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2150B1 - 차단기 등의 인터로크장치 - Google Patents

차단기 등의 인터로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2150B1
KR870002150B1 KR8200486A KR820000486A KR870002150B1 KR 870002150 B1 KR870002150 B1 KR 870002150B1 KR 8200486 A KR8200486 A KR 8200486A KR 820000486 A KR820000486 A KR 820000486A KR 870002150 B1 KR870002150 B1 KR 870002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losing
cam
support piece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0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9620A (ko
Inventor
에쓰요시 코가네자와
미노루 나카하다
마사미쓰 나카니시
Original Assignee
카다야마 히도하지로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다야마 히도하지로,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카다야마 히도하지로
Publication of KR830009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9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2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istribution gear, e.g. bus-bar systems; for switching devices
    • H02H7/22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istribution gear, e.g. bus-bar systems; for switching devices for switches
    • H02H7/224Anti-pump circuits

Landscapes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단기 등의 인터로크장치
제 1 도는 종래의 이중 투입방지장치의 구성도.
제 2 도, 제 3 도, 제 4 도는 종래의 이중 투입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구성도.
제 5 도 - 제 9 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투입캠 2 : 크랭크축
3 : 축판 4 : 캠로울러
5 : 주링크 7 : 주접점
20 : 크랭크 21 : 투입스프링
22 : 고정축 23 : 트립기구
24 : 투입버튼 25 : 축
26 : 투입버튼복귀스프링 27 : 이중 투입방지판
28 : 축 29 : 스프링
30 : 투입지지편 31 : 핀
본 발명은 차단기 및 개폐장치등의 조작기구에 사용되는 인터로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와 같은 종류의 장치로서는, 제 1 도에 표시된 구성과 같은 것이 있었다.
제 1 도는 차단기의 인터로크장치를 표시한 것인데, 1은 투입캠으로서, 크랭크축(2)에 의해 측판(3)에 설치되어 있고, 크랭크축(2)을 중심으로 구동장치(도시생략)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4는 캠로울러로서, 투입캠(1)의 내부에 고착되어 있다.
5는 주링크로서, 선단의 로울러를 통하여 투입캠(1)에 접촉되어 있고, 투입캠(1)에 동작을 링크기구(6)에 전달한다. 이 링크기구(6)는 주링크(5)의 동작을 개폐동작으로 변환시켜 주접점(7)을 개폐하게된다.
8은 레버로서, 개폐지시기핀(9)과 링크기구(6)를 연결하여 주접점(7)이 개로일때, 개폐지시기핀(9)을 a 위치에 놓고, 주접점(7)이 페로일때, 개폐지시기핀(9)을 b위치로 이동시킨다.
10은 투입지지편으로서, 축(11)에 회전자재하게 설치되어 있고 캠로울러(4)와 접촉하여 투입캠(1)의 회전하지 못하도록 지지하고 있다.
12는 스프링으로서, 투입지지편(10)과 고정축(13)간에 설치되어서 투입지지편(10)과 캠로울러(4)의 접촉을 유지되도록 한다.
14는 투입버튼으로서, 축(15)에 회전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다. 축(15)은 측판(3)에 고착되어 있다.
16은 투입크로치로서, 축(17)에 회전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다. 축(17)은 투입버튼(14)에 장착되어 있다.
18은 투입레버로서, 축(19)에 회전자재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일단은 투입크러치(16)와 접촉되어 있고, 타단은 투입지지편(10)에 접촉되어, 투입크러치(16)의 동작을 투입지지편(10)에 전달한다. 축(19)은 측판(3)에 고착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도 있어서, 주접점(7)이 개로상태일때는, 개폐지시기핀(9) a위치에 있으며, 이때 투입버튼(14)을 누르면 투입버튼 14는 축(15)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투입버튼(14)의 회전과 동시에 축(17)이 이동되므로, 투입크러치(16)는 투입레버(18)의 접촉부를 지점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개폐지시기핀(9)에 접촉된다.
개폐지시기핀(9)은 레버(8)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으므로, 투입크러치(16)도 개폐지시기핀(9)의 접촉부를 지점으로 하여 투입레버(18)를 축(19)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투입레버(18)는 투입크러치(16)에서 받은 힘을 투입지지편(19)에 전달하고, 스프링(12)의 힘에 대항하여 투입지지편(1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캠로울러(4)와 투입지지편(10)의 접촉을 해제시킨다.
이상태를 제 2 도에 표시한다.
캠로울러(4)는 투입지지편(10)의 접촉이 해제되었으므로, 투입캠(1)은 투입스프링(도시생략)에 의해 크랭크축(2)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180°회전시키고, 주링크(5) 및 링크기구(6)를 통하여 주접점(7)을 폐로상태로 한다.
이때 개폐지시기핀(9)은 a위치에서 b위치로 이동한다.
이 상태를 제 3 도에 표시한다.
제 3 도에 있어서, 구동장치(도시생략)에 의해 투입캠(1)을 180°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캠로울러(4)와 투입지지편(10)을 접촉시킨다(투입리셋트상태).
이때의 투입캠(1), 투입지지편(10)및 주링크(5)의 관계는 제 4 도와 같이되고, 주접점(7)은 폐로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주접점(7)의 투입상태에 있어서, 캠로울러(4)와 투입지지편(10)의 접촉이 떨어지면, 즉 이중투입을 하면 투입캠(1)은 투입스프링(도시생략)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주링크(5)는 투입캠(1)에 접촉되어 움직이므로, 투입캠(1)의 우묵파인 곳에 주링크(5)가 들어가는 상태가 된다(제 1 도 참조).
이로 인해서, 주링크(5)의 위치가 변동되고, 링크기구(6)를 통하여 주접점(7)이 폐로상태에서 개로상태로 그리고 다시 폐로상태로 되어 주접점(7)을 파손하게 되는 등의 불합리한 현상을 일으키며 이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4 도와 같이 주접점(7)이 폐로상태 일때에는 개폐지시기핀(9)이 b 위치에서 있게 되고, 투입버튼(14)을 눌러도 투입크로치(16)는 투입레버(18)의 접촉부를 지점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투입레버(18)를 통해 투입지지편(1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지 않으므로서 투입지지편(10)과 캠로울러의 접촉이 유지되어 소위 이중투입이 방지된다.
종래에 있어서, 이중투입방지의 인터로크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트리핑기구(도시생략)에 의해 주링크(5)와 투입캠(1)이 이탈된 상태(트리핑상태)를 유지하고, 투입스프링 인터로크등(도시생략)에 의해 투입버튼(14)을 누른상태 그래도 두면, 개폐지시기핀(9)은 제 2 도의 a상태에 있게되며 이 상태에 있어서, 구동장치(도시생략)에 의해 투입스프링(도시생략)이 축세된 경우에는 투입지지편(10)과 캠로울러(4)가 접촉하지 않고, 투입캠(1)이 투입스프링(도시생략)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180°회전한다.
이때는 트리핑상태이므로, 투입캠(1)의 동작이 링크기구(6)에 전달되지 않아, 주접점(7)은 폐로상태로 되지 않는 소위 트립프리(TRIP FREE)현상이 발생한다.
그리고, 구동장치(도시생략)의 동작이 해제되지 않았을 경우는 재차 투입스프링(도시생략)이 축세되어 트립프리를 반복하는 소위 펌핑 현상을 일으켜 크랭크축(2)이 큰 손상을 주는 결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결점 등을 제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제 5 도에 의해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20은 크랭크인데, 이 크랭크(2)는 크랭크축(2)에 고착되어 있다.
21은 투입스프링으로서, 고정축(22)과 크랭크(20)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23은 트리핑기구로서, 주링크(5)와 투입캠(1)의 접촉을 유지시키기 위한 역할을 하고, 24는 투입버튼으로서, 축(25)에 회전자재하게 장착되어 있다.
26은 투입버튼복귀 스프링으로서, 투입버튼(24)이 축(25)을 중심으로 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였을때 윈위치에 복귀시키도록 투입버튼(24)에 설치되어 있다.
27은 이중투입방지판으로서, 축(28)에 고착되어 있고 축(28)은 투입버튼(24)에 장착되어 있으며, 이중 투입방지판(27)은 축(28)을 중심으로 회전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다.
29는 스프링으로서, 이중투입방지판(27)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겠금, 이중투입방지판(27)설치되어 있다.
30은 투입지지편으로서, 축(25)에 장착되어 있으며, 31은 핀으로서, 투입지지편(30)에 고착되어있고 이중투입방지판(27)의 움직임을 투입지지편(30)에 전달한다.
다음은 제 5 도 내지 제 9 도에 의하여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주접점(7)이 개로상태로서, 투입스프링이 축세상태에서는 주링크(5)는 제 5 도와 같은 위치에 있게 되고 이중투입방지판(27)은 스프링(29)에 의해 주링크(5)에 접촉되고 있다.
이때, 투입버튼(24)을 P점에서 밀면 투입버튼(24)은 축(25)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투입버튼(24)의 회전에 따라 축(28)이 축(25)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중 투입방지판(27)은 주링크(5)와의 접점을 지점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핀(31)에 접촉한다.
다시 투입버튼(24)이 점 P점에서 눌리면, 이중투입방지판(27)은 핀(31)을 밀게되므로, 투입지지편(30)은 축(25)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6 도와 같이 투입지지편(30)과 캠로울러(4)의 게합이 풀어지는 상태로 되고, 투입스프링(21)의 힘에 의해 투입캠(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주링크(5)와 링크기구(6)를 통해 주접점(7)을 폐로상태로 한다.
주접점(7)이 폐로상태로서, 투입스프링의 축세상태에서는 주링크(5)는 제 7 도와 같은 위치에 있게 되고 이중투입방지판(27)은 스프링(29)에 의해 제 7 도와 같은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투입버튼(27)을 P점에서 밀면투입버튼(24)은 축(25)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투입버튼(24)의 회전에 따라 축(28)이 축(25)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스프링(29)의 힘에 의해 이중투입방지판(27)은 축(28)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제 8 도와 같이 이중투입방지판(27)과 핀(31)이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투입지지편(30)과 캠로울러(4)와의 계합이 풀리지 않게 되므로 투입캠(1)의 회전을 막아 소위 이중투입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에 펌핑방지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5 도의 조건에 있어서, 트리핑기구(23)를 트리핑하면(트리핑상태) 트리핑 기구(23)와 주링크(5)를 입캠(1)에 의해 접촉시키는 기능을 해제되지만, 트리핑기구(23)의 내부에 있는 리세트스프링에 의해 주링크(5)는 트리핑기구측에 인장되어 있으므로, 주링크(5), 이중투입방지판(27), 투입버튼(24), 투입지지편(30)의 위치관계는 제 5 도의 상태를 유지한다.
이 시점에서 투입버튼(24)을 밀면 제 6 도와 같이 되어 투입캠(1)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나, 트리핑상태이므로 주링크(5)에서 링크기구(6)에 투입캠(1)의 움직임이 전달되지 않아 주접점(7)은 폐로상태로 되지 않는다.
소위 트립프리를 일으킨다.
그러나, 트리핑기구는 트리핑상태로 하고, 예를 들면 인터로크(도시생략)을 동작시켜 투입버튼이 눌린상태에서 투입스프링(21)이 탄력을 축적하고 있을 경우에는 제 9 도와 같은 상태로 된다.
즉, 이중투입방지판(27)과 투입지지편(30)의 계합은 투입스프링(21)의 축세전에 미리 풀어져 있는데, 이 상태에 있어서 투입스프링(21)의 탄력을 축적하기 때문에 축세완료상태에 있어서는 주링크(5)가 이중투입방지판(27)에 맞닿아서 리세트되지 않고 투입지지편(30)과 캠로울러(4)의 계합도 안풀어지므로 투입스프링은 작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소위 펌핑현상이 방지된다.
다음에 제 9 도에 있어서, 투입버튼(24)의 눌림이 없어지면 투입버튼 복귀스트링(26)에 의해 투입버튼(24)은 축(25)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복귀하려 하므로, 축(28)은 축(25)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에 의해 이중투입방지판(27)은 투입스프링(21)에 의해 캠로울러(4)와 투입지지편(30)의 결합력에 의해 투입지지편(30)의 동작이 곤란하게 되므로 발생하는 핀(31)의 접촉부에서와 대항력과, 스프링(29)의 대항력등에 의해 주링크(5)를 트리핑기구(23)의 내부 리세트스프링에 대항하여 투입캠(1)에서 떨어져 나가게 된다.
이때 이중투입방지판(27)과 핀(31)의 접촉이 풀리면, 핀(31)에서 반항력이 없어지기 때문에 트리핑기구(23)의 내부 리세트스프링이, 스프링(29)의 이중투입방지판(27)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에 반항하여 주링크(5)를 투입캠(1)에 접촉시키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제 5 도와 같은 리세트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위의 실시예에서는, 차단기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캠투입방식으로 된 것이라면 차단기 또는 기타 개폐장치 일지라도 무방하며 위의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트리핑상태에 있어서 투입버튼이 눌린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때에는 투입지지편이 풀어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펌핑현상을 방지하고, 조작기구에 충격량을 경감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기구에 수명이 길어져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정정)투입캠(1)의 회전을 지지하는 투입지지편(30)과, 이 투입캠(1)의 동작을 주접점(7)을 개폐하는 링크기구에 전달하는 주링크(5)와, 투입버튼(24)의 움직임을 상기 주링크(5)의 위치에 따라 투입지지편(30)에 전달하는 이중투입방지판(27)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차단기 등의 인터로크장치.
  2. (정정)제 1 항에 있어서, 주접점(7)의 폐로상태에 있어서는 투입버튼(24)의 움직임을 투입지지편(30)에 전달하지 않는 위치에 이중투입방지판(27)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차단기 등의 인터로크장치.
  3. (정정)제 1 항에 있어서, 주접점(7)의 개로상태에 있어서 투입버튼(24)이 동작상태에 있을때 투입스프링(21)이 탄력을 축적하고 있을 경우에는 미리 투입버튼(24)의 움직임을 투입지지편(30)에 전달하지 않고 투입스프링(21)의 작동을 방지하는 위치에 이중투입방지판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차단기 등의 인터로크장치.
KR8200486A 1981-04-03 1982-02-05 차단기 등의 인터로크장치 KR8700021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050722A JP2598890B2 (ja) 1981-04-03 1981-04-03 しや断器等のインターロツク装置
JP56-50722 1981-04-03
JP50722 1981-04-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9620A KR830009620A (ko) 1983-12-22
KR870002150B1 true KR870002150B1 (ko) 1987-12-12

Family

ID=12866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0486A KR870002150B1 (ko) 1981-04-03 1982-02-05 차단기 등의 인터로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598890B2 (ko)
KR (1) KR870002150B1 (ko)
BR (1) BR8201898A (ko)
GB (1) GB2097192B (ko)
MX (1) MX15511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5335A (ja) * 1984-02-20 1985-09-09 富士電機株式会社 回路遮断器
JPH02228953A (ja) * 1989-03-02 1990-09-11 Toshiba Corp 超音波診断装置
JP2506650Y2 (ja) * 1989-04-28 1996-08-14 株式会社明電舎 開閉器の操作機構
JP3271512B2 (ja) * 1996-03-27 2002-04-02 三菱電機株式会社 遮断器の二重投入防止装置
JP6814682B2 (ja) * 2017-04-07 2021-01-20 株式会社東光高岳 真空遮断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56A (en) * 1978-06-20 1980-01-07 Mitsubishi Electric Corp Device for preventing breaker from pump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097192B (en) 1985-04-17
JP2598890B2 (ja) 1997-04-09
BR8201898A (pt) 1983-03-08
JPS57165928A (en) 1982-10-13
MX155112A (es) 1988-01-28
KR830009620A (ko) 1983-12-22
GB2097192A (en) 1982-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2150B1 (ko) 차단기 등의 인터로크장치
GB1356862A (en) Stored-energy circuit breaker closing devices
EP0216949B1 (en) Spring-type operating mechanism for a circuit interrupter
US5584383A (en) Operating mechanism for circuit breaker
KR910002726Y1 (ko) 회로차단기의 전기조작장치
KR860002843A (ko) 트립 메카니즘을 가진 회로 차단기
US3365956A (en) Sectionalizer for open cutouts
ES347847A1 (es) Un interruptor desconectador electrico.
KR910005781Y1 (ko) 회로차단기의 전기조작장치
US4260865A (en) Circuit breaker
CA1278328C (en) Spring operating mechanism for a circuit interrupter
GB1426642A (en) Switching mechanism copper etching process
US2152453A (en) Operating mechanism
KR890016605A (ko) 치단장치
GB1227285A (ko)
KR100479672B1 (ko) 진공차단기의 차징 장치
GB1080983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 switchgear
JPS6033534Y2 (ja) 高速度再投入用しゃ断器の操作装置
JPS6260778B2 (ko)
JP3678545B2 (ja) 開閉装置操作機構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JPH09259711A (ja) 遮断器の二重投入防止装置
US3162733A (en) Coin controlled time switch with reset cam
JPS6260780B2 (ko)
JPS6136038Y2 (ko)
GB594979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electrical circuit break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