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2043Y1 - 카메라의 자동 촛점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의 자동 촛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2043Y1
KR870002043Y1 KR2019860016969U KR860016969U KR870002043Y1 KR 870002043 Y1 KR870002043 Y1 KR 870002043Y1 KR 2019860016969 U KR2019860016969 U KR 2019860016969U KR 860016969 U KR860016969 U KR 860016969U KR 870002043 Y1 KR870002043 Y1 KR 8700020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subject
camera
light
r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69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부로 스가하라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고가꾸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마쯔모또 오사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40000175A external-priority patent/KR840007471A/ko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고가꾸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마쯔모또 오사무 filed Critical 아사히 고가꾸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600169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20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20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0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02B7/30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using parallactic triangle with a base line
    • G02B7/32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using parallactic triangle with a base line using active means, e.g. light emit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18Focusing aids
    • G03B13/20Rangefinders coupled with focusing arrangements, e.g. adjustment of rangefinder automatically focusing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ocusing (AREA)
  • Measurement Of Optical Distan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메라의 자동 촛점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에 사용되는 위치검지부의 동작원리를 설명하는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위치검지부를 사용한 측거부의 동작원리를 설명하는 개략구성도.
제3도는 제2도의 측거부를 사용한 자동 촛점장치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도.
제4도는 신호처리 연산 회로의 출력과 피사체 거리의 역수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그래프.
제5도는 촬영 화면을 바탕으로 측거부의 주사를 설명하는 도면.
제6도는 측거부의 주사과정에 위치한 피사체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제7도는 측거부의 주사수단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제8도는 측거부의 주사수단에 대한 또 다른 일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제9도는 자동촛점 장치에 대한 제 2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도.
제10도는 논리 회로에 대한 상세한 회로도.
제11도는 측거부의 주사수단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제12도는 측거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제13도는 주사 수단을 생략한 측거부의 구성예를 도시한 개략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위치 검지부 2 : 기판
3 : P형 저항층 4 : n+
5,6 : 전극 7,8 : 출력단자
10 : 측거부 11 : 발광 다이오드
12 : 집광렌즈 13 : 피사체
14 : 결상렌즈 15 : 헤드앰프
16 : 신호처리 연산회로 17 : 헤드앰프
18 : 피크홀드회로 19 : 변환기
20 : 렌즈 구동부 1' : 수광소자열
21 : 광전변환회로 22 : 전압 비교기
24 : 레지스터 25 : 원쇼트회로
26 : 논리회로 28,29,30,31 : 입력단자
33,35,37 : 인버트 34,36,38 : AND 회로
32,39,40,41 : 출력단자 42 : 횡장광원
43 : 원주형 집광렌즈 44 : 원주형 결상렌즈
45 : 횡장수광소자열
본 고안은 카메라의 자동 촛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장치는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거부가 주된 피사체를 촬영화면의 중앙부라고 하는 극히 한정된 부분에 위치되지 않지만 촛점의 정합 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따라서 소위 핀트가 맞는 사진을 찍는 데에는 구조가 획일화되어 버리기 때문에 취지가 다른 사진을 찍는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결함을 해소하기 위해 예를 들면 미리 주된 피사체를 화면의 중앙에 위치시키고 그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거부를 설치하는 것과 같이 이 측거부에서 얻어지는 거리정보를 기억수단을 설치하는 것에 따라 구조를 결정하고, 그 후 셔터조작을 행한다고 하는 장치가 제안되었다. 그렇지만 그러한 장치의 경우 촬영 전에 구도 결정을 위한 면밀한 조작이 필요하게 되는 것임으로 카메라 애호가이면 모르되 초심자에게는 충분히 사용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다. 특히 피사체가 움직이기 쉬운 예를 들어 스냅촬영을 행하는 경우 구조 결정의 조작에 정신을 빼앗기기 때문에 한층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에 따라서는 촬영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촬영하려는 피사체의 구도를 희망에 따라 결정할 수 있게 하는 것과 동시에 간단한 조작으로 핀트의 정확한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카메라의 자동촛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촬영면에서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대한 거리신호를 얻는 측거부와 이 측거부를 주된 피사체의 근방으로 향하게 하여 촬영범위에 주사하는 주사수단과 이 주사수단에 의한 주사 중에 측거부에서 얻은 거리신호 중 최단거리에 위치한 피사체에 의한 신호만을 검출하여 기억하는 기억부와 이 기억부에 기억된 신호를 받아들여 촬영렌즈를 최단거리에 위치한 피사체에 대한 촛점의 정합위치까지 조출하는 렌지 구동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먼저 본 고안에 관한 자동촛점 장치에 사용되는 측거부의 동작원리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측거부를 구성하는 위치검지부 (1)를 설명하는 것으로써 이 위치검지부 (1)는 실리콘과 같은 고저항반도체 기판 (2)을 갖추고 있고, 이 기판 (2)의 한쪽면(도면에서 상방)은 광전 변환부를 구성하는 P형 저항층 (3)이 형성되며, 다른쪽면(도면에서 하방)을 n+층 (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P형 저항층 (3)의 양단에는 신호취출용 전극 (5,6)이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전극 (5,6)은 제각기 출력단자 (7,8)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신호취출용 전극 (5,6)이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전극 (5,6)은 제각기 출력단자 (7,8)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기판 (2)의 표면층은 PN 접합을 형성하게 되고, 광전효과를 일으키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위치검지부 (1)의 P형 저항층 (3)에 일정한 빛이 입사되면, 이 입사광에 따라 광전류 I0가 생성한다. 이러한 효과로써 출력단자 (7,8)에서 취출된 전류 IA, IB는 다음과 같이 된다.
여기에서 RL은 양전극(5,6) 사이의 저항이고, RX는 한쪽 전극(5)에서 거리 X만큼 떨어진 입사광의 위치에 있어서의 저항을 나타낸다. (1)식에서 알 수 있는 것은 빛의 입사위치에서 발생한 생성전하는 그 입사량의 에너지에 비례하는 광전류로서 P형 저항층(3)에 확산하고, 빛의 입사위치에서 각 전극(5,6)까지의 저항값에 역비례하게 분배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P형 저항층(3)이 균일하게 된 길이의 저항값이 비례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1)식은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여기에서 L은 양 전극(5,6)간의 거리이고, X는 한쪽 전극에서 빛의 입사위치까지의 거리이다. (2)식에서 전류 IA와 IB와의 비를 구해보면
과 같은 관계식이 구해지고, 이 결과 전류 IA및 IB의 값에서 입사광의 에너지와는 무관하게 빛의 입사위치를 알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제2도는 상술한 위치 검지부(1)를 사용하고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따른 거리신호를 얻는 측거부(1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발광부로서 발광 다이오드 (11)에서의 빛은 집광렌즈 (12)에 의하여 피사체(13) 위쪽에 스포트상을 형성하고, 이 스포트상은 결상렌즈 (14)를 통하여 위치 검지부(1)의 소정 위치에 결상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위치검지부 (1) 위의 결사위치는 도시하지 않은 촬영면과 같은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집광렌즈(12)에서 피사체(13)까지의 거리를 LO, 집광렌즈(12) 및 결상렌즈(14)의 각 광측간의 거리를 Lb, 결상렌즈 (14)의 촛점거리를 f, 위치검지부 (1) 위쪽에 위치한 결상렌즈 (14)의 광측 위치에서 피사체(13)의 스포트상 형성위치까지의 거리, 즉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따른 스포트상의 이동거리를 △Ls라고 하면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얻어진다.
여기에서 전류 IA및 IB을 포함한 연산을 행하고 피사체(13)에서 촬영면까지의 거리신호 PL을 구하면
가 얻어지지만, 이 거리신호 PL은 후술한 바와 같은 신호처리 회로에 의하여 전압값에 따라 변환되어 얻어진 것이다.
이와 같은 원리에 따라서 구성된 측거부(10)를 사용한 자동촛점장치의 실시에 대해서 다음에 설명한다. 제3도는 그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와 같이 위치검지부(1)의 한쪽 출력은 제 1 헤드 앰프(15)를 통하여 신호처리 연산회로(16)에 공급되고, 다른쪽 출력도 제 2 헤드 앰프(17)를 통하여 신호처리 연산회로(16)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신호처리 연산회로(16)는 상술한 (7)식의 연산을 행하여 이것을 소정의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회로이다. 따라서 이 신호처리 연산회로 (16)의 출력을 피사체까지의 거리 역수에 대해서 그래프한 것이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당연한 것이지만 출력전압은 거리의 역수에 비례하는 관계로 되어 있다.
또한 측거부(10)는 예를 들어 제5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촬영해야 할 화면(F) 내의 일정범위(도면에 있어서 파선 E로 표시된 범위)에서 주사하여 거리측정을 행하기 위해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거부(10)의 위치검지부(1)를 피사체 A,B,C로 향하여 측거부(10) 자체를 회전하여 얻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측거부(10)의 주사수단을 구성하는 회전 구동기구는 도시하지 않은 셔터 보턴과 연동하여 일정범위내에서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피사체 A는 카메라에서 최단거리에 위치하고, 피사체 B는 최원거리에 위치하며, 그리고 피사체 C는 중간거리에 위치한다.
이렇게 하여 신호처리 연산회로(16)에서 얻어지는 출력은 기억부를 구성하는 피크홀드 회로(18)에 공급되지만, 이 피크홀드 회로(18)는 입력된 거리신호 중 최대신호레벨을 갖는 것만을 검출하여 기억하는 것으로서 제5도에 도시한 예에서는 피사체 A에 반응한 거리 신호만을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회로(18)에 기억된 거리신호는 촬영렌즈의 핀트 맞춤 단수에 따른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해 A-D변환기(19)에 공급되고, 또 이 A-D 변환기 (19)의 출력은 렌즈구동부(20)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 렌즈 구동부(20)는 입력된 거리신호의 전압레벨에 따라서 촬영렌즈의 조절양을 설정하여 얻어지도록 되어 있고, 촬영렌즈는 최단거리에 위치한 피사체에 대한 초점의 정합위치까지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의 자동촛점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면 우선 셔터보턴을 누르며 측거부(10)의 회전구동기구가 작동하는 동시에 위치검지부 (1)에 따른 거리측정이 수행된다. 그리고 회전구동기구에 따른 측거부(10)의 일정범위의 주사가 완료되면 최단거리에 위치한 피사체에 따른 거리정보만이 취출되고, 이 정보에 의해서 촬영렌즈가 조출되고 뒤이어 셔터가 끊어진다. 이러한 일연의 동작은 순식간에 행해지는 것으로서 실제로는 셔터를 누르는 동시에 촬영이 완료된다. 물론 이 경우 촬영면에는 주로 피사체에 핀트를 맞춘 결상이 되고 이주된 피사체는 촬영면의 희망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다음에 제7도 및 제8도는 측거부(10)를 주사하기 위해 다른 수단을 도시한 것이다. 즉 제7도는 상술한 실시예와 같은 측거부(10) 자체를 회전하는 대신에 발광 다이오드(11) 및 위치검지부(1)를 고정시키고 제1도 및 제2도의 광학계를 구성하는 집광렌즈(12) 및 결상렌즈(14)를 그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즉 위치검지부(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구성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각 렌즈(12, 14)는 공통의 구동기구에 의해 소정 간격을 유지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제8도는 제7도의 경우와는 반대로 집광렌즈 (12) 및 결상렌즈(14)를 고정하고 발광 다이오드(11) 및 위치검지부(1)를 소정간격을 유지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 경우에도 구성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발광 다이오드(11) 및 위치검지부(1)는 공통의 구동기구에 의해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제7도 및 제8도의 어느 경우도 피사체의 결상위치가 렌즈(14)와 위치검지부(1)와의 상대적 이동에 따라 변화되는 것으로서 측거부(1) 자체를 회전하는 것과 등가로 되어 있다.
이상 제1도에서 제8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카메라의 자동촛점장치에 있어서는 제1도에 도시된 위치검지부를 사용하는 것이지만 제9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통상으로 잘 사용되고 있는 수광소자열(1') 및 광전변환회로(21)로부터 구성되는 검지부를 사용해도 좋다. 제9도는 그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1도에서 제8도에 제1실시예와 동일한 것은 같은 참조부호를 사용하였다.
제9도에 있어서 피사체 A,B,C에서의 반사광은 결상렌즈(14)를 개입한 수광소자열(1')를 구성하는 수광소자 a,b,c,d에 따라 수광된다. 여기에서 각 수광소자열(1')의 수광면은 제1및 제2의 광학계를 구성하는 집광렌즈(12) 및 결상렌즈(14)의 광축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단 제9도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4개의 수광소자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 수가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 측거부(10)는 제1의 실시예와 같이 피사체 A,B,C에 대향하는 상태에서 회전하고 피사체 A,B,C에 대한 주사가 행해진다. 또 수광소자열(1')의 수광면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도시되지 않은 촬영면과 등가인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더구나 측거부(10)의 주사수단을 구성하는 회전구동기구는 도시하지 않고 카메라의 셔터 보턴과 연동하여 일정범위내에서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수광소자열(1')의 출력은 광전변환회로(21)에 공급되고 각 소자 a,b,c,d에서 얻어지는 광전류가 각각 소정의 전압으로 변환되도록 되어 있다. 또 광전변환회로(21)의 각 출력은 전압비 비교기(22)의 한쪽입력단에 각각 공급되고 그와 다른 입력단에 공급되는 기준전원(23)의 전압과 비교되도록 되어 있다. 더구나 전압비교기(22a, 22b, 22c, 22d)의 각 출력은 레지스터(24)의 한쪽 입력측에 공급되고 다른쪽 입력측에 공급된 원쇼트 회로(25)의 출력에 따라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즉 원쇼트회로(25)의 출력이 정(+)의 펄스로 되는 동안 레지스터(24)의 크록크 입력은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따라서 그 동안에 전압비교기(22a, 22b, 22c, 22d)의 출력신호가 기억된다.
또 레지스터(24)의 출력은 다음에 기술한 논리회로(26)에 공급되도록 피사체 A,B,C 중에 최단거리에 위치한 피사체(제9도에 있어서 피사체 A)에 따른 거리 신호만이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검출출력은 논리회로(26), 레지스터(27) 등과 함께 기억부를 구성하는 레지스터(27)에 공급되어 기억된다. 이렇게 하여 레지스터(27)에서 기억된 출력은 렌즈 구동회로(20)에 공급되고, 이에 따라 최단거리에 위치한 피사체에 대한 초점의 정합위치까지 촬영렌즈를 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전술한 논리회로(26)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10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4개의 입력단자(28, 29, 30,31)중 입력단자(28)는 직접 출력단자(32)에 접속되어 있는 것과 같이 인버트(35)를 개입하여 회로(36)의 제 1 입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AND회로(36)의 제 2 입력단에는 인버트(33)의 출력측이 접속되고, 제 3 입력단에는 입력단자(30)가 접속되어 있다. 또 입력단자(30)는 인버트(37)를 개입한 AND회로(38)의 제 1 입력단에 접속되고, AND회로(38)의 제 2, 제 3의 입력단에는 인버트(33, 35)의 출력측이 각각 접속되어 있으며, AND회로(38)의 제 4 입력단에는 입력단자(31)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AND회로(34, 36, 38)의 각 출력측은 각각 출력단자(39, 40, 41)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논리회로(26)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입력단자(28)에 하이레벨의 신호가 입력되면 출력단자(32)에서는 당연한 것이지만 하이레벨의 신호가 얻어지고, AND회로(34)의 제 1 입력단, AND회로(36)의 제 2 입력단 및 AND회로(38)의 제 3 입력단에는 각기 로우레벨의 신호가 공급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입력단자(29, 30, 31)에 하이레벨 또는 로우레벨 중 어느 것이 입력되어도 출력단자(32)에만 하이레벨이 얻어진다. 또 예를 들어 입력단자(28)에 로우레벨의 신호가 공급되는 것과 함께 입력단자(29)에 하이레벨의 신호가 공급되면 AND회로(34)의 출력은 하이레벨로 되지만 출력단자(32)는 입력신호를 직접 출력하고, AND회로(36)의 제 1 입력단 및 AND회로(38)의 제 2 입력단은 각기 로우레벨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입력단자(30, 31)에 공급되는 신호 여하에 따라서 출력단자(32, 40, 41)에서는 어느 것도 로우레벨의 신호가 얻어진다. 더구나 예를 들면 입력단자 (28, 29)에 제각기 로우레벨의 신호가 공급되고, 입력단자(30)에 하이레벨의 신호가 공급된 경우에는 AND회로(36)의 3개의 입력단이 어느 쪽도 하이레벨로 되는 것으로서 출력단자(40)에서는 하이레벨의 신호가 얻어지지만 AND회로(34, 38)의 출력은 어느쪽도 로우레벨로 되는 것으로서 결국 입력단자(31)에 공급되는 신호 여하에 따라 출력단자(40)에서만 하이레벨의 신호가 얻어진다.
마찬가지로 입력단자(31)에만 하이레벨의 신호가 공급되고, 다른 입력단자(28,29,30)에 로우레벨의 신호가 공급된 경우에는 출력단자(41)에서만 하이레벨의 신호가 얻어진다. 또한 입력단자(28, 29, 30, 31)의 어느쪽도 로우레벨의 신호가 공급되면 출력단자(32,39, 40, 41)에서는 모두 로우레벨의 신호가 얻어지게 된다.
이렇게 하여 입력단자(28, 29, 30, 31)에 공급되는 하이레벨의 신호가 촬영면에서의 최단거리에 위치하는 피사체에 대하여 즉시 출력단자(32, 39, 40, 41)를 제각기 촬상렌즈의 조출양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렌즈 구동회로(20)의 작동을 도모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입력단자(28, 29, 30, 31)의 어느쪽에도 로우레벨의 신호가 공급되고 있는 경우에는 촬영 정합 위치를 무한원에 설정하도록 한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의 자동 촛점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촬영시 측거부(10)를 주된 피사체(예를 들어 제6도에 있어서 피사체 A)의 근방을 향해서 도시하지 않은 셔터 보턴을 누르면 회로의 전원이 투입되고, 측거부(10)의 발광부(11)에서 빛이 발사되며 동시에 측거부(10)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 측거부(10)가 회전하고 있는 동안 원쇼트 회로(25)에서 소정의 펄스가 출력되며 레지스터(24)의 클럭 입력이 행해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측거부(10)의 회전은 전술한 회전구동기구에 따라 제5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화면 F내의 측거범위(파선 E의 범위)에서 주사하여 거리측정을 행하는 것이다.
한편 발광부(11)의 빛에 의해 피사체에서 반사된 빛은 각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대하여 수광소자열(1')윗쪽에서 수광된다. 예를 들면 측거범위내에서 최단거리의 피사체 A, 중간거리의 피사체 C 및 최원거리의 피사체 B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광소자 a,b,c,d의 모두에 반사광이 수광된다. 이와 같은 수광소자 a,b,c,d의 출력은 광전변환회로(21)를 개입하여 전압비교기(22)에 있어서 기준전압(23)과 비교되기 때문이지만, 각 출력 레벨이 기준전압(23)의 전압레벨을 넘어서면 각 비교기(22)의 출력은 하이레벨로 된다. 각 하이레벨의 출력은 클럭입력이 되고 있는 레지스터(24)에 각기 기억된다. 이 결과 레지스터(24)에서 논리회로(26)의 입력단자(28, 29, 30, 31)에 공급되는 신호는 어느쪽도 하이레벨이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출력단자(32)에서만 하이레벨의 신호가 얻어지고 다른 출력단자(39, 40, 41)는 어느 쪽도 로우레벨로 된다.
이렇게 하여 출력단자(32)에서 얻어지는 하이레벨의 신호는 레지스터(27)에 공급되고 최단거리에 위치하는 피사체에만 응하는 거리신호가 되어 기억된다. 이 레지스터(27)의 출력의 거리 정보에 응하여 렌즈 구동회로(20)는 촬영렌즈를 소정량만 조출하도록 작동하고 다음에 셔터가 끊어진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은 순간적으로 일어나는 것임으로 실제로는 셔터 보턴을 누르는 것만으로서 촬영은 완료된다. 물론 이 경우 촬영면에는 주된 피사체에 핀트를 맞춘 결상이 되고 주된 피사체상은 촬상면의 희망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다음에 제11도 및 제12도는 제7도 및 제8도와 같이 주사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제11도의 경우는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측거부(10) 자체를 회전하는 대신에 발광부(11)를 고정하여 제1 및 제2의 광학계(12, 14)를 그 광축 간격(D)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수광소자열(1')의 배열방향에 따라 이동되는 구동기구가 설치될 수 있는 경우이다. 또 제12도는 제11도의 경우와는 반대로 제1도 및 제2도의 광학계(12, 14)를 고정하고 발광부(11) 및 수광소자열(1')를 소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수광소자열(1')의 배열방향에 따라(m방향) 이동되는 구동기구가 설치될 수 있는 경우이다. 제11도 및 제12도의 양쪽의 주사수단에 의해서도 피사체의 결상위치는 양쪽 광학계(12, 14)와 수광소자열(1')과의 상대 이동에 반하여 변화하는 것으로서 측거부(10) 자체를 회전하는 것과 같게 된다. 또한 다른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제13도는 주사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측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즉 발광부로서의 횡장광원(42)은 길이방향이 수평으로 연장되고, 이 횡장광원(42)과 대향하도록 제1도의 광학계로서의 원주형 집광렌즈(43)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원주형 집광렌즈(43)와 광축간격(D)을 설치하고 제2도의 광학계로서의 원주형 결상렌즈(44)가 배치되며 이 원주형 결상렌즈(44)에 대향하도록 횡장수광소자열(45)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렌즈(43, 44)의 광축을 연결하는 선은 횡장광원(42)의 길이방향과 직교하고 횡장수광소자열(45)을 구성하는 횡장수광소자(45)는 길이방향이 각 렌즈(43, 44)의 광축을 잇는 선과 직교하고 있다. 또한 각 렌즈(43,44)의 사이에는 촬영렌즈(46)가 배치되고 전술한 렌즈구동회로(20)의 작동에 의한 광축방향에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측거부(47)가 구성되면 횡장광원(42)은 촬영화면 F의 축방향에 연장되고 더구나 수광소자열(45)의 길이방향도 촬영화면 F의 폭방향과 일치하게 됨으로서 각 피사체 X, Y, Z에서의 반사광은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주사를 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과 같게 된다. 또 광원(42) 등을 수평방향에 연장되는 것에 따라서 피사체에 대한 투광범위를 조정할 수 있게 되며, 실질적으로 주사범위의 확대가 가능하게 되며 광원(42)을 예를 들어 적외섬광과 같은 광량만큼 큰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수광소자열(45)의 출력을 처리하는 논리회로(26) 등은 상술한 실시예와 거의 같지만, 원쇼트회로(25)의 출력펄스는 측거주사의 시간을 생략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그 펄스폭은 대폭적으로 감속할 수 있게 된다. 다른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촬상면에서 최단거리에 위치한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이 측정 결과에 따라서 촬영렌즈의 조출량을 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주된 피사체의 위치에 따른 핀트가 맞는 사진을 항상 촬영할 수 있고 소망의 구도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더구나 촬영전에 어떠한 면밀한 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게 되고 본 고안이 적용되는 카메라는 초심자에게 극히 적합하다.

Claims (3)

  1. 발광부(11)의 빛을 피사체(A, B, C)에 투광하고 그 반사광을 수광소자(a,b,c,d)에 의해 수광하여 상기 반사광의 결상위치에 의해 촬상면으로부터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에대응한 거리신호는 얻는 측거부(10)를 갖는 카메라의 자동촛점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거부(10)를 주된 피사체를 포함한 일정범위를 향해 촬영범위에서 주사하는 주사장치와 상기 주사장치에 의한 주사 중에 상기 측거부(10)로부터 얻어진 거리신호 중 최단거리에 위치하는 피사체에 대응하는 신호만을 검출하여 기억하는 기억부(24, 26, 27)와 상기 기억부(24, 26, 27)에 기억된 신호를 받아서 촬영렌즈를 상기 최단거리에 위치한 피사체에 대한 촛점의 정합위치까지 조출하는 렌즈구동부(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자동촛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측거부(10)를 촬영가능 범위에서 주사장치에 의해 회동시켜 주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자동촛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발광부(11) 및 수광소자열(1')을 고정하고 제 1 및 제 2의 광학계(12, 14)를 공통의 구동기구에 의해 상기 수광소자열(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카메라의 자동촛점장치.
KR2019860016969U 1984-01-17 1986-11-01 카메라의 자동 촛점 장치 KR8700020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6969U KR870002043Y1 (ko) 1984-01-17 1986-11-01 카메라의 자동 촛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0175A KR840007471A (ko) 1983-01-18 1984-01-17 카메라의 자동 촛점 장치
KR2019860016969U KR870002043Y1 (ko) 1984-01-17 1986-11-01 카메라의 자동 촛점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0175A Division KR840007471A (ko) 1983-01-18 1984-01-17 카메라의 자동 촛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043Y1 true KR870002043Y1 (ko) 1987-06-10

Family

ID=26627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6969U KR870002043Y1 (ko) 1984-01-17 1986-11-01 카메라의 자동 촛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204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34636A (en) Automatic focusing device for camera
US4329577A (en) Focus detecting device with photo-sensor array
US3967056A (en) Automatic focusing apparatus
US4357085A (en) Focus detection device
US4983033A (en) Automatic range finder for camera
US4571048A (en) Automatic focusing system of photographic camera
US4349254A (en) Camera focus detecting device
USRE44499E1 (en) Focus detection apparatus, method of driving the same and camera system
US4527053A (en) Focus detecting device with relative movement detection
US20010033335A1 (en) Solid state image pick-up system
US4411505A (en) Camera
US4230401A (en) Camera focus detecting device
US3918071A (en) Automatic lens focusing method and apparatus
JPS60238805A (ja) 自動焦点装置
JPH06313844A (ja) 光電変換装置
KR870002043Y1 (ko) 카메라의 자동 촛점 장치
GB2069286A (en) Photographic camera of automatic focussing type
US4652107A (en) Distance measuring device
US4831405A (en) Auto-focus arithmetic device
JPS5812561B2 (ja) シヨウテンケンシユツソウチ
JP2679700B2 (ja) 自動焦点調節装置
JPS6240409A (ja) 自動合焦装置
JP2950654B2 (ja) カメラ
JP2679699B2 (ja) 自動焦点調節装置
JPH073500B2 (ja) 自動焦点調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610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