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659Y1 - 볼펜 - Google Patents

볼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659Y1
KR870001659Y1 KR2019850000947U KR850000947U KR870001659Y1 KR 870001659 Y1 KR870001659 Y1 KR 870001659Y1 KR 2019850000947 U KR2019850000947 U KR 2019850000947U KR 850000947 U KR850000947 U KR 850000947U KR 870001659 Y1 KR870001659 Y1 KR 8700016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pen
ball pen
push rod
back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09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9628U (ko
Inventor
최승현
Original Assignee
최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현 filed Critical 최승현
Priority to KR20198500009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1659Y1/ko
Publication of KR8600096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96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6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6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43K24/08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placed on the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4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means sliding in longitudinally-slotted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43K24/08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with spreading sp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12Ball-point pens with retractable ball point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볼펜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제2(a)도, 제2(b)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
제3도는 다른 실시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공 2 : 하향걸림구
3 : 단턱 4 : 밀대
5 : 뚜껑체 6 : 몸체
7 : 장방형공 8 : 볼펜심
9 : 걸림턱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볼펜에 관한 것으로, 볼펜 몸체내에 결합되는 볼펜심의 하부에 돌출 성형되어 코일스프링이 걸림 고정되는 걸림턱 후단과, 몸체로 노출시켜 슬라이드되게 설치한 밀대가 걸림 유동되도록 설치하여 볼펜심의 눌름 작동이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하고 볼펜 몸체를 파지한 상태에서 볼펜심의 전후 작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제품의 신뢰성을 더욱 높이게 한 것이다.
종래의 통상 볼펜에 있어서는, 볼펜 몸체의 하부를 파지하고 필기를 할 수 있는 것이며, 몸체내에는 볼펜심이 스프링으로 탄성력있게 설치되어 몸체 끝단에 설치시킨 걸림밀대에 의해 볼펜심이 전후 작동되게 설치하였던 것으로, 볼펜심의 전후 작동에 있어 볼펜심의 길이만큼 떨어진 끝단의 걸림밀대에 의해 작동시킬 수 있게 되여 있어서, 볼펜 뚜껑체로 전지시키는 볼펜심의 전후진에 의한 지지점이 볼펜심의 길이만큼 떨어진 곳에서 지지시켜 주기 때문에 사용중 조그만 충격에도 지지력이 해체되는 경우도 있었던 것이고, 볼펜의 파지부를 파지하고 있다가 볼펜 몸체 끝단의 걸림밀대를 작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결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뚜껑체가 결합되는 볼펜 몸체의 하부의 주위, 즉 파지부에 밀대가 걸림 슬라이드 이동되게 설치하고, 볼펜심의 걸림턱이 밀대의 하향 걸림구에 탄성력있게 걸림 이동되게 설치하여 볼펜 몸체의 파지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뚜껑체 밖으로 볼펜심을 출몰시킬 수 있게 설치하였으며, 뚜껑체와 코일스프링으로 탄성력있게 설치되는 볼펜심의 걸림턱을 밀대로 전후진되게 되여 있어, 조그만 충격에도 지지력이 해체될 수 없게 하여서 실사용면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지공(1)에 천공된 하향걸림구(2) 상부 후단으로 단턱(3)이 형성된 밀대(4)를 구성하여, 뚜껑체(5)가 결합되는 몸체(6) 하부의 주위에 형성시킨 장방형공(7)에 단턱(3)이 슬라이드되어 장방형공(7)과 걸림 유등되게 설치하고, 상기 지지공(1)에 볼펜심(8)의 걸림턱(9)이 밀대(4)의 지지공(1)과 걸림 유동되게 설치하여, 볼펜심(8)이 전진 및 후진되게 한 것이다.
또한, 실시예로서 2개의 색상을 요구하는 볼펜에 있어서, 몸체(6)의 상단 및 하단, 즉 양측에 밀대(4)(4)를 설치하여 2개의 볼펜심(8)(8)이 걸림 유동되게 한 것으로, 미설명부호 10은 코일 스프링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술하면, 도면 제1도에서와 같이 볼펜몸체(6)에 형성시킨 장방형공(7)에 밀대(4)의 하향걸림구(2)를 끼워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하향 걸림구(2)가 몸체(6)의 장방형공(7)에 걸리게 되어 결합이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볼펜심(8)을 밀대(4)의 하향걸림구(2)에 천공된 지지공(1)으로 삽입시켜 밀어 넣으면 볼펜심(8)의 걸림턱(9)이 하향 걸림구(2)의 지지공(1)에 걸리게 되며, 볼펜심(8)에 코일스프링(10)을 끼우고, 뚜껑체(5)를 몸체(6)에 결합시키게 되면 볼펜의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다.
따라서, 볼펜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볼펜 몸체(6)에 설치된 밀대(4)를 손가락으로 밀어 슬라이드 이동시키게 되면, 도면 제2(a)도에서와 같이 밀대(4)의 하향 걸림구(2)가 볼펜심(8)의 걸림턱(9)에 걸린채로 코일스프링(10)에 의해 탄성력있게 이동하게 되므로, 볼펜심(8)의 필기 부위가 뚜껑체(5)에서 돌출이 되는 것이며, 이때 밀대(4)의 후단에 형성시킨 단턱(3)이 몸체(6)의 장방형공(7)에 걸림 고정되어 볼펜심(8)이 후진하는 일이 없이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볼펜심(8)을 후진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면 제2(b)도와 같이 밀대(4)의 후단에 형성시킨 단턱(3)의 반대 부분을 눌러주게 되면, 밀대(4)의 단턱(3)이 볼펜 몸체(6)의 장방형공(7)에서 이탈하게 되므로, 압축되어 있던 코일스프링(10)의 탄성력에 의해 볼펜심(8)이 후진하게 되는 것이며, 실시예로써, 도면 제3도에서와 같이 볼펜 몸체(6)의 양측에 밀대(4)(4)를 각각 설치하여 색상이 다른 2개의 볼펜심(8)(8)이 전, 후진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볼펜 몸체 하부의 장방형공에 밀대를 슬라이드되게 설치하고, 밀대의 형성된 하향 걸림구의 지지공에 볼펜심의 걸림턱이 걸림 유동되게 설치하여 볼펜심이 전, 후진되게 하므로서, 필기 중에 손가락이 볼펜 몸체에서 미끄러지는 일이 없는 필기 위치에서도 밀대를 조작할 수가 있어 손가락이나 볼펜 몸체를 이동시키지 않고도 손쉽게 볼펜심을 전, 후진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몸체에 볼펜심이 코일스프링으로 탄성력있게 뚜껑체와 결합되게 하여 밀대로 전, 후진되게 설치하는 통상의 볼펜에 있어서, 지지공(1)이 천공된 하향 걸림구(2) 상부의 후단으로 단턱(3)이 형성된 밀대(4)를 형성하여, 뚜껑체(5)가 결합되는 몸체(6) 하부의 주위에 형성시킨 장방형공(7)에 슬라이드되어 걸림 유동되게 설치하고, 상기 지지공(1)에 볼펜심(8)의 걸림턱(9)이 걸림 유동되게 설치하여서 볼펜심(8)이 전, 후진되게 한 볼펜.
  2. 1항에 있어서, 몸체(6)의 양측에 밀대(4)(4)를 설치하여 2개의 볼펜심(8)(8)이 전후진되게 한 볼펜.
KR2019850000947U 1985-01-30 1985-01-30 볼펜 KR8700016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0947U KR870001659Y1 (ko) 1985-01-30 1985-01-30 볼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0947U KR870001659Y1 (ko) 1985-01-30 1985-01-30 볼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9628U KR860009628U (ko) 1986-08-11
KR870001659Y1 true KR870001659Y1 (ko) 1987-05-06

Family

ID=19239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0947U KR870001659Y1 (ko) 1985-01-30 1985-01-30 볼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165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9628U (ko) 1986-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58271B2 (ja) テ−プ尺測定具
US2741226A (en) Ball pen
KR870001659Y1 (ko) 볼펜
US3797945A (en) Multi-tip writing instrument with swinging door selector
US4238163A (en) Magnetic writing implement
KR870001660Y1 (ko) 이중 누름식 필기구
JPS62292497A (ja) 棒状部材のためのホルダ−
US6200050B1 (en) Automatic bounce device for a center stick in a pen
CN218197660U (zh) 一种自动铅笔
KR910000014Y1 (ko) 축통체선단부 출몰기구
JPH04221700A (ja) ノック式筆記具
US5004362A (en) Mechanical pencil
KR880001959Y1 (ko) 2중 녹크식 필기구
KR920003777Y1 (ko) 필기구의 걸림장치
KR19980016485U (ko) 볼펜
KR870000022Y1 (ko) 이중 노크식 필기구
KR200172652Y1 (ko) 안전볼펜
KR930005087B1 (ko) 녹크식 필기구
JPH0133357Y2 (ko)
JPS5917679Y2 (ja) 筆記具におけるクリツプの定着装置
KR900004448Y1 (ko) 볼펜
JPS62117797A (ja) 複合筆記具
JPS6132798Y2 (ko)
JPH081692Y2 (ja) スライド式化粧具
KR950004017Y1 (ko) 필기구가 접속되는 분필의 인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