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239Y1 - 콘크리트용 볼트 - Google Patents

콘크리트용 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239Y1
KR870001239Y1 KR2019850001336U KR850001336U KR870001239Y1 KR 870001239 Y1 KR870001239 Y1 KR 870001239Y1 KR 2019850001336 U KR2019850001336 U KR 2019850001336U KR 850001336 U KR850001336 U KR 850001336U KR 870001239 Y1 KR870001239 Y1 KR 8700012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concrete
spiral
concrete structure
cut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13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0838U (ko
Inventor
박외학
Original Assignee
박외학
이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외학, 이정환 filed Critical 박외학
Priority to KR20198500013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1239Y1/ko
Publication of KR8600108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08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2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2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02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self-cut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14Non-metallic plugs or sleeves; Use of liquid, loose solid or kneadable material therefor
    • F16B13/141Fixing plugs in holes by the use of settabl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콘크리트용 볼트
제 1도는 본 고안 볼트의 사시도.
제 2도는 본 고안 볼트의 횡 단면도.
제 3도는 본 고안 볼트의 종 단면도.
제 4도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본 고안의 볼트를 박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 5도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완전히 박힌 상태의 단면도.
제 6도는 제 5도의 점선부분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나선 삽입부 4 : 너트 결합부
6 : 절삭홈 7 : 삼각 돌출부
3' : 나선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나사식으로 박아서 간판이나 기타 무거운 물건들을 고정시키는데 사용하는 콘크리트용 볼트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현재까지 콘크리트 구조물의 천정이나, 벽면등에 간판이나 기타 무거운 물건들을 부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았다.
즉, 특수하게 제작된 콘크리트 못을 때려 박아서 부착하는 방법과 못을 박아야 될 위치에 드릴등으로 구멍을 뚫은 다음 이 구멍에 나무등 보통 못이 박힐 정도의 재질을 삽입한 다음 못을 박아서 고정시키는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중 전자의 경우는 콘크리트 못을 직접 망치등으로 콘크리트 에 박기 때문에 콘크리트못이 휘거나 부러지기도 하고 콘크리트 구조물에 박는 것이 매우 힘이들며, 이와같은 콘크리트 못은 사람의 힘으로 때려 박기 위해서는 매우 소형이기 때문에 무거운 물건들은 고정시킬 수가 없었다.
또한 후자의 경우는 드릴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구멍을 뚫고 나무등을 박은다음 이에 통상의 못이나 나사못을 박기 때문에 시간이 흐름에 따라 구멍에 삽입된 나무등이 수축되어 쉽게 빠짐은 물론 눈이나 빗물 또는 습기등에 의하여 부식되어 빠져버리므로 견고하지 못한 폐단이 있으며, 양자 공히 중량이 무거보 카다란 물건들은 고정시킬 수가 없었다.
또한 근래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만들때 콘크리트 속에 미리 고리등을 매설하는 방법도 사용하고 있으나, 이와같은 방법은 기본적인 건축물 즉, 실내의 천정이나 전등과 같은 것을 달기 위하여 사용될 뿐, 기존 물건에 필요에 따라 설치할 수는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필요에 따라 어떠한 종류의 콘크리트 구조물에라도 필요한 장소에 쉽게 나사식으로 회전시켜 박을 수 있으며, 일단 콘크리트 구조물에 박은 다음에는 절대 빠지는 일이 없어 대형 기계류들을 고정 설치하기에 매우 적합하도록 고안된 것으로 이하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인 나사못 형태의 나선 삽입부(3)과 너트 결합부(4) 그리고 볼트머리(5)부분으로 구성된 볼트(2)의 나선 삽입부(3)에는 정삼각 길이 방향으로 절삭홈(6)을 절삭형성 하되, 상기 절삭홈(6)은 나선(3')의 깊이(a)보다 (b)만큼 더욱 깊게하여 전체의 깊이가 a+b만큼 되게하고 나선 삽입부(3)의 끝단에는 삼각형의 돌출부(7)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 미설명부호 19은 와샤를 표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의 콘크리트용 볼트(2)를 콘크리트 구조물(10)에 박기 위해서는 먼저 콘크리트 구조물(10)에 드릴을 사용하여 본 고안 볼트(2)의 직경보다 약간 적은 직경으로 구멍(15)을 뚫는다.
그 다음 천공된 구멍(15) 내부로 시멘트 몰탈이나 급결 접착제(16)등을 주입하고, 볼트(2)의 삼각 돌출부(7)를 구멍(15)에 삽입하면, 나선 삽입부(3)의 삼각 돌출부(7)쪽 끝단은 통상의 나사못과 같이 직경이 조금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부분은 콘크리트구조물(10)에 형성된 구멍(15)으로 쉽게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볼트를 회전시키면, 볼트는 나사식으로 삽입되는데, 이때 나선 삽입부(3)에는 절삭홈(6)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절삭된 부분의 나선(3') 측면(6')은 매우 날카롭다.
따라서 절삭된 부분의 나선(3') 측면(6')은 콘크리트 구조물(10)의 구멍(15)내측 벽면을 조금씩 파내면서 나사식으로 삽입되어 진다.
또한 나선(3') 측면(6')에 의해 파내어진 콘크리트 조각은 절삭홈(6)에 떨어져 쌓이게 되는데, 이때 절삭홈(6)은 나선(3')의 깊이(a)보다 (b)만큼 깊이 파여 있으므로 볼트 자체가 회전하는데는 아무런 지장이 없다.
이처럼 볼트(2)가 계속적으로 회전되며, 삽입되어지면 볼트(2)의 삼각 돌출부(7)는 구멍(15)내부에 충진되어진 충진액(16)과 접하게 되는데 이때는 삼각 돌출부(7)의 날카로운 부분(7')이 총진액(16)을 긁어서 절삭홈(6)으로 밀어주므로 충진액(16)은 절삭홈(6)으로 삽입되어 나선(3')과 나선 사이에도 충진되며, 볼트(2)가 완전히 삽입되면 나선과 나선사이는 물론 절삭홈(6)에도 완전히 충진되어 진다.
따라서 충진액(16)이 안전히 굳은 상태에서는 본 고안의 볼트(2)와 콘크리트 구조물(10)과의 사이에는 아무런 공간도 생기지 않을 뿐더러 볼트(2)의 나선(3')은 끝이 조금씩 콘크리트 구조물(10)자체에 박혀있는 상태가 되므로 어떠한 힘을 가하여도 절대 빠지지 못한다.
이 상태에서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외부로 돌출되어진 너트 결합부(4)에 부착하고자 하는 물건(17)을 끼우고 너트(18)을 결합시키면 아무리 무거운 물건이라도 절대 떨어짐이 없이 견고히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은 나선 삽입부(3)에 길이방향으로 나선(3')의 깊이(a)보다 (b)만큼 깊은 절삭홈(6)이 절삭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볼트로 사용할 때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
즉, 일반적인 볼트인 경우에는 너트의 나선에 오물이 끼워 있으면 잘 끼워지지도 않고 또 빠지지도 않으나, 본원의 경우에는 너트의 오물을 긁어 내면서 결합되거나 빠지기 때문에 오래동안 사용하지 않던 몰트구멍에도 쉽게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Claims (1)

  1. 나선 삽입부(3)와 너트 결합부(4) 그리고 볼트머리(5) 부분으로 구성된 공지의 볼트(2)에 있어서 나선 삽입부(3)의 길이 방향으로 절삭홈(6)을 다수개 절삭 형성하되 나선(3')의 깊이(a)보다 더욱 깊게 형성하고 나선 삽입부(3)의 끝단에는 삼각형의 돌출부(7)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콘크리트용 볼트.
KR2019850001336U 1985-02-08 1985-02-08 콘크리트용 볼트 KR8700012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1336U KR870001239Y1 (ko) 1985-02-08 1985-02-08 콘크리트용 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1336U KR870001239Y1 (ko) 1985-02-08 1985-02-08 콘크리트용 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0838U KR860010838U (ko) 1986-09-10
KR870001239Y1 true KR870001239Y1 (ko) 1987-03-28

Family

ID=19239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1336U KR870001239Y1 (ko) 1985-02-08 1985-02-08 콘크리트용 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12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0838U (ko) 1986-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9257A (en) Self drilling anchor
US4439077A (en) Concrete screw anchor
CA1304242C (en) Straddling plug
EP0414335A1 (en) Self-drilling wall anchor
JP2010007858A (ja) ねじ型アンカー
US7568320B2 (en) Wall reinforcement system
KR870001239Y1 (ko) 콘크리트용 볼트
CA2023754A1 (en) Building block
US6155352A (en) Wall tie reinforcement and method
KR101052728B1 (ko) 쐐기웨지를 이용한 제거식 소일네일의 조립구조 및 이에 의해 소일네일을 조립ㆍ제거하는 방법
GB2111581A (en) Clips for conduits
US2024064A (en) Rawhide screw anchor plug
ATE243286T1 (de) Korrosionsgeschütztes tragelement für einen erd- oder felsanker, einen druckpfahl oder dergleichen
GB2027834A (en) Fasteners
KR200312752Y1 (ko) 네일 정착구조
EP0618376A1 (en) Improved self drilling anchor
AU669986B2 (en) Improved self-drilling wall anchor
NO139452B (no) Anker for befestigelse i gipsvegger eller liknende
KR200233329Y1 (ko) 비제거식 네일
US4454701A (en) Anchoring of material to concrete
GB2153892A (en) A wall tie, a method of tying the leaves of a cavity wall and a cavity wall incorporating a tie
KR200290213Y1 (ko) 앵커볼트의 로킹장치
KR900007297Y1 (ko) 건축용 앵커
JP2000204548A (ja) 永久アンカ―
AU2005203079A1 (en) Earth ancho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