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772Y1 - 자동 등밀이기 - Google Patents

자동 등밀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772Y1
KR870001772Y1 KR2019850002025U KR850002025U KR870001772Y1 KR 870001772 Y1 KR870001772 Y1 KR 870001772Y1 KR 2019850002025 U KR2019850002025 U KR 2019850002025U KR 850002025 U KR850002025 U KR 850002025U KR 870001772 Y1 KR870001772 Y1 KR 8700017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mandrel
groove
fixed
clutch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20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0436U (ko
Inventor
성동신
Original Assignee
손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해원 filed Critical 손해원
Priority to KR20198500020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1772Y1/ko
Publication of KR8600104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04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7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7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4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 등밀이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의자 2 : 지주봉
2' : 상향홈 2" : 하향홈
3 : 지주봉 4 : 이동관
5 : 이동관 6 : 굴대
6' : 등밀이구 6'I : 베벨기어
7 : 받침판 8 : 케이스
9 : 사각굴대 9' : 베벨기어
10 : 감속기 10' : 굴대
10" : 기어 11 : 볼트
12 : 기어 12': 구멍
13 : 베어링 14 : 클러치판
14' : 돌기 14" : 요입부
15 : 키 16 : 포오크간
17 : 지지편 17' : 핀
18 : 베어링 18' : 베어링
본 고안은 의자에 편안하게 앉은 자세에서 간단한 조작에의히여 등을 미는 등밀이구를 상, 하로 이동시켜 때를 밀거나 상, 하 이동은 정지시키고 회전만 되게 하여 때를 밀 수 있도록 한 자동 등밀이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인체의 때를 수월하게 제거실킬 수 있도록 한 "인체세정장치"가 일본 특허공보 소 46-20305호로 안출된 바 있으나, 이의 결점은 모우터와 폴리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종동축에 편심륜을 고정하고 대판에 수직으로 입설시킨 안내주에는 스폰지제의 세정판이 설치된 승강간을 상, 하 이동 자유롭게 끼워서 종동축에 고정된 편심륜과 승강간을 편심간으로 서로 연결하여 승강간이 상, 하로 이동되게 한 구조임으로 이는 모우터의 작동에 의하여 종동추이 회전되는 한 승강간 역시 상, 하 이동을 반복하게 됨으로 필요에 따라 때를 미는 세정판의 상, 하 이동을 정지시키고 회전만 시켜 신체의 일부분을 오랫동안 때를 밀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보 고안은 이와 같은 결점을 감안하여 의자에 편안하게 앉은 자세에서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등밀이구를 상, 하로 이동시키거나 상, 하 이동은 정지시킨 상태에서 때를 밀 수 있도록 한 매우 합리적으로 이루어진 자동 등밀이기르 안출하게 된 것인데 이르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의자(1)의 내측에 회전자유롭게 베어링(18)(18')으로 지주봉(2)을 입설하고 지주봉(3)을 입설하여 이에 상, 하 이동자재하게 끼운 이동관(4)(5)에 응착된 받침판(7)에는 등밀이구(6')의 굴대(6)를 설치한 케이스(8)를 고정하고 굴대(6)의 베벨기어(6")는 베벨기어(9)와 이맞춤시켜 사각굴대(9)는 감속기(10)의 굴대(10')에 상, 하 이동자재하게 끼워서 굴대(9)(10') 및 베벨기어(6")(9')의 연동에 의하여 굴대(6)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지주봉(2)에는 상향홈(2') 및 하향홈(2'')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요설하여 이동관(4)에 나사식 붙이기 한 볼트(11)의 단부가 상향홈(2')이나 하향홈(2")에 끼워져 안내되게 한 것에 있어서 지주봉(2) 하방에는 기어(12)를 공회전되게 베어링(13)으로 고정시켜 감속기(10)의 굴대(10')에 고착시킨 기어(10")와 이맞춤시키고 이의 상방에는 기어(12)의 구멍(12')에 끼워지는 돌기(14')와 요입부(14")를 형성한 클러치판(14)이 지주봉(2)에 돌출시킨 키(15)를 따라 의동되게 포오크간(16)의 단부를 클러치판(14)의 요입부(14")에 끼워 지지편(17)에 핀(17')으로 회전자유롭게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 부호 19는 모우터이고, 20은 벨트이며, 21은 폐달이고, 22는 주화투입구이며, 23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 실용신안 제81-282호의 자동 등밀이기의 전원공급기로서 주화투입구(22)에 주화를 넣으면 이의 내에 설치된 단락회로와 타이머회로에 의하여 일정시간 동안 모우터가 구동되었다가 자동으로 정지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의자(1)의 등받이의 일측에 부착된 주화투입구(22)에 주화를 넣으면 전원공급기(23) 내의 전기회로의 작동에 의하여 일정시간동안 모우터(19)가 가동하게 되고 벨트(20)에 의한 감속기(10)의 작동으로 굴대(10')는 회전하게 되고, 또한 굴대(10')에 상하, 이동자재하게 끼워진 사각굴대(9)의 회전에 의한 베벨기어(6")(9')의 연동으로 등밀이구(6')는 회전됨과 동시 지주봉(2)의 회전에 의하여 볼트(11)의 단부가 상향홈(2')이나 하향홈(2")에 끼워진 이동관(4)의 상, 하 작동에 의하여 등밀이구(6')는 상, 하로 이동되면서 의자(1)에 편안한 자세로 앉은 목욕자의 등의 때를 깨끗하게 제거시켜 주게 되는 것인데 이의 작용상태에서 목욕자가 등밀이구(6')의상, 하작용을 일시적으로 정지시켜 등의 일부분을 집중적으로 밀고자 할 경우에는 페달(21)을 발로 밟아 제1도의 점선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포오크간(16)은 지지편(17)의 핀(17')을 지점으로 회전케 되고 이에 따라 클려치판(14)은 위로 상향케 되어 클러치판(14)의 돌기(14')는 기어(12)의 구멍(12')에서 빠지게 되며 따라서 지주봉(2)에 공회전되게 유착된 기어(12)는 감속기(10)의 굴대(10')에 고착된 기어(10")의 연동에 의하여 계속 회전되나 지주봉(2)은 회전정지상태로 됨으로 등밀이구(6')의 상, 하 이동은 정지된 상태에서 회전만 되는 것이다.
다음 폐달(21)에서 발을 떼게 되면 클러치판(14)이 자체의 무게에 의하여 페달(21)은 제1도의 실선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고 클러치판(14)은 하방으로 이동되어 돌기(14')는 계속 회전되는 기어(12)의 구멍(12')에 의하여 지주봉(2)과 물려 기어(12), 클러치판(14), 지주봉(2)은 같이 물려 회전하게 되며 지주봉(2)이 회전상태에서 볼트(11)가 상향홈(2')에 끼워져 있을 경우에는 이동관(2)의 계속적인 상방향 이동으로 등밀이구(6')도 상방향 이동하게 되고 볼트(11)가 하향홈(2")에 끼워질 경우에는 이동관(2)의 하방향 이동으로 등밀이구(6')도 하방향이동하게 되는이데 이때 이동관(2)은 계속 상방향이동되어 볼트(11)가 상향홈(2')의 끝단에 위치되게 되면 지주봉(2)의 계속적인 회전에 의하여 볼트(11)의 단부는 하향홈(2")으로 넘어가 하향이동하게 되고 다시 하방향이동하여 볼트(11)의 단부가 하향홈(2")의 끝단에 위치됨과 동시 상향홈(2')으로 넘어가 다시 이동관(2)은 상방향이동하게 되는 반복작용에 의하여 등의 때를 깨끗하게 제거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의자에 편안히 앉은 자세에서 포오크간(16)을 간단히 작동시켜 등밀이구(6')를 상하 이동시키거나, 상, 하이동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때를 제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지주봉(2)의 상향홈(2') 및 하향홈(2")에 의하여 상, 하로 이동되는 케이스(8)에 등밀이구(6')의 굴대(6)를 설치하여 굴대(6)의 베벨기어(6")는 감속기(10)의 굴대(10')와 연동되는 베벨기어(9')와 이맞춤시켜 등밀이구(6')를 회전되게 한 것에 있어서 지주봉(2)의 아랫쪽에는 기어(12)를 공회전되게 베어링(13)으로 고정시켜 굴대(10')에 고착한 기어(10")와 이맞춤하고 기어(12)의 윗쪽에는 기어(12)의 구멍(12')에 끼워지는 돌기(14')를 돌설한 클러치판(14)을 키(15)를 따라 상, 하로 이동되게 끼워서 클러치판(14)의 요입부(14")에는 지지편(17)에 핀(17')으로 고정시킨 포오크간(16)의 단부를 끼워서 된 자동 등밀이기.
KR2019850002025U 1985-02-26 1985-02-26 자동 등밀이기 KR8700017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2025U KR870001772Y1 (ko) 1985-02-26 1985-02-26 자동 등밀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2025U KR870001772Y1 (ko) 1985-02-26 1985-02-26 자동 등밀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0436U KR860010436U (ko) 1986-09-05
KR870001772Y1 true KR870001772Y1 (ko) 1987-05-15

Family

ID=19240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2025U KR870001772Y1 (ko) 1985-02-26 1985-02-26 자동 등밀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177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0436U (ko) 1986-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9112A (en) Bathtub chair lift
CN111035514A (zh) 一种多功能带坐便池的医疗床
US4497245A (en) Pineapple cutter
KR870001772Y1 (ko) 자동 등밀이기
US6174296B1 (en) Automatic back rubbing assembly
US2559678A (en) Therapeutic bath fluid circulating apparatus
US5522322A (en) Motorized system and method for aiding physically-impaired persons in moving between different positions
CN214910183U (zh) 一种翻转装置及智能按摩椅
CN212630320U (zh) 一种心理健康用音乐放松椅
FR2614514A1 (fr) Support mobile destine a etre monte dans un meuble de cuisine pour permettre le rangement et/ou l'utilisation d'un appareil electromenager
KR19990046310A (ko) 환자진료용의자
US6397410B1 (en) Bath lift
KR940002077Y1 (ko) 자동 때밀이 기계
CN218500363U (zh) 一种拼装式儿童沙发
CN216515962U (zh) 一种带扶手的智能马桶
JPS6121071Y2 (ko)
KR101485502B1 (ko) 키 성장 촉진 기구
CN2129496Y (zh) 电视机旋转座
JPS6443209A (en) Automatic drive mechanism of foot putting on apparatus for seat
KR940002076Y1 (ko) 등 때밀이 장치
JP2581067Y2 (ja) 椅 子
GB2168398A (en) A wheelchair incorporating a flush toilet
CN2125975U (zh) 电动手动两用翻转床
KR910006872Y1 (ko) 안마기
CN115886621A (zh) 一种便于调节的如厕辅助助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