덴서
SCR1, SCR2: 다이리스터 SOL :솔레노이드 밸브
가 : 펄스가변회로부 나 : 제어신호 발성부
본 고안은 사출성형기의 형개폐, 상출, 계량 등의 동작 과정을 다단으로 제어해 주는 플로우 콘트롤 밸브(Flow-Control Value)의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유량 조절변의 조절 장치가 기계적인 시스템으로 되어 있어 이에 연설된 핸들을 인위적인 수단으로 조작하여 원하는 속도로 제어 하므로써 속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가 없었을 뿐만 아니라 그 과정이 매우 원시적이면서 번거러웠고 기계에 무리한 힘이 가해짐에 따라 작은 소손이 발생하여 생산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였으며 또한 기계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키 위하여 전자회로의 구성으로 임의의 설정 값에 의해서 정해진 압력 펄스를 다이리스터의 게이트에트리서(Trigger)시켜 에노우드에 흐르는 교류 전원의 온/오프(ON/OFF) 시간을 도통각으로써 제어하면 전압과 전류가 변하여 플루우 콘트롤 밸브가 설정 값에 비례한 전류로서 작동하는 제어 회로를 안출하게 된 것인바, 본 고안의 요지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상용 교류 전원(AC)에 공지의 브리지 다이오드를 연결하고 그 양단에 저항(R0)을 연결하여 제너다이오드(ZD1)와 콘덴서(C5) 및 저항(R0)을 연결하고 그 단에 저항(R7)과 콘덴서(C3)를 병렬 연결하여 펄스트랜스(IPT)의 접소접(4)으로부터 연결되는 저항(R3)이 콜렉터에 접속된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에 연결하고 베이스에 콘덴서(C4)를 연결하여서 트랜지스터(TR4)의 콜렉터에 연결하되 그 단에 저항(R6)과 다이오드(D2) 및 펄스 트랜스(IPT)의 1차 코일을 연결하며, 트랜지스터(TR3)의 콜렉터에는 콘덴서(C2)와 다이오드(D1)를 병렬 연결하되 다이오드(D1)는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접속하고 그 콜렉터에는 다이액(TG)과 저항(R4, R5)을 연결하여 트랜지스터(TR4)의 베이스에 접속하며, 접접(f)으로부터 연결되는 다이오드(D3)와 저항(R1)을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에 연결하고 에미터에는 저항(R2)을 연결하여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와 콘덴서(C1)를 공통 접속하며,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는 가변 저항(VR1)을 연결하여서 제어 신호 발생부(나)를 구성한다.
또한 통상의 상용 교류전원(AC)에 다이리스터(SCR1, SCR2)의 애노오드를 연결하되 그 단에 저항(R11, R13)과 콘덴서(C5-C8)을 각각 직렬 연결하여 그의 게이트에 접속하고 그 단에 다이오드(D4, D5)를 병렬연결하여 펄스트랜스 (IPT)의 출력측 단자(d', e')에 각각 접속하고, 출력측 단자(d, e)에는 저항(R12, R14)을 연결하여 다이리스터(SCR1, SCR2)의 캐소오드에 연결하되 저항(R12, R14) 사이에 다이오드(D6)와 솔레노이드(SOL)를 병렬 연결하여 펄스 가변회로(가)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특징인 점은 임의의 설정 값을 외부에서 설정하여 "T"라는 시정수를 경정하는 콘덴서로서 1주기의 펄스 값을 정하고 이펄스의 입력을 펄스 트랜스에 투입하면 입력에 비례한 구형과 펄스의 출력이 다이리스터의 게이트를 트리거시켜 턴은 도통각에 의해서 전류가 흘러 플로우 콘트롤 밸브가 여자 됨으로 초기에 설정한 값 만큼 유량 속도가 제어 되도록 한 것으로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 신호 발생부(나)에 교류 전원(AC)이 인가 되면 브리지 다이오드에서 전파 정류되고 직류 전원으로 변환 되어져 저항(R10)을 통하게 될 때 콘덴서(C5)와 저항(R0)의 설정된 시정수에 의해 일정 전원이상이 되면 제너다이오드(ZD1)가 동작하여 그의 정전압 작용에 의해 제어된 직류 전원이 다이오드(D3)와 저항(R11)을 통해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에 인가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접점(f)에 전원은 저항(R7)을 통해 트랜지스터(TR3)를 동작을 시켜 접점(f)의 전원이 다이오드(D3)와 저항(R3)을 통해 트랜지스터(TR3)의 콜렉터에서 에미터로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을 때 직류 전원(DC)을 단자(a, a')에 인가 시키면 가변저항(VR1)의 설정 값에 의해 비례하는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 되어져 동작됨으로서 저항(R1)을 통해 콜렉터에 인가 되어져 있던 전원이 에미터와 저항(R2)을 거쳐 콘덴서(C1)에 충전 전압을 인가 시킨다.
따라서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콘덴서(C1)의 양단에
에 의한 약8(V)이상의 충전 전압이 걸려 다이액(TG)의 동작 전압 이상이 됨으로 도통하게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TR4)의 베이스에는 저항(R5)에 의해 바이러스 전압이 인가 되어져 동작을 하게 된다.
이때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에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 시키던 전원이 트랜지스터(TR4)가 동작 함으로서 콘덴서(C4)로 흐르게 되어 충전 전압을 인가 시키므로 트랜지스터(TR3)는 비동작을 하게 되고 펄스트랜스(IPT)의 접속점(3, 4)에 인가 되어 있던 전원이 저항(R6)을 통해 트랜지스터(TR4)의 콜렉터에서 에미터로 흐르게 됨으로서 접속점(4, 3)의 전위는 거의 제로 전위가 되어진다.
이와 같은 때 트랜지스터(TR3)가 비동작 됨으로서 저항(R3)을 통해 그의 콜렉터에 인가 되어 있던 전원은 다이오드(D1)를 통해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인가 시켜 동작을 한다.
이에 콘덴서(C1)의 양단 전압에 의해 다이액(TG)을 트리거 시켜 주던 전압이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에서 에미터로 흐르게 되어 그의 콜렉터 전위는 로우 전위가 됨으로서 다이액(TG)이 비동작을 하게 되고 그에 따라 트랜지스터(TR4) 또한 비동작을 하게 된다.
따라서 펄스 트랜스(IPT)의 입력단자(b, b')의 양단에는 하위 전위가 됨으로서 구형과 펄스가 생성되어 출력측 단자(d-d')(e-e') 사이의 출력파형이 다이리스터(SCR1)(SCR2)의 게이트에 투입되면 교류 전원(AC) 입력단으로부터 공급되던 교류 전원(AC)이 다이리스터(SCR1)(SCR2)의 애노드와 캐소우드 사이를 흘러 도통 상태가 되므로 솔레노이드(SOL)의 양단에 전압이 인가 되어 플로우 콘트롤 밸브(도시되지 않었음)가 여자 된다.
따라서 플로우 콘트롤 밸브는 다이리스터(SCR1)(SCR2)의 게이트에 가해지는 펄스의 유통각에 의해서 다이리스터(SCR1)(SCR2)의 양단 전압이 변경되므로 전류도 비례해성 흐르게 되어 솔레노이드(SOL)로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여자력도 비례하므로 이에 의하여 작동하는 플로우 콘트롤 밸브의 동작을 변화시켜 유량 속도를 가변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은 모든 동작은 순간적인 1개의 펄스로써 동작 상태를 설명했으나 다이리스터(SCR1)(SCR2)에 가해지는 입력 펄스는 주기적으로 생산 되어야 하므로 트랜지스터(TR4)의 "동작" 시점에서는 콘덴서(C4)의 방전 전압이 길러 초기 상태에서 "온"되어 있던 트랜지스터(TR3)가 비동작 되므로 접점(f)(f')사이의 직류 전원이 다이오드(D3)→저항(R3)→다이오드(D1)를 통해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와 에미터 사이에 전압이 걸려 트랜지스터(TR2)는 턴온 된다.
그러므로 콘덴서(C1)의 양단은 방전 전압이 걸리게 된다.
이후 얼마의 시간이 경과 되면 콘덴서(C1)의 양단이 재충전 전압이 걸리게 되어 또다시 트랜지스터(TR3)는 "온"→프트랜지스터(TR4)는 "오프"→트랜지스터(TR4)는 "OFF"→트랜지스터(TR2)는 "OFF"의 사이클을 이루면서 다이리스터(SCR1)(SCR2)의 게이트에 주기적인 구형과 펄스를 공급해 주므로써 솔레노이드(SOL)의 여자애 의하여 플로우 콘트롤 밸브를 자동적으로 제어해 주어 유량 속도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즉, 유량 속도 변화는 가변저항(VR1)의 저항 값에 의해서 펄스의 주기를 변화하여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플로우 콘트롤 밸브를 전자적인 회로에 의하여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다단속도를 매우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고 또한 밸브의 유량 조절을 종래와 같이 기계적인 시스템으로 조작하지 않고 가변 저항에 의한 전자적인 제어 회로로 조절하므로써 밸브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 제어할 수 있어 밸브의 사용 연한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량 속도를 다단으로 다양하게 가변 시킬 수 있어 생산 제품의 품질을 혀상시킬 수 있는 지대한 작용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통상의 상용 교류 전원(AC)에 브리지 다이오드가 연결되는 플로워 콘트롤 밸브 제어 회로에 있어서 공지의 브리지 다이오드 양단에 저항(R10)을 연결하여 제너 다이오드(ZD1)와 콘덴서(C5) 및 저항(R9)을 연결하고 그 단에 저항(R7)과 콘덴서(C3)를 병렬 연결하여 펄스 트랜스(IPT)의 접속접(4)으로부터 연결되는 저항(R3)이 콜렉터에 접속된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에 연결하고 베이스에는 콘덴서(C4)를 병렬연결하여서 트랜지스터(TR4)의 콜렉터에 연결하되 그 단에 저항(R6)과 다이오드(D2) 및 펄스 트랜스(IPT)의 1차 코일을 연결하며, 트랜지스터(TR3)의 콜렉터에는 콘덴서(C2)와 다이오드(D1)를 병렬 연결하되 다이오드(D1)는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접속하고 그 콜렉터에는 다이액(TG)과 저항(R4, R5)을 연결하여 트랜지스터(TR4)의 베이스에 접속하며, 접접(f)으로부터 연결되는 다이오드(D3)와 저항(R1)을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에 연결하고 에미터에는 저항(R2)을 연결하여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와 콘덴서(C1)를 공통 접속하며,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는 가변 저항(VR1)을 연결하여서 제어 신호 발생부(나)를 구성하며, 또한 통상의 상용 교류전원(AC)에 다이리스터(SCR1, SCR2)의 애노오드를 연결하되 그 단에 저항(R12, R13)과 콘덴서(C5-C8)을 각각 직렬 연결하여 그의 게이트에 접속하고 그 단에 다이오드(D4, d5)를 병렬연결하여 펄스트랜스 (IPT)의 출력측 단자(d', e')에 각각 접속하고, 출력측단자(d, e)에는 저항(R12, R14)을 연결하여 다이리스터(SCR1, SCR2)의 캐소오드에 연결하되 저항(R12, R14) 사이에 다이오드(D6)와 솔레노이드(SOL)를 병렬 연결하여 펄스 가변회로(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 콘트롤 밸브의 제어 회로.
KR2019840014407U 1984-12-29 1984-12-29 플로우 콘트롤 밸브(Fiow-Control Valve)의 제어회로 KR8700023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4407U KR870002363Y1 (ko) 1984-12-29 1984-12-29 플로우 콘트롤 밸브(Fiow-Control Valve)의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4407U KR870002363Y1 (ko) 1984-12-29 1984-12-29 플로우 콘트롤 밸브(Fiow-Control Valve)의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375U KR860008375U (ko) 1986-07-24
KR870002363Y1 true KR870002363Y1 (ko) 1987-07-08

Family

ID=70162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4407U KR870002363Y1 (ko) 1984-12-29 1984-12-29 플로우 콘트롤 밸브(Fiow-Control Valve)의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23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016B1 (ko) * 2001-09-10 2004-10-02 (주)케이. 엘. 피 표면에 보호 비닐이 부착된 무늬목 타일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016B1 (ko) * 2001-09-10 2004-10-02 (주)케이. 엘. 피 표면에 보호 비닐이 부착된 무늬목 타일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375U (ko) 1986-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8147A (en) Electromagnetic coil drive device
US4685046A (en) Low voltage direct current power supply
KR870002363Y1 (ko) 플로우 콘트롤 밸브(Fiow-Control Valve)의 제어회로
HU188893B (en) Supply unit for the loads of low voltage, in particular to incandescent lamps
US3403321A (en) High efficiency voltage regulating circuit
EP0111517A1 (en) Proximity switch circuit
US3781640A (en) Arc working power supply with saturable reactor current control
US3995176A (en) Unidirectional alternating current interrupter operable over full half cycles
KR880001243B1 (ko) 듀얼 타이마(dual-timer)
SU1390760A1 (ru) Зависимый от нагрузки управл емый регул тор дл управл емых по фазовой отсечке двигателей (его варианты)
US4449092A (en) Capacitor charging circuit for discharge type welding tool
JPS5942961B2 (ja) マグネツト駆動回路
JPH04229072A (ja) 安定直流電圧発生方法並びに直流電圧源
US3780366A (en) Electric control apparatus
SU151005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силовым тиристором
KR910001946Y1 (ko) 다용도 점멸장치
JP2566952B2 (ja) コンデンサ−充電回路
KR870001387Y1 (ko) 정전압 회로
KR930007819Y1 (ko) 수족관용 가열기의 온도 조절회로
JPH0456913B2 (ko)
SU1642454A1 (ru) Стабилизирующи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с импульсным регулированием и с защитой по току
US5892296A (en) Circuit for cyclically driving several loads
USRE29361E (en) Process for shaping workpiece by electrical discharge and apparatus therefor
SU135065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егулировани мощности
SU1309260A2 (ru) Генератор импульс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