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996B1 - 레이블 자동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레이블 자동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996B1
KR870000996B1 KR1019840004530A KR840004530A KR870000996B1 KR 870000996 B1 KR870000996 B1 KR 870000996B1 KR 1019840004530 A KR1019840004530 A KR 1019840004530A KR 840004530 A KR840004530 A KR 840004530A KR 870000996 B1 KR870000996 B1 KR 870000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rotary table
cassette
winding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4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2233A (ko
Inventor
다다오 가시와바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사또오
사또오 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사또오, 사또오 요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사또오
Publication of KR850002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8Label feeding
    • B65C9/18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 B65C9/1892Spools or cassettes for strips

Landscapes

  • Labeling Devices (AREA)
  • Winding Of Web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레이블 자동 권취장치
제 1 도 내지 제1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서
제 1 도는 카세트의 측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Ⅱ-Ⅱ선 단면도,
제 3 도는 카세트의 종단측면도,
제 4 도는 카세트를 장착한 상태의 자동 권취 장치의 요부의 평면도,
제 5 도는 회전 레이블을 포함한 구동 기구의 단면도,
제 6 도는 구동 기구의 일부 종단측면도,
제 7 도는 레이블 연속체의 절단 직전의 상태를 표시하고 있는 평면도,
제 8 도는 레이블 연속체의 권취 완료시에 있어서의 자동 권취장치의 요부의 평면도,
제 9 도 및 제10도는 커터 장치의 동작 전, 동작후에 있어서의 상태를 표시한 종단측면도,
제 11도는 훅체를 설명하는 측면도,
제 12도 내지 제14도는 레이블 첩부기를 설명하는 것으로서
제 12도는 사시도,
제 13도는 종단측면도,
제 14도는 평면도,
제 15도는 레이블 자동 권취 장치가 장착된 프린터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세트 5 : 권취코어
27 : 기판 29 : 권취축
34 : 회전 테이블 34a : 절결부
42 : 센서 44 : 커터 장치
46 : 날 48 : 아암
58 : 레이블 연속체 59 : 레이블 안내판
63 : 세트 레버 65 : 로울러
본 발명은 레이블 자동 권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레이블 첩부기에 대하여 붙이고 떼기를 자유롭게 부착되는 카세트에 대하여 프린터에 의해 바아코우드 등을 인자된 레이블 연속체를 자동적으로 감을 수가 있도록 구성한 레이블 자동 권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띠상(帶狀)의 대지 위에 순차적으로 임시로 부착되어 있는 레이블편에 인자를 행하고, 이 레이블편을 그 대지로부터 박리하면서 상품등의 물품에 붙이기 위한 휴대식 레이블 첩부기가 알려져 있다.
이 레이블 첩부기는 핸드 레이블러라고 불리우고, 슈우퍼 마아킷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핸드 레이블러는 주로 상품이 진열되어 있는 판매장에서 상품에 대하여 레이블편을 붙이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최근은 바아코우드 레이블의 보급에 의해 종래의 핸드 레이블러에 장착된 간이형의 인자 헤드로는 바아코우드를 정확히 인자 할 수가 없고 이 결과 광학 판독기에 의해서 정확히 판독할 수가 없는 상태로 되었다.
바아코우드용의 인자 헤드는 규격화되어 있는 바아코우드의 사이즈의 관계상 통상의 문자용의 인자 헤드에 비교하여 필연적으로 대형화되어 그 결과 핸드 레이블러도 대형이며 또한 무겁게되어서 취급하기가 어렵게 되는 동시에 작업자의 피로도도 증대되고 있었다.
더우기 바아코우드에는 체크 디지트가 필요하며 핸드 레이블러에 있어서도 그의 크기나 구조상의 제약때문에 체크 디지트의 자동 연산 기능을 설치하는 것이 곤란한 탓으로 별도 산출하여 인자 헤드에 설정하지 않으면 안되어 이 점에서도 불편한 것이었다.
그래서 대지상에 레이블편이 부착된 레이블 연속체에 탁상형의 프린터로 인자를 행한 후, 카세트에 감아붙여 이 카세트를 첩부기에 장착한다고 하는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이 시스템은 바아코우드 레이블의 인자나 붙이는 것을 정확하게 능률적으로 할 수가 있다.
그러나 프린터에 장착된 카세트에 대한 레이블 연속체의 장착은 수작업에 의해서 행하지 않으면 안되어 극히 번잡한 작업으로 되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카세트에 대하여 레이블 연속체를 자동적으로 감을 수가 있도록 구성한 레이블 자동 권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인 레이블 권취 장치는 회전하는 테이블 위에 카세트를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부착하고 카세트를 소정의 위치에 세트하여 기동 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 프린터측으로부터 바아코우드등을 인자하여 보내져 오는 레이블 연속체를 자동적으로 감아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소정량을 감으면 회전 테이블을 회전시켜 레이블 연속체를 자동적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실시예]
다음에 도면에 표시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상세한 것을 설명한다.
먼저 카세트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카세트(1)는 제 1도 내지 제 3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다.
카세트(1)는 중공의 틀체로서 형성된 케이싱(2)을 기준으로 조립되어 있다.
즉 케이싱(2)의 좌우의 측판(3,4)간에는 권취 코어(5)가 회전이 자유롭게 베어링 지지되어 있다. 이 권취코어(5)는 소정의 직경의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측판(3,4)의 내측면에 접한 상태에서 양단부에 플랜지(6,6)를 가졌다.
이들 플랜지(6)의 내측면은 플랜지의 주연부에 이를 수록 외측으로 향하여 확대되는 테이퍼부(6a)로 되어 있으며, 기단부는 스트레이트부(6b)로 되어 있다.
대향하는 스트레이트부(6b,6b)간의 간격은 레이블 연속체(후술)의 폭보다도 약간좁다.
또 권취코어(5)의 일단은 보스(7)로 되어서 한쪽의 측판(4)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보스(7)의 외주면에는 외치 기어(7a)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에는 내치 기어(7b)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기어 (7a, 7b)는 후술하는 권취 장치측의 권취축(29)의 권취기어(30)와 결합시켜 회전력을 전달시키기 위한 것이다.
반대측의 측판(3)측에는 확인창(3a)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2)의 일단측의 하부에는 제 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전방으로 향하여 만곡되어 뻗는 가이드부(8)가 측판(3,4)간을 횡단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케이싱(2)의 저판(9)의 선단과의 사이에 레이블 연속체(58)를 유도하는 안내홈(10)이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홈(10)의 출구단에는 측판(3,4)간에 횡으로 가설된 전향핀(11)이 설치되어 있다.
또 가이드부(8)의 상측에 있어서 측판(3,4)간에는 핀(12)이 횡으로 가설되어 있으며, 이핀(12)에는 커버(13)의 일단이 회전이 자유롭게 베어링 지지되어 있다. 커버(13)는 제 2도로 명백한 바와같이 단면이 거의 그 자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투명한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권취코어(5)의 플랜지(6,6)의 외측에 끼워 맞추어져 있으며 내부를 볼 수가 있다.
그런데 카세트의 케이싱(2)의 저판(9) 측에는 회전틀(14)이 부착되어 있다.
회전틀(14)은 가늘고 긴
Figure kpo00001
자상으로 금속판등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개방단측은 상기 가이드부(8)의 근방에서 측판(3,4)간에 횡으로 가설된 축(15)에 회전이 자유롭게 베어링 지지되어 있다. 이 회전틀(14)의 개방단측은 측판(3,4)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케이싱(2)을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우고 자유롭게 회전할 수가 있다.
이 회전틀(14)의 자유단측은 연결부재(16)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으며 이연결 부재의 중앙에는 소공(16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케이싱(2)의 저판(9)에는 그의 상면에서 또한 측판(3,4)의 내측에서 슬라이드 부재(17)가 슬라이딩을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이 슬라이딩 부재(17)는 스프링(18)에 의해서 제 3 도중 오른쪽 즉, 카세트의 후방으로 향하여 밀려져 있다.
또 슬라이드 부재(17)는 그의 일단에 돌출부(17a)를 가졌고, 이 돌출부(17a)의 중앙부를 저판(9)측에 형성된 오목부(9a)속에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끼워 맞추어져 있으며, 자유롭게 또한 직선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 슬라이드 부재(17)의 양단의 일부는 제 1도 및 제 2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측판(3,4)의 개구부(19)로부터 외측으로 면해 있으며 손잡이(20)로 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부재(17)의 돌출부(17a)는 상기 회전틀(14)의 자유단측에서 또한 카세트(1)측으로 향하여 돌설된 훅(14a)과 걸어 맞추어 진다. 또 저판(9)의 후단부측에는 저판(9)에 대하여 직교된 상태에서 대지(臺紙) 호울더(21)가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대지 호울더(21)의 양측은 측판(3,4)의 외측에까지 뻗어있는 하방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22)로 되어 있다.
즉 대지 호울더(21)는 그 양측이 저판(9)을 넘어서 뻗어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 부분이 저판(9)의 상면과 접하여 그의 하강 한도가 규제되어 있다. 대지 호울더 (21)는 그 하면의 중앙부에 상기 회동틀(14)의 연결부재(16)에 형성된 소공(16a)속에 끼워맞추는 예각상의 돌기(21a)를 가지며, 스프링(23)에 의해 상시 돌출하는 방향으로의 힘을 부여 받고 있다.
한편 측판(3,4)의 하단은 저판(9)을 넘어서 하방으로 뻗어 있으며, 이 부분에 에워 쌓여진 저판(9)의 하측의 공간이 대지를 안내하는 가이드부(9b)로 되어 있다.
그런데 측판(3,4)의 상단부에서 상기 커버(13)가 세트된 상태에서의 선단부 근방에는 핀(24)이 횡으로 가설되어 있으며 이 핀(24)에는 판 스프링(25)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판 스프링(25)의 자유단 측은 권취코어(5)의 하측에 있어서 권취코어(5)의 외주면에 접하고 있다.
또 케이싱(2)의 측판(3,4)에는 권취코어(5)의 플랜지(6)를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후술하는 회전 테이블(34)쪽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핀(43)이 끼워 맞추어지는 위치 결정용의 투공(2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권취장치 본체측은 제 4 도 이하에 표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권취 장치 본체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연산회로나 표시장치, 혹은 입력 키이 보오드등을 구비한 프린터의 케이싱(筐體)쪽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프린터의 기판위에 부착되어 있다.
기판(27)의 하면에는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지지틀(28)을 통하여 권취축 (29)이 회전이 자유롭게 베어링지지 되어있다. 권취축(29)의 상단에는 권취기어(30)가 승강은 자유롭지만 회전할 수 없도록 끼워 맞추어져 있으며 또한 스프링(31)에 의해 상시 상방으로의 이동 습성이 부여되어 있다.
권취축(29)의 하단에는 푸울리(32)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푸울리(32)와 후술하는 플래튼 축(54)의 하단에 설치된 푸울리(55)와의 사이에는 벨트(33)가 장치되어 있으며 플래튼축(54)과 동시에 권취축(29)이 회전된다.
부호 34로 표시한 것은 회전 테이블로서 원판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심부에 하방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보스(35)를 가지며 이 보스(35)가 기판(27)을 관통하여 상기 권취축(29)을 에워싼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다. 보스(35)와 기판(27)위에 돌설된 보스(36)와의 사이에는 베어링(37)이 배치되어 있다.
보스(35)의 하단에는 지지튿(28)의 내측에 있어서 푸울리(38)가 고정되어 있고, 이 푸울리(38)와 기판(27)위에 고정된 모우터(39)의 출력축에 고정된 푸울리 (40)와의 사이에는 벨트(41)가 장치되어 있다.
회전테이블(34)은 원판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그의 주연의 일부에는 절결부 (34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결부(34a)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위치 검출부, 예컨대 위치 검출용의 투공(34b) 형성되어 있다.
이 투공(34b)의 회전 궤적에 대응한 위치에서 투공(34b)을 검출하는 센서(42)가 설치되어 있다.
또 회전 테이블(34) 위에는 2개의 핀(43,43)이 돌설되어 있으나, 이들 핀(43, 43)은 카세트(1)쪽에 형성된 위치 결정용의 투공(26)속에 각각 끼워맞추어 진다.
또 회전 테이블(34)위에는 상기 절결부(34a)의 근방에 있어서 커터 장치(44)가 설치되어 있다.
커터 장치(44)는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회전 테이블(34)과 일체의 케이싱 (45)을 가졌으며 이 케이싱(45)내에는 제9도 및 제10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평판상의 날(46)이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끼워 맞추어져있다. 이 날(46)의 하방에는 케이싱(45)과 일체의 축(47)에 대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베어링 지지된 아암(48)이 설치되어 있다.
아암(48)의 상단부는 상기 날(46)의 하측에 형성된 절결부(46a)와 걸어 맞추어져 있으며 아암(48)의 하단은 회전 테이블(34)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뻗어 있으며, 그 하단에는 로울러(49)가 회전을 자유롭게 베어링 지지되어 있다.
또 아암(48)의 도중에서 축(47)과 로울러(49)와의 사이에는 스프링(50)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스프링(50)의 타단은 케이싱(45)내에 돌설된핀(50a)에 고정되어 있으며, 아암(48)에 대하여 제 9 도중 시계회전 방향의 회전 습성을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아암(48)의 하단의 로울러(49)가 기판(27)위에 가볍게 접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프링(50)의 당기는 힘에 의해 도면 중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되고 제 9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거의 수직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는 날(46)은 케이싱(45)내에 끌어 넣어져 있으며, 날끝은 케이싱 (45)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다. 그런데 아암(48)에 대하여 제 9 도중 반시계 회전 방향에 대한 회전력이 가하여지면, 아암(48)은 축(47)을 중심으로하여 제10도 중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는 스프링(50)은 신장되고 날(46)은 케이싱(45)으로부터 돌출한다.
아암(48)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같은 날(46)을 돌출시키는 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이 기판(27)위에 형성된 일단 높은 계단부(51)이며, 이 계단부(51)의 시단에는 테이퍼면(5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계단부(51)는 후술하는 플래튼(53) 근방에서 회전테이블(34)의 하측에서 또한 로울러(49)의 회전 궤적 위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회전 테이블(34)위에는 카세트(1)를 테이블 위에 누르는 역할을 수행하는 훅체(52)가 설치되어있다.
훅체(52)는 제1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판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의 기부에는 직각 3각형상으로 형성된 훅부(5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훅부(52a)를 세트(1)의 측연(側緣)에 형성된 오목부(1a)속에 끼워 맞추어진다.
또 훅체(52)는 훅부(52a)로부터 상측으로 이를수록 카세트(1)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되고 있으며 상단부에는 손잡이(52b)가 형성되어 있다.
이 훅체(52)의 하단은 회전 테이블(34)위에 고정되어 있다.
그런데 기판(27)위에는 회전 테이블(34)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그 근방에 플래튼(53)이 축(54)을 통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베어링 지지되어 있다.
축(54)은 기판(27)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뻗어있고 그하단에는 제 6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푸울리(55)가 고정되어 있다. 이 푸울리(55)와 상기 푸울리(32)와의 사이에는 벨트(33)가 걸쳐 있으며 2개의 푸울리(32,55)는 동시에 회전한다.
이 플래튼(53)에 근접하여 기록헤드(56)가 기판(27)위에 설치되어 있다.
이 기록헤드(56)는 더어멀 헤드(57)를 가졌으며, 이 더어멀헤드(57)와 플래튼 (53)의 사이로 안내되는 레이블 연속체(58)위에 부착되어 있는 레이블 위에 도시하고 있지 않은 열전사 잉크 리본을 통하여 소정의 인자를 한다.
한편 플래튼(53)과 회전 테이블(34)의 사이에는 고정적인 레이블 안내판(59)과 가동 안내판(60)이 위치하고 있다. 양자는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플래튼(53)측의 간격은 넓고 회전 테이블(34)측은 좁게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레이블 안내판(59)은 기판(27)위에 고정되어 있으며 가동 안내판(60)은 플래튼(53)측의 단부를 축(61)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베어링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들 안내판(59,60)은 함께 가동 또는 고정시켜도 된다. 축(61)에는 토오션 코일스프링 (62)이 장치되어 있으며, 가동 안내판(60)에 대하여 제 4 도 중 시계회전 방향으로의 회전습성을 부여하고 있다.
또 기판(27)위에는 회전 테이블(34)의 근방에서 회전틀(14)의 세트레버(63)가 설치되어 있다.
세트레버(63)는 그의 일단을 축(64)을 통하여 기판(27)에 회전이 자유롭게 베어링 지지되어 있으며, 타단측에는 카세트(1)의 두께와 거의 동등한 높이를 가진 로울러(65)가 수직의 상태로 회전이 자유롭게 베어링 지지되어 있다. 또 축(64)에는 토오션 코일 스프링(66)이 장치되어 있으며 세트레버(63)에 대하여 제 4 도중 시계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성을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로울러(65)는 상시 회전 테이블(34)의 주면에 밀어 붙여진 상태에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카세트(1)를 회전 테이블(34)에 장착하기 전에 있어서는 투공(34b)은 센서 (42)에 의해서 검출된 위치, 즉 센서(42)의 바로 위에 있는 상태에서 정지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 4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모우터(39)와 투공(34b)과는 회전 테이블(34)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반대 쪽에 위치하고 회전 테이블(34)의 절결부 (34a)는 모우터(39)의 근방에 있다.
또 세트레버(63)는 모우터(39)와 투공(34b)을 있는 직선으로부터 플래튼(53)쪽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회전테이블(34)의 주면에 접한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 카세트(1)가 회전 테이블(34)위에 세트된다. 카세트(1)의 세트시에는 손잡이(20)를 제 1도중 왼쪽으로 스프링(18)의 탄발력에 버티면서 이동시켜, 돌출부(17a)를 후퇴시키므로써 회전틀(14)의 훅(14a)을 돌출부(17a)로부터 떼어내어 회전틀(14)을 축(15)을 통하여 제 1 도 중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회전틀(14)은 거의 180°회전되고 그 도중을 측판(3,4)의 계단부(3b, 4a)에 접하여 멈춘다.
이 때 커터 장치(44)의 아암(48)의 하단의 로울러(49)는 기판(27)위에 형성된 계단부(51) 위에는 접해있지 않으며, 기판(27)위에 있기 때문에 제 9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레버(48)는 스프링(50)에 끌려서 회전 테이블(34)을 관통하여 형성된 개구부 (34c)의 제 9 도에 있어서의 좌측의 단부에 접한 상태에 있다.
따라서 아암(48)은 수직의 상태로 되어 있고 날 (46)은 케이싱(45)내로 끌려 들어간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 카세트(1)가 회전 테이블(34)위에 세트된다. 이 때에는 카세트(1)의 보스(7) 쪽을 회전테이블(34)쪽으로 하여 권취축(29)의 권취기어(30)를 보스(7)의 내치(7b)와 끼워 맞추게 하는 동시에 위치 결정용의 투공(26,26)속에 회전 테이블(34)쪽에 돌설된 위치 결정핀(43)을 끼워 맞추게 한다.
이 카세트의 세트시에는 훅체(52)의 상단의 손잡이(52b)를 쥐고 훅체(52)가 카세트(1)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변형시켜 놓고, 카세트(1)가 회전 테이블(34)위에 세트된 후 손잡이(52b)를 놓고 훅부(52a)에 의해서 제1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카세트(1)의 축면에 형성된 오목부(1a)와 끼워맞추게 하여 카세트(1)가 회전테이블 (34)로부터 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간직한다.
또 카세트(1)의 세트시에 있어서는 제 4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세트레버(63)는 축(64)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 있으며 로울러(65)는 토오선 코일 스프링(66)의 힘에 의해 회전 테이블(34)의 주면에 접한 상태에 있다.
이와같이 하여 카세트(1)가 회전 테이블(34)위에 세트된 상태에 있어서는 제 4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가이드부(8)의 원호상의 안내홈(10)의 개구단을 레이블 안내판 (50)과 가동 안내판(60)의 선단과에 거의 대항한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 프린터측의 키이보오드를 조작하여 레이블 연속체(58)에 부착되어 있는 레이블에 대한 기록하여야 할 정보를 입력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시동 버튼을 누르면 도시하지 않은 플래튼 구동용의 모우터가 회전되고 플래튼(54)이 회전을 시작한다.
플래튼(54)의 회전축의 하단에는 푸울리(55)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푸울리( 55)와 권취축(29)의 하단에 고정된 푸울리(32)와의 사이에는 밸트(33)가 걸쳐 있기 때문에 권취축(29)도 회전을 시작하고 보스(7)를 통하여 권취코어(5)가 회전을 시작한다.
이 상태에서 레이블 연속체(58)와 도시하고 있지 않은 잉크 리본이 플래튼(54)과 더어멀 헤드(57)와의 사이에 안내되어 온다. 그리하여 더어멀 헤드(57)에 의해 레이블 연속체(58)위의 레이블에 소정의 기록이 행해진다. 기록이 끝나면 잉크 리본과 레이블 연속체(58)와는 분리되고 레이블 연속체(58)는 테이블 안내판(59)과 가동안내판 (60)과의 사이의 공간에 안내되어 간다.
그리하여 테이블 연속체(58)는 어느 정도의 강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레이블 안내판(59)과 가동 안내판(60)의 선단을 통과한 후에 있어서도 곧은 상태를 유지하고 그대로 가이드부(8)와 안내홈(10)안에 끼워 맞추어진다. 안내홈(10)은 제 4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거의 ″ℓ″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레이블 연속체(58)의 선단을 카세트(1)내의 공간에 안내되어 원호 상의 커버(13)의 내주면에 따라 붙어서 나아가서 안내판의 역할을 하는 원호상의 판스프링(25)에 따라 붙어서 권취 코어(5)쪽으로 안내되어 나간다.
권취 코어(5)의 좌우의 플랜지(6,6)의 기부에는 스트레이트부(6b)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레이블 연속체(58)의 선단은 이 스트레이트부(6b, 6b)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임시로 멈추어지게 되고 권취코어(5)의 회전에 수반하여 판스프링(25)의 선단에서 압압되면서 권취코어(5)의 주면에 감겨져 나간다.
이와 같이 하여 레이블 연속체(58)가 권취코어(5)측에 소정 거리 분량이 권취되면 플래튼(54)을 구동하는 모우터는 정지되고 레이블 연속체(58)의 권취 동작은 종료된다.
이 권취완료 상태는 도시하고 있지 않은 제어회로 측에서 검출되어 이번에는 모우터(39)가 회전을 시작한다. 모우터(39)가 회전을 시작하면 밸트(41)를 통하여 회전 테이블(34)이 제 4 도중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하여 회전 테이블(34)위에 위치 결정 핀(43)에 의해서 위치 결정되고 훅체(52)에 의해서 간직된 카세트(1)의 회전을 시작한다.
이 결과 열려진 상태에 있고 회전 테이블(34)의 외측에 돌출된 상태에 있는 회전틀(14)은 세트레버(63)측에 접촉하기 시작하고 제 4도중 축(15)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 상태는 회전틀(14)측에서 보면 카세트(1)의 회전에 수반하여 그 위치에 놓여진 상태로 되어 있다.
그런데 카세트(1)의 회전시에 있어서는 권취코어(5)는 권취축(29)쪽에 록 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권취코어(5) 자체는 회전되지 않으며 그 위치를 유지한 채로 놓아둔 상태로 된다.
그러나 레이블 연속체(58)는 아직 연속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카세트(1)가 회전을 하는데 따라 가이드부(8)의 근방의 전향핀(11)과 플래튼(54)과의 사이의 거리는 변화하므로 레이블 연속체(58)는 카세트(1)쪽으로 소정 거리가 인출된 상태로 된다.
이 결과 가동 안내판(60)은 토오션 코일 스프링(62)의 토오션 힘에 버티면서 제 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레이블 안내판(59)으로 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하여 곧 세트레버(63)의 로울러(65)가 회전 테이블(34)의 절결부(34a)안에 떨어져 들어가면 회전틀(14)을 카세트(1)의 저부에 밀어 붙이게 된다.
이 상태가 제 7 도에 표시한 상태이다.
이 때에는 회전틀(14)의 훅(14a)의 상단부가 슬라이딩 부재(17)의 돌출부( 17a)를 타고 넘어서 슬라이딩 부재(17)를 약간 후퇴시키는 동시에 올라 앉힌 후에 있어서 훅(14a)과 돌출부(17a)가 걸어 맞추어져서 회전틀(14)은 록 된 상태로 된다.
그런데 이 회전틀(14)의 회전에 수반하여 플래튼(53)쪽으로부터 인출되어 나온 레이블 연속체(58)는 회전틀(14)과 함께 카세트(1)의 저판(9)쪽으로 따라 붙어서 겹친 상태로 안내되게 되고 회전틀(14)의 선단부 사이로 밀어 내려진 연결부재(16)를 통하여 레이블 연속체의 일단이 대지 호울더(21)측으로 밀어 붙여져서 그 선단에 형성된 돌기(21a)가 레이블 연속체를 관통한 상태로 연결부재(16)측에 형성된 소공(16a) 안에 끼워 맞추어서 레이블 연속체(58)는 카세트(1)쪽에 간직된 상태로 된다. 이와같이 하여 레이블 연속체(58)가 카세트(1)쪽에 간직된 상태로 된 직후에 있어서 커터장치(44)의 아암(48)의 하단의 로울러(49)는 제10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기판(27)위의 돌출부(51)위에 얹힌다.
그러면 아암(48)은 축(47)을 중심으로 하여 제10도 중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고 스프링(50)은 신장된다. 이 결과 날(46)은 케이싱(45)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회전 테이블(34)이 회전을 계속하면 제10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날(46)의 선단이 대지 호울더(21)와 플래튼(53)과의 사이에 걸쳐진 상태에 있는 레이블 연속체(58)를 절단하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회전 테이블(34)이 거의 180도 회전 되는 동안에 회전틀(14)이 닫혀지고 레이블 연속체(58)는 대지 호울더(21) 쪽에 걸려지고 레이블 연속체(58)의 단부는 커터 장치(44)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절단되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레이블 연속체의 절단이 완료된 후에 있어서도 회전 테이블(34)은 회전을 계속하여 곧위치 검출용의 투공(34b)이 센서(42)에 도달하면 센서에 의해서 투공(34b)이 검출되어 회전 테이블(34)이 원래의 상태로 복귀된 것이 검출되고 모우터(39)는 정지된다.
이와같이 하여 회전 테이블(34)이 1회전하여 원래의 상태에서 정지된 상태를 제 8 도에 표시하였다.
이 때에는 가동 안내판(60)에 가하여져 있던 레이블 연속체(58)의 장력에 의한 힘은 해방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 안내판(60)은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서 다음의 동작에 대한 대기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같이 하여 레이블 연속체를 소정 거리 권취하여 절단이 끝난후에 있어서는 훅체(52)를 떼어내고 카세트(1)를 회전 테이블(34)로부터 떼어내면 된다.
다음에 제 12도, 제 13도, 제 14도에 의해 첩부기(70)를 설명하면 기틀(103)의 내부의 상방은 권취 카세트(1)의 수납부(104)로 되어 있으며 그 기틀(103)의 상연 수평부는 각각 내방으로 약간 돌설되어서 재치부(105)가 형성되어 있다. 또 기틀(103)의 전벽(106)내측에는 반원상의 1쌍의 걸어 맞춤 오목부(107)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 기틀(103)의 전단에는 첩부 로울러(109)가 회전이 자유롭게 축으로 부착되고 그 로울러(109)의 하방은 레이블 출구(108)가 개구 형성되어 있다.
기틀(103)의 후부는 연장 형성되어서 손잡이(110)로 되어 있으며 그 손잡이(110)의 하방에는 핸드레버(111)가 그의 전단을 기틀(103)의 축(112)에 부착되어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핸드레버(111)와 손잡이(110)와의 사이에는 복귀 스프링(113)이 수납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핸드레버(111)는 항상 시계 회전 방향으로 당겨져 있다.
기틀(103)내의 하부에는 레이블 연속체(58)의 이송기구(11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기구(114)는 상단에 1쌍의 이송 클릭(115)이 형성된 클릭부재(116)와 이클릭부재(116)를 간직하고 있는 간직틀(117)과 이간직틀(117)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제 1, 제 2, 및 제 3 링크(118), (119), (120)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 1 링크(118)는 일단이 상기 핸드 레버(111)에 고정되고 타단에 부착된 로울러(121)가 제 2 링크(119)에 뚫어 설치된 장공(122)에 끼워 맞추어 있다. 제 2 링크(119)는 하단이 기틀(103)간에 횡으로 가설된 핀(123)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단은 제 3 링크(120)에 축(124)으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그의 제 3 링크(120)는 선단이 간직틀(117)에 고정되어 있다.
간직틀(117)은 제14도와 같이 평면, 형으로 형성되고 그의 양측면에는 각각 1쌍의 로울러(125, 126)가 부착되어 있어 그들의 로울러(125, 126)가 기틀(103)의 각 내벽면에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홈(127)에 끼워 맞추어져 있다.
또 클릭 부재(116)는 간직틀(117)에 횡으로 가설된 핀(128)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스프링(129)에 의해 항상 제13도중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당겨져 있다.
130은 간직틀(117)의 후단에 횡으로 가설된 핀(131)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밀어 올림판이며, 132는 기틀(103)사이에 횡으로 가설된 핀(133)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지지부재로서, 각각 스프링(134, 135)에 의해 제13도중 밀어 올림판(130)은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지지부재(132)는 시계회전방향으로 당겨져있다.
그리하여 정지 상태에 있어서는 지지부재(132)의 상면이 밀어올림판(130)의 후단 하면을 접촉지지하고 있다. 또 밀어 올림 판(130)의 후단 상면에는 테이퍼부 (136)가 형성되어 있다.
기틀(103)의 후부에는 권취 카세트(1)의 부착시의 록기구(137)가 설치되어 있다. 즉 기틀(103)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또한 스프링(138)에 의해 상시시계 회전 방향으로 당겨져 있는 록 부재(139)와 기틀(103) 후부 상단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되고, 그의 일부가 록부재(139)에 맞닿아 있는 떼어내는 버튼(140)으로 이루어지고, 카세트(1)의 부착시에 있어서는 록 부재(139)의 하단 각부(角部)(141)가 카세트(1)의 후면에 뚫어서 설치된 개구부 하단의 걸어 맞춤부(142)에 걸어 맞추어서 록된다.
또한 상기 클릭 부재(116)의 전방에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대지 누름 부재 (144)가 기틀(103)에 부착되어 있다.
한편 프린터 쪽은 제15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15도에 있어서는 키이 보오드나 표시기등의 공지 부분은 생략하고 있으며, 프린트부와 권취부만이 평면도로서 표시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190으로 표기한 것은 프린터의 기틀이며, 이 기틀(190)의 한쪽의 측면, 즉 도면에 있어서 왼쪽의 측면에는 아직 아무것도 인쇄되어 있지 않은 백지의 레이블 연속체(58)가 감아 붙여진 리일(191)이 간직축(192)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또한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이 리일(191)로부터 풀어진 레이블 연속체(58)는 가이드(193, 194)를 경유하여 90°비틀려서 기틀(190)위로 안내되었을 때에는 기틀(190)에 대하여 직각인 상태로 되어 있다.
가이드(194)를 통과한 테이블 연속체(58)는 위치 검출기구(195)를 통과하지만 이때 포토센서등의 검출 수단에 의해 레이블의 위치가 검출된다. 이 위치 검출기구 (195)에 의해 검출된 레이블의 위치는 더어멀 프린터로서 구성된 열전사용의 기록 헤드(57)와 플래튼(53)의 사이를 지난다.
기록 헤드(57)는 아암(198)의 자유단측에 부착되어 있으며 스프링에 의해 플래튼(53)에 압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부호 199로 표시하는 것은 열전사 잉크 리본이 감겨진 공급 리일이며 리일(199)로부터 풀어진 열전사 잉크리본(200)은 가이드 로울러(201, 202)를 지나서 상기 기록 헤드(57)쪽으로 안내되고 아직 인쇄되어 있지 않은 레이블 연속체(58)에 대하여 포개져서 기록헤드(57)에 의해 레이블 위에 소정의 바아 코우드 등을 전사한다.
전사가 끝난 잉크 리본은 가이드 핀(203,204)에 접하여 안내되어 공급 리일(199)과 병렬로 배치된 권취리일(205)에 감겨진다.
한편 바아코우드가 전사된 레이블이 부착된 레이블 연속체(58)는 플래튼(53)에 접하여 방향을 바꾸어 상술한 바와 같이 기틀(190)위에 붙이고 떼기를 자유롭게 부착된 카세트(1)내로 안내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발명에 의하면 레이블 연속체에 부착된 레이블 위에 소망의 수자나 바아코우드를 기록한 후 회전 테이블 위에 장착된 카세트에 대하여 소정의 길이에 걸쳐서 자동적으로 권취, 절단을 할 수가 있는 레이블 자동 권취 장치를 얻을 수가 있다.
또 이 레이블 자동 권취 장치는 그것만이 독립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프린터와 일체화 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레이블 자동첩부 시스템의 효율을 대폭적으로 향상 시킬 수가 있다.
또한 기구는 회전 테이블을 중심으로 한 극히 간단한 구조이므로 복잡한 제어 회로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극히 값싸게 제작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1)

  1. 프린터측에 인접된 권취부의 기판 위에 회전이 자유롭게 베어링 지지되고, 그 주면의 소정 위치에 절결부 및 위치 검출부가 형성된 회전테이블과 이회전 테이블의 중심부에 면하고 회전 테이블 위에 위치 결정케하여 장착되는 레이블 카세트의 권취 코어를 회전시키는 권취축과, 회전 테이블의 주면부에서 또한 상기 절결부의 근방에서 회전 테이블위에 부착된 커터 장치와 상기 회전테이블의 위치 검출부를 검출하고, 회전 테이블의 회전정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와, 프린터측으로부터 보내지는 레이블 연속체를 레이블 카세트 측에 안내하는 안내판과, 회전 테이블의 근방에서 기판상에 일단을 회전이 자유롭게 베어링 지지되고, 타단은 로울러를 통하여 회전 테이블의 주연에 상시 눌려져 있는 세트 레버를 구비하며, 상기 커터장치는 상단을 날에 고정되고 하단은 로울러를 통하여 캠면을 가진 기판위에 접하는 아암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블 자동 권취 장치.
KR1019840004530A 1983-08-24 1984-07-30 레이블 자동 권취장치 KR8700009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153161A JPS6058326A (ja) 1983-08-24 1983-08-24 ラベル自動巻取装置
JP???58-153161 1983-08-24
JP153161 1983-08-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233A KR850002233A (ko) 1985-05-10
KR870000996B1 true KR870000996B1 (ko) 1987-05-18

Family

ID=15556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4530A KR870000996B1 (ko) 1983-08-24 1984-07-30 레이블 자동 권취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534518A (ko)
EP (1) EP0133932B1 (ko)
JP (1) JPS6058326A (ko)
KR (1) KR870000996B1 (ko)
DE (2) DE133932T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35421C (en) * 1993-11-12 2000-09-12 Motoaki Murakami Continuous film take-up apparatus
CA2145819C (en) * 1994-03-30 1999-03-09 Motoaki Murakami Continuous film take-up apparatus
ITBO20080747A1 (it) * 2008-12-12 2010-06-13 Mac E Label S R L Apparecchiatura per l'applicazione di bollini ad un prodotto.
CN105947745B (zh) * 2016-05-25 2018-07-06 晋江市雅邦玻璃钢有限公司 一种生料带自动缠绕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7122A (en) * 1961-04-20 1964-03-31 Rewinding mechanism for printing machines
JPS52145213A (en) * 1976-05-28 1977-12-03 Sony Corp Production of tape cassette
US4330097A (en) * 1980-08-11 1982-05-18 Hobart Corporation Variable force inertial arm winding control system
EP0119524B1 (en) * 1983-03-02 1989-07-12 Kabushiki Kaisha Sato Automatic label winding and charg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233A (ko) 1985-05-10
EP0133932B1 (en) 1987-05-20
US4534518A (en) 1985-08-13
JPH0366221B2 (ko) 1991-10-16
JPS6058326A (ja) 1985-04-04
DE133932T1 (de) 1985-08-14
DE3463750D1 (en) 1987-06-25
EP0133932A1 (en) 1985-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37501B1 (en) Thermal printing
US4557617A (en) Tape supply cartridge
EP0189269B1 (en) Improvements in movement monitoring devices
US4678353A (en) Tape supply cartridge
US4832514A (en) Thermal transfer device and tape-ribbon cartridge therefor
JPH0123379B2 (ko)
US4773775A (en) Tape-ribbon cartridge
JPH0136434B2 (ko)
KR870000996B1 (ko) 레이블 자동 권취장치
JP3031439B2 (ja) リボンカセットおよび印字装置
KR870001499B1 (ko) 레이블 자동 권취 장착장치
EP0083070B1 (en) Portable label applying machine
JPS58166091A (ja) ラベルプリンタ
CA1283377C (en) Ribbon cassettes and apparatus for receiving same
JPH0245125Y2 (ko)
JPH024026Y2 (ko)
JPH0415499Y2 (ko)
US4040346A (en) Label printing apparatus with tape cassette
JPS6244892Y2 (ko)
JPH0236452B2 (ko)
EP0142108A2 (en) Tape-ribbon cartridge
JPH0123384B2 (ko)
JPH0432290Y2 (ko)
JPH09123495A (ja) 熱転写印字装置
JPH0726118Y2 (ja) サーマル転写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30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