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2145B1 - 고강성 전자파 차폐용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강성 전자파 차폐용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2145B1
KR870002145B1 KR1019850001297A KR850001297A KR870002145B1 KR 870002145 B1 KR870002145 B1 KR 870002145B1 KR 1019850001297 A KR1019850001297 A KR 1019850001297A KR 850001297 A KR850001297 A KR 850001297A KR 870002145 B1 KR870002145 B1 KR 870002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styrene
acrylonitrile
monom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1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6804A (ko
Inventor
여종기
김명환
이봉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럭키
구자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럭키, 구자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럭키
Priority to KR1019850001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2145B1/ko
Publication of KR860006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6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2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1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강성 전자파 차폐용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고강성 전자파 차폐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 과학의 발달과 전자제품의 고도화에 따라 불필요한 전자파가 많이 발생하게 되었다. 예컨데, 콤퓨터, 전자오븐,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 텔레비젼, 각종 사무처리기기, 음향기기 등에서 누출된 불필요한 전자파들은 다른 전자기기의 오작동을 초래하고, 인체에 해를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점점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근년에 전자파의 차폐를 위한 여러가지 방법이 사용되어 왔고 발전해왔다.
일반적으로, 금속은 전자파를 흡수 또는 반사하는 성질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전자기기, 각종 통신기기, 사무용 처리기의 전자파 차폐용 재료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또한 전자파의 흡수, 반사에 의한 차폐능력은 그 재료의 전기 전도도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으므로 어떤 재료라도 일정수준의 전기전도도 만지니고 있으면 전자파의 차폐능력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 등의 수지표면에 전도성 도료를 도장하거나 진공증착시켜 동일한 목적으로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하여 전자파 방사원 기기등의 표면을 전도성 도료로 도장하거나 진공증착시키는 것은 가공성, 생산성, 내후성이 나쁘고 표면처리 기술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최종 제품의 가격도 상승되기 때문에 최근에는 플라스틱 소재 자체에 전도성 충전재를 사용하여 사출성형 가능한 전자파 차폐용 수지를 개발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플라스틱등의 수지에 전도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충전재료는 전도성 카본블랙, 카본섬유, 흑연섬유 및 금속재료의 분말상물, 섬유상물, 또는 플레이크 상물이 있으나 전도성 카본블랙, 카본섬유, 흑연섬유 등은 전자파 차폐에 필요한 전기전도도를 충분히 부여하는 데에는 부적당하므로 단독으로 사용되는 예는 거의 없다. 금속계 충전재를 사용하는 경우에 분말 형태는 필요로 하는 전기 전도도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소모되기 때문에 섬유상 또는 플레이크 상을 이용한 전자파 차폐용 수지를 개발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과 같은 수지류에 충전재를 첨가하는 경우, 소량 첨가하면 전도성이 부족하여 전자파 차폐능력이 약한 반면, 다량 첨가하면 인장강도, 굴곡강도, 충격강도등 기계적 물성이 나빠진다.
최근에는 충분한 전자파 차폐능력을 지니면서 전자기기의 하우징용 및 내부 부품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정도의 물성을 지닐 수 있도록 기계적 강도의 저하를 최소화하고 가능한 한 최대의 물성을 지닌 전도성 복합 소재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파 차폐용의 전도성 복합소재에 관하여 일본국특허 공개소 57-168402호, 일본국특허 공개소 57-14635혼, 일본국특허 공개소 57-154703호, 유럽특허 제 62252호 등의 명세서에 있으나, 이들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알루미늄계 충전제와 카본블랙을 병용 사용한 것으로서, 체적 고유저항이 100-102Ω.CM 정도로 비교적 높기 때문에 전자파 차폐능력이 우수하다고 볼 수 없다. 또한 카본블랙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표면색상이 검은 색만으로 나타나 색상을 다양화할 수 없는 결점이 있으며 또한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기계적 강도면에 있어서도 전자기기의 하우징용이나 부품용으로 충분치 못하다.
또한 일본국특허 공개소 58-101149호 및 일본국특허 공개소 58-101150호 명세서에는 물성증대를 위해 폴리카보네트 수지를 메트릭스수지를 사용하고 있음을 제시했으나 폴리카보네이트는 충격강도는 좋으나 가격이 비싸며 가공성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본원의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이 기계적으강도의 저하, 전자파 차폐율의 저하, 가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 공중합 수지류와 스틸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 수지류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기본으로 하고 전도성 충전재로서 알루미늄 혹은 알루미늄을 주재로 한 합급의 플레이크 상물질 및 불포화카르복실산 및 그 유도체를 사용하여 전자파 차폐능력이 우수하고 전자기기의 하우징용이나 내부부품으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강성을 지니며 또한 사출성형이 용이한 전자파 차폐용 수지 조성물의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은
1) 디엔형 또한 알킬 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무성분 존재에 방향족모노알케닐 단량체 및 비닐시안 단량체 또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알킬에스테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단량체를 유화, 현탁 또는 괴상 중합하여 얻어진 그라프트 공중합체.
2) 방향족 모노 알케닐 단량체, 비닐시안 단량체, 아크릴산이나 메타크릴산의 알킬에스테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단량체를 괴상, 현탁 또는 유화 중합한 공중합체.
3) 폴리카보네이트.
4)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을 주재로 한 합금의 분말상, 섬유상 또는 플레이크상 전도성 충전제.
5)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그 유도체를 배합시켜 만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1) 성분의 공중합체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 메타 크릴산 메틸-아크릴로니트를-부타디엔-스틸렌-메타크릴산 메틸-부타디엔-스틸렌, 아크릴레이트-스틸렌-아크릴로니트릴 등으로 고무성분이 5-4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30중량부이며, 메트릴스 수지내에 분산된 고무입자의 평균 직경은 0.1-1.5이며 입자분포는 균일분포, 2중분포 또는 그 이상의 입자분포를 가질 수 있고 이의 사용량은 전 조성물 중량기준으로 10-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40중량부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2) 성분의 공중합체(이하 SAN 이라 함)는 고무성분이 없는 투명수지로서 비닐시안 단량체 함유량이 20-35중량부가 바람직하며, 1) 성분의 고무함량을 조정하여 가공성을 향상시킨다. 이의 사용량은 전조성물 중량기준으로 0.1-3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20중량부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3) 성분의 폴리카보네이트는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 알칸,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슬폭 사이드등의 비스페놀 또는 할로겐화 비스페놀에 의한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서 하기 일반식을 갖는다.
Figure kpo00001
상기 식에 있어서는
A는 디하이드릭페놀 양단에 방향족 라디칼을 갖는 성분으로 구체적인 식은
Figure kpo00002
로 나타낸다.
(여기서 R1과 R2는 수소, 알킬 또는 페닐그룹이며 알킬 탄소수는 1-6이고, N 값은 40-30이다)사용량은 전조성물 중량기준으로 10-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40 중량부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4) 성분의 전도성 충전재는 알루미늄 분말상 또는 섬유상 또는 플레이크 상이며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크상이다. 이의 사용량은 20-6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0-50중량부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5) 성분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그 유도체는 인장강도, 굴곡강도, 굴곡탄성율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첨가하지 않았을 경우보다 40%이상 물성이 향상됨을 알수 있다. 이의 사용량은 0.1-2.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2-1.5중량부이다.
상기 조성 이외에도 염료, 색소,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가소제, 윤활제, 자외선방지제, 가공조제, 발포제등이 소량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시 난연화를 위해 할로겐 원소를 포함하는 방향족 난연제 및 삼산화안티몬계의 난연조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원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그라프트 공중합체 1) 수지로서 이미 중합이 완료되어 시판되고 있는 ABS 수주(주식회사 럭키제품 : 고무함량 25중량부)건조 분말공중합체 2)중량부 및 2) 성분으로서 SAN (주식회사 럭키제품) 5중량부 3) 성분으로소서 시판되고 있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제인화성의 L-1250Y) 60중량부를 혼합시켜 100부로 한후 무수말레인산 1.0중량부를 첨가한 수지혼합물을 헨쉘믹서로 균일하게 혼합한 후 코-니어더를 사용하여 1차 호퍼에 상기 혼합물을, 2차 호퍼에 4) 성분인 알루미늄 플레이크를 6 : 4의 비율로 투입하여 최종수지조성물의 알루미늄 플레이크 함량이 40중량부가 되도록 은현한 후 펠렛으로 만든다. 이 펠렛을 100-120℃에서 2-3시간 건조한 후 금형 온도를 90℃, 실린더 온도를 240-270℃로 하여 255온스 사출기로 사출하여 최종 수지의 체적고유저항 및 전자파 차폐능력, 물성을 측정하였다. 물성측정은 ASTM에 준하여 측정하였고 체적고유저항은 1/8인치로 사출 성형된 평판을 길이 5-10CM 넓이 1-2CM로 잘라서 양끝에 온도료(SILVER PAINT)를 도포하여 건조시킨 후 측정장치 멀티미터(MUTIMETER)로 측정하여 다음 식으로 계산하였다.
Figure kpo00003
상기식에서
R은 체적고유저항(ΩCM)
l은 시편길이(CM)
l은 전기저항(Ω)
A은 온도료를 칠한 전국의 면적 전자파 차폐능력은 쉴디드 박스 메쏘드(SHIELDED BOX METHO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시편은 0.23CM 24CM×24CM 크기의 사출 성형된 평판을 사용하였다. 이 결과는 표 1에 나타나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조성에 무수말레인산 0.5부를 추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공성형하여 동일한 측정을 하였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무수말레인산을 넣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가공성형하여 동일한 측정을 하였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kpo00004
상기표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존의 전자파 차폐율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강성이 향상 되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4)

  1. 디엔형 또는 알킬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무 성분 존재하에 방향족모노알케닐 단량체 및 비닐시안 단량체 또는 아크릴 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알킬 에스테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단량체를 유화, 현탁 또는 괴상 중합하여 얻어진 그라프트 공중합체 10-50중량부.
    방향족 모노 알케닐 단량체, 비닐시안 단량체, 아크릴산이나 메타크릴산의 알킬에스테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단량체를 괴상, 현탁 또는 유화 중합한 공중합체 0.1-30중량부.
    폴리카보네이트 10-50중량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을 주재로 한 합금의 분말상, 섬유상 또는 플레이크상 전도성 충전제, 20-60중량부,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그 유도체 0.1-30중량부로 구성된 고강성 전자파 차폐용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그라프트 공중합체가 아크릴로 니트릴-부타디엔 스틸렌, 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스틸렌, 메타크릴산메틸-부타디엔-스틸렌 아크릴레이트-스틸렌-아크릴로니트릴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유화중합 공중합체가 스틸렌-아크릴로니트릴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폴리카보 네이트가 2, 2-비스(4-하이드록시페닐) 알칸,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4-하이드록시페닐) 슬폭사이드의 비스페놀 또는 할로겐화 비스페놀에 의한 중합체 임을 특징으로하는 상기 조성물.
KR1019850001297A 1985-02-28 1985-02-28 고강성 전자파 차폐용 수지 조성물 KR870002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1297A KR870002145B1 (ko) 1985-02-28 1985-02-28 고강성 전자파 차폐용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1297A KR870002145B1 (ko) 1985-02-28 1985-02-28 고강성 전자파 차폐용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804A KR860006804A (ko) 1986-09-15
KR870002145B1 true KR870002145B1 (ko) 1987-12-12

Family

ID=19239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1297A KR870002145B1 (ko) 1985-02-28 1985-02-28 고강성 전자파 차폐용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214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804A (ko) 1986-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565562B2 (en) Synergistic effect of metal flake and metal or metal coated fiber on emi shielding effectiveness of thermoplastics
CA1206288A (en) Conductive thermoplastic compositions
US4857590A (en) Polymer blend compositions
WO2004083292A1 (en) Electrically conductive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US4533680A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molding
EP0176866B1 (e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shielding, flame-retardant abs resin compostion
US4678602A (en) Highly conductive styrenic resin composition
EP0185783A1 (en) Improved EMI shielding effecttiveness of thermoplastics
KR870002145B1 (ko) 고강성 전자파 차폐용 수지 조성물
JPS6191248A (ja) 改良された熱歪み温度を有する熱可塑性成形用組成物
KR870002144B1 (ko) 내충격성 전자파 차폐용 수지조성물
KR870000059B1 (ko) 전자파 차폐용 수지조성물
CN113980447B (zh) 一种阻燃abs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3384902B2 (ja) 難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870001535B1 (ko) 전자파 차폐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
JPH0450344B2 (ko)
KR910009865B1 (ko) 전도성 난연 수지 조성물
JPH08283421A (ja) マスターバッチおよびこれを用いた導電性ポリ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JPH09310029A (ja) 導電性粉体カプセル化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導電性樹脂組成物
KR910009864B1 (ko) 고강성 전도성 수지 조성물
JP3298759B2 (ja) 導電性樹脂組成物
JPH0358560B2 (ko)
JPS6355539B2 (ko)
JP3190089B2 (ja) 擦れ音を低減した摺動部材
JPH0819257B2 (ja) 電磁波遮蔽用合成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1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