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592B1 - 주입액을 위한 전기 제어식 가온기 - Google Patents

주입액을 위한 전기 제어식 가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592B1
KR870001592B1 KR1019850006476A KR850006476A KR870001592B1 KR 870001592 B1 KR870001592 B1 KR 870001592B1 KR 1019850006476 A KR1019850006476 A KR 1019850006476A KR 850006476 A KR850006476 A KR 850006476A KR 870001592 B1 KR870001592 B1 KR 870001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casing
liquid
warm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6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2281A (ko
Inventor
겐시로 고가와
Original Assignee
겐시로 고가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9187112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64261A/ja
Priority claimed from JP5923818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115576A/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4182557U external-priority patent/JPH025798Y2/ja
Application filed by 겐시로 고가와 filed Critical 겐시로 고가와
Publication of KR860002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주입액을 위한 전기 제어식 가온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뚜껑이 열린 가온기의 사시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뚜껑이 닫힌 가온기의 종단면도이다.
제3도는 제1도에 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가온기의 가온대의 평면도이다.
제4도는 제1도에 표시하는 가온대의 저장간막이의 평면도이다.
제5도는 가온기를 위한 제어장치를 설명하는 블록선도이다.
제6도는 점적액과 수혈액의 가온상태를 설명하는 작용도이다.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체화하는 가온기의 평면도이다.
제8도는 제7도에 표시한 실시예를 위한 제어장치를 설명하는 블록선도이다.
제9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구체화하는 뚜껑이 열린 가온기의 사시도이다.
제10도는 제9도에 표시된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제11도는 제9도에 표시된 실시예의 확대부분 단면도이다.
제12도는 제1도 내지 제7도에 표시한 실시예들의 가온 계통의 확대 부분 단면도이다.
제13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구체화하는 가온기의 사시도이다.
제14도는 제13도에 표시된 실시예의 확대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점적액 및 수혈액 같은 주입액의 가온에 관계하며, 더 상세히는 점적액, 수혈액 및 혹은 다른 주입액을 최적의 온도에서 환자의 체내에 주입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전에도 점적액이나 수혈액을 가온하기 위한 장치가 고안되어 왔다. 그 중에서 알려진 한 가지에 있어서는 가온판 혹은 가온기가 케이싱내에 배설되고, 그리고 활성화하는 관련제어방법이 가온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액체관(liquid tube) 혹은 가온대는 가열판과 뚜껑체간에서 액체가 가온되도록 유지된다.
어떤 경우를 막론하고, 그러한 가온기는 가온기에 의하여 가온된 액체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배출구 부분에 설치되고, 그 측정에 따라서 제어수단은 액체 온도를 조절하는 그런 방법에서 가온기 활성화 방법을 제어하도록 조작된다.
그러나 상술한 가온기에 있어서는 가온기 활성화 수단은 가온된 액체 또는 그런 것들의 온도에 따라서 제어되며, 그런 제어는 흡입구 측에서의 액체의 온도나 유동율에 있어서의 변화를 따르지 못한다.
이것은 액체의 가온을 급격히 제어하는 과오 때문에 불균일한 가온을 초래하고, 이에 따라서 소망하는 온도로 가온한 액체를 공급하는데에 착오를 초래한다.
따라서 액체가 가온기내로 유입할때에 액체의 온도에 따라서 가온 수단을 제어함으로서 액체 온도의 급격한 조절을 허용하는 점적액 또는 수혈액과 같은 주입액을 가온하기 위한 온도 제어전기 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액체가 가온기내로 유입할때 온도뿐만 아니고 액체의 유동율에 따라서 가온방법을 제어함으로써 소망하는 온도로 액체의 급격한 가온을 허용하는 가온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온기로 유입하는 액체가 가온되고 유출되는 동안 액체내의 기포의 발생이 가온기내에서 방지되는 가온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또 다른 목적은 본 가온기에서의 가온판과 가온대 간의 접촉상태가 보다 양호한 가온 효율을 달성하도록 개량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싱, 가온대 및 개폐가능의 뚜껑을 포함한 점적액이나 수혈액과 같은 주입액의 가온을 위한 장치가 준비되어 있다.
케이싱은 열린 상단과 닫힌 하단을 가온대를 수장하기 위한 격실을 준비하기 위하여 액체 유입구부와 액체 유출구를와 함께 가지고 있다. 개방가능의 뚜껑은 전체의 가온대 수장격실을 덮도록 케이싱에 연결되어 있다.
케이싱은 또한 그 배면에 전기가온회로와 제어방법을 수용하는 회로 요소저장 격실을 가지는데 이것은 저부 뚜껑에 의하여 단단히 닫혀져 있다. 가온기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작동한다.
가온대는 일반적으로 엷은 플라스틱 필름으로 된 편편한 밀봉된 자루이고, 그 상부주연과 하부주연은 파이프에 연결되어 있고, 서로 엇갈리는 방법에서 양쪽으로부터 서로 연신하는 빗모양의 간막이로 준비되어 있다.
가온기는 제거가능하게 케이싱에 착탈가능으로 케이싱의 유입구부와 유출구부에 위치하는 상부 주연과 하부 주연으로 각각 장착되어 있고, 따라서 가온대의 상부 및 하부 주연에 연결된 파이프를 통하여 도입된 액체가 가온대 내를 지그재그 방법으로 흘러내린다.
가온대수장 간막이의 저부부분은 유입구쪽에서 액체의 절반을 가온하기 위한 제1가온판과 유출구쪽에서 나머지 절반을 가온하기 위한 제2가온판을 가지며, 더어머센서(thermosensor) 제1 및 제2가 가온판 사이에서 각각 유입구부와 유출구부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들 3개의 더어머센서로부터 오는 온도 신호는 제어방법의 전자 제어회로로 투여되고, 사전 조정된 조작의 결과는 제1및 제2가온판의 가온율을 제어하기 위한 출력으로 주어진다.
본 발명은 첨가된 도면에 따라 청구 범위와 설명서에 의하여 더 명백해질 것이다.
첨가된 도면과 제1도를 참작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가온기가 구성되어 있다. 가온기는 케이싱(10), 가온대(26) 및 뚜껑(40)을 포함하고 있다.
케이싱(10)은 사실상 가온대의 두께의 같은 넓이의 리브를 그 상단의 주연을 연하여 가지고 있으며, 거기에는 가온대(26)을 수장하기 위한 열린 상단을 가지는 간막이가 준비되어 있다.
이 리부(12)는 가온대(26)을 위한 유입파이프(28)과 유출파이프(30)을 받기 위한 제1 및 제2의 차단부(16)과 (18)을 각각 가진다.
가온대 수장 간막이(14)에 인접하여, 케이싱(10)이 가온대(26)를 거기에 장치하기 위한 두 개의 원통상의 돌출부(20)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2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케이싱(10)은 (48)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저부 밑에 도시되어 있지 않는 전기 가온회로 및 관렌된 제어수단을 수장하기 위한 회로요소(22)를 가지고 있다.
이 구성요소는 뚜껑판(24)에 의하여 밀폐되어 있다.
제3도에 가장 잘 표시되어 있다싶이 가온대(26)은 상부주연과 하부주연이 각각 우입 파이프(28)과 유출파이프(30)에 연결되어 있는 얇은 플라스틱 필름으로 제작된 일반적으로 평평하게 밀봉된 자루이다. 가온대(26)은 서로 어긋나는 방법으로 양쪽으로부터 서로 뻗는 빗모양 간막이(32a)(32b)로 둥글게 한 U자상 모퉁이 형태에서 선회부(34c)로 액체통로(34)를 형성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유입파이프(28)를 통하여 투여된 액체는 가온대 내에서 지그재그 방식으로 액체통로(34)를 통하여 흘러내리고 유출파이프(30)를 통하여 유출한다.
가온대(26)은 또한 케이싱(10)을 장착하기 위하여 케이싱(10)의 돌기(20)이 감합되는 두께의 고정구멍(38)을 그 상단에 준비하고 있다.
제1도및 제2도를 보면 뚜껑(40)은 케이싱(10)의 한쪽이 케이싱(10)에 상관하여 개폐자재로 걸려 있다.
뚜껑(40)은 그 내부 상면에 탄력적으로 지지된 누르기판(42)를 가지는데 그것은 가온대 수장 격실을 덮는데 충분하리 만큼 크다. 뚜껑(40)은 또한 그것이 닫혔을 때에 유입파이프(28)과 유출파이프(30)이 통과할 수 있도록한 한쌍의 U자상의 차단부(44)와 (46)을 그 가장자리부분에 가진다.
표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뚜껑(40)은 그 상단에 액체온도 표시기 전원공급의 파일럿 램프, 비상등 및 전원 스위치 등의 인디케이터들을 준비하고 있다.
제4도를 참작하면 케이싱(10)은 가오대 수장격실(14)의 저부(48)의 상단반부에 장착된 제1가온판(50)을 가지는데, 이것은 가온대(26)의 유입구쪽에서 액체통로(34)의 절반부분(34a)를 가온하는 작용을 한다.
저부(48)의 하단 반부에 장착된 제2가온판(52)은 가온대(26)의 유출구쪽에 있는 액체통로(34)의 나머지 절반부분(34b)을 가온하는 작용을 한다.
저부(48)의 제1차단부(16)과 제1가온판(50) 사이에 제1더어머센서를 배설하고 제1가온판(50)및 제2가온판(52)간에서 액체 통로(34)에 인접하는 위치에 있는 제2더어머센서와, 제2차단부(18)과 제2가온판(52)사이에서 제3더어머센서(58)에 배설되어 있다.
케이싱(10)의 저부(48)는 단열물질로 제작되어 있어서 더어머센서(54)(56) 및 (58)에 관하여 가온판(50)및 (52)의 열로부터 어떤 영향도 받지 않음을 유의해야 한다.
가온기가 사용될 때에는 케이싱(10)은 수직평면에서 개구된 상단과 함께 액체원천과 환자사이를 뻗으면서 수직으로 지지되어 있다.
가온대(26)은 수장격실(14)내에 수직격실(14)의 원통상 돌기(20)으로 고정구멍(38)에 감합하여 장착된다.
각 유입파이프(28)과 유출파이프(30)은 각 차단부(16)과 (18)에 배설되고 연 후에 뚜껑(40)은 밀폐된다.
이때에 유입파이프(28)과 유출파이프(30)은 역시 뚜껑(40)의 차단부(44)와 (46)에 수취되기 때문에 유입파이프(28)과 유출파이프(30)은 각각 외부의 액체 파이프에 연결하기 위하여 가온기로부터 인출된다. 가온대(26)은 수장격실(14)에 배설된 가온판(50)(52)와 뚜껑(40)에 장착된 누르기판(42) 사이에서 보호유지된다.
지금부터 상술한 가온기의 전기회로가 설명될 것이다.
제5도는 그 회로의 블록도이고,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자제어회로(60)가 콘트로울프로그램을 수장하기 위한 판독 전용기억장치(ROM)와 각종 자료를 수장하기 위한 등속호출 기억장치(RAM)등을 포함하는 가온 제어수단으로서 작용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은 콘트로울프로그램에 따라서 조작된다.
전자제어회로(60)은 제1. 제2 및 제3의 더어머센서(54)(56)(58)로부터 검출된 신로를 받으며 각 검출장소에서 액체온도(t1)(t2)(t3)을 계산하며, 이와같이 얻은 온도 (t1)(t2)(t3)에 따라서 제1 및 제2 가온판(50)과 (52)의 가온조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신호를 제1가온판에는 회로(62)를 구동하여 송출하고, 제2가온판에는 회로(64)를 구동하여 송출하며, 따라서 액체는 판독전용 기억장치내에 사전에 수장된 실시온도(t3)(이 실시예에서는 36℃)에서 가온되고 가온대(26)의 유출파이프(30)을 통하여 공급된다.
특히 전자 제어회로(60)은 아직 가온되어 있지 않고 또한 제1더어머센서(54)로부터의 검출된 신호에 따라서 가온대(26)으로 유입하는 액체의 온도(t1)을 계산한다.
또한 제2더어머센서(56)로부터 검출된 신호에 따라서 제1가온판(50)에 의하여 가온된 후에 가온대(26)로 유입하는 액체의 온도(t2)를 계산한다.
또한 제2가온판(52)에 의하여 재 가온한 후 가온대(26)로에서 유출하는 액체의 온도(t3)를 계산한다.
연후에 전자 제어회로(60)는 제2가온판(52)의 가온 조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회로(64)를 구동하여 제2가온판에 제어신호를 송출하며, 따라서 온도(t3)은 실시온도(TS)(36℃)에 도달하고, 그와 동시에 제7 및 제2 가온판(50)과 (52)의 가온조작을 제어하며, 따라서 가온대(26)로 유입하는 액체의 온도(t1)은 제6도의 온도라인 L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정수비율(Constant rate)실시 온도(tS)에 도달할 때까지 상승한다.
더 상세히는 액체가 온도(t1a)에서 가온대(26)로 유입할 때에 전자제어회로(60)는 온도(t1a)와 사전조정된 실시온도(tS)에 따라서 그 온도의 상승비율이 불변인 제6도의 온도선 L1을 계산한다.
연후에 전자제어회로(60)는 온도선(temperature line)(L1)에 따라서 제2더어머센서(56)의 검출위치에서 흐르는 액체가 가온되어야 하는 온도(tX)를 계산한다.
전자제어회로(60도)온도(tX)를 제2더어머센서((56)로부터 온 검출신호에 따라 계산된 검출위치에서의 액체의 실제적 온도(t2)와 비교한다.
전자제어회로(60)온도(t2)가 온도(tX)보다 낮을 때에는 제1가온판(50)의 가온온도는 증가하고, 한편 온도(t2)가 온도(tX)보다 높을 때에는 제1가온판(50)의 가온온도는 온도(t2)가 온도(tX)에 도달할때까지 저하한다는 그런 방법에서, 제1가온판(50)의 온도 조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회로(62)를 구동하여 제1가온판에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가온기는 가온대 조작중의 안전을 위한 세개의 장치로 설치되어 있다. 제1의 장치는 제3더어머센서(58)에 인접하여 약42℃에서 비상등이 켜지도록 설치된 더어미스터이다. 제2의 장치는 약45℃에서 작동하는 더어멀 릴레이(thermal relay)에 의한 온도제어이다.
최종장치는 더어머센서(58)에 인접하여 89℃에서 작동하도록 설치된 더어멀 퓨우즈인데 이것은 예컨데 액체의 공급이 중지됐을 때에 기구의 기능을 완전히 정지시키도록 전원공급을 기부로부터 분리해 주는 것이다.
상술한 가온기는 하기와 같이 조작된다.
가온대(26)의 유입파이프(28)를 통하여 도입된 점적액 또는 수혈액은 가온대(26)의 액체통로(34)를 따라 지그재그 방식으로 아래로 흐르고, 제1 및 제2가온판(50)(52)에 의하여 가온되고 유출파이프(30)를 통하여 유출된다.
전자제어회로(60)는 도입된 액체의 온도(t1)를 제1더어머센서(54)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계산하고, 제1가온판(50)에 의하여 가온된 액체의 온도(t2)를 제2더어머센서(56)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계산하고 유출파이프(30)를 통하여 인출된 액체의 온도(t3)는 제3더어머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라서 계산한다.
전자제어회로(60)는 온도(t1)와 사전조정된 실시온도(tS)에 따라서 그 온도 상승율이 불변인 온도선 L를 계산하고 그리고 나서 제2더어머센서의 검출위치에서 흐르는 액체가 가온되어야 할 온도(tX)를 계산한다.
이제 전자제어회로(60)는 온도(tX)를 제2더어머센서(56)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계산된 측정위치에서의 실제의 액체온도(tX)와 비교한다.
전자제어회로(60)는 온도(t2)가온도(tX)보다 낮을 때에는 제1가온판(50)의 가온온도가 증가하고, 한편 온도(t2)가 온도(tX)보다 높을 때에는 제1가온판(50)의 가온온도는 온도(t2)가 온도(tX)에 도달할때까지 저하한다는 방식에서 제어신호를 제1가온판(50)의 가온조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송출한다.
그와 공시에 전자 제어회로(60)는 온도(t3)를 실시온도(tS)(36℃)와 비교하고, 제2가온판(52)의 가온조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회로(64)를 구동하여 제2가온판에 제어신호를 송출하고, 따라서 온도(t3)는 제1가온관에 있어서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온도(tS)에 도달하게 된다.
상술한 제어체계는 제1가온판(50)에 의하여 입수한 액체 온도의 상승 비율에 따라서 제2가온판(52)의 가온 바율을 제어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는 전원(W1)을 제1가온판(50)에 적용하여 입수한 액체 온도의 상승결과가 △t1이면 제2가온판에 적용해야 할 전원은 하기식에 의하여 포현현다.
K(t3-t2)/△t1×W1
여기서 K는 가온판과 접촉하는 액체통로(34)의 길이와 같은 것에 의하여 규정되는 공통효율적인 것이고 사전에 조정될수 있다. 이리하여 제2가온판(52)은 유동을, 액체의 특유한 열과 실내온도 및 실시온도에 거의 동등할 것으로 기대되는 온도(t3)와 같은 모든 영향을 고려하여 제어된다.
그렇기 때문에 온도(tS)와 (t3)간의 피이드 백(feed back)은 특유한 주변에서 온도(t3)가 온도(tS)와 같은게 되지 않을 때에만 영향을 받고, 또한 그 장치로부터 유출하는 액체의 온도가 완전히 제한된 범위내에서 조절될수 있다.
상술한 절차에 따르면 가온대(26)에 도입된 액체는 온도선 L선에 따르는 제어하에 가온되기 때문에 그 액체는 아무런 가온 변동없이 안정된 온도 상승비율에서 확실히 실시온도까지 가온할수 있고 또한 도입된 액체의 온도의 어떤 변화에도 즉각 대처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서 안정된 가온 제어는 가온판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킨다.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가온 대수장격실의 평면도이다.
제7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케이싱(10)는 제1가온판(50)부근에 보조가온판(66)을 유입파이프(28)로부터 뻗은 가온대(26)의 액체 통로(34)의 제1의 직선부분(34d)을 가온하기 위하여 가진다. 보조 가온판(66)은 제1더어머센서(54)로부터 어떤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단열기(68)에 의하여 둘러싸인 모조 더어머센서(70)로 설치되어 있다.
보조 가온판(66)은 가온대(26)의 액체통로(34)의 직선부분(34d)를 항상 불변한 가온 비율에서 가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배치로서 액체 유동비율이 작을 때는 높은 온도가 보조 더어머센서(70)에 의하여 검출하고 또한 유동비율이 증가하기 때문에 검출온도는 낮아진다.
이리하여 이 실시예에서는 가온판의 가온 비율은 역시 상술한 원칙에 따라서 액체의 유동비율을 사용함으로서 제어된다.
가온비율의 제어는 제8도의 블록선 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전자 제어회로(60)는 제1, 제2 및 제3의 더어머 센서(54)(56)(58)에 의하여 검출된 신호를 받고 나아가서 보조 더어머센서(70)로 부터 보내온 온도 신호를 받는다.
전자제어회로(60)는 검출된 온도(t1)과 사전 조정된 실시온도(tS)에 따라서 제2더어머센서(56)의 검출 위치에서 소망하는 온도(t)를 하며, 계산한다.
소망하는 온도(tX)는 제1더어머센서(54)에 의하여 검출된 온도와 비교되고, 그 비교된 치는 소망하는 가온 비율을 계산하는 보조 더어머센서(70)와 제1더어머센서(54)간의 온도차에 따라서 계산된 액체의 유통비율에 의하여 증가된다.
계산된 치에 따라서 전자 제어회로(60)는 제1가온판의 가온 조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회로(62)를 가동하여 제1가온판에 제어 신호를 송출한다.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온도(tS)는 제2더어머센서(56)에 의하여 검출된 온도와 비교되고, 또한 그 비교된 치는 제1더어머 센서(54)와 제2가온판(52)를 위하여 소요되는 가온비를 계산하기 위한 보조 더어머센서(7)간의 온도차에 의하여 계산되는 액체의 유동비율에 의하여 증가한다.
계산된 치에 따라서 전자 제어회로(60)는 제2가온판(52)의 가온 비율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2가온판에 회로(64)를 구동하여 제어 신호를 송출한다.
그런고로 가온대(26)에 유입하는 액체의 온도뿐만 아니라 유동온도도 검출되고, 또한 가온판(50)과 (52)의 가온 비율은 온도차의 유동비율에 따라서 제어되고, 따라서 액체온도의 정확한 제어가 액체의 유동율의 변화에 상응하여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상술한 절차에서 장치로부터 유출되는 액체의 온도는 통상 사전조정된 치(t)에 도달할 것이 기대되지만 그러나 온도(t3)와 (tS)간의 비교는 회로(64)를 구동하여 제2가온판의 전류를 제어하기 위하여 피이드백이 될 수 있다.
통상의 경우에는 피이드백은 장용하지 않지만, 그러나 온도(t3)와 (tS)간에 차이를 생기게 하는 문제가 발생하면 피이브백은 불변의 액체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더욱 적극적으로 작용할 것이다.
제9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제9도의 실시예에서의 차이는 수정된 가온판(71)이 상술한 가온판(50)과 (52)에 상응하지만 그 위에 형성된 용기(72)을 가지면서 설치된다. 액체가 가온대(26)의 액체통로(34)에 공급될때에 액체통로부분은 제12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그 자체를 아래로 향하는 형상으로 형성하며, 액체의 중량과 압력 때문에 액체통로의 상단부분은 극히 한정된다.
연후에 기포가 액체내에 생성되는 경향이 있고, 그리고 액체가온 조작의 효율을 감소시키고 가온비율의 불정확한 제어를 초래하면서 기체통로(34)에 잔류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수정된 가온판(71)이 그 표면에 용기(72)를 가지면서 설치된다.
각 용기(72)은 아래로 튀어나오면서 경사진 표면을 가진 쐐기 형상부분을 가진다(사용시에 고려된다). 제10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융기(72)는 가온대 수장격실(14)의 양쪽으로부터 가온대(26)가 가온대수장격실(14)에 배설됐을 때에 그것들은 지그재그 방식으로 뻗으면서 액체통로(34)의 각 우측과 좌측부분의 하다반부에 위치하는 방법으로 중앙을 향하여 교대로 뻗어 있다.
또한 누르기판(42)은 그 표면에 유사한 융기(74)로 형성되고 또한 그것은 가온대(26)가 가온판(50)(52)과 누르기판(42)간에 보호 유지되고, 융기(74)는 가온판(71)의 융기(72)로 상방하는 관계에서 지그재그 방식으로 뻗는 액체통로(34)의 각 우측부분과 좌측부분의 하단반부에 위치하는 그런 방식에서 배설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가온기에 보호 유지되는 가온대(26)로 액체가 유입할때에 가온판(71)의 융기(72)와 누르기판(42)의 융기(74)간에서 하단반부에 눌려 있는 액체통로(34)의 각 부분은 그 상단반부에서 팽창되고 하단반부에서 한점으로 선단이 점점 좁아지는데 제11도에서 가장 잘 표시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기포 발생이 감소되고, 만약 어떤 기포가 발생하면 그들은 가온대(26)로부터 급속히 축출하기 위하여 액체통로(34)의 상부 팽창부로 올라간다.
제1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13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차이는 다른 수정된 가온판(75) 그것에 형성된 홈(76)을 가지면서 상술한 가온판(50)과 (52)에 상응하여 설치된다.
가열대(26)과 얇은 플라스틱 필름으로 제작되고 또한 각각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어떤 공간이 가온대(26)와 가온판(50)(52)간에서 증가되고 특히 가온대(26)가 가온대 수장격실(14)에 최초로 배설될 때에 그렇다.
만약에 액체가 이 상태에서 가온대(26)에 공급되면 액체통로(34)는 팽창하지만, 그러나 공기가 빠져나갈 자리가 없고, 그 공기는 가온대(26)와 가온판(50)(52)사이에 잔류하며 가여판(26)과 가온판(50)(52)간의 완전한 접촉을 방해한다.
이 문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이 실시예에서는 수정된 가온판(75)이 액체통로(34)에 따라서 지그재그 방식에서 좌우로 뻗는 홈(76)을 가지면서 설치된다. 복수개의 연장홈(80)은 각각 공기유동수단에서 홈(76)의 아아치형(arauate)부분의 포인트(78)로 연결되어 있다. 연장홈(80)의 외부끝은 케이싱(10)의 측벽내에 형성된 구멍(82)을 통하여 연결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가온대(26)의 액체통로(34)에 액체가 유입하면 가온대(26)와 가온판(75)간의 공기는 홈(76)과 연장홈(80)과 구멍(82)을 통하여 제거하고, 연장홈(80) 거기에는 공기가 잔류하지 않고 액체통로(34)와 가온판(75)간의 완전한 접촉을 가능케 한다.
그런데 액체통로(34)가 액체의 압력때문에 팽창되면 홈(76)에 인접하는 액체통로(34)부분은 홈(76)으로 압축되고 만족할만한 열교환을 위하여 가온판(75)과 접촉하게 된다.
점적액 또는 수혈액과 같은 주입액을 가열하기 위한 장치의 전술한 설명에서, 액체가 가온기로 유입함에 따라서 액체의 온도에 다라서 가온수단이 제어될 수 있는 대단히 유용한 장치임을 알수 있으며, 이것은 여하한 가온 변동없이 사전조정된 온도로 가온된 액체의 안정된 공급이나 가온수단의 전력소모 감소를 가능케 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 가온판의 가온 비율은 가온대를 유입하는 액체의 온도뿐만 아니고 또한 그 유동비율, 실내온도, 액체의 특유한 열과 다른 요인들을 고려하여 제어될수 있으며, 본 발명의 가온기는 상술한 여러가지 요인속에서의 변화에 대응하여 액체온도를 정확히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가온판과 누르기판 위에 형성된 융기는 효과적으로 액체 통로의 변형을 방지하며, 또한 그로 인하여 가온대내의 기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만약에 기포가 발생시는 신속한 축출이 가능하다.
나아가서 가온판산에 형성되는 홈은 가온대와 가온판에 공기가 잔류하는 가능성을 배제하며, 탁월한 가온 조작을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은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로서 상세히 설명되었다.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어떤 변경이나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상술한 설명서나 첨가도면에 포함되는 모든 사항은 예증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며 상시(sense)을 제한함에 있지 않음을 지향한다.

Claims (4)

  1. 벽의 한쪽에 형성된 유입구 차단부와 유출구 차단부와 개구된 상단과 밀폐된 저부를 가지는 케이싱과 가온대가 착탈자재로 상술한 케이싱내에 장치되는데 액체원에 연결하기 위한 유입구 선단과 인체에 연결하가 위한 유출구 선단을 가지며, 상술한 유입구 선단과 유출구 선단간에 지그재그 선으로 뻗은 액체통로와 상술한 가온대는 케이싱의 유입구 및 유출구 차단부에 도달하는 상술한 유입구 및 유출구 선단을 가지는 케이싱내에 각각 배설되고, 제1 및 제2 가온판이 케이싱 저부에 장치되는 데 제1가온판은 상술한 가온대의 유입구측에서 액체의 절반을 가온하는데 사용되고, 제2가온판은 가온대의 유출구 측에서 액체의 나머지 절반을 가온하는데 사용되고 공동으로 뻗는 관계에 상술한 케이싱의 상단에 연결된 열수 있는 뚜껑과, 상술한 뚜껑의 내면에 누르기판이 장치되는데 상술한 제1 및 제2 가온판에 대하여 가온대를 유지하는데 사용되고, 상술한 유입구 차단부와 제1 가온판 사이에서 케이싱내에 제1 더어머센서는 설치되고, 제2 더어머센서는 제1 가온판과 제2 가온판 사이에서 케이싱내에 설치되고, 제3 더어머센서는 제2 가온판과 상술한 유출구차단부 사이에서 케이싱 내에 설치되고 제어수단은 제1, 제2 및 제3 더어머센서의 검출치에 따라서 상술한 제1 및 제2 가온판의 가온비율을 제어하기 위하여 케이싱 내에 배설되는 점적액 또는 수혈액과 같은 주입액을 위한 전기 제어식 가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술한 제1 가온판의 상단부에 인접하여 보조 가열판이 준비되어 불변한 가온비율에서 가온대의 제1 직선부분을 가온하는데 사용되고, 상술한 보조 가온판에 의하여 가온된 액체의 온도를 검출하가 위한 보조 더어머센서와 상술한 제1, 제2, 제3 및 보조 더어머센서의 검출치에 따라서 제1 및 제2 가온판의 가온 비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주입액을 위한 전기 제어식 가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술한 가온판과 누르기판이 상술한 가온대가 가온판과 누르기판 사이에서 유지될 때에 가온대의 액체통로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융기로 각각 형성되는 주입액을 위한 전기제어식 가온기.
  4. 개구된 상단과 밀폐된 저부를 가지는 케이싱과 상술한 케이싱은 그벽의 한쪽에 형성된 유입구 차단부와 유출구 차단부를 가지며, 또한 케이싱은 그 반대쪽 벽에 형성된 복수개의 통고을 가지며, 액체 가온대가 착탈가능으로 상술한 케이싱내에 장치되어, 상술한 액체 가온대는 액체원에 연결하기 위한 유입구 선단과 인체에 연결하기 위한 유출구 선단을 가지며, 또한 유입구 선단과 유출구 선단사이에서 뻗고 있는 지그재그 선으로 된 액체통로를 가지며 상술한 가온대는 상술한 유입구 차단부 및 유출구 차단부에 도달하는 유입구 선단과 유출구 선단과 함께 케이싱내에 각각 배설되며, 상술한 가온대의 액체통로와 접촉하는 부분을 따라 형성되는 홈을 가지는 케이싱의 저부에 장치한 가온판과 상술한 홈은 상술한 공기 유동전달을 위하여 케이싱의 통공으로 연결되는 연장선단을 가지며, 상술한 케이싱의 상단에 연결된 열수 있는 뚜껑과 상술한 뚜껑의 내면에 장치되며 상술한 가온판에 대하여 가온대를 유지하는 데 사용하는 누르기판을 가지는 점적액 및 수혈액과 같은 주입액을 위한 전기 제어식 가온기.
KR1019850006476A 1984-09-06 1985-09-06 주입액을 위한 전기 제어식 가온기 KR8700015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187112 1984-09-06
JP59187112A JPS6164261A (ja) 1984-09-06 1984-09-06 点滴液、輸血液等の加温器
JP59238185A JPS61115576A (ja) 1984-11-12 1984-11-12 輸液加温器
JP59-238185 1984-11-12
JP59-182557 1984-11-30
JP1984182557U JPH025798Y2 (ko) 1984-11-30 1984-11-30
JP60-1185 1985-0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2281A KR860002281A (ko) 1986-04-24
KR870001592B1 true KR870001592B1 (ko) 1987-09-10

Family

ID=27325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6476A KR870001592B1 (ko) 1984-09-06 1985-09-06 주입액을 위한 전기 제어식 가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15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196B1 (ko) * 2005-06-29 2012-03-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용 배향막 형성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2281A (ko) 1986-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75528A1 (en) Electronically-controlled heating device for infusion liquids
US4847470A (en) Electric blood warmer utilizing metallic ribbon flow cartridge and low thermal mass heating units
EP0254801B1 (en) Temperature-controlled electric device for heating transfusion fluids
US4309592A (en) Electric heating device for heating sterilized fluids, such as blood
EP0012123B1 (en) A device for heating a fluid
EP0210711B1 (en) Inhalation apparatus
US89203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solutions within intravenous lines to desired temperatures during infusion
US6236809B1 (en) Wearable intravenous fluid heater
US4459468A (en) Temperature control fluid circulating system
US4782212A (en) Electric blood warmer utilizing a metallic ribbon-flow cartridge
WO2002017997A3 (en) Heating system for intravenous fluid delivery
EP0086829B1 (en) Electric intravenous fluid warmer, particularly for pediatric use
US3443060A (en) Thermostatically controlled electric blood heating apparatus
US484407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roducing a fluid into a human or animal organism as well as method and heating device for temperature control
US5013889A (en) Electric blood warmer utilizing heating by condensation
EP1665887A1 (en) Warming apparatus with heater produced by pcb
US7988665B2 (en) Infusion fluid heating apparatus
US11167078B2 (en) Device and method for tempering the flow of liquids in medical devices
KR870001592B1 (ko) 주입액을 위한 전기 제어식 가온기
US6909842B2 (en) Instantaneous compact fluid heater
JPS6164261A (ja) 点滴液、輸血液等の加温器
JPH0361459B2 (ko)
JPS5830056B2 (ja) 点滴液、輸血液等の加温器
JPH09280655A (ja) 即熱式貯湯型電気温水器
JPS612580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90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