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705B1 - 방전갭을 설한 cr 복합부품 - Google Patents
방전갭을 설한 cr 복합부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70001705B1 KR870001705B1 KR1019830001393A KR830001393A KR870001705B1 KR 870001705 B1 KR870001705 B1 KR 870001705B1 KR 1019830001393 A KR1019830001393 A KR 1019830001393A KR 830001393 A KR830001393 A KR 830001393A KR 870001705 B1 KR870001705 B1 KR 8700017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strate
- discharge
- electrode
- predetermined
- electrodes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7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3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598 dipp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1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89 dielectr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JRPBQTZRNDNNOP-UHFFFAOYSA-N barium titanate Chemical compound [Ba+2].[Ba+2].[O-][Ti]([O-])([O-])[O-] JRPBQTZRNDNNO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113 barium tita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04 f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WABPQHHGFIMREM-UHFFFAOYSA-N lead(0) Chemical compound [Pb] WABPQHHGFIMRE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56 performance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44 reinfor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01L27/01—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40—Structural combinations of fixed capacitors with other electric elements, the structure mainly consisting of a capacitor, e.g. RC combin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7/00—Active solid-state devices, e.g. transistors, solid-state diodes
- Y10S257/916—Narrow band gap semiconductor material, <<1ev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Details Of Resis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종래의 방전갭을 부착한 CR복합부품의 구성을 표시한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CR복합부품의 등가전기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호적한 일 실시예의 CR복합부품의 상면에서 본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CR 복합부품의 Ⅲ-Ⅲ선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CR 복합부품의 전기등가 회로도.
제6도는 제3도의 CR 복합부품에 있어서 방전시의 상태를 표시하는 부분 단면도.
제7도는 및 제8도는 본 발명의 CR 복합부품과 종래의 CR 복합부품의 성능시험 비교 데이터 표시도.
제9도는 제3도의 구성을 변형한 CR 복합부품의 요부를 표시하는 부분 평면도.
본 발명은 전기부품, 보다 상세하게는 방전갭을 설치한 CR복합부품(이하 CR복합부품이라고 칭함)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형의 종래의 CR복합부품은 예컨대 제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구성되었으므로 유전체된 기판(1)의 일측면(1a)에 2개의 전극막(2-1)과 (2-2)을 설치하고 전술한 기판(1)의 타측면(1b)에 공통전극막(3)을 설치하며, 각 전극막(2-1)과(3) 그리고 전극막(3)과 (2-2) 사이에 축전기(C1), (C2)를 구성하고 전극막(2-1), (2-2)에는 또한 소정의 간격을 가진 선단부가 대향되게끔 방전 전극막(4-1), (4-2)을 구성한 것이다. 또한 적극막(2-1), (2-2) 사이는 저항막(5)으로 브리지(bridge)되어있고 또 각각 도선(ℓ1), (ℓ2)에 접속된다.
전술한 CR 복합부품의 등가회로를 제2도에 표시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CR 복합부품에 있어서는, 양 방전전극막(4-1), (4-2)가 기판(1)의 동일면(1a)에 설치되어 있어서 그 방전이 기판(1)의 표면상에서 방전되므로 양 방전전극(4-1), (4-2)사이의 기판(1)면에 대기중의 진애, 증기등의 이물이 부착하기도 하고, 각 방전전극(4-1), (4-2) 사이의 방전개시 전압이 불필요하게 저하되고, 또 방전시에 전슬한 이물이 소망스럽지 못하게 가열되는 결점들이 있었다.
또한 양 방전전극막(4-1), (4-2)은 비교적 접근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들사이에 부유용량이 형성되어서 이 부유용량에 의해서 바람직하지 못한 방전개시 전압의 저하가 초래한다.
따라서 방전전극(4-1), (4-2) 사이의 갭(G)을 확대하든지 또는 내압성 강화제를 도포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하므로 그만큼 CR복합부품의 크기를 소형화하는 것이 곤란하고 따라서 제작 공정이 더디고 제작비가 높아지게 되는 결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필수목적은 방전갭을 부착한 개량된 CR 복합부품을 제공하려는 것인데, 이 개량품에 있어서는 CR복합회로가 형성된 기판의 각면에 각각 방전극을 설치함과 동시에 그 기판의 각기 면상의 방전전극의 선단부 사이에 개구를 설치하며, 양측 방전전극 사이의 방전이 개구의 공간을 개재해서 이루어지게 되어 방전극 사이에 이물의 부착이 방지되고 또한 소망스럽지 못한 부유 용량이 형성되는 것을 유효하게 저지되어, 방전특성이 안전하며, 또한 제작비가 저렴하게 대량생산할 수 있는 CR복합부품을 제공하려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호적한 실시예는 전술한 유전체 기판의 양면에 서로 대향되게 각각 설치한 복수의 축전기를 형성하는 전극들, 전기저항으로 전술한 기판의 동일면에 각각 설치한 축전기를 형성하는 전술한복수의 전극의 소정의 전극들을 브리지하고 또한 전술한 기판 일면의 하나의 소정의 전극을 전술한 기판의 타측면의 소정의 전극에 전기접속시켜서 구성한 CR 복합회로, 그리고 기판의 양면에 각각 설치하며 또 기판 일측면의 전극과 기판 타측면의 전극에 접속된 CR복합회로의 입력 및 출력단자와 등가이며 또 전술한 기판의 표면에 소정의 갭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설된 방전선단부가 각각 설치하여져 있는 두개의 방전전극을 가진 방전갭이 있는 CR복합부품을 구성하게 된다. 기판은 전술한 두 개의 방전전극 사이의 방전갭에 상당하는 위치에 개구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구조에 의해서 개량된 CR복합부품이 간단한 구조와 이종류의 종래의 CR 복합부품들의 고유한 불리점들을 실제적으로 제거해서 유리하게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술 및 다른 목적과 특징들이 첨부도면과 관련시킨 다음의 설명으로 명백하게될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전에 동일부품들은 도면 전반에 걸쳐서 동일번호로 표시될 것임을 유의해야 한다. 이제 도면에 따르면, 제3도 및 제4도에 있어서, 하나의 호적한 실시예로서 대체로 장방형상의 기판(11)과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되는 방식으로 기판(11)의 양면에 설치한 전극막들을 포함하는 방전갭이 표시된다.
기판(11)은 티탄산바륨과 이와 유사한 유전체 재료로 방향상으로 그리고 도시하지 않지만 예컨대 필요에 따라서 방향상 또는 원형의 다른 형상으로 소성해서 제조한다.
제3도의 기판(11)의 상면(11a) 좌측에 축전지(C1)를 구성하는 방전전극(12A2)과 방전전극(12A2)을 일체적으로 형성한 박막상의 제 1 전극(12A)을 설치하였으며, 이 상면(11a)의 우측에는 축전기(C2)를 구성하는 다른 전극(13A)을 설치한다. 그래서, 전술한 기판(11)의 하면(11b)에서의 좌측에는 전술한 전극(12A1)과 대향해서 축전기(C1)를 구성하는 상면(11a)의 전극(13A)와 같은 형상의 전극(13B)을 형성한다. 그리고 전술한 하면(11b)의 우측에는 전극(13A)과 대향하는 전극(12B1) 방전전극(12B2)과 일체적으로 형성하였으며 제 1 전극(12A)과 같은 형상의 박막상의 제 2 전극(12B)가 설치되어 있다.
기판(11)의 상면(11a)의 방전전극(12A2)의 선단부(12A2a)와 하면(11b)의 방전전극(12b2)의 선단부(12B2a)는 소정의 간격(D)으로 상호 대향되어 있다. 그래서 기판(11)의 상하면(11a), (11b)에서의 방전전극(12B2)의 선단부(12B2a)와 방전전극(12B2)의 선단부(12B2a)의 사이에 장방형 상의 개구(15)가 설치되어 있다. 양 방전전극(12A2), (12B2) 사이의 이상 전압인가시에 전술한 개구(15)의 공간을 경유하여서 방전로가 형성된다.
한편 개구(15)는 관통공에 제한될 필요가 없으나 기판(11)의 측변을 절결해서 형성되는 절결부(도시하지 않음)의 형상이라고 좋고 또 이같은 개구(15) 또는 절결부의 형상은 임의로 결정될 수 있으며 또 간격(D)과 개구(15)의 크기는 해당 CR복합부품에 있어서의 이상전압에 대한 내전압치에 따라서 적당하게 선정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전술한 기판(11)의 상면(11a)에 있어서 전극(13A)의 일단부(13Aa)과 하면 (11b)에 있어서 전극(13B)의 일단부(13Ba)와는 이 기판(11)을 협지해서 중합할 수 있게 설치되었으며, 이 기판(11)의 양측의 일단부(13Aa), (13Ba)가 중합된 부분에 관통공(16)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관통공(16)의 내주면에 도시하지 아니한 도전성 도료를 도포해서 전극(13A), (13B)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 접속부는 제5도중 A에 표시한 부분에 상당하다.
전술한 도정성도료가 도전성 금속박, 도전성 이일릿 링(eyelet ring) 및 기타로 기타로 대체될 수 있음은 말할 필요가 없다.
또한 기판(11)의 상면(11a)에 있어서, 전극(12A1)과 전극(13A)과는 저항치(R1)를 가진 저항막(17-1)을 개재에서 상호 브리지되고, 일측 기판(11)의 하면(11b)에 있어서 전극(12B1)과 전극(13B)와는 저항치(R2)를 가진 다른 저항막(17-2)을 개재 상호 브리지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제5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제 1 전극(12A)의 전극(12A1)과 전극(13B)과 양자(12A1), (13B)에 협지된 기판(11)의 부분으로 형성된 축전기(C1)와 저항막(17-1)의 저항(R1)과의 병렬접속으로 된 C1R1병렬회로와 제 2 전극(12B)의 전극(12B1)과 전극(13B)와 양자(12B), (13B)에 협지된 기판(11)의 부분으로 형성된 축전기(C2)와 저항막(17-2)의 저항(R2)과의 병렬접속으로 된 C2R2병렬회로와는 상술한 관통공(16)에서의 접속부분을 기재해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같이 하여 기판(11)상에 일체적으로 CR복합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밖에도 제 1 및 제 2 전극(12A)(12B)에는 각각 리이드선(L1), (L2)이 S 부분에서 납땜으로 고착되어 있다.
제3도 및 제4도의 쇄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공지의 디핑법으로 한 기판(11)에 있어서 방전부를 제외한 부분이 수지물질(P)에 의하여 되어 있다.
이제 리이드선(L1), (L2) 사이에 방전갭(G)의 크기로 전해지는 전압보다 높은 이상전압을 함유하는 신호가 인가된다면, 제6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기판(11)의 일측면(11a)상의 방전전극(12A2)의 선단부(12A2a)와 기판(11)의 다른측면(11b)의 방전전극(12B2a)사이에 개구(15)의 공간을 통해서 방전이 일어난다. 이 방전에 의하여 이상전압이 제거된다. 그리고, 정상신호성분은 리이드선(L1) 제 1 전극(12A), 축전기(C1)와 저항(R1)과의 병렬회로 및 축전기(C2)와 저항(R2)의 병렬회로로 된 CR복합회로를 개재하며, 그리고 제 2 전극(12B)을 개재해서 리이드선(L2)에서 끌어나온다.
일방, 상기 신호성분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방전전극(12A2), (12B2) 사이에 방전이 일어나지 않는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CR 복합부품과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한 종래의 CR복합부품와의 성능비교시험 데이터를 표시하는 제7도 및 제8도를 참고로 한다.
위의 비교시험에서 본 발명의 CR복합부품과 종래 CR복합부품의 시료들을 복합회로에 있어서 합성용량치, 합성저항치 및 방전갭(G)의 길이를 갖게 하였다.
전술한 시료의 사용으로 본 발명의 시료 CR 복합부품과 종래형의 시료 CR복합부품에 각각 AC고전압을 인가해서 방전개시전압특성을 비교한 결과 본 발명 CR복합부품에 있어서는 종래의 CR복합부품에서 보다 방전개시전압을 약 1KV정도 높게할 수 있었다.
다시 설명하면, 본 발명의 CR복합부품에서는 방전부의 바람직하지 못한 부유용량이 형성되는 것을 저지하였으며, 이 부유용량에 의한 전압강하가 경감된다.
또한 전술한 시료에 있어서 압력 및 출력단자 사이에 방전부에 흐르는 전류가 30mA가 되게하는 조건하에서 각 시료의 방전부에 있어서 도통시험한 결과 제8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CR 복합부품에 있어서는 약 2.5분으로 방전갭이 단락상태로 되어 사용불능이 되지만 본 발명의 CR복합부품은 5.5분 이상 전압을 인가하여 단락상태로 되지 않고 소정의 방전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CR복합부품에서는 저항막(17-1) 및 (17-2)가 생략괼수 있어도 좋다. 또 전술한 기판(11)의 양면에 각각 그 기판(11)을 협지해서 상호 대향하는 복수의 축전기 형성용의 전극을 실시함과 동시에 그 기판(11)의 동일면상의 소정의 전극사이를 저항을 개재해서 브릿지하고 또 기판(11)의 일측면상의 소정의 전극과 타측면상의 소정의 전극과를 접속해서 복수의 축전기와 복수의 저항으로 CR복합회로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축전기(C1)과 (C2)와를 직열 접속하려면, 전술한 바와같이 관통공(16)의 주면을 이용하는 대신에 제9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기판(11)의 측부에 다시 말하면 쐐기형의 절결부(16')를 설치하고, 이 절결부(16')의 측면(16'a)을 이용해서, 도전성 도료등을 사용했으며, 양전극(13A), (13B)를 전기접속되게 하여도 좋다. 또한 금속제의 크립(도시없음)을 기판(11)의 측부에 협지하여서 전극(13A)와 (13B)와를 전기접속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전술한 관통공(16)이나, 절결부(16')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이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판(11)의 양면에 설치한 전극형상을 동일하게 표시하였지만, 이것을 꼭 동일하게 하지 않아도 좋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방전전극의 일측을 CR 복합회로를 형성한 유전체 재료로 마련하여 기판의 일측면에 설치함과 동시에 이 기판의 타측면의 방전전극을 설치하고, 일측 기판에 있어서 방전갭에 개구를 형성하므로서 대기중의 진애등이 부착해서, 당해 방전갭에 이물이 개재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된다.
따라서 방전갭을 설치한 CR복합회로에 있어서 방전개시전압이 불필요하게 저하하거나, 변동하거나 또는 이물들의 존재로 인하여 발생되는 결점들이 확실히 방지되며, 본 발명의 CR복합부품의 이상 전압에 대하여 방호작용을 비상히 신뢰성이 높으게 할 수 있는 우수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전갭을 개구를 형성하여서 그 기판의 유전체를 제거해서 구성하였으므로 양 방전전극 사이에 부유용량이 형성하는 것을 지지하며, 부용량에 근거한 방전개시전압이 불필요한 저하하는 것을 방지된다.
또한 방전경로는 전술한 기판의 일측면상의 방전전극으로부터 타측면상의 방전전극을 향해서 형성할 수 있게 하였으므로 기판상의 방전전극의 간격을 확대함이 없으며 또는 특별한 내압수단을 설치함이 없이 높은 방전개시전압치를 가진 방전갭 CR복합부품을 소형으로 저렴하다는 이점이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실시예를 들어서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각종 변경 및 변형들이 이 기술에 숙달된 자에게는 명백하게 된다는 것을 여기에 주석하는 바이다. 그러므로 이같은 변경 및 변형들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난 것이 아닌 이상은 본 발명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Claims (11)
- 유전체의 기판(11)과 이 기판(11)을 협지하여 서로 대향하는 축전기형성용의 전극(12A, 13B, 13A, 12B)을 각각 형성함과 동시에 기판(11)의 동일면상의 복수의 전극(12A, 13B, 13A, 12B) 중 소정의 전극 사이를 저항체를 개재해서 브리지하고, 기판(11)의 일측면상의 소정의 전극(13A)과 타측면상의 소정의 전극(13B)과를 전기적으로 접속해서 형성된 CR복합회로와, 전술한 CR복합회로의 입력 및 출력단자에 상당한 기판(11)의 일측면상의 전극(12A)과 타측면상의 전극(12B)에 각각 접속됨과 동시에 각 방전선단부가 기판(11)면에 따라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상호 대향되게 기판(11)의 양면에 설치한 두개의 방전전극(12A2, 12B2)과, 전술한 기판(11)에서의 두개의 방전전극 사이의 갭(G)에 상당하는 부분에 설치한 개구(15)를 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갭을 설치한 CR복합부품.
- 제1항에 있어서, 소정의 전극(12A, 13A, 12B, 13B)에 개재한 저항체는 소정 저항치(R1), (R2)를 가진 저항막(17-1), (17-2)을 개재해서 브리지된 방전갭을 설치한 CR복합부품.
- 제1항에 있어서, 기판(11)의 일측면의 소정의 전극(13A)과 기판(11)의 타측면의 소정전극(13B)은 하나 및 다른 소정의 전극(13A, 13B)의 선단부(13Aa, 13Ba)가 기판(11)을 통해서 상호 중합되는 위치에 형성된 관통공(16)의 내주면에 도포한 도전성 도료를 통해서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방전갭을 설치한 CR복합부품.
- 제1항에 있어서, 기판(11)의 일측면의 소정의 전극(13A)과 기판(11)의 타측면의 소정의 전극(13B)은 하나 및 다른 소정의 전극(13A, 13B)의 선단부(13Aa, 13Ba)가 기판(11)을 통해서 상호 중합되는 위치에 형성된 관통공(16)의 내주면에 도포된 도전성 금속박을 통해서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된 방전갭을 설치한 CR복합부품.
- 제1항에 있어서, 기판(11)의 일측면의 소정의 전극(13A)과 기판(11)의 타측면의 소정의 전극(13B)은 그 소정전극(13A, 13B)의 선단부(13Aa, 13Ba)가 기판(11)을 통해서 상호 중합되는 위치에 형성된 관통공(16)과 전술한 전극들(13A, 13B)에 스테이크(stake)되게끔 관통공(16)의 내주면에 설치한 도전성 아릴릿링(eyelet ring)을 통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방전갭을 설치한 CR복합부품.
- 제1항에 있어서, 기판(11)의 일측면의 소정의 전극(13A)과 기판(11)의 타측면의 소정의 전극(13B)은 그 소정전극(13A, 13B)의 선단부(13Aa, 13Ba)가 기판(11)을 경유하여 중합되는 위치의 기판(11)의 일측변에 형성된 쐐기형상의 절결부(16')와 절결부의 내주면에 도포한 도전성 도료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 속된 방전갭을 설치한 CR복합부품.
- 제1항에 있어서, 기판(11)의 일측면의 소정의 전극(13A)과 기판(11)의 타측면의 소정의 전극(13B)은 그 소정전극(13A, 13B)의 선단부(13Aa, 13Ba)가 기판(11)을 통해서 중합되는 위치의 기판(11)의 일측변에 형성된 쐐기형상의 절결부(16')와 절결부의 내주면에 설한 도전성 금속박을 통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방전갭을 설치한 CR 복합부품.
- 제1항에 있어서, 기판(11)의 일측면의 소정의 전극(13A)과 기판(11)의 타측면의 소정의 전극(13B)이 도전될 수 있게 기판(11)의 측변에 설치한 클립멤버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방전갭을 설치한 CR복합부품.
- 제1항에 있어서, 두개의 방전전극(12A2), (12B2) 사이에 형성한 개구(15)는 소정 형상의 관통개구인 방전갭을 설치한 CR 복합부품.
- 제1항에 있어서, 두개의 방전전극(12A2), (12B2)들 사이에는 개구(15)를 기판(11)와 측변에 절결하여서 형성되는 방전갭을 설치한 CR 복합부품.
- 제1항에 있어서, 방전전극(12A2, 12B2)은 입력 및 출력단자들에 등가인 전극(12A, 12B)이 또한 디핑과 기타방법으로 수지물질로 피복된 방전부분이 제외된 기판(11)으로 된 대응 도선들과 접속되는 방전갭을 설치한 CR복합부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982050150U JPS58153432U (ja) | 1982-04-06 | 1982-04-06 | 放電ギヤツプ付cr複合部品 |
JP50150 | 1982-04-06 | ||
JP57-50150 | 1982-04-0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40004615A KR840004615A (ko) | 1984-10-22 |
KR870001705B1 true KR870001705B1 (ko) | 1987-09-24 |
Family
ID=12851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30001393A KR870001705B1 (ko) | 1982-04-06 | 1983-04-04 | 방전갭을 설한 cr 복합부품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4443830A (ko) |
JP (1) | JPS58153432U (ko) |
KR (1) | KR87000170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37425U (ja) * | 1984-02-22 | 1985-09-11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電子部品 |
JPS60137424U (ja) * | 1984-02-22 | 1985-09-11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放電ギヤツプ付コンデンサ |
US4985288A (en) * | 1988-04-30 | 1991-01-15 | Tokai Metals Co., Ltd. | Resonant frequency characteristic ta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JPH11204231A (ja) * | 1997-11-12 | 1999-07-30 | Funai Electric Co Ltd | 放電ギャップ装置及びその取付け構造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566666A (en) * | 1948-02-13 | 1951-09-04 | Globe Union Inc | Printed electronic circuit |
US2828454A (en) * | 1950-02-11 | 1958-03-25 | Globe Union Inc | Ceramic capacitor |
US2694185A (en) * | 1951-01-19 | 1954-11-09 | Sprague Electric Co | Electrical circuit arrangement |
US2966608A (en) * | 1959-04-13 | 1960-12-27 | Globe Union Inc | Combination resistor and capacitor with built-in lightining arrester |
US3316467A (en) * | 1965-08-05 | 1967-04-25 | Globe Union Inc | Spark gap electronic component |
US3745430A (en) * | 1971-12-21 | 1973-07-10 | Motorola Inc | Thick film feed-through capacitor |
US3996502A (en) * | 1975-06-02 | 1976-12-07 | Zenith Radio Corporation | Thick film capacitors |
-
1982
- 1982-04-06 JP JP1982050150U patent/JPS58153432U/ja active Granted
-
1983
- 1983-03-30 US US06/480,336 patent/US4443830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3-04-04 KR KR1019830001393A patent/KR87000170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4443830A (en) | 1984-04-17 |
JPS6228741Y2 (ko) | 1987-07-23 |
KR840004615A (ko) | 1984-10-22 |
JPS58153432U (ja) | 1983-10-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TE154470T1 (de)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ehrschichtiger elektrochemischer bauelemente, die zwischen zwei elektroden ein elektrolyt enthalten und auf dieser weise hergestellte bauelemente | |
JPS61142702A (ja) | 管状バリスタ素子 | |
US2816273A (en) | Artificial transmission line | |
KR870001705B1 (ko) | 방전갭을 설한 cr 복합부품 | |
CA1276675C (en) | Network resistor unit | |
CA1128153A (en) | Capacitor protective system | |
US4494168A (en) | Roll type capacitor having segmented metallized areas | |
US3646305A (en) | Process for reducing transition resistance between two superimposed, conducting layers of a microelectric circuit | |
US6285535B1 (en) | Surge absorber | |
US4136339A (en) | Corona reducing apparatus for a submersible electrical fuse | |
EP0772217A1 (de) | Überstromsicherung | |
JPH10229032A (ja) | コンデンサ素子の端子構造 | |
CA1181825A (en) | Terminal for a capacitor and a method of forming same | |
US4658235A (en) | Keyboard printed circuit film and method of fabrication | |
EP0071277A1 (en) | Surge arrester with a bypass gap | |
US3322995A (en) |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 |
TWI285382B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lytic capacitor | |
US6839223B2 (en) | Capacitor | |
US3602770A (en) | Distributed r-c networks using metallized plastic film | |
JPH09283366A (ja) | コンデンサ | |
US3560807A (en) | Multi-shot voltage sensitive switch assembly | |
JPS5895933A (ja) | サ−ジ吸収素子 | |
US3588974A (en) |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nic component | |
USRE26694E (en) |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op manufacture thereof | |
Allison et al. | Symposium on Tantalum Capacito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20905 Year of fee payment: 16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