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538B1 - 3-치환-3-아미노니트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3-치환-3-아미노니트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538B1
KR870001538B1 KR1019840003388A KR840003388A KR870001538B1 KR 870001538 B1 KR870001538 B1 KR 870001538B1 KR 1019840003388 A KR1019840003388 A KR 1019840003388A KR 840003388 A KR840003388 A KR 840003388A KR 870001538 B1 KR870001538 B1 KR 870001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o
yield
alkyl
cycloalkyl
nm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3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1157A (ko
Inventor
어빈 해클러 로날드
이라 윌카이저 데이비드
Original Assignee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아더 아르 훼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아더 아르 훼일 filed Critical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850001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5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thiazole or hydrogenated 1,2-thiazole rings
    • C07D27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thiazole or hydrogenated 1,2-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75/03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thiazole or hydrogenated 1,2-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5/00Carboxylic acid nitriles
    • C07C255/01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55/30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containing cyano groups and singly-bound nitrogen atoms, not being further bound to other hetero atoms, bound to the same unsaturated acyclic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3/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nitriles
    • C07C253/18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nitriles by reaction of ammonia or amines with compounds containing carbon-to-carbon multiple bonds other than in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3/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nitriles
    • C07C253/3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nitrile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cyan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5/00Carboxylic acid nitriles
    • C07C255/01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55/31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 carbon skeleton containing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5/00Carboxylic acid nitriles
    • C07C255/01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55/32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 carbon skeleton containing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55/42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 carbon skeleton containing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the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singly-bound nitrogen atoms, not being further bound to other hetero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7/00Thiocarboxylic acids
    • C07C327/38Amides of thiocarboxylic acids
    • C07C327/40Amides of thiocarboxylic acids having carbon atoms of thio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327/44Amides of thiocarboxylic acids having carbon atoms of thio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to carbon atoms of an unsaturated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1/00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 C07C2601/02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three-membered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1/00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 C07C2601/06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five-membered ring
    • C07C2601/08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five-membered ring the ring being satur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1/00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 C07C2601/12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six-membered ring
    • C07C2601/14The ring being satura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3-치환-3-아미노니트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3-치환-5-이소티아졸릴우레아제조의 유용한 중간체인 3-치환-3-아미노니트릴류의 신규합성법에 관한 것이다. 이들 우레아화합물은 살균제, 수생 및 지상제초제로 유용하다. 또한 3-치환-3-아미노니트릴류의 어떤 것은 신규화합물이다.
3-치환-3-아미노니트릴류의 어떤 것을 제조하는 공지문헌의 다른 공지방법은 다음의 문헌에 기술되어 있다.
Brown, D.J. et al. "Dimroth Rearrangement. Part XVI. C-알킬화 1,6-디하이드로-6-이미노-1-메틸피리미딘류의 신규 일반적 합성법 및 전위", J. Dhem. Soc. Perkin I, 372-378(1974)는 아미노 니트릴류 또는 3-아미노-3-이소프로필프로펜니트릴과 같은 엔아미노니트릴류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아미노니트릴류는 말로노니트릴 또는 적당한 C-알킬유도체의 리티움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 환원에 의하여 제조한다.
Prelog, V.와 Szpilfogel, S.,"사이클로알케노피리딘, 피린단 및 Bz-테트라하이드로-키놀린", Helv. Chim. Acta, 28, 1684-1692(1945)에서, 저자들은 암모니움 나이트레이트와 암모니아를 사용하여 케톤의 아민으로에의 전환을 기술하고 있다. Lang, S. et al., 은"강력한 소염제로서 β-아미노신나모니트릴류 J.Med. Chem. 18, 441-3(1975)에서 아세토니트릴을 방향족 니트릴과 반응시켜서 아미노니트릴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Beilstein's Handbuch der Organischen Chemie,3,660은 아세토니트릴 그 자신이 축합되어 염기 CH3C(NH2)=CHCN을 형성함을 기술하고 있다. Beilstein 10,I. 321은 벤조니트릴을 아세토니트릴과 소디움금속과 반응시켜서 3-아미노-3-치환-프로펜니트릴을 형성하는 반응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본 발명은 공지문헌에 대한 여러 개량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3-아미노니트릴을 쉽게 구할 수 있고 비교적 비싸지 않은 시약을 사용하여 부산물이 없이 높은 수율로 제조할 수 있고, 공지방법으로는 얻을 수 없는 몇몇 신규생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규 공정은 다음 구조식 Ⅲ의 아미노니트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R은 C1-C10알킬, C3-C6사이클로알킬, (C1-C4알킬) C3-C6사이클로알킬, (C2-C4알킬) C3-C6사이클로알킬, (C1-C4할로알킬) C3-C6사이클로알킬, (C3-C6사이클로알킬) C1-C4알킬, 2-티에닐, 또는
Figure kpo00002
여기에서 R2는 수소, 할로, C1-C6알킬, C1-C3알콕시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 ; n은 1 또는 2이며 ; m은 0 또는 1이다.
상기 구조식 Ⅲ의 아미노니트릴은 다음 구조식 Ⅱ의 케토니트릴을 암모니아소스와 반응시켜서 제조한다.
Figure kpo00003
상기식에서 R은 전술한 바와같다.
암모니아소스는 (1) 밀폐된 용기중 약 100-150℃에서의 적어도 1당량의 암모니아이거나, 또는 (2) 불활성 유기용매중에서 약 25-80℃에서 황산암모니움이 아닌 암모니움의 존재하에 적어도 1당량의 암모니아이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 다음에 정의된 신규중간체가 있다.
다음 구조식의 화합물
Figure kpo00004
상기식에서, R3는 C4-C10알킬(단 R3는 1-에틸프로필은 될 수 없다) ; C3-C6사이클로알킬; (C1-C4알킬) C3-C6사이클로알킬; (C2-C4알케닐) C3-C6사이클로알킬, (C1-C4할로알킬) C3-C6사이클로알킬; 또는 (C3-C6사이클로알킬) C1-C4알킬이다.
구조식(ⅢA)의 가장 바람직한 화합물은 R3가 C4-C6알킬, C3-C6사이클로알킬, (C1-C4알킬) C3-C6사이클로알킬; 또는 (C3-C6사이클로알킬) C1-C4알킬이다.
다음의 화합물은 화합물(Ⅱ)의 중간화합물의 대표적인 것이다.
3-아미노-3-사이클로펜틸프로펜니트릴, 3-아미노-3-사이클로헥실프로펜니트릴, 3-아미노-3-(1-메틸사이클로헥실)프로펜니트릴, 3-아미노-4-사이클로헥실-2-부텐니트릴, 3-아미노-2-펜텐니트릴, 3-아미노-4-메틸-2-펜텐니트릴, 3-아미노-4,4--디메틸-2-펜텐니트릴, 3-아미노-4,4-디에틸-2-펜텐니트릴, 3-아미노-2-헥센니트릴, 3-아미노-4-메틸-2-헥센니트릴, 3-아미노-5-메틸-2-헥센니트릴, 및 3-아미노-2-헵텐니트릴.
바람직한 화합물은 다음의 것이다 :
3-아미노-3-사이클로헥실프로펜니트릴, 3-아미노-3-(1-메틸사이클로헥실)프로펜니트릴, 3-아미노-3-(3-클로로페닐)프로펜니트릴, 3-아미노-3-(4-플루오로페닐)프로펜니트릴, 3-아미노-3-(3-메틸페닐)프로펜니트릴, 3,4-사이클로헥실-2-부텐니트릴, 및 3-아미노-4-메틸-2-펜텐니트릴.
다음의 정의는 상기 구조식들 및 다음의 공정의 구조식들에 사용된 여러 용어를 정의하는 것이다.
"C1-C10알킬"이란 용어는 탄소수 1-10의 직쇄 또는 측쇄의 지방족을 뜻하며,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1-메틸에틸), 부틸, 메틸, 이소부틸(2-메틸프로필), 2급-부틸(1-메틸프로필), t-부틸(1,1-디메틸에틸), 펜틸, 이소펜틸(3-메틸부틸), 2급-펜틸(1-메틸부틸), 1,1-디메틸프로필, 1,2-디메틸프로필, 네오펜틸(2,2-디메틸프로필), 헥실, 이소헥실(4-메틸펜틸), 2급-헥실(1-메텔펜틸), 2-메틸펜틸, 3-메틸펜틸, 1,1-디메틸부틸, 2,2-디메틸부틸, 3,3-디메틸부틸, 1,2-디메틸부틸, 1,3-디메틸부틸, 1,2,2-트리메틸프로필, 1,1,2-트리메틸프로필, 1-메틸-1-에틸프로필, 헵틸, 이소헵틸(5-메틸헥실), 2급-헵틸(1-메틸헥실), 1-에틸펜틸, 2,2-디메틸펜틸, 3,3-디메틸펜틸, 4,4-디메틸펜틸, 1,2-디메틸펜틸, 1,4-디메틸펜틸, 1,2,3-트리메틸부틸, 1,1,2-트리메틸부틸, 1,1,3-트리메틸부틸, 옥틸, 1-메틸헵틸, 2-메틸헵틸, 3-메틸헵틸, 4-메틸헵틸, 1,1-디메틸헥실, 2,2-디메틸헥실, 3,3-디메틸헥실, 4,4-디메틸헥실, 5,5-디메틸헥실, 1,2-디메틸헥실, 1,3-디메틸헥실, 1,4-디메틸헥실, 1,2,3-트리메틸펜틸, 1,1,2-트리메틸펜틸, 노닐, 1-메틸옥틸, 2,2-디메틸헵틸, 1,2,3-트리메틸헥실, 1,2,3,4-테트라메틸펜틸, 데실등을 포함한다. "C1-C10알킬", "C1-C6알킬", "C2-C6알킬", "C1-C5알킬", "C3-C4알킬", "C1-C4알킬", 및 "C1-C3알킬"도 또한 이 정의에 포함된다.
"C1-C3알콕시"란 용어는 산소원자에 의하여 분자의 나머지 부분에 결합된 탄소수 1-3의 직쇄 또는 측쇄의 지방족기를 뜻한다. 이러한 알콕시는 메톡시, 에톡시 및 프로폭시를 포함한다.
"C3-C6사이클로알킬"이란 용어는 사이클로프로필, 메틸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등과 같은 탄소수 3-6의 포화지방족환을 뜻한다.
"C1-C4할로알킬"이란 용어는 알킬에 결합된 할로겐원자를 가지는 탄소수 1-4의 직쇄 또는 측쇄의 지방족기를 뜻한다. 할로겐은 취소, 염소, 불소 및 요드를 포함한다.
"할로"란 요어는 브로모, 클로로, 플루오로 및 요드기를 뜻한다.
방 법
방법은 다음의 식으로 기술할 수도 있다. :
Figure kpo00005
상기식에서, R은 C1-C10알킬, C3-C6사이클로알킬, (C1-C4알킬) C3-C6사이클로알킬, (C2-C4알킬) C3-C6사이클로알킬, (C1-C4할로알킬) C3-C6사이클로알킬, (C3-C6사이클로알킬) C1-C4알킬, 2-티에닐, 또는 다음 구조식의 기
Figure kpo00006
여기에서 m은 0 또는 1 ; R2는 수소, 할로, C1-C6알킬, C1-C3알콕시,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 ; n은 1 또는 2 ; 이고 R1은 C1-C6알킬 또는 다음 구조식의 기
Figure kpo00007
이며 X는 나이트레이트, 아세테이트, 포르메이트, 브로마이드, 클로라이드 또는 플루오라이드이다.
상기 공정에서. 청구된 신규 방법은 케토니트릴 Ⅱ→아미노니트릴 Ⅲ의 반응으로 표시된다. 구조식 ⅢA의 중간체는 또한 신규이다. 구조식 Ⅱ의 출발화합물의 제조는 에스테르Ⅰ→케토니트릴 Ⅱ의 반응에 의하여 표시된다. 이 중간체는 아미노니트릴 Ⅲ→티오아마이드 Ⅳ→이소티아졸 Ⅴ의 반응으로 제조된다. 이들 각 화합물의 구조식은 다음에 기술한다.
화합물 Ⅰ-에스테르
화합물Ⅰ, 치환된 에스테르는 문헌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것은 상응하는 카복실산, RCOOH(여기에서 R은 전술한 바와같다)와 적당한 알콜, R1OH(여기에서 R1은 전술한 바와같다)로부터 산성조건하에서 에스테르의 제조를 포함한다. 사용되는 전형적인 산은 진한 황산, 무수 염화수소, 및 보론트 리플루오라이드에테레이트이며, 보론트리플루오라이드에테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알콜은 메타놀 또는 에타놀(여기에서 R1은 메틸 또는 에틸이다)이며, 메타놀이 가장 바람직하다. 결과로 얻어지는 바람직한 에스테르는 산의 메틸 카복실레이트이다. 바람직한 산기, R은 앞에 기술되어 있다. 통상으로, 평형을 에스테르 쪽으로 이행하기 위하여는, 상승된 온도에서 대과량의 알콜을 사용한다.
그러나, 온도는 약 주위온도로부터 약 악콜의 환류온도를 사용할 수 있다. 결과로 얻어진 에스테르는 형성되면서 계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에스테르제조의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상응하는 산클로라이드, RCOCI과 적당한 알콜, R1OH를 사용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방향족 산클로라이드의 에스테르화는 때때로 피리딘, 가성소다수용액 또는 기타 염기와 같은 염기의 존재하에 쇼텐-바우만 기술에서 기술된 조건하에 행한다. 그러나, 때때로 상기에 예거한 염기는 불필요하다. (전형적으로, 산클로라이드는 그 카복실산을 티오닐클로라이드, 3염화인, 또는 5염화인으로부터 제조한다). 산무수물류는 또한 알콜분해를 거쳐서, 산클로라이드와 같이 에스테르를 형성한다.
트랜스 에스테르화로 불리워지는 공정은 산성 또는 염기성 조건에 의한 촉매작용으로 한 에스테르로부터 다른 에스테르로 전환된다. 산은 진한황산, 무수 염화수소, 등이며, 염기는 알콕사이드이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평형을 새로운 에스테르를 형성하는 방향으로 이행시키기 위하여는, 대과량의 적당한 알콜을 사용하든가 또는 원하는 에스테르가 생성하는대로 계로부터 제거한다.
화합물 Ⅱ-케토니트릴
케토니트릴, 화합물Ⅱ는 아세토니트린과 염기 축합반응을 사용하는 치환된 에스테르로부터 제조한다.
이때 사용되는 염기로는 금속소디움, 소디움에톡사이드, 소디움메톡사이드, 소디움하이드라이드 등을 들수 있다.
그러나, 소디움하이드라이드는 가장 바람직한 염기이며, 통상으로 광유중에 분산시켜 사용한다. 치환된 에스테르는 이 염기와 용매의 존재하에 반응혼합물의 환류온도에서 약 1-약 2당량의 아세토니트릴과 반응시킨다. 반응은 기본적으로 반응이 완결되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계속하며, 통상 약 4시간내지 약 24시간이다. 적당한 용매는 테트라하이드로후란(THF), 에테르, 톨루엔, 벤젠, 에타놀, 메타놀 등이며, THF가 바람직한 용매이다.
화합물 Ⅱ를 제조하는 바람직한 방법은 THF에 소디움하이드라이드를 슬러리화하고 다음에 적당한 에스테르와 아세토니트릴을 가하며, 이때 슬러리를 약 60-65℃로 유지한다. 첨가가 완료된 후, 혼합물은 약 16-약 24시간 환류시킨다.
화합물Ⅲ-아미노니트릴
한번 케토니트릴이 형성되면, 이것은 암모니아소스를 사용하여 아미노니트릴, 화합물Ⅲ으로 전환될 수 있다.
암모니아의 한 소스는 밀폐된 용기중에서 반응을 행함으로서 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압력으로 가압하에 암모니아를 사용하는 것이다. 반응은 약 100내지 약 150℃의 온도에서 약 4시간내지 약 24시간 가열한다. 반응은 약 150℃에서 약 16시간 행함이 바람직하다. 이 반응은 약 150℃에서 약 16시간 행함이 바람직하다.
이 반응에는 에타놀, 벤젠, 톨루엔, 메타놀, THF 등과 같은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에타놀이나 기타 불활성 극성용매가 바람직하나, 이러한 용매가 반응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그러나, 적어도 1당량의 암모니아를 사용해사 하며, 필요하면 과량의 암모니아를 사용할 수도 있다.
암모니아의 바람직한 소스는 약 주위온도내지 약 사용되는 용매의 환류온도에서 대기압하에 암모니움염과 암모니아를 사용하는 것이다. 케토니트릴, 화합물 Ⅱ는 이미 암모니움염을 함유하고 있는 불활성 유기용매 중에서 혼합한다. 전형적인 용매는 에타놀, 메타놀, THF 등을 포함하며, 에타놀이 바람직하다.
전형적인 암모니움염은 암모니움클로라이드, 암모니움브로마이드, 암모니움아세테이트, 암모니움포르메이트, 암모니움나이트레이트 등을 포함하며, 암모니움나이트레이트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암모니움설페이트로 사용할 수 없다.
암모니움염의 양은 변화될 수 있으며, 과량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반응에서 염은 1당량 이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로 얻어진 용매와 암모니움염의 혼합물은 다음에 원하는 온도까지 가온하며, 이것은 통상 용매의 환류온도이다.
암모니아는 그 안에서 끓어 오른다. 반응은 약 4-24시간 행하며, 약 16-24시간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합물Ⅱ는 가압하에 약 25-약 80℃에서 첨가한 암모니아 1-2당량 및 암모니움염과 약 4-24시간 반응시킬 수도 있다.
화합물Ⅲ을 제조하는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원하는 암모니움염으로 암모니움 나이트레이트 및 용매로서 에타놀을 사용하는 것이며, 에타놀의 환류온도, 즉 약 80℃에서 약 16시간 반응을 행한다.
화합물 Ⅳ-티오아마이드
화합물 Ⅳ, 티오아마이드는 가압하에 J.Geordeler와 H.W.Pohland, Chem. Ber. 94, 2950(1961) 및 영국특허 1,153,186(화란특허 6,608,094호)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공정에 따라서 제조할 수 있다.
아미노니트릴, 화합물Ⅲ은 가압하에 유화수소와 반응시킨다 ; 압력은 반응에 의하여 스스로 생성된다.
이 반응은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등과 같은 불활성 유기용매중에서 행하며, 염화메틸렌이 바람직하다.
소량의 염기촉매(0.2-2%)를 사용하여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염기로는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유기아민, 가성카리같은 알카리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가성카리가 바람직하다. 반응온도는 약 25-약 100℃에서 행할 수 있으며, 약 60℃가 바람직하다.
반응은 약 16-약 72시간 계속할 수 있으며 약 48시간이 바람직하다.
유화수소로 티오아마이드를 제조하는 더욱 바람직한 방법은 용매로 염화메틸렌을 사용하고 촉매로 가성카리를 사용하여 약 60℃의 온도에서 약 48시간 반응시키는 것이다.
또한, 티오아마이드는 대기압하에서 피리딘, 에타놀, 톨루엔, 벤젠 등과 같은 불활성 유기용매중에서 아미노니트릴과 반응시켜서 제조할 수도 있으며,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염기촉매 존재하에 유화수소와 피리딘 중에서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류의 반응은 약 25°-약 100℃에서 행한다.
더욱 바람직한 또다른 방법은 L.Cassar. S. Panossian, 및 C. Giordano, Synthesis, 917(1978)에 기술된 방법과 유사한 공정에 따라서 약 1-2기압(atm)하에서 상전이 촉매(PTC)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아미노니트릴은 벤젠, 톨루엔, 1,2-디클로로벤젠, 디페닐에테르 등과 같은 불활성 유기용매에 용해시키고(액체 아미노니트릴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매의 사용은 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음에 설파이드 이온의 수용액(통상으로, 설파이드 이온을 공급하기 위하여는 소디움설파이드 노나하이드레이트를 사용한다)와 PTC를 가한다. 묽은 설파이드 수용액의 사용이 반응을 더욱 촉진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다음에 혼합물을 약 35-80℃(약 70℃가 바람직함)에서 1기압의 유화수소압으로 약 1-2기압하에 약 4-48시간동안 가열한다. 전형적인 PTC들은 테트라부틸암모니움클로라이드, 테트라부틸암모니움브로마이드, 트리캐프릴메틸암모니움클로라이드, 디벤조-18-크라운-6, 등을 포함하며, 바람직한 PTC는 테트라부틸암모니움클로라이드(TBAC)이다.
화합물 Ⅴ-이소티아졸
티오아마이드를 링 형성시켜서 이소티아졸을 형성하는 공저은 요드, 취소, 과산화수소, 차아염소산소다, 크로라민, 크로라민 T, 염소, 포타슘 또는 암모니움 퍼설페이트, 등과 같은 과산화염 등과 같은 산화제를 사용하여 행한다. 바람직한 산화제는 요드와 과산화수소이다. 먼저, 티오아마이드를 에테르, 벤젠, 에타놀 수용액, 등과 같은 불활성 유기용매에 용해시키고, 다음에 산화제를 가한다.
중간체의 분리
생성된 각 중간체는 필요하면 추출 또는 재결정과 같은 전형적 기술로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중간체를 다음 공정에 사용할 때에는 분리할 필요가 없다. 화합물 Ⅰ은 물로 세척한 후 에테르로 추출하고 다음에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켜서 전형적으로 분리한다.
케토니트릴, 화합물Ⅱ는 반응혼합물중에서 소디움염으로 형성된다. 다음에, 염을 물에 용해시키기 전에 용매를 진공증류시킨다. 잔류광유는 헥산으로 세척하여 제거하고, 유리의 케토니트릴은 염산, 등과 같은 광산으로 산성화하고, 에테르로 추출하여 얻는다. 필요하면, 에타놀, 염화메틸렌, 사이클로헥산, 헥산, 톨루엔 등 또는 이들의 적당한 혼합물로 결정화시킬 수도 있다.
화합물Ⅲ, 아미노니트릴은 진공중에서 과량의 암모니아와 용매를 제거하고 헥산, 염화메틸렌, 초산에틸 에테르 등으로 추출하여 분리할 수 있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하고 결정화시킨다. 결정화에 사용되는 전형적인 용매는 톨루엔, 헥산, 사이클로헥산 등이다.
제1루트에서 제조된 티오아마이드는 과량의 유화수소와 용매를 제거한 후, 에타놀, 톨루엔, 벤젠, 초산에틸, 클로로포름, 헥산 등과 같은 용매로부터 재결정시켜서 분리할 수 있다.
일단, 티오아마이드의 제조가 PTC 루트를 사용하여 반응이 완결되면, 물층을 제거하고, 유기층을 분리한다.
유기층에서 얻어진 생성물은 침전시키고 염화메틸렌, 에테르, 벤젠, 헥산, 초산에틸, 등과 같은 용매로 재결정시킨다. 과량의 용매는 원하는 생성물을 얻기전에 제거 및 /또는 건조할 수 있다.
티오아마이드를 환상시킨 후, 생성물을 함유하는 유기층을 탈수한 후 용매를 제거한다. 결정화는 톨루엔, 에타놀, 사이클로헥산, 아세톤, 헥산,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에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 등와 같은 용매를 사용하여 행한다.
불순한 티오아마이드를 환상화 단계에 사용할 때에는, 이소티아졸 생성물은 묽은 광산과 함께 유기용매로 추출하고, 염화메틸렌 등과 같은 유기용매의 수용액으로 세척한 후, 소디움 또는 포타슘하이드록 사이드로 이소티아졸을 유리화한 후, 생성물이 고체인 경우에는 여과하여 수집히고, 염화메틸렌 등과 같은 불활성 유기용매로 추출할 수 있다. 다음에 그 추출용액을 탈수하고 용매를 제거한다.
다음의 실시예는 청구된 공정 및 중간체의 제조방법에 대한 예시이며, 이들은 본원발명에 어떠한 제한을 가하는 것은 아니다. 모든 온도는 섭씨이다.
출발물질
화합물 Ⅰ의 제조실시예
[실시예 A]
에틸 1-메틸사이클로헥실카복실레이트
1-메틸-사이클로헥실카복실산 100g(0.704몰)과 옥사릴클로라이드(에탄디오일클로라이드) 97.02g(0.77몰)을 4염화탄소 750ml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모든 염화수소 가스의 방출이 끝날때까지 교반한다. 4염화탄소와 과량의 옥사릴클로라이드를 제거하고, 생성된 조 1-메틸사이클로헥실카복실 클로라이드를 에타놀 750ml에 가한다. 실온에서 약 16시간 교반한 후, 과량의 에타놀을 제거하고 생성물인 에틸 1-메틸사이클로 헥실카복실레이트를 수집한다.(수율 : 45%)
다음에, 15mm의 압력에서 진공 증류하고 40-43℃에서 유출하는 획분을 수집한다.
NMR(CDCl3) : δ4.1(q, 2H) ; δ2.3-1.7(m, 3H) ; δ1.7-1.0(m, 15H).
[실시예 B]
메틸사이클로펜틸카복실레이트
사이클로펜틸카복실산 100g과 보론트리플루오라이드에테레이트 10ml의 혼합물을 메타놀 500ml중에서 혼합하고, 혼합물을 환류온도에서 약 16시간 가열한다. 냉각시킨 후,혼합물을 물에 붓고 에테르로 추출한다.다음에 에테르를 제거하고, 혼합물을 건조시킨 후 대기압하에서 증류한다.
약 150-155°에서 증류하는 획분을 수집한다.
수율 75.2g(67%).
다음의 원소분석치를 얻었다 :
원소분석 C7H12O2로서
이론치 : C, 65.60 ; H, 9.44
실측치 : C, 65.32 ; H, 9.17
다음의 실시예들은 실시예 B의 일반공정으로 제조한다.
[실시예 C]
메틸 2-에틸부타노에이트
BP(비점)=134-140°
수율=72g(55%)
NMR(CDCl3) : δ3.6(s, 3H) ; δ2.4-1.8(m, 1H) ; δ1.8-1.1(m, 4H) ; δ0.8(t, 6H)
[실시예 D]
메틸 2-메틸부타노에이트
수율=30%
BP=118-122°
원소분석 C6H12O2로서
이론치 : C, 62.04 ; H, 10.41
실측치 : C, 61.80 ; H, 10.12
[실시예 E]
메틸 1-메틸사이클로프로필카복실레이트
수율=88g(51%)
BP=122-126°
[실시예 F]
에틸 2,4-디클로로벤조에이트
2,4-디클로로벤조일클로라이드 약 200g을 에타놀 700ml에 혼합하고 약 2시간 교반한다. 과량의, 에타놀을 제거한 후 결과로 얻어진 오일(수율=20%)을 NMR분석을 행하였다.
NMR(CDCl3) : δ7.9-7.7(d, 1H) ; δ7.5-7.1(m, 2H) ; δ4.4(q, 2H) ; δ1.45(t, 3H)
다음의 실시예는 실시예 F의 일반공정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실시예 G]
에틸 4-클로로벤조에이트
수율=40%
NMR(CDCl3) : δ8.2-7.7(d, 2H) ; δ7.5-7.2(d, 2H) ; δ4.4(q, 2H) ; δ1.45(t, 3H)
다음의 실시예는 메타놀을 용매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F의 일반공정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실시예 H]
메틸 3,3-디메틸부타노에이트
수율=65g(47%)
원소분석 C7H14O2로서
이론치 : C, 64.58 ; H, 10.84
실측치 : C, 64.86 ; H, 10.53
NMR(CDCl3) : δ3.8(s, 3H) ; δ2.4(s, 2H) ; δ1.2(s, 9H)
화합물 Ⅱ의 제조실시예
[실시예 I]
3-케토헵탄니트릴
광유중의 50% 소디움하이드라이드 76.8g(1.6몰)의 분산액을 테트라하이드로후란(THF) 800ml에 가한다.이 용액을 환류하에 교반하며 여기에 THF 200ml중의 에틸발레레이트 104g(0.8몰)과 아세토니트릴 65.6g(1.6몰)의 용액을 적가한다. 약 1시간후 기포가 많이 생성되면 열을 제거하고 용액을 하룻밤 교반한다.
다음에, 용액을 약간 환류시킨 후 이소프로필알콜 40ml를 적가한다. 다음에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고 물 600ml를 가한다음, 헥산 500ml 및 헥산-에테르혼합물 500ml로 추출한다. 흑색물질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용액을 진한 염산으로 산성화한 후 에테르 300ml씩으로 2회 추출한다.
추출액을 합하고 물 150ml로 세척한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하고 진공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한다.
수율은 오일 90g(88%)이다.
NMR(CDCl3) : δ3.60(s, 2H) ; δ2.60(t, 2H) ; δ1.8-0.8(m, 7H)
다음의 실시예는 실시예 I의 일반공정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실시예 J]
3-케토헥산니트릴
수율=89g(96%)
NMR(CDCl3) : δ3.63(s, 2H) ; δ2.60(t, 2H) ; δ1.65(m, 2H) ; δ0.97(t, 3H)
[실시예 K]
4-메틸-3-케톤펜탄니트릴
수율=76.5g(86%)
BP=95-100°/8mm ; 72-76°/1mm
NMR(CDCl3) : δ3.65(s, 2H) ; δ2.8(m, 1H) ; δ1.08(d, 6H)
[실시예 L]
3-사이클로헥실-3-케토프로피오니트릴
수율=94g(89%)
BP=95-100°/1mm
원소분석 C9H13NO로서
이론치 : C, 71.49 ; H, 8.67 ; N, 9.26
실측치 : C, 71.52 ; H, 8.55 ; N, 9.42
[실시예 M]
3-케토펜탄니트릴
수율=74g(95%)
NMR(CDCl3) : 3.63(s, 2H) ; 2.65(q, 2H) ; 1.1(t, 3H)
[실시예 N]
3-(4-클로로페닐)-3-케토프로피오니트릴
수율=67%
MP(융점)=132-134°
원소분석 C9H6INO로서
이론치 : C, 60.19 ; H, 3.37 ; N, 7.80 ; Cl, 19.74
실측치 : C, 60.45 ; H, 3.18 ; N, 7.90 ; Cl, 19.52
NMR(CDCl3) : δ8.1-7.7(d, 2H) ; δ7.6-7.2(d, 2H) ; δ4.3(s, 2H)
[실시예 O]
4-사이클로헥실-3-케토부탄니트릴
수율=61g(89%)
NMR(CDCl3) : δ3.5(s, 2H) ; δ2.5-0.6(m, 13H)
[실시예 P]
3-(1-메틸사이클로헥실)-3-케토프로피오니트릴
BP=112-115°/.7mm
NMR(CDCl3) : δ3.8(s, 2H) ; δ2.2-1.0(m, 14H)
[실시예 Q]
3-(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케토프로피오니트릴
수율=66g(77%)
MP=59-61°
원소분석 C10H6F3NO로서
이론치 : C, 56.35 ; H, 2.84 ; N, 6.57 ; F, 26.74
실측치 : C, 56.29 ; H, 2.77 ; N, 6.49 ; F, 26.52
[실시예 R]
4,4-디에틸-3-케토펜탄니트릴
수율=55.5g(69%)
BP=94-96°/1.5mm
원소분석 C9H15NO로서
이론치 : C, 70.55 ; H, 9.87 ; N, 9.14
실측치 : C, 70.28 ; H, 9.95 ; N, 8.88
[실시예 S]
4,4-디메틸-3-케토펜탄니트릴
수율=82.9g(83%)
MP=60-62°
[실시예 T]
3-(1-메틸사이클로프로필)-3-케토프로피오니트릴
NMR(CDCl3) : δ3.7(s, 2H) ; δ1.4(m, 4H) ; δ0.9(m, 3H)
[실시예 U]
4-메틸-3-케토헥산니트릴
수율=57.77g(77%)
BP=49-52°/.1mm
[실시예 V]
5,5-디메틸-3-케토헥산니트릴
수율=55.85g(100%)
NMR(CDCl3) : δ3.8(s, 2H) ; δ2.5(s, 2H) ; δ0.9(m, 9H)
[실시예 W]
4-에틸-3-케토헥산니트릴
수율=67g(88%)
NMR(CDCl3) : δ3.65(s, 2H) ; δ2.8(m, 1H) ; δ1.7(m, 4H) ; δ1.0(t, 6H)
[실시예 X]
3-사이클로펜틸-3-케토프로피오니트릴
수율=75.45g(92%)
NMR(CDCl3) : δ3.8(s, 2H) ; δ3.3-2.7(m, 1H) ; δ2.1-1.5(m, 8H)
[실시예 Y]
5-메틸-3-케토헥산니트릴
수율=99.93g(89%)
NMR(CDCl3) : δ3.7(s, 2H) ; δ2.7-1.7(m, 3H) ; δ1.0(d, 6H)
청구된 중간체류
[실시예 1]
3-아미노-3-사이클로헥실프로펜니트릴
3-사이클로헥실-3-케토프로피오니트릴 91g(0.6몰)을 액체암모니아 300ml와 에타놀 350ml에 가하고, 혼합물을 밀폐된 용기중에서 약 150°에서 약 16시간 가열한다.
용매를 진공하에 제거하여 얻어진 오일에 헥산을 가한 후, 용액을 냉각시켜서 융점 44-47°의 베이지색 결정을 얻는다. 생성물을 헥산으로 재결정시키면 융점 60-65°이다.
전체수율은 65g(72%)이다.
다음의 원소분석을 얻는다.
원소분석 C9H14N2로서
이론치 : C, 71.96 ; H, 9.39 ; N, 18.65
실측치 : C, 72.17 ; H, 9.54 ; N, 18.90
NMR(CDCl3) : δ4.7(broad, 2H) ; δ3.7(s, 1H) ; δ2.0-1.0(m, 1H)
다음의 실시예는 실시예 1의 일반공정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실시예 2]
3-아미노-4,4-디메틸-2-펜텐니트릴
수율=93%
MP=48-49°
NMR(CDCl3) : δ4.9(broad, 2H) ; δ3.95(s, 1H) ; δ1.2(s, 9H)
[실시예 3]
3-아미노-4-메틸-2-펜텐니트릴
수율=52g(70%)
NMR(CDCl3) : δ5.0(broad, 2H) ; δ4.0(s, 1H) ; δ3.75(s, 1H) ; δ3.2-2.0(m, 1H) ; δ1.15(d, 6H)
[실시예 4]
3-아미노-3-(4-클로로페닐)프로펜니트릴
수율=34.75g(72%)
MP=130-132°
원소분석 C9H7CIN2로서
이론치 : C, 60.52 ; H, 3.95 ; N, 15.69 ; Cl, 19.85
실측치 : C, 60.46 ; H, 4.03 ; N, 15.47 ; Cl, 20.13
[실시예 5]
3-아미노-4-사이클로헥실-2-부텐니트릴
수율=24.5g(55%)
NMR(CDCl3) : δ4.7(m, 2H) ; δ3.7(s, 1H) ; δ2.3-0.4(m, 13H)
[실시예 6]
3-아미노-3-(1-메틸사이클로헥실)프로펜니트릴
수율=36.02g(73%)
MP=82-84°
원소분석 C10H16N2로서
이론치 : C, 73.13 ; H, 9.82 ; N, 17.06
실측치 : C, 72.89 ; H, 9.67 ; N, 16.79
[실시예 7]
3-아미노-3-(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로펜니트릴
수율=35.15g(52%)
MP=60°
원소분석 C10H7F3N2로서
이론치 : C, 56.61 ; H, 3.33 ; N, 13.20 ; F, 26.86
실측치 : C, 56.50 ; H, 3.43 ; N, 13.03 ; F, 27.17
[실시예 8]
3-아미노-4, 4-디에틸-2-펜텐니트릴
수율=16.85g(34%)
NMR(CDCl3) : δ5.3-4.5(m, 2H) ; δ3.8(s, 1H) ; δ1.5(m, 4H) ; δ0.9(m, 9H)
[실시예 9]
3-아미노-2-펜텐니트릴
수율=25g(50%)
BP=80-85°/1mm
[실시예 10]
3-아미노-4, 4-디메틸-2-펜텐니트릴
4, 4-디메틸-3-케토펜탄니트릴 12.5g(0.1몰), 암모니움나이트레이트 8.5g(0.1몰) 및 에타놀 100m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며, 여기에 암모니아를 버블링한다.
2.5시간후, TLC(염화메틸렌)은 생성물이 생성되었음을 보여준다. 다음에 용액을 가열하여 환류시키고 암모니아를 가하고, 하룻밤 환류시킨다.
여기에 물 150ml를 가하고 진공하에 에타놀을 증류시킨다. 형성된 오일을 에테르 150ml로 추출한 후, 물 25ml로 세척하고 황상마그네슘으로 탈수한다. 진공하에 에테르를 제거한 후 여기에 헥산을 가한다. 용액을 냉각시켜서 담황색 고체를 얻는다. 수율은 11.5g(93%)이며, 융점은 48-49°이다.
다음의 원소분석이 얻어진다.
원소분석 C7H12N2로서
이론치 : C, 67.70 ; H, 9.74 ; N, 22.56
실측치 : C, 67.49 ; H, 9.57 ; N, 22.83
다음의 실시예는 실시예 10의 일반공정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실시예 11]
3-아미노-4-메틸-2-펜텐니트릴
수율=66.2g(97%)
NMR(CDCl3) : δ5.0(broad, 2H) ; δ4.0(s, 1H) ; δ3.75(s, 1H) ; δ3.2-2.0(m, 1H) ; δ1.15(d, 6H)
[실시예 12]
3-아미노-2-헥센니트릴
수율=75g 오일(85%)
NMR(CDCl3) : δ5.2(broad, 2H) ; δ4.1(s, 1H) ; δ3.7(s, 1H) ; δ2.8-0.9(m, 7H)
[실시예 13]
3-아미노-2-헵텐니트릴
수율=81g(90%)
NMR(CDCl3) : δ5.2(broad, 2H) ; δ4.0(s, 1H) ; δ3.7(s, 1H) ; δ2.5-0.8(m, 9H)
[실시예 14]
3-아미노-4-에틸-4-메틸-2-헥센니트릴
수율=59g(97%)
MP=45-48°
원소분석 C9H16N2로서
이론치 : C, 71.01 ; H, 10.59 ; N, 18.40
실측치 : C, 71.09 ; H, 10.74 ; N, 18.18
[실시예 15]
3-아미노-4-메틸-2-헥센니트릴
수율=42.2g(56%)
BP=97-102°/.25-.5mm
원소분석 C7H12N2로서
이론치 : C, 67.71; H, 9.74 ; N, 22.56
실측치 : C, 67.47 ; H, 9.69 ; N, 22.41
[실시예 16]
3-아미노-5, 5-디메틸-2-헥센니트릴
수율=40.6g(73%)
MP=109-110°
원소분석 C8H14N2
이론치 : C, 69.52 ; H, 10.21 ; N, 20.27
실측치 : C, 69.72 ; H, 9.97 ; N, 20.56
[실시예 17]
3-아미노-3-(1-메틸사이클로프로필)-2-프로펜니트릴
수율=42.7g(88%)
NMR(CDCl3/DMSO) : δ6.2(s, 1H) ; δ5.8(broad, 2H) ; δ1.4(s, 3H) ; δ0.8(m, 4H)
[실시예 18]
3-아미노-2-펜텐니트릴
수율=51g(70%)
BP=80-85°/1mm
[실시예 19]
3-아미노-4-에틸-2-헥산니트릴
수율=36.61g(64%)
BP=95-98°/.01mm
[실시예 20]
3-아미노-3-사이클로펜틸프로펜니트릴
수율=85%(100%)
[실시예 21]
3-아미노-5-메틸-2-헥산니트릴
수율=62.75g(63%)
NMR(CDCl3) : δ5.2(broad, 2H) ; δ4.1(s, 1H) ; δ3.6(s, 1H) ; δ2.8-1.7(m, 3H) ; δ1.0(m, 6H)
다음단계 중간체류
화합물 IV의 제조실시예
[실시예 I]
3-아미노-3-(4-클로로페닐)프로펜티니오아마이드
3-아미노-3-(4-클로로페닐)아크릴로니트릴 73g과 염화메틸렌 500ml를 액체유화수소 62ml와 가성카리 1.0g에 가하고, 반응혼합물을 약 80℃에서 약 24시간 밀폐된 용기에 보존한다.
황색고체를 수집하고 염화메틸렌으로 세척한다. 이 고체는 융점이 245°이상이며, 약 185°에서 연화한다. 여액을 진공증류하여 염화메틸렌을 제거한 잔류물에 톨루엔을 가한다. 결과로 얻어진 황색고체는 융점 176-181°이다. 이것을 에타놀로 재결정하면 융점 180-183°이다.
첫번째 황색고체를 에타놀 700ml에 끊이고 다음에 여과한다. 이 여액에 물 약 250ml를 가하고, 용액을 냉각 시킨다. 얻어진 고체를 수집하여, 융점 178-180°이다.
두 결정을 합하면 33g(수율 38%)이다.
다음의 원소분석치가 얻어진다 :
원소분석 C9H9CIN2S
이론치 : C, 58.82 ; H, 4.27 ; N, 13.17
실측치 : C, 58.89 ; H, 4.25 ; N, 12.99
NMR(DMSO-d6) : 8.2(broad, 2H) ; 7.32(broad, 2H) ; 6.8(m, 5H) ; 3.8(s, 1H)
다음의 실시예는 실시예 I의 일반공정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실시예 II]
3-아미노-3-사이클로헥실프로펜티오아마이드
수율=3.3g(4%)
MP=141-143°
원소분석 C9H16N2S로서
이론치 : C, 58.65 ; H, 8.75 ; N, 15.20 ; S, 17.40
실측치 : C, 58.75 ; H, 9.00 ; N, 15.17 ; S, 17.61
[실시예 III]
3-아미노-4-사이클로헥실-2-부텐티오아마이드
수율=12.25g(69%)
MP=89-91°
원소분석 C10H18N2S로서
이론치 : C, 60.56 ; H, 9.15 ; N, 14.12 ; S, 16.17
실측치 : C, 60.48 ; H, 8.94 ; N, 13.85 ; S, 16.06
[실시예 IV]
3-아미노-3-(1-메틸사이클로헥실)프로펜티오아마이드
수율=4g(10%)
NMR(CDCl3) : δ8.0(broad, 2H) ; δ6.3(broad, 2H) ; δ2.3-0.7(m, 13H)
[실시예 V]
3-아미노-2-펜텐티오아마이드
수율=19g(59%)
NMR(CDCl3) : δ8.1(broad, 2H) ; δ6.6(broad, 2H) ; δ5.2(5, 1H) ; δ2.2(q, 2H) ; δ1.3(t, 3H)
[실시예 VI]
3-아미노-4, 4-디메틸-2-펜텐티오아마이드
수율=12.8g(68%)
NMR(CDCl3) : δ8.0(broad, 2H) ; δ6.7(broad, 2H) ; δ5.2(s, 1H) ; δ2.5-0.8(m, 3H)
[실시예 VII]
3-아미노-4, 4-디메틸-2-펜텐티오아마이드
수율=58g(59%)
NMR(CDCl3) : δ8.6-8(m, 2H) ; δ6.6-5.8(m, 2H) ; δ5.3(s, 1H) ; δ1.2(s, 9H)
[실시예 VIII]
3-아미노-2-헵텐티오아마이드
3-아미노-2-헵텐니트릴 81g, 소디움설파이드 노나하이드레이트(Na2S,9H2O) 5g, 트리카프릴메틸암모니움클로라이드 3.8g, 벤젠 100ml 및 물 100ml의 용액을 유화수소 1기압하에서 약 65-70°에서 약 16시간 교반한다.
용액을 냉각하고 에테르 200ml로 추출한다. 추출액을 물 100ml로 세척한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한다.
잔류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여 암색오일 95g을 얻는다. NMR은 원하는 생성물 약 50%가 형성되었음을 나타낸다.
NMR(CDCl3) : δ8.1(broad, 2H) ; δ6.5(broad, 2H) ; δ5.2(s, 1H) ; δ2.4-1.7(m, 9H)
[실시예 IX]
3-아미노-2-헥센티오아마이드
3-아미노-2-헥센니트릴 75g, 소디움설파이드 노나하이드레이트 6g, 테트라부틸암모니움클로라이드 3.4g, 벤젠 100ml 및 물 100ml의 혼합물을 1기압의 유화수소 기류중에서 약 65-70°에서 약 16시간 교반한다. 생성물을 에테르 400ml로 추출하고 에테르 추출액을 물 100ml로 세척한다. 다음에 추출액을 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한 후 에테르를 진공증류시켜서 흑색오일을 얻으며, 수율은 84g이다. NMR은 원하는 생성물이 25%까지 존재함을 나타낸다.
NMR(CDCl3) : δ8.0(broad, 2H) ; δ6.6(broad, 2H) ; δ5.1(s, 1H) ; δ2.5-0.8(broad, 7H)
다음의 실시예는 실시예 IX의 일반공정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실시예 X]
3-아미노-3-사이클로헥실프로텐티오아마이드
수율=7.7g(60%)
NMR(CDCl3) : δ8.0(broad, 2H) ; δ6.2(broad, 2H) ; δ2.3-0.6(m, 11H)
[실시예 XI]
3-아미노-4, 4-디메틸-2-펜텐티오아마이드
수율=83.3g
제2차수확=38.25g(85%)
NMR(CDCl3) : δ8.6-8(m, 2H) ; δ6.6-5.8(m, 2H) ; δ5.3(s, 1H) ; δ1.2(s, 9H)
[실시예 XII]
3-아미노-3-(1-메틸사이클로프로필)프로펜티오아마이드
NMR(DMSO) : δ8.8-7.8(broad, 2H) ; δ8.0-7.2(broad, 2H) ; δ5.2(s, 1H) ; δ1.3(s, 3H) ; δ0.7(d, 4H)
[실시예 XIII]
3-아미노-4-메틸-2-펜텐티오아마이드
수율=46.85g(68%)
NMR(CDCl3) : δ8.6-7.8(broad, 2H) ; δ6.9-6.4(broad, 2H) ; δ5.3(s, 1H)3 ; δ2.3(m, 1H) ; δ1.2(d, 6H)
[실시예 XIV]
3-아미노-2-펜텐티오아마이드
수율=46.85g(68%)
NMR(CDCl3) : δ8.5(broad, 2H) ; δ6.2(broad, 2H) ; δ5.1(s, 1H) ; δ2.1(q, 2H) ; δ1.0(m, 3H)
[실시예 XV]
3-아미노-3-사이클로펜틸프로펜티오아마이드
수율=59.8g(58%)
[실시예 XVI]
3-아미노-5-메틸-2-헥센티오아마이드
수율=62.5g(80%)
NMR(CDCl3) : δ8.1(broad, 2H) ; δ6.6(broad, 2H) ; δ5.2(s, 1H) ; δ2.7-1.8(m, 3H) ; δ1.0(m, 6H)
다음의 실시예는 벤젠 대신에 톨루엔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IX의 일반공정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실시예 XVII]
3-아미노-4, 4-디메틸-2-펜텐티오아마이드
수율=100g(15%)
NMR(CDCl3) : δ8.6-8(m, 2H) ; δ6.6-5.8(m, 2H) ; δ5.3(s, 1H) ; δ1.2(s, 9H)
화합물 V의 제조실시예
[실시예 XVIII]
5-아미노-3-(4-클로로프로필)이소티아졸
3-아미노-3-(4-클로로페닐)프로펜티오아마이드 21.3g(0.1몰), 탄산칼륨 29.2g(0.21몰) 및 에테르 1000ml의 용액을 환류하에 교반한다. 다음에 이 용액에 에테르 250ml중의 요드 25.4g(0.1몰)을 적가하고, 4시간 더 환류시킨 후 냉각시킨다.
여기에 물 500ml를 가하고, 결과로 얻어진 층을 분리하고, 에테르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한다.
에테르를 진공증류시켜서 얻어진 황색고체를 톨루엔으로 재결정시켜서 융점 128-129°의 표제화합물 17g(81%)을 얻는다. 다음의 원소분석을 얻는다 :
원소분석 : C9H7CIN2S로서
이론치 : C, 51.33 ; H, 3.35 ; N, 13.30
실측치 : C, 51.54 ; H, 3.10 ; N, 13.26
NMR(DMSO-d6) : δ7.95(d, 2H) ; δ7.55(d, 2H) ; δ6.8(broad, 2H) ; δ6.75(s, 1H)
다음의 실시예는 실시예 XVIII의 일반공정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실시예 XIX]
5-아미노-3-사이클로헥실티아졸
MP=132-136°
원소분석 C9H14N2S로서
이론치 : C, 59.30 ; H, 7.74 ; N, 15.34
실측치 : C, 59.28 ; H, 7.91 ; N, 15.26
NMR(CDCl3) : δ6.1(s, 1H) ; δ4.5(broad, 2H) ; δ2.2-1.2(broad, 10H)
[실시예 XX]
5-아미노-3-(1-메틸에틸)이소티아졸
수율=14.4g(27%)
제2수확=23.5g(54%)
MP=49-51°
원소분석 C6H10N2S로서
이론치 : C, 50.64 ; H, 7.09 ; N, 19.70
실측치 : C, 50.44 ; H, 6.88 ; N, 19.50
NMR(CDCl3) : δ6.1(s, 1H) ; δ5.0(broad, 2H) ; δ2.9(m, 1H) ; δ1.25(d, 6H)
[실시예 XXI]
5-아미노-3-프로필이소티아졸
수율=10.3g(49%)
NMR(CDCl3) : δ6.0(s, 1H) ; δ5.3(broad, 2H) ; δ2.6(t, 2H) ;δ1.6(m, 2H) ; δ0.95(t, 3H)
[실시예 XXII]
5-아미노-3-에틸이소티아졸
수율=6.7g(60%)
NMR(CDCl3) : δ6.1(s, 1H) ; δ5.4(broad, 2H) ; δ2.6(q, 2H) ;δ1.2(t, 3H)
[실시예 XXIII]
5-아미노-3-부틸이소티아졸
수율=16.6g(36%)
NMR(CDCl3) : δ6.1(s, 1H) ; δ5.0(broad, 2H) ; δ2.6(t, 2H) ;δ1.6(m, 2H) ; δ1.4(m, 2H) ; δ0.9(t, 3H)
[실시예 XXIV]
5-아미노-3-(1-메틸사이클로헥실)이소티아졸
수율=70%
MP=103-105°
원소분석 C10H16N2S로서
이론치 : C, 61.18 ; H, 8.22 ; N, 14.27 ; S, 16.33
실측치 : C, 60.99 ; H, 7.93 ; N, 13.97 ; S, 16.45
[실시예 XXV]
5-아미노-3-(1-메틸프로필)이소티아졸
수율=13.7g(88%)
[실시예 XXVI]
5-아미노-3-(1-메틸프로필)이소티아졸
수율=22.5g(49%)
NMR(CDCl3) : δ6.0(s, 1H) ; δ5.4-4.8(broad, 2H) ; δ2.7(m, 1H) ;δ1.6(m, 2H) ; δ1.1(d, 2H) ; δ0.9(t, 3H)
[실시예 XXVII]
5-아미노-3-(1, 1-디메틸에틸)이소티아졸
수율=61g(96%)
MP=91-93°
원소분석 C7H12N2S로서
이론치 : C, 53.81 ; H, 7.74 ; N, 17.93 ; S, 20.52
실측치 : C, 53.60 ; H, 7.45 ; N, 17.62 ; S, 20.50
[실시예 XXVIII]
5-아미노-3-(1-에틸-1-메틸프로필)이소티아졸1염산염
수율=34g(67)%
MP=140-142°
원소분석 C9H16N2S.HCl로서
이론치 : C, 48.97 ; H, 7.76 ; N, 12.69 ; S, 14.52 ; Cl, 16.06
실측치 : C, 48.94 ; H, 7.51 ; N, 12.83 ; S, 14.25 ; Cl, 16.32
[실시예 XXIX]
5-아미노-3-(1-에틸프로필)이소티아졸
수율=6.1g(35%)
NMR(CDCl3) : δ6.2(s, 1H) ; δ5.4-4.7(broad, 2H) ; δ2.6(m, 1H) ;δ1.7(m, 4H) ; δ0.9(t, 6H)
[실시예 XXX]
5-아미노-3-(2-메틸프로필)이소티아졸
수율=21g(53%)
원소분석 C7H12N2S로서
이론치 : C, 53.81 ; H, 7.74 ; N, 17.93 ; S, 20.52
실측치 : C, 53.82 ; H, 7.60 ; N, 17.69 ; S, 20.26
NMR(CDCl3) : δ6.1(s, 1H) ; δ5.0(broad, 2H) ; δ2.5(d, 2H) ;δ2.0(broad, 1H) ; δ0.9(t, 6H)
구조식 V의 화합물, 3-치환-5-아미노이소티아졸류는 살조류제 및 수생 및 육상제초제로서 유용한 3-치환-5-이소티아졸릴우레아류의 중간체로서 유용하다. 이들 우레아류를 제조하기 위하여는, 이소티아졸화합물은 통상으로 그 카바메이드류로 전환시킨 후, 다음에 치환된 아민류와 반응시킨다.
다음에 이들 우레아류는 1이상의 수생적-또는 농예화학적으로 사용가능한 담체와 조합하고 감염된 지역에 투여한다.
전형적인 투여율은 수생살조제용으로서는 이 우레아화합물을 약 0.01-약 10ppm, 그리고, 지상투여용으로는 에이커당 약 0.01-약 10파운드(헥트아르단 약 0.011-11.2kg)이다.

Claims (11)

  1. 구조식 II의 케토니트릴을 암모니아소스와 반응시켜서 구조식 III의 아미노니트릴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08
    상기식에서, R은 C1-C10알킬, C3-C6사이클로알킬, (C1-C4알킬) C3-C6사이클로알킬, (C2-C4알케닐) C3-C6사이클로알킬, (C1-C4할로알킬) C3-C6사이클로알킬, (C1-C4사이클로알킬) C1-C4알킬, 티에닐 또는
    Figure kpo00009
    여기에서 R2는 수소, 할로, C1-C6알킬, C1-C3알콕시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 ; n은 1 또는 2이며 ; m은 0 또는 1이다.
  2. 제1항에서 구조식 III의 화합물이 구조식 IIIA의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Figure kpo00010
    상기식에서, R3는 C4-C10알킬(단 R3는 1-에틸프로필은 될 수 없다) ; C3-C6사이클로알킬 ; (C1-C4알킬) C3-C6사이클로알킬 ; (C2-C4알케닐) C3-C6사이클로알킬 ; (C1-C4할로알킬) C3-C6사이클로알킬 ; 또는(C3-C6사이클로알킬) C1-C4알킬이다.
  3. 제1 또는 2항에서, 암모니아소스가 밀폐된 용기중, 약 100-약 150℃의 온도에서 적어도 1당량의 암모니아인 방법.
  4. 제3항에서, 케토니트릴을 밀폐된 용기에서 약 100-약 150℃의 온도에서 적어도 1당량의 암모니아로 처리하는 방법.
  5. 제4항에서, 불활성 극성용매를 사용하는 방법.
  6. 제5항에서, 용매가 에타놀인 방법.
  7. 제3항에서, 케토니트릴을 유기용매중에서 암모니움설페이드가 아닌암모니움염의 존재하에 적어도 1당량의 암모니아로 처리하는 방법.
  8. 제7항에서, 암모니움염이 암모니움나이트레이트인 방법.
  9. 제8항에서, 용매가 에타놀이고, 반응을 약 80℃에서 약 16시간 행하며, 암모니움나이트레이트 1당량을 사용하는 방법.
  10. 제8항에서, 반응을 가압하에 암모니아 1-2당량을 사용하여 약 4-24시간 행하는 방법.
  11. 제1 또는 2항에서 암모니아소스가 불활성 유기용매중에서 암모니움설페이트가 아닌 암모니움염의 존재하에 약 25-약 80℃의 온도에서 적어도 1당량의 암모니아인 방법.
KR1019840003388A 1983-06-20 1984-06-15 3-치환-3-아미노니트릴의 제조방법 KR8700015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0617583A 1983-06-20 1983-06-20
US506.175 1983-06-20
US506,175 1983-06-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157A KR850001157A (ko) 1985-03-16
KR870001538B1 true KR870001538B1 (ko) 1987-09-02

Family

ID=24013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3388A KR870001538B1 (ko) 1983-06-20 1984-06-15 3-치환-3-아미노니트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0135252A3 (ko)
JP (1) JPS6013749A (ko)
KR (1) KR870001538B1 (ko)
BR (1) BR8402997A (ko)
DK (1) DK296984A (ko)
GB (1) GB2141712A (ko)
GR (1) GR82370B (ko)
HU (1) HUT34315A (ko)
IL (1) IL72092A0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027569D0 (en) * 2000-11-10 2000-12-27 Zeneca Ltd Chemical processes
JP2009130248A (ja) * 2007-11-27 2009-06-11 Nippon Seiki Co Ltd 放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R204517A1 (es) * 1972-12-01 1976-02-12 Sandoz Ag Procedimiento para obtener compuestos de 5-ciano-2-amino-tiofenos
US3970622A (en) * 1975-11-24 1976-07-20 American Cyanamid Company Heat stabilizers for polyvinyl chloride (β-amino-β-arylacrylonitriles)
DE2727528A1 (de) * 1977-06-18 1979-01-04 Bayer Ag N-(1-cyanalken-2-yl)-alpha-aminoessigsaeuren deren herstellungsverfahren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eta -lactamantibiotika
MA19269A1 (fr) * 1980-09-16 1982-04-01 Lilly Co Eli Perfectionnement relatif a des derives de n-arylbenzamid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35252A3 (en) 1985-07-10
KR850001157A (ko) 1985-03-16
GR82370B (ko) 1984-12-13
JPS6013749A (ja) 1985-01-24
BR8402997A (pt) 1985-05-28
HUT34315A (en) 1985-03-28
DK296984A (da) 1984-12-21
IL72092A0 (en) 1984-10-31
GB8415126D0 (en) 1984-07-18
EP0135252A2 (en) 1985-03-27
GB2141712A (en) 1985-01-03
DK296984D0 (da) 198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47702A (en) 1,4-Dioxane polycarboxylates
US3711549A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cyclopropylamine
Fieser et al. Naphthoquinone Antimalarials. XXX. 1 2-Hydroxy-3-[ω-(1-adamantyl) alkyl]-1, 4-naphthoquinones2
KR870001538B1 (ko) 3-치환-3-아미노니트릴의 제조방법
JPH0725727B2 (ja) メトキシイミノアセトアミド化合物の製造法
JPS60231645A (ja) O―置換オキシム化合物の合成方法および相当ヒドロキシルアミンo―置換化合物への転化方法
US4596885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henylglyoxylic acid esters
EP1116719B1 (en) 3-(1-Hydroxy-pentylidene)-5-nitro-3H-benzofuran-2-one,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the use thereof
JPS6212776A (ja) ロ−ダニン誘導体
GB1599623A (en) 2-(2,2-dihalovinyl)-thiophenes
JP4703012B2 (ja) 3−ヒドロキシプロピオニトリルの製造方法
JP3101012B2 (ja) 2−アリール−5−(トリフルオロメチル)ピロール化合物の製造方法
CS203929B2 (en) Process for preparing halogenvinylsubstituted tetrahydrofuran-2-ones
US20130267717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tovaquone
Igarashi et al. Syntheses of α-Keto Amides and Acids from Ethyl Alkylidenecyanoacetates1
KR100293646B1 (ko) 해당알독심의탈수반응을통하여오르토-하이드록시치환된방향족니트릴을제조하는방법
CA1068302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n acetonitrile derivative
US2865962A (en) Preparation of 3-methyl-1, 2-cyclopentanedione
US4788315A (en) 2,5-substituted-cyclohexane-1,4-diones and a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US3235582A (en) Cyclohexylmethyl phenoxyacetate
JPH0522709B2 (ko)
US4122115A (en) Preparation of chloro- and bromo-fluoroacetyl chloride
US3492337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lkyl 4-ketoalkanoates
US3259648A (en) Cyclohexylmethyl cinnamate
JP2549997B2 (ja) 新規ハロケタール化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8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