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048Y1 -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회로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048Y1
KR870001048Y1 KR2019840012172U KR840012172U KR870001048Y1 KR 870001048 Y1 KR870001048 Y1 KR 870001048Y1 KR 2019840012172 U KR2019840012172 U KR 2019840012172U KR 840012172 U KR840012172 U KR 840012172U KR 870001048 Y1 KR870001048 Y1 KR 8700010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switch
cup
cam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21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6548U (ko
Inventor
장보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400121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1048Y1/ko
Publication of KR8600065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65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0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0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07F9/105Heating or cooling means,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for the conditioning of articles and their storag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7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in which the articles are formed in the apparatus from components, blanks, or material constitu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6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ocessing of food articles
    • G07F17/0078Food articles which need to be processed for dispensing in a hot or cooked condition, e.g. popcorn, nuts
    • G07F17/0085Food articles which for processing need cooking in a liquid, e.g. oil, wa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자동판매기의 개요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름 캠스위치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투입금액검출회로 PM : 프로그래머블모터
M : 반출선반구동모터 CS1~CS5 : 캠스위치
BT : 판매버튼 S1, S2: 반출선반검지스위치
MS1: 컵안착검지스위치 SOL1 : 투출솔레노이드
SOL2 : 노즐삽입솔레노이드 SOL3 : 온수밸브솔레노이드
RY1~RY3 : 릴레이
본 고안은 컵모양의 용기에 면류식품을 포장한 제품의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설정된 판매가에 해당하는 금액이 투입되었음이 인지되었을 때 상품을 투출하도록 된 전자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던 컵면 종류의 자동판매기에서는 판매가에 해당하는 투입금액이 확인되면 컵면이 투출되므로써 사용자는 투출된 상품을 인출해내어 포장봉지를 뜯은 다음에 다시 온수를 공급받게 되어 있기 때문에 번거로운 동작을 해야만 되고, 온수공급시 부주의로 손에 화상을 입게 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 상품을 투출하는 과정에서 온수를 주입한 다음에 사용자가 인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투입금액 검출회로에서 판매가에 해당되는 금액이 투입되어 있음이 확인되면 상품투출회로로 판매신호를 보내고, 상품투출회로에서는 판매신호를 받아서 다단의 캠스위치가 결합된 프로그래머블모터를 동작시키므로써 캠스위치에 연결된 솔레노이드가 사전에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품을 투출하도록 된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회로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투입금액 검출회로(1)의 출력단에는 판매버틀(BT)을 매개하여 릴레이(RY1)가 연결되어 릴레이(RY1)코일의 양단에 프로그래머블모터(PM)가 연결되고, 프로그래머블모터(PM)와 연동으로 동작되는 캠스위치(CS1-CS5) 가운데 캠스위치(CS1) (CS5)에는 컵라면을 투출하기 위한 저항(R1) (R2) 및 다이오드(D1), 콘덴서(C1), 릴레이(RY2), 솔레노이드(SOL1)가, 캠스위치(CS2)에는 노즐삽입 솔레노이드(SOL2)가, 캠스위치(CS3)에는 온수밸브 솔레노이드(SOL3)가 연결되며, 컵안착검지스위치(MS1)와 캠스위치(CS4)에는 상품의 반출을 제어하기 위한 저항(R3-R5) 및 다이오드(D2) (D3), 콘덴서(C2) (C3), 릴레이(RY3), 반출선반검지스위치(S1) (S2), 반출선반구동모터(M)가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PG는 전원플러그, SW는 전원스위치, F는 퓨우즈, IN, OUT는 투입금액검출회로(1)의 입출력단을 나타낸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를 나타낸 것으로, 릴레이(RY1) (RY3)는 2개의 메이크접점을 갖는 것이고, 프로그래머블모터(PM)의 축에 결합되어 프로그래머블모터(PM)와 연동으로 동작되는 캠스위치(CS1-CS5)는 컵라면이 보관함으로부터 투출구로 투출된 다음에 노즐이 삽입되고, 그후 온수공급이 끝나면 반출선반구동모터(M)를 구동시켜서 사용자가 꺼내기 용이하도록 컵라면을 이동시키는 일련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끔 캠이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프로그래머블모터(PM)와 캠스위치(CS1-CS5)는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투출솔레노이드(SOL1)는 컵라면이 컵라면 보관함으로부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하나씩 투출구로 투출되도록 설치된 것이고, 노즐삽입 솔레노이드(SOL2)는 컵라면에 온수를 주입하기 위하여 온수탱크의 온수를 호스를 통하여 컵라면에 주입할 수 있도록 비부식성의 금속으로 된 노즐을 컵라면의 포장용기 속으로 삽입할 수 있게 동작되는 것이며, 온수밸브 솔레노이드(SOL3)는 온수탱크속의 온수를 노즐을 통해 포장용기 속으로 공급할 수 있게 동작되는 것이다.
컵안착검지스위치(MS1)는 컵라면이 컵라면 보관함으로부터 투출구로 투출되어 반출선반위에 안착되었을때 접속되도록 설치된 반출선반검지스위치(S1)는 자동판매기를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중이라도 투출된 컵라면이 안착되어 온수가 주입되고 있는 동안 즉 반출선반이 제위치에 있을 때에는 온상태에 있도록 설치된 것이고, 반출선반검지스위치(S2)는 온수주입이 완료된 컵라면을 사용자가 꺼내기 용이하도록 반출선반을 통해 컵라면을 인출도어 밖으로 이동시켰을 때 온상태에 있도록 설치된 것이다.
제2도는 자동판매기의 개요도를 나타낸 것으로, 사용자가 판매가격에 해당되는 금액을 자동판매기의 투입구로 넣고 판매버튼을 누르면, 컵라면 보관함으로부터 하나의 컵라면이 투출구로 투출되어 노즐을 통하여 온수의 주입이 완료되었을 때 온수가 주입된 컵라면이 반출선반을 통하여 인출도오 밖으로 이송되고 사용자가 컵라면을 꺼내면 반출선반을 원위치로 돌아가서 자동판매기는 처음 상태인 대기상태로 돌아감을 나타낸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제1도의 회로도로써 작용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투입금액 검출회로(1)는 판매가에 해당되는 금액의 투입이 확인되면 출력단(OUT)을 통해 판매신호를 송출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판매버튼(BT)을 누르면 릴레이(RY1)가 동작하여 릴레이(RY1)스위치의 접점이 평시 개방단자(b1) (bb)로 접속되고, 릴레이(RY1)코일의 양단에 연결된 프로그래머블모터(PM)가 구동된다.
프로그래머블모터(PM)와 연동으로 동작되는 캠스위치(CS1-CS5)가운데 최초에 캠스위치(CS5)가 온상태로 되어 릴레이(RY2)가 동작된 릴레이(RY2)의 동작에 의해 릴레이(RY2)스위치는 평시 개방단자(b)로 접속되어 투출솔레노이드(SOL1)가 동작되므로써 컵라면 보관함에 있는 컵라면 중 하나가 투출구로 투출된다. 컵라면이 투출되는 도중에 캠스위치(CS5)가 오프상태로 된다 할지라도 플러그(PG)를 통한 주전원에 의해 릴레이(RY2)가 동작되고 있을 때 콘덴서(C1)에 충전된 전압에 의하여 투출이 완료될 때까지 릴레이(RY2)가 동작된다.
한편 투입금액 검출회로(1)로부터 판매신호가 송출되어 릴레이(RY1)가 동작됨에 따라 하나의 컵라면이 투출될 때 릴레이(RY1)의 스위치가 평시 개방단자(b1) (b2) 로 접속되므로 릴레이(RY1)의 평시 개방단자(b2)로부터 투입금액검출회로(1)의 입력단(IN)으로 판매완료신호를 송출하므로써 판매신호의 송출을 중지시킨다.
컵라면이 반출선반위로 투출되어 안착될 때 캠스위치(CS2)가 온되어서 노즐삽입 솔레노이드(SOL2)가 작동되면 컵라면 윗봉지를 뚫고 노즐이 삽입되어 온수를 공급할 준비가 완료된다.
이후 캠스위치(CS3)가 온되면 온수밸브 솔레노이드(SOL3)가 작동되어 컵라면용기 속으로 뜨거운 온수를 공급하게 된다.
위와같은 동작은 반출선반위에 컵라면이 안착될 때 컵안착검지스위치(MS1)가 온되므로써 이루어진다.
컵이 안전하게 안착될 때 컵안착검지스위치(MS1)가 온되어 릴레이(RY3)가 동작되면 릴레이(RY3)스위치의 접점이 평시 개방단자(b1) (b2)로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캠스위치(CS4)가 온되므로써 플러그(PG)를 통한 주전원은 캠스위치(CS4) 및 다이오드(D2), 저항(R5), 반출선반검지스위치(S1), 릴레이(RY3)접점(b1), 모터(M) 릴레이(RY3) 접점(b2)을 차례로 통해 접지측으로 흘러서 반출선반구동모터(M1)는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반출선반이 자동판매기의 인출도어 밖으로 이동된다.
이때 사용자가 컵라면을 인수해가는 경우에 컵안착검지스위치(MS1)가 오프되어 릴레이(RY3) 코일의 전원이 차단되나 콘덴서(C3)에 의해 릴레이(RY3)는 수초간 동작된 상태로 남아있다가 오프되므로써, 릴레이(RY3)의 접점이 평시 접속단자(a1) (a2)로 접속되고, 반출선반이 반출된 상태인 경우 반출선반검지스위치(S2)가 오프되고 반출선반검지스위치(S2)가 온되므로써, 플러그(PG)를 통한 주전원은 캠스위치(CS4) 및 다이오드(D2), 저항(R5), 반출선반검지스위치(S2), 릴레이(RY3)접점(a2), 모터(M1), 릴레이(RY3)접점(a1)을 차례로 통해 접지측으로 흐르게 된다. 이 경우 반출선반 구동모터(M)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반출선반이 자동판매기의 인출도어 안으로 이동되어 다시 처음 상태인 대기상태로 머물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투입금액 검출회로(1)에서 송출되는 판매신호에 의하여 프로그래머블모터(PM)와 연동으로 동작되는 캠스위치(CS1-CS5)가 동작되고, 각각의 캠스위치는 사전에 설정된 순서에 입각하여 솔레노이드(SOL1-SOL3)와 반출선반 구동모터(M)를 구동시켜서 온수가 주입된 상품(컵라면)을 인출할 수 있게 하므로써 보다 사용하기 편리한 장점이 있다.

Claims (1)

  1. 투입금액 검출회로(1)의 출력단에는 판매버튼(BT)을 매개하여 릴레이(RY1)가 연결되어 릴레이(RY1)코일의 양단에 프로그래머블모터(PM)가 연결되고, 프로그래머블모터(PM)와 연동으로 동작되는 캠스위치(CS1-CS5)가운데 캠스위치(CS1) (CS5)에는 컵라면을 투출하기 위한 저항(R1) (R2) 및 다이오드(D1), 콘덴서(C1), 릴레이(RY2), 솔레노이드(SOL1)가, 캠스위치(CS3)에는 노즐삽입솔레노이드(SOL2)가, 캠스위치(CS3)에는 온수밸브 솔레노이드(SOL3)가 연결되며, 컵안착검지스위치(MS1)와 캠스위치(CS4)에는 상품의 반출을 제어하기 위한 저항(R3-R5) 및 다이오드(D2) (D3), 콘덴서(C2) (C3), 릴레이(RY3), 반출선반검지스위치(S1) (S2), 반출선반구동모터(M)가 연결되어 있는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회로.
KR2019840012172U 1984-11-24 1984-11-24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회로 KR8700010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2172U KR870001048Y1 (ko) 1984-11-24 1984-11-24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2172U KR870001048Y1 (ko) 1984-11-24 1984-11-24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548U KR860006548U (ko) 1986-06-21
KR870001048Y1 true KR870001048Y1 (ko) 1987-03-20

Family

ID=70162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2172U KR870001048Y1 (ko) 1984-11-24 1984-11-24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104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548U (ko) 198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7499A (en) Computer controlled sensor for beverage dispenser
US5228486A (en)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ispensing beverages
US4171065A (en) Circuitry and system for controlling multi-use article dispensing cells
US4226267A (en) Vending machine with self contained water supply
KR870001048Y1 (ko)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회로
US3839645A (en) Automatic liquid level control means
KR19990009269A (ko) 자동판매기의 원료감지 장치 및 방법
US3836046A (en) Circuit for multi-column vending machines having columns arranged for conjoint operation
US3169669A (en) Beverage dispensing machine
JPS6339806Y2 (ko)
KR100267497B1 (ko) 자동판매기의 온수공급장치 및 방법
KR100236591B1 (ko) 자동판매기의 수납통 충만 감지 방법
KR950015038B1 (ko) 자동판매기 및 제어방법
KR100237043B1 (ko) 자동판매기의 상품 판매장치 및 방법
JPS6057630B2 (ja) 自動販売機
KR940005831B1 (ko) 자동판매기의 원료 품절 감지방법
JPS5920092A (ja) 自動販売機の制御装置
KR0117866B1 (ko) 음식물 공급장치
JPS6162994A (ja) 自動販売装置の貯水方法及びその装置
JPS6367716B2 (ko)
JP3914684B2 (ja) 自動販売機
KR100228725B1 (ko) 자동판매기의 상품 판매방법
KR950002402Y1 (ko) 액체세제자동판매기
KR19990033081A (ko) 봉지 커피 판매용 자동 판매기
KR910001284Y1 (ko) 자동판매기의 컵 및 원료불투출 감지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