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2110Y1 - 쇼트 블라스트의 연소재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쇼트 블라스트의 연소재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2110Y1
KR870002110Y1 KR2019850006367U KR850006367U KR870002110Y1 KR 870002110 Y1 KR870002110 Y1 KR 870002110Y1 KR 2019850006367 U KR2019850006367 U KR 2019850006367U KR 850006367 U KR850006367 U KR 850006367U KR 870002110 Y1 KR870002110 Y1 KR 8700021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material
recovery apparatus
asher
burning
fix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63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4498U (ko
Inventor
이세희
Original Assignee
한국쇼트기계 주식회사
신현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쇼트기계 주식회사, 신현옥 filed Critical 한국쇼트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063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2110Y1/ko
Publication of KR8600144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44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21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110Y1/ko

Links

Landscapes

  • Cyclo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쇼트 블라스트의 연소재 회수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 결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 : 흡입구
3 : 원통 4 : 고정판
6 : 조절판 7 : 공기유입구
8 : 조절구 9 : 뚜껑체
10 : 토출구 11 : 하체
12 : 통공 14 : 도어
15 : 망상의 스크린
본 고안은 각종 철각재등의 표면에 묻어 있는 모래, 소착물 및 스케일, 녹동을 제거하는 쇼트블라이스트(SHOTBLAST)의 연소재를 이물질과 분리하여 회수할 수 있도록 한 쇼트 블라스트의 연소재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심력 또는 공기의 압력을 이용해서 연소재를 주물에 투사해서 소형 주물의 모래 떨구기와 주물 표면을 곱게하는데 사용하고 또 철각재등의 표면에 형성된 녹을 제거하기 위하여 쇼트블라스트 장치가 이용되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작업과정에 있어서, 연소재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부스러기 등의 이물질과 연소재를 분리시키고 이 연소재를 회수하여 재사용하기 위한 방법이 강구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연소재를 효율적으로 회수하기 위한 장치가 마땅한 것이 없었고 또 금속부스러기와 연소재를 이용하게 분리시키지 못하므로서 연소재를 필요이상으로 낭비하게 되는 점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싸이크론 원리를 이용해서 연소재와 금속부스러기를 분리시켜 연소재를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도록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몸체(1)의 일측으로 흡입구(2)를 형성하고 내부 중앙에는 원통(3)과 확개부(5)를 하방에 형성시킨 고정판(4)을 설치하며 고정판(4)의 하방에 삿갓형 조절판(6)을 설치하여 고정판(4)의 확개부(5) 사이에 공기유입구(7)를 성형하고 조절판(6)은 조절구(8)로 상·하 조절가능토록하며 몸체(1)의 상부에는 토출구(10)를 형성시킨 뚜껑체(9)를 설치하고 몸체(1) 하방에는 통공(12) 및 개구부(13)와 도어(14)를 형성하며 스크린(15)을 경사지게 설치한 하체(11)를 설치하고 하체(11)의 하부에 홉퍼(16)를 형성토록 구성하여서 된 것으로 미설명부호 17은 저장탱크, 18은 집진기, 19는 쇼트블라스트장치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쇼트 블라스트장치(19)에서 투사장치에 의하여 투사된 연소재와 금속부스러기 및 먼지 등을 집진지(18)의 흡인력으로 흡입구(2)를 통하여 몸체(1)내로 흡입하게 되면 몸체(1)의 원통(3)을 따라 와류 되면서 가장 가벼운 먼지가 원통(3)내로 흡입되고 이보다 무거운 먼지와 큰 오물이 하강하면서 그중 고운 먼지가 통공(12)으로 유입되는 새로운 공기에 의하여 공기유입구(7)를 통해 상승하며 이는 가장 가벼운 먼지와 함게 토출구(10)를 통하여 집진기(18)로 집진된다.
한편, 새로운 공기의 유입에 따라 금속부스러기와 연소재가 분리되면서 망상의 스크린(15)에 떨어지게 되며 이곳에서 연소재는 스크린(15)을 그대로 통과하여 홉퍼(16)를 통해 저장탱크(17)로 쌓이게 되고 큰 오믈은 스크린(15)에 남아있게 되며 이는 도어(14)를 열어 폐기토록 할 수 있다.
한편, 공기유입구(7)는 조절구(8)를 이용하여 조절판(6)을 상, 하로 이동하면서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공기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소재의 분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서 연소재를 이용하게 분리시켜 회수할 수 있으며 연소재를 효율적으로 회수하므로서 연소재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점등의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1)

  1. 몸체(1)의 일측에 흡입구(2)를 형성하고 중앙부에는 원통(3)과 확개부(5)를 가진 고정판(4)을 설치하며, 고정판(4)의 하방에는 조절구(8)에 의하여 조절가능한 조절판(6)을 설치하고 조절판(6)과 고정판(4)사이에 공기유입구(7)를 형성하며 몸체(1)의 하방에는 통공(12), 개구부(13) 및 도어(14)와 망상의 스크린(15)을 설치한 하체(11)를 설치하고 몸체(1) 상부에는 토출구(10)를 형성한 뚜껑체(9)를 설치토록 구성하여서된 쇼트 블라스트의 연소재 회수장치.
KR2019850006367U 1985-05-28 1985-05-28 쇼트 블라스트의 연소재 회수장치 KR8700021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6367U KR870002110Y1 (ko) 1985-05-28 1985-05-28 쇼트 블라스트의 연소재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6367U KR870002110Y1 (ko) 1985-05-28 1985-05-28 쇼트 블라스트의 연소재 회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4498U KR860014498U (ko) 1986-12-08
KR870002110Y1 true KR870002110Y1 (ko) 1987-06-18

Family

ID=19242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6367U KR870002110Y1 (ko) 1985-05-28 1985-05-28 쇼트 블라스트의 연소재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211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4498U (ko) 1986-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98290A (en) Dust separating equipment
US4139454A (en) Reclaiming system for scrap metals
DE69933211D1 (de)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trennen von teilchen aus einem luftstrom
KR830005910A (ko) 산화철 환원로로 부터의 배출 폐기물내 미세 탄화물 입자회수를 위한 공기 세광(洗鑛)방법
US3907670A (en) Air classifier for municipal refuse
KR870002110Y1 (ko) 쇼트 블라스트의 연소재 회수장치
US5671688A (en) Process for treating slag from refuse incineration plants
GB1498767A (en) Refuse sorting process and plant
JP2004136225A (ja) 比重差選別機
US2789659A (en) Air cleaner of suction type
US4616935A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boiler ash collection
US2565596A (en) Air cleaner
JP3677485B2 (ja) 廃棄物選別処理設備
JPH04502200A (ja) 屑材料を溶融スラグに導入する配置
JPS6131816Y2 (ko)
KR100396454B1 (ko) 주물, 주강공장 후처리 공정에서의 건식 분진처리 시스템
KR860002171Y1 (ko) 연초 분리장치
KR950004313Y1 (ko) 촉매의 표피 이물질 제거장치
ES2008008A6 (es) Separador por gravedad para materiales aridos.
JPS5781878A (en) Metallic waste crushing and disposing facility
US1686912A (en) Smelting apparatus
JPH06269737A (ja) 破砕不燃物の選別装置
JPS55152514A (en) Dry scrubber
KR20060037164A (ko) 화력발전소의 고순도 및 미립 석탄회 회수장치
JPS56133060A (en) Dust removing apparatus for waste g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