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2302Y1 - 물탱크 및 수세식 변기의 급배수 장치 - Google Patents

물탱크 및 수세식 변기의 급배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2302Y1
KR870002302Y1 KR2019850005174U KR850005174U KR870002302Y1 KR 870002302 Y1 KR870002302 Y1 KR 870002302Y1 KR 2019850005174 U KR2019850005174 U KR 2019850005174U KR 850005174 U KR850005174 U KR 850005174U KR 870002302 Y1 KR870002302 Y1 KR 8700023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supply pipe
ball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51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4853U (ko
Inventor
여세일
Original Assignee
여세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세일 filed Critical 여세일
Priority to KR20198500051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2302Y1/ko
Publication of KR8600148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48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23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3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2Arrangement of in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물탱크 및 수세식 변기의 급배수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 절개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횡단면도.
제3도는 종래것의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캡 6 : 수위 조절핀
7 : 유착편 8 : 고무막
9 : 절곡유도관 10 : 스프링
11 : 제어편 12 : 와이어
본 고안은 물탱크 및 수세식 변기의 급배수 장치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수세식 변기의 물탱크 급배수 장치는 제3도에서와 같이 급수관이 급속의 덮개로 고정한 내부에 스프링의 탄발력으로 개폐 막이 닫히게 구성되고 긴 막대형 지렛대와 연결된 손잡이를 당김으로 개폐막이 열리도록 되어 있었으나, 이 경우 강한 스프링의 힘이 요구되어 고장율이 높을 뿐더러 금속과 금속으로 구성된 개폐부위가 작동시 쇠와 쇠의 접촉으로 틈이 자연 생겨 유수가 허다했으며, 손잡이를 당긴 후에도 개구부가 잠시 열렸다가 닫히므로 급수관을 통해 흐르는 물의 유속이 느려 변기를 완전히 세척하기에는 미흡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부력과 자체 중량에 의해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볼탑을 연결할 때도 공급관 중앙에 홈을 파서 내부로 관통시켜야 하였기 때문에 볼탑 지지대를 얇게 만들어야만 가능하므로 작동시 파손율이 높고, 볼탑 지지대를 구부려 수위 조정시에는 볼탑을 조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공급관의 통공을 막는 차단막이 볼탑 지지대와 격리되어 공급관 내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통공 차단 작용이 원활하지 못할뿐 아니라 누수와 만수시에는 소음이 발생되는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또한 손잡이와 연결된 막대형 지렛대는 강하게 잡아당겨야 동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강한 스프링의 사용이 불가피하여 사용중 고장의 원인이 되고 여러번 동작되면 지렛대에 무리가 와서 부러지거나 심하면 수조통 연결부위까지 파손되는 결점이 있었으며, 수조통을 설치 부위에 고정할 때는 상단 주면에 못을 바로 벽에 박아 설치하였으므로 만수시 못이 통과한 틈사이로 누수되여 건축물의 벽까지 스며드는 단점과 수조통은 얇고 만수시 물의 무게에 의해 수조통이 한쪽으로 기우는 안전성 결여의 제반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누수의 요인이 되는 공급관, 급수관, 작동부를 자전거의 크랏치 케이블 원리를 응용하여 작동이 원활하고 누수를 억제하며, 부품의 고장과 파손을 최대로 방지할 수 있도록한 것으로 첨부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구조와 이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조통(1) 일측에는 공급관(2)의 통공(2a)을 막는 차단막(2b)이 볼(3)의 심대(3a) 상하 동작으로 개폐되고 수조통 내부 중앙에는 절곡관(4a)과 경사지관(4b)이 일체로 된 급수관(4)을 형성한 공지의 것에 있어서 공급관 하단 외부에는 캡(5)을 나사식으로 결합하되 캡의 하단 일측 연결편(5a)에는 볼의 심대를 고정하며 심대와 차단막을 수위 조절핀(6)으로 연결 고정하였고, 급수관 기둥에 돌설된 유착편(7)에는 고무막(8)을 연결해 경사지관을 개폐토록 하되 수조통 타측의 고정편(8a)에 끼워진 절곡 유도관(9) 내부와 스프링(10) 및 제어편(11)을 통과하는 와이어(12)가 고리(13)에 연결되었으며, 수조통 상하부 및 수조 중앙 하단과 급수관 하단에는 고정구(14)(14')(15)(15')(16)를 연설시킨 구조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7"는 물. "18"은 손잡이를 표시한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육상물탱크, 온수보일러수조, 수세식변기 물탱크등에 설치 사용하는 것으로, 수조통(1)내에 물이 없는 상태에서는 볼(3)과 심대(3a)의 중량에 의해 볼이 수조통 하측으로 상내려오면서 심대와 수위조절핀(6)으로 연결된 차단막(2b)이 막고 있던 공급관(2)의 통공(2a)을 열어주므로 공급관으로 공급된 물(17)이 수조통내로 유입되는 것은 공지와 같으나, 본 고안은 공급관 하단 외부에 캡(5)을 나사식으로 결합하여 캡의 하단일측, 즉 외부 연결편(5a)에 볼의 심대를 고정할 수 있었기 때문에 볼의 심대를 굵게 형성할 수가 있어 사용중 파손을 방지하며, 차단막은 심대와 수위조절핀으로 고정되어 부력과 자중으로 상승되는 볼에 의해 정확한 상하 동작되므로 통공 차단이 정확하여 누수를 방지함과 동시에 수위조절핀을 조이거나 풀어줌에 따라 볼의 위치가 자동조절되므로 종전과 같이 심대를 휘는 번거로움이 제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수조통내로 유입 만수되면 부력에 의해 볼은 부상되고 부상된 볼의 심대와 연결된 차단막이 공급관의 통공(2a)을 막아 공급되는 물은 중단된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18)를 잡아 당기면 손잡이와 일체로된 와이어(12)가 수조통 타측의 고정편(9a)에끼워진 골곡유도관(9) 내부에서 이동해 제어편(11)과 절곡유도관 사이에 있는 스프링(10)을 수축시키면서 고리(13)가 상승되므로 고리에 결착된 고무막(8)은 급수관 기둥에 돌설된 유착편(7)을 축으로하여 제2도의 점선과 같이 경사지관(4b)으로 부터 고무막이 이탈되기 때문에 수조통의 만수된 물은 경사지관을 경유 급수관(4)의 밑으로 배수되는 것이다.
손잡이는 당겨 고무막이 경사지관에서 뽑혀 수조내의 물이 배수되는 과정에서 손잡이를 놓으면 당기는 순간 수축되었던 스프링은 자체 탄성으로 신장되나 고무막이 물에잠겨 있는 동안에는 부력에 의해 경사지관과 격리되어 물에 떠 있으면서 경사지관을 개방된 상태로 유지시켜 주므로 수조통내의 물은 경사지관을 통해 세차게 흐르게 되고 물이 빠져 고무막의 자체 무게와 고리에 의해 개방된 경사지관을 막은 후에도 경사지관보다 하방에 위치한 절곡관 입구를 통해 경사지관 아래에 고인 잔여물을 한참동안 흐르게 하므로 변기를 마무리 세척까지 할 수 있는 것으로, 경사지관을 고무막이 막을 때는 물 묻은 금속 부위와 고무는 견인력이 발생하여 접촉이 좋으므로 경사지관 입구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와이어가절곡유도관 내로 통과하면서 작동되여 고정편에 끼워진 절곡유도관에 무리를 주지 않아 파손이나 고장의 염려가 없고, 경사지관이 개방된 상태로 배수의 물의 유속이 빠름과 동시에 마무리세척까지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수조통 상하부와 급수관 하단에는 두터운 고정구(14)(14')(15)(15')(16)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설치시통의 파손과 누수를 방지하면서 수조통을 수평으로 항상 유지시켜 만수시 월류를 방지하고 안전성을 부여하여 주는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종전의 장치에 비해 완벽한 누수와 개폐작용이 정확하며, 부품의 파손과 고장을 최대로 억제한 실용성이 있다.

Claims (1)

  1. 공급관 외부에 나사식으로 결합된 캡(5)의 연결편에는 볼의 심대와 차단막을 수위수위 조절핀(6)으로 연결 고정한 것에 있어서 수조통 타측에는 절곡유도관(9) 및 스프링(10)과 제어편(11) 사이로 통과한 와이어(12)가 이동하면서 고리(13)와 연결된 통상의 고무막(8)이 유착편(7)을 축으로 하여 경사지관을 개폐토록한 물탱크 및 수세식 변기의 급배수 장치.
KR2019850005174U 1985-05-02 1985-05-02 물탱크 및 수세식 변기의 급배수 장치 KR8700023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5174U KR870002302Y1 (ko) 1985-05-02 1985-05-02 물탱크 및 수세식 변기의 급배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5174U KR870002302Y1 (ko) 1985-05-02 1985-05-02 물탱크 및 수세식 변기의 급배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4853U KR860014853U (ko) 1986-12-18
KR870002302Y1 true KR870002302Y1 (ko) 1987-06-30

Family

ID=19241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5174U KR870002302Y1 (ko) 1985-05-02 1985-05-02 물탱크 및 수세식 변기의 급배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230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4853U (ko) 1986-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6652B1 (ko)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기능이 부가된 비데
US6425148B1 (en) Water-saving device for a toilet having a sink with a float-operated drain valve
KR910018644A (ko) 변기의 플래퍼 밸브의 제어장치
KR870002302Y1 (ko) 물탱크 및 수세식 변기의 급배수 장치
JP3319962B2 (ja) 洗面化粧台
US4348778A (en) Emergency toilet water protection unit
JP4646029B2 (ja) 逆流防止装置
KR200180790Y1 (ko) 부동전의 잔류수 퇴수장치
KR100993058B1 (ko) 토수구 매립형 수도꼭지
KR19990071333A (ko)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US3117323A (en) Ball valve lifting apparatus
US3579649A (en) Toilet tank and guide for flush control valve
KR870001782Y1 (ko) 양변기용 급수조의 배수장치
US3048186A (en) Automatic flood control means
KR850000040Y1 (ko) 욕실용 급수 차단장치
RU2052590C1 (ru) Спускная арматура для смывного бачка
KR101009369B1 (ko) 수세식변기용 절수기
KR200437206Y1 (ko) 자동물내림장치의 실린더로 물공급을 안내하는 필밸브
KR100293591B1 (ko) 중력과 수압 및 부력을 응용한절수용 기기
KR19990036029U (ko)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200192560Y1 (ko) 변기용 수세장치
KR910001734Y1 (ko) 수세식 변기탱크용 사이폰
JPS6015821Y2 (ja) 据置式浴槽の排水構造
JPH0128143Y2 (ko)
KR200206146Y1 (ko) 양변기의 절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6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