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499B1 - 레이블 자동 권취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레이블 자동 권취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499B1
KR870001499B1 KR1019840001043A KR840001043A KR870001499B1 KR 870001499 B1 KR870001499 B1 KR 870001499B1 KR 1019840001043 A KR1019840001043 A KR 1019840001043A KR 840001043 A KR840001043 A KR 840001043A KR 870001499 B1 KR870001499 B1 KR 870001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cassette
guide
winding
pr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1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7995A (ko
Inventor
요오 사또오
야스히꼬 마쓰다
다다히사 오이까와
다다오 가시와바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사또오
사또오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사또오, 사또오요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사또오
Publication of KR840007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7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46Applying date marks, code marks, or the like, to the label during lab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11/00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11/00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 B65C11/002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 B65C11/004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label feeding from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8Label feeding
    • B65C9/18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 B65C9/1892Spools or cassettes for stri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88Work traversing type and/or means applying work to wall or static structure
    • Y10T156/1795Implement carried web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8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 means with handle or handgrip

Landscapes

  • Labeling Device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레이블 자동 권취 장착장치
제1도 내지 25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
제1도는 카세트의 사시도.
제2도는 첩부기의 사시도.
제3도는 회동체를 닫은 상태의 카세트의 종단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IV-IV선 단면도.
제5도는 카세트를 장착한 상태의 종단측면도.
제6도는 프린터의 요부의 평면도.
제7도는 카세트 장착기구의 평면도.
제8도는 카세트 장착기구의 정면도.
제9도는 카세트 장착기구의 측면도.
제10도는 카세트를 장착한 상태의 카세트 장착기구의 평면도.
제11도는 카세트를 장착한 상태의 일부를 생략한 카세트 장착기구의 정면도.
제12도는 카세트를 장착한 상태의 카세트장착 장치의 측면도.
제13도는 카세트의 배면도.
제14도는 카세트의 저면도.
제15도는 레이블 첩부기의 종단측면도.
제16도는 레이블첩부기의 평면도.
제17도는 레이블여속체의 평면도.
제18도는 카세트를 장착한 상태의 레이블 첩부기의 종단측면도.
제19도는 핸드레버 조작전의 카세트를 장착한 상태의 첩부기의 설명도.
제20도는 핸드레버를 약간 조작한 상태의 첩부기의 요부 종단측면도.
제21도는 제20도의 XXI-XXI선 단면도.
제22도는 제20도의 XXII-XXII선 단면도.
제23도는 핸드레버를 조작완료한 상태의 요부 종단측면도.
제24도는 핸드레버를 조작완료한 상태의 설명도.
제25도는 카세트 붙이고 떼어내는 동작을 설명하는 종단측면도.
제26도 내지 제28도는 본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
제26도는 종단측면도.
제27도 제26도의 XX VII-XX VII선 단면도.
제28도는 카세트를 장착한 상태의 종단측면도.
제29도는 제2실시예의 변형예의 설명도.
제30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는 종단측면도.
제31도는 제30도의 회동체를 닫은 상태의 종단 정면도.
제32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설명하는 종단측면도.
제33도는 제32도, XX XIII-XX XIII선 단면도.
제34도는 본 발명는 제5실시예를 설명하는 종단측면도.
제35도는 제34도의 회동체를 닫은 상태의 종단정면도.
제36도 내지 제38도는 본발명의 제6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으로,
제36도는 카세트의 종단측면도.
제37도는 제36도의 XX XVII-XX XVII선 단면도.
제38도는 안내부재의 사시도.
제39도는 안내부재의 변형예를 표시한 사시도.
제40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표시한 카세트의 종단 측면도.
제41도는 제40도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레이블 연속체의 사시도.
제42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를 표시한 카세트의 종단측면도.
제43도는 제42도의 권취코어와 안내부재의 사시도.
제44도는 안내부재의 변형예를 표시한 사시도.
제45도 내지 제48도는 본 발명의 제9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
제45도는 회동체를 닫은 상태의 카세트의 종단측면도.
제46도는 권취개시시의 종단측면도.
제47도는 권취도중의 종단측면도.
제48도는 권취완료상태의 종단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세트 2 : 첩부기
3 : 프린터 4 : 레이블연속체
5 : 대지(臺紙) 6 : 레이블
9 : 안내스프링 124 : 레이블가이드
137 : 가이드부재 138 : 박리방지체
본 발명은 레이블 자동 권취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프린터와 레이블연속체를 휘감는 카세트와 이 카세트가 붙이고 떼기를 자유롭게 부착되는 수동조작에 의해 레이블을 대지로 부터 박리하여 물품에 첩부하는 첩부기를 구비한 휴대식 레이블 첩부시스템에 사용되는 레이블 자동 권취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부터 띠상의 대지의 위에 순차적으로 임시로 붙어져 있는 인자된 레이블편(版)을, 그 대지로부터 박리하면서 상품등의 물품에 첩부하기 위한 휴대식 레이블 첩부기가 알려져 있다.
이 레이블 첩부기는 핸드레이블러라고 불리워지고 슈우퍼마아킷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핸드레이블러는 주로 상품이 진열되고 있는 매장에서 상품에 대하여 레이블편을 붙이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최근에는 바아코우드 레이블의 보급에 의해 종래의 핸드레이블러에 장착된 간이형의 인자헤드로는 바아코우드를 정확히 인자할 수가 없고 이 결과 광학판독기에 의해서 정확하게 읽어낼 수가 없는 상태로 되었다.
바아코우드용의 인자헤드는 규격화되어 있는 바아코우드 사이즈 관계로 통상의 문자용의 인자헤등에 비교하여 필연적으로 대형화되어 그 결과 핸드레이블러도 대형이며, 또한 무거워져서 취급하기가 어렵게 되는 동시에 작업자의 피로도도 증대하고 있었다.
더우기 바아코우드에는 체크디지트가 필요하여 핸드레이블러에 있어서는 그 크기나 구조상의 제약 때문에 체크디지트의 자동연산기능을 설치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별도로 산출하여 인자헤드에 설정하지 않으면 안되어 이점에서도 불편하였다.
그리하여 대자상에 레이블편이 접착되는 레이블연속체에 탁상형의 프린터로 인자를 한후 카세트에 휘감아서 이 카세트를 첩부기에 장착한다고 하는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이 시스템은 바아코우드레이블의 인자나 첩부를 정확히 능률적으로 할 수가 있다.
그러나 프린터에 장착된 카세트에 대한 레이블 연속체의 장착은 수작업에 의해서 행해지지 않으면 안되어 극히 번거로운 작업으로 되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레이블 연속체를 카세트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감아내어 장착할 수가 있도록 구성하고 있는 페이블 자동권취장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실시예]
다음에 도면에 표시한 실시에에 따라 본발명의 상세한 것을 설명한다.
[제1실시예]
본발명 시스템은 프린터(3)로 인자된 레이블연속체(4)를 프린터(3)와 연동하여 권취하는 귄취카세트(1)와 이 권취카세트(1)를 붙이고 떼기 자유롭게 부착하여 구동조작에 의해서 레이블연속체(4)를 이송하고, 또한 대지(5)로부터 레이블(6)을 박리하여 이 레이블(6)을 첩부가능한 상태로 하는 첩부기(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권취카세트(1)의 기틀(7)의 중앙부에는 원통상의 권취코어(8)가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권취코어(8)는 그의 양단에 플랜지(8a)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나 이들 프랜지(8a)의 내측면은 그의 기단측이 레이블 연속체(4)의 폭보다도 약간 작은 스트레이트부(8b)로 되어 있으며, 선단부는 외측으로 향해서 넓어지는 테이퍼부(8c)로 되어 있다.
또 이 권취코어(8)의 중심부에는 후술하는 프린터측의 회전축이 끼워 맞추어지는 보스(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스(11)는 제3도에 표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외측에 돌출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물론 내측에 향해서 돌출되어 있어도 좋다.
12는 기틀(7)의 대향내면의 군취코어(8)의 외측에 형성된 1쌍의 환상돌기(80)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회동체로서 그의 양측판의 후부에는 플랜지(10)가 형성되고 또한 전단에는 양측판사이가 연설되어서 만곡상의 레이블 압압부(13)가 형성되어 있다.
회동체(12)에는 권취코어(8)를 에워싸도록 하여 안내스프링(9)이 부착되어 있다.
즉 이 안내스프링(9)은 그의 일단을 회동체(12)의 테이블 압압부(13)와 반대측의 위치에서 플랜지(10, 10)간의 외주연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타단은 원호상으로 만곡하여 권취코어(8)의 외주면에 접촉하고 있다. 이 안내스프링(9)이 권취코어(8)와 접촉하는 위치는 상기 테이블 압압부(13)와 거의 대응하고 있다.
권취카세트(1)의 저면에는 제3도와 같이 그의 전단으로부터 후단까지 연속하여 대지안내홈(15)이 요설(凹設)되고 또 저판(14)에는 그의 긴쪽방향에 따라서 한쌍의 클릭가이드(17)가 천설되어 있다,
16은 그 저판(14)의 전방에 부착된 대지(5)의 전향핀이며 18은 저판(14)의 후부에 설치한 대지 압압기구이다. 이 대지 압압기구(18)는 기틀(7)에 형성된 요소(凹所)(19)에 상하로 움직할 수 있게 수용된 압압부재(20)와, 상기 대지 안내홈(15)의 후단에 고정된 수판(21)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압압부재(20)는 제13도와 같이 그의 하면에 압압부(22)가 철설(凸設)되어 있는 동시에 그 압압부(22)의 하면 중앙에 바늘(23)이 돌출되어 있다.
또 압압부재(20)의 양측면에는 각각 손잡이편(2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 손잡이편(24)의 하부에는 반원상의 결합설편(2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 압압부재(20)는 상기 요소(19)에 수용되어 있는 스프링(26)에 의해 항상 하방으로 부세되어 있으며, 그 결과 상기 결합설편(25)이 통상은 권취카세트(1)의 저편으로부터 돌출하고 또한 압압부(22)가 수판(21)의 상면에 맞닿아 있다.
그 수판(21)은 저판(14)과의 사이에 대지(5)가 통과하기에 충분한 공간(27)을 가지고 부착되어 있으며 그의 거의 중앙에 압압부재(20)의 바늘(23)이 수용되는 구멍(28)이 후단에는 대지커터(29)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제14도).
또 권취카세트(1)의 양측면 전단에는 각각 반원상의 계합철부(30)가 형성되고 또 양측면의 하부는 약간 요설되어서 프린터(3) 및 레이블 첩부기(2)에 대한 부착부(31)로 되어 있다. 또한 32는 표시표찰 수납부이다.
한편 카세트(1)의 측판의 좌우에는 카세트위치결정용의 투공(7a)이 형성되어 있고 투공(7a, 7a)에는 후술하는 프린터측에 설치된 위치 결정핀이 끼워 맞추어진다.
또 카세트(1)의 측판의 상하단에는 각각 프린터측에 설치된 위치 결정레버가 끼워맞추어지는 절결부(7b, 7c)가 형성되어 있다. 또 카세트(1)의 선단의 측연에는 희동체(12)를 올리지 않고 잘못해서 세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요부(凹部)(7d)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제2도, 제15도, 제16도에 의해 첩부기(2)를 설명하면 기틀(33)의 내부의 상방은 권취카세트(1)의 수납부(34)로 되어 있으며, 그 기틀(33)의 상연 수평부는 각각 내방으로 약간 돌설된 재치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또 기틀(33)의 전벽(36) 내측에는 반원상의 1쌍의 결합요부(37)가 형성되어 있고 또 기틀(33)의 전단에는 첩부로울러(39)가 회전이 자유롭게 축으로 부착되고 그 로울러(39)의 하방은 레이블출구(38)가 개구 형성되어 있다.
기틀(33)의 후부는 연장형성되어서 그립(40)으로 되어 있으며 그 그립(40)의 하방에는 핸드레버(41)가 그의 전단을 기틀(33)에 추착(42)되어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핸드레버(41)와 그립(40)과의 사이에는 복귀스프링(43)이 수납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핸드레버(41)는 항상 시계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기틀(33)내의 하부에는 대지(5)의 이송기구(4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기구(44)는 상단에 1쌍의 이송 클릭(45)이 형성된 클릭부재(46)과 이 클릭부재(46)를 간직하고 있는 간직틀(47)과 이 간직틀(47)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제1, 제2 및 제3링크(48, 49, 50)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1링크(48)는 일단이 상기 핸드레버(41)에 고정되고 타단에 부착된 로울러(51)가 제2링크(49)에 천설된 긴구멍(52)에 끼워 맞추어져 있다. 제2링크(49)는 하단이 기틀(33)간에 횡으로 가설된 핀(53)에 추착되고, 상단은 제3링크(50)에 추착(54)되어 있으며, 그의 제3링크(50)는 선단이 간직틀(47)에 고정되어 있다.
간직틀(47)은 제16도와 같이 평면 "그"형으로 형성되고 그의 양측면에는 각1쌍의 로울러(55, 56)가 부착되어 있고 그것들의 로울러(55, 56)가 기틀(33)의 각 내벽면에 요설되어 있는 가이드홈(57)에 끼워맞추어져 있다.
또 클릭부재(46)는 간직틀(47)에 횡으로 가설된 핀(58)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스프링(59)에 의해 항상 제15도 중반시계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60은 간직틀(47)의 후단에 횡으로 가설된 핀(61)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된 밀어올리는 판이며, 62는 기틀(33)간에 횡으로 가설된 핀(63)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된 지지부재로서 각각 스프링(64, 65)에 의해 제15도중 밀어올리는 판(60)은 반시계회전 방향으로, 지지부재(62)는 시계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그리하여 제18도의 정지상태에서는 지지부재(62)의 상면이 밀어올리는 판(60)의 후단 하면을 맞대서 지지하고 있다.
또 밀어올리는 판(60)의 후단상면에는 테이퍼부(66)가 형성되어 있다.
기틀(33)의 후부에는 권취카세트(1)의 부착시의 록기구(67)가 설치되어 있다(15)도. 즉 기틀(33)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도고 또한 스프링(68)에 의해 상시 시계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는 록부재(69)와 기틀(33)의 후부상단에 전후방향으로 접동가능하게 부착되어 그의 일부가 록부재(69)에 맞닿아 있는 붙이고 떼어내는 버튼 (70)으로 이루어지고, 카세트(1)의 부착시에 있어서는 록부재(69)의 하단각부(71)가 카세트(1)의 후면에 천설된 개구부(72)하단의 결합부(73)에 결합되어서 록된다(제13도, 제16도, 제18도 참조).
또한 상기 클릭부재(46)의 전방에는 판 스프링으로 된 대지 압압편(74)이 기틀(33)에 부착되어 있다.
한편 프린터(3)는 제6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6도에 있어서는 키이보오드나 표시기등의 공지의 부분은 생략하고 있으며, 프린트부와 권취부만이 평면도로서 표시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90으로 표시한 것은 프린터의 기틀로서 이 기틀(90)의 한쪽의 측면, 즉 도에 있어서 좌측의 측면에는 아직 아무것도 인쇄되어 있지 않은 백지의 레이블 연속체(4)가 휘감겨진 리일(91)이 간직축(92)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또한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이 리일(91)에서 풀어진 레이블 연속체(4)는 라이드(93, 94)를 경유하여 90도 비틀어져서 기틀(90) 위에 인도되었을 때에는 기틀(90)에 대하여 직각인 상태로 되어 있다.
가이드(94)를 통과한 레이블 연속체(4)는 위치검출기구(95)를 통과하지만 이때 포토센서 등의 검출수단에 의해 레이블의 위치가 검출된다.
이 위치검출기구(95)에 의해 검출된 레이블의 위치는 더어멀프린터로서 구성된 열전사용의 더어멀헤드(96)와 플래튼(97)의 사이를 통과한다.
더어멀헤드(96)는 아암(98)의 자유단측에 부착되어 있으며 스프링에 의해 플래튼(97)에 압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부호 99로 표시한 것은 열전사 잉크리본이 휘감겨진 공급리일이며, 이 리일(99)에서 풀어진 열전사 잉크리본(100)은 가이드로울러(101, 102)를 통하여 상기 더어멀헤드(96)측으로 인도되고 아직 인쇄되어 있지 않은 레이블 연속체(4)에 대하여 포개지고 더어멀헤드(96)에 의해 레이블위에 소정의 바아코우드를 전사한다.
전사가 끝난 잉크리본은 가이드핀(103, 104)에 접해서 인도되어 공급리일(99)과 병렬 배치된 권추리일(105)에 권취된다.
한편 바아코우드가 전사된 레이블이 접착된 레이블 연속체(4)는 플래튼(97)에 접하여 방향을 바꾸어 기틀(90) 위에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부착된 카세트(1) 내로 인도된다.
이 카세트(1)의 부착부의 상세한 것을 제6도 내지 제12도에 표시하였다.
즉 기틀(90) 위에는 플래튼(97)의 근방에서 2개의 가이드핀(106, 107)이 상방으로 향하여 돌설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핀(106, 107)은 카세트(1) 측에 형성된 투공(7a) 속에 각각 끼워 넣어져서 카세트(1)의 위치결정을 한다.
가이드핀(106, 107)의 거의 중앙부에는 카세트의 권취코어(3)에 형성된 보스(11) 속에 끼워 맞추는 회전측(108)의 두부(109)가 면해 있다.
또 두부(109)를 사이에 끼고 1조의 록레버(110, 111)가 각각 축(112, 113)을 통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베어링 지지되어 있다. 한쪽의 록레버(110)의 일단은 링크(114)에 핀(115)을 통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은 카세트(1)의 측판의 상단연 근방에 형성된 절결부(7b) 속에 끼워 맞추어지는 절곡부(110a)로 되어 있다. 또 타방의 록레버(111)의 일단은 링크(114)에 핀(116)을 통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 연결부의 핀(116)을 사이에 낀 록레버(110)측의 절곡부(111a)는 카세트(1)의 측판의 하부에 형성된 절결부(7c) 속에 끼워 넣어진다.
또 절곡부(111a)와 반대측에서 상방으로 향해서 절곡된 절곡부(111b)는 카세트(1) 측의 결합설편(25)의 선단과 접하여 이것을 압압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록레버(111)의 타단과 기틀(90) 위에서 또한 록레버(110)측에 다가선 위치에 돌설된 핀(117)과의 사이에는 스프링(118)이 장치되어 있어 록레버(111)에 대하여 제7도중 시계방향으로의 회동습성을 부여하고 있다.
그런데 록레버(110)의 외측에는 조작레버(119)가 그 도중을 축(120)에 의해서 회동이 자유롭게 베어링 지지된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다.
이 조작레버(119)의 일단은 상방으로 향하여 절곡된 절곡부(119a)로 되어 있고 그 상단에는 손잡이(121)가 고정되어 있다.
절곡부(119a)는 그의 도중을 쇄정편(122)의 캠구멍(123) 속에 끼워 넣어져 있다. 캠구멍(123)의 한쪽의 측연에는 록위치를 규제하는 단부(段部)(123a)와 해제위치를 규제하는 단부(123b)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자간은 사면(123)에 의해서 연락되어 있다.
한편 다른 록레버(111)의 외측에는 레이블 가이드(124)가 배치되어 있다. 이 레이블가이드(124)는 제1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금속판을 도중에서 단이붙은 상태에서 굴곡시켜서 형성한 것으로서 그의 상단부(124a)는 대지 안내홈(15) 속에 끼워 넣어지고 저판(14)과의 사이에 레이블 연속체가 통과하는 약간의 극간을 형성할 수가 있다.
레이블가이드(124)의 하단측은 록레버(111)의 절곡부(111b)의 외측을 통하여 록레버(111)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링크(114)와 평행으로 링크(114)와 가이드핀(106)과의 사이에는 연결바아(125)가 횡으로 가설되어 있으며 그의 일단은 조작레버(119)의 손잡이(121)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보울조인트(126)를 통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은 레이블가이드(124)측에 고정되어 있다.
이 열결바아(125)는 2조의 가이드로울러(127, 128 및 129, 130)에 의해서 안내되고 직선운동을 행할 수가 있다.
또 록레버(111, 112)를 사이에 두고 연결바아(125)와 반대측에는 연결바아(125)와 평행으로 가이드바아(131)가 배치되어 있으며 그의 일단은 레이블가이드(124)측에 고정되어 있다.
이 가이드바아(131)는 동일하게 가이드로울러(132, 133 및 134, 135)에 의해서 직선운동을 행하도록 안내된다. 상술한 가이드로울러(127 내지 130, 132 내지 135)는 기틀(90) 위에 고정된 브래킷(136)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로울러(127 내지 130, 132 내지 135)는 홈이 붙어있는 것이거나, 홈이 없거나 혹은 양자의 조합이거나 무방하다.
한편 상기 레이블가이드(124)의 선단부에는 크게 원호상의 곡선을 그리는 가이드부재(137)가 배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부재(137)는 기틀(90), 혹은 상기 브래킷(136) 측에 고정되어 있으며 그의 선단은 카세트(1)의 기틀(7) 선단의 개방부 상단 근방에 까지 인도되어 있다.
가이드부재(137)의 내측에는 발릴방지체(138)가 위치하고 있다. 이 박리방지체(138)는 블록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그 가이드부재(137)측의 측연은 가이드부재(137)의 곡선에 따라서 곡면으로 되어 있으며 양자간에는 안내홈(13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137) 및 박리방지체(138)는 레이블의 막힘 혹은 안내홈(139)의 청소등을 위하여 적어도 한쪽을 붙이고 떼기를 자유롭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박리방지체(138)의 타방의 측연은 카세트(1)의 선단측의 측연과 서로 보완적인 형상의 측연으로 되어 있고 그의 도중에는 카세트(1)의 선단에 형성된 절결부(7d) 속에 끼워 맞추어지는 돌출부(138a)가 돌설되어 있다.
박리방지체를 이와같이 크게 만곡시켜서 설치한 것은 예각체로 절곡하여 유도하면 레이블이 대지에서 박리되어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실시예의 사용방법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빈카세트(1)를 프린터(3)의 틀(90) 위에 록레버(110, 111)를 이용하여 세트한다.
이때 카세트(1)의 회동체(12)를 제1도중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열어 놓는다.
이 상태에서 조작레버(119)의 손잡이(121)를 손가락으로 쥐고 축(12)을 중심으로 하여 제7도중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 절곡부(119a)를 쇄정편(122)의 단부(123a)로부터 (123b)로 이동시킨다.
이렇게하면 링크(114) 및 연결바아(125)가 제7도중 상방으로 밀리고 레이블가이드(124)가 밀려지고 동시에 록레버(110, 111)가 각각 축(112, 113)을 중심으로 하여 각각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이 결과 록레버(110)의 선단의 절곡부(110a)와 록레버(111)의 일단의 절곡부(111b)는 각각 회전축(108)의 두부(109)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 상태에서 카세트(1)가 기틀(90) 위의 브래킷(136) 위에 장치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와같이하여 세트한 후 카세트(1)가 열려진 회동틀(12)이 조작레버(119)측에 위치하고 대지안내홈(15)측이 레이블 가이드(124) 측을 향하도록 하여 브래킷(136) 위에 근접시킨다.
그리하여 가이드핀(106, 107)을 카세트의 투공(7a) 속에 끼워 맞춘다. 이 상태에서는 제9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박리방지체(138)의 돌출부(138a)가 카세트(1)의 선단의 측연에 형성된 요부(凹部)(7d) 속에 끼워 맞추어져 있다.
만일 이때 회동체(12)를 열지않고 세트하려고 하면 회동체(12)의 레이블 압압부(13)가 요부(7d)를 폐색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세트할 수가 없다.
이와같이하여 카세트(1)의 가이드핀(106, 107)을 통하여 장착한 상태에서는 록레버(110, 111)의 절곡부(110a, 111a)는 카세트(1)의 절결부(7c, 7d)로부터 멀어진 상태에 있어 카세트(1)의 장착을 방해하는 일이 없다.
그러후 조작레버(119)를 이번에는 축(120)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절곡부(119a)를 단부(123a) 속에 끼워 맞춘다.
그러면 링크(114), 연결레버(125)는 제10도중 하방으로 끌리고 레이블가이드(124)는 카세트(1) 측에 끌어당겨지고, 록레버(110, 111)는 각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이결과 레이블가이드(124)의 상부(124a)는 제1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카세트(1)의 대지안내홈(15) 속에 끼워넣어 저판(14)과의 사이에 레이블연속체(4)를 안내할만큼의 극간을 만든다.
또 록레버(110)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해 절곡부(110a)가 카세트(1)의 절결부(7d) 속에 끼워넣고 동일하게 록레버(111)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해 절곡부(111a)가 카세트(1)의 절결부(7c) 속에 끼워 맞추어진다.
동시에 록레버(111)의 외측에 위치하는 절곡부(11b)에 의해서 손잡이편(24)의 하단의 결합설편(25)이 눌리고 압압부재(20)가 스프링(26)의 탄발력에 버티면서 인입침(23)도 대지 안내홈(15)으로부터 이탈한다.
이 결과 레이블가이드(124)과 카세트(1)의 저판(14)과의 사이에는 레이블연속체(4)의 통과를 방해하는 것이 없게 된다.
그리고 카세트(1)는 록레버(110, 111)에 의해서 확실하게 록된 상태로 된다.
이와같이하여 소정위치에 카세트(1)를 장착한 후 도시를 생략한 프린터(3)의 키이보오드를 사용하여 인쇄할려는 바아코우드의 입력을 행한다.
그리하여 인쇄되어 있지않는 백지의 레이블이 첩착된 레이블연속체(4)를 리일(91)로부터 빼내고, 가이드(93, 94)에 따라서 레이블가이드를 겸한 위치검출기구(95)를 통하여 플래튼(97)에 따라서 방향을 바꾸어 그 선단을 레이블가이드(124)와 카세트(1)의 저판(14)과의 사이로 인도한다.
이때 열전사 잉크리본(100)도 리일(99)로부터 빼내서 가이드로울러(101, 102)에 따라서 더어멀헤드(96)와 레이블연속체(4)와의 사이를 통하게하여 가이드로울러(103, 104)에 접하여 권취로울러(105)에 그 선단을 감아둔다.
이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시동버튼을 누르면, 도시를 생략한 모우터가 온으로되어 회전축(108)이 회전하여 그두부(109)와 끼워 맞추어 있는 카세트(1) 측의 보스(11)를 통하여 권취코어(8)가 회전을 시작한다.
동시에 플래튼(97), 권취리일(105) 등이 회동을 개시하고 세트된 인자지령에 따라서 더어멀헤드(96)가 작동하여 바아코우드의 인자가 개시된다.
레이블위에 바아코우드를 열전사된 레이블연속체(4)는 연속 또는 순차로 간헐적으로 레이블가이드(124)속으로 이송된다.
레이블 가이드(124)의 부분을 나온 레이블연속체는 가이드부재(137)와 박리방지체(138)와의 사이의 안내홈(139)을 통하여 가이드부재(137)에 따라서 카세트(1) 방향으로 이송된다. 이때 카세트(1)의 회동체(12)는 제5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열려져 있기 때문에 레이블 압압부(13)의 하측에 따라서 회동체(12)와 권취코어(8)와의 사이에 인도된다. 권취코어(8)의 프랜지(8a, 8a)의 내측면이 테이퍼면(8c)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곳의 사이는 플랜지(8a, 8a)의 내측면에 걸리는 일없이 프랜지(8a, 8a) 사이로 인도된다.
곧 레이블연속체(4)는 안내스프링(9)에 따라서 권취코어(8) 방향으로 인도되어서 안내판(9)의 선단에 의해서 권취코어(8)에 대하여 압압한다.
이때에는 레이블 연속체(4)는 플랜지(8a, 8a)의 기부의 스트레이트부(8b)에 그 양측면을 접한상태에 있다. 스트레이트부(8b, 8b) 사이의 간격은 레이블연속체의 폭보다 조금 좁기 때문에 안내스프링(9)에 의하여 권취코어(8)에 대하여 레이블 연속체(4) 꽉누르게되면 그 양측연은 플랜지의 스트레이트(8b, 8b)에 의하여 구속되기 때문에, 권취코어(8)의 회전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권취되어 간다.
이 상태에서 소정량의 레이블연속체의 권취가 종료되면 도시되어 있지않는 모우터가 정지되어 레이블연속체의 공급도 정지한다.
그런후 플래튼(97)과 레이블가이드(124)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컷터(c)를 조작하여 레이블 연속체를 절단하면 좋다.
이와같이하여 소정량의 바아코우드의 인쇄가 종료한 레이블연속체가 휘감겨진 카세트(1)는 프린터측으로부터 벗어난다.
이 떼어낼 때에는 조작레버(119)를 제10도 중 시계방햐으로 회동시켜 록레버9110, 111)에 의한 카세트(1)의 록을 풀고, 레이블가이드(124)를 카세트의 저판(14)으로부터 떼고, 카세트(1)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고 카세트(1)를 잡아 쥐어서 가이드판(106, 107)으로부터 놓으면 간단히 떼어낼수가 있다.
떼어낸 카세트(1)의 저판(14)부분에 있는 레이블(6)을 2·3매 벳기고 회동체(12)를 제1도의 록사태로 되돌려서, 카세트(1)로 레이블(6)장전을 완료한다.
다음에 카세트(1)는 다음과 같이 하여 첩부기에 대하여 부착된다.
즉 카세트(1)선단의 결합철부(凸부, 30)를 첩부기(2)의 결합요부(凹부, 37)에 결합시키면서 카세트(1)의 부착부(31)를 수납부(34)에 수납한다.
그 경우 카세트(1)의 표시 표찰수납부(32)의 하방에 형성된 단부(77)가 첩부기(2)의 재치부(35) 위에 채치되는 동시에 록기구(67)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록된다. 즉 카세트(1)의 삽입시에는 상기 결합부(73)가 록부재(69)를 스프링(68)의 작용력에 버티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하강하나 그 결합부(73)가 록부재(69) 하단각부(71)를 타고 넘으면 상기 스프링(68)의 작용에 의해서 록부재(69)는 원 위치로 복귀하고, 그 하단각부(角部)(71)가 상기 결합부(73)에 결합되어 록된다.
그리하여 핸드레버(41)를 쥐면 제1, 제2, 제3링크(48, 49, 50)을 통하여 간직틀(47)이 가이드홈(57)에 따라서 후방에 수평으로 이동한다.
그 이동할 때에 클릭부재(46)의 이송클릭(45)이 대지(5)에 일정간격으로 천설되어 있는 절입부(78)에 결합하여 대지(5)를 이송하는 동시에 밀어올리는판(60)도 이동하여 압압부재(20)의 결합설편(25)을 밀어올려서 그 결과 이 압압부재(20)의 압압부(22) 및 침(23)에 의한 대지 압압은 해제되므로 대지(5)는 원활히 후방에 이송되어 기외로 배출된다.
또한 핸드레버(41)를 쥐면, 제24도와 같이 밀어올리는 판(60)이 후퇴하여 이 밀어올리는판(60)의 하면과 지지부재(62)와의 결합이 벗어나기 때문에 압압부재(20)는 스프링(26)의 작용력에 의해서 밀어올리는 판(60)을 반시계방향으로 밀어 내리면서 하강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며 그 압압부(22)와 침(23)에 의해서 다시대지(5)를 고정한다.
한편 이 대지 이송하는 사이에 기체전부의 정향핀(16)에 있어서는 레이블 연속체(4)가 레이블압압부(13)에 의해서 수평상으로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대지(5)만이 급각도로 반전하여 레이블(6)은 대지(5)로부터 박리되면서 전진하며, 레이블출구(32)로부터 첩부로울러(39)의 하방으로 송출된다.
물품에 대한 레이블(6)의 첩부는 통상의 핸드레이블과 동일하게 첩부로울러(39)의 하방에 있는 레이블(6)의 하면(점착면)을 물품에 대고 비벼부치도록 하면 첩부로울러(39)의 작용으로 첩부된다.
다음에 핸드레버(41)를 놓으면 복귀스프링(43)의 작용력에 의하여 핸드레버(41)는 원위치로 복귀하고, 동시에 제1내지 제3링크 (48 내지 50)을 통하여 간질틀(47)도 전진하여 제18도의 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이전진 때에는 밀어올리는판(60)의 하면 각부(76)(제23도)가 지지부재(62)에 맞닿아서 접하나 이 밀어올리는 판(60)을 밀어내리고 있는 스프링(26)의 작용력의 쪽이 스프링(64)과 (65)과의 상기 작용력보다 크기 때문에 지지부재(6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고, 따라서 밀어올리는판(60)은 결합설편(25)을 밀어올리는 일없이 이 설편(25)의 하면을 접동하여 전진한다.
그 결과 대지(5)는 압압부재(20)에 의하여 고정된채로 이므로 클릭부재(46)의 전진에 의해서 전방으로 복귀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클릭부재(46)는 그 이송클릭(45)이 대지(5)의 절입부(78)로부터 벗어나는 동시에 스프링(59)에 버티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대지(5)의 하면를 접동하면서 원위치로 복귀하여 거기서 또다시 대지의 절입부(72)에 결합된다.
다음에 권취카세트(1)를 첩부기(2)로 부터 떼어내는데는 제25도와 같이 떼어내는 버튼(70)을 전방으로 밀면 록부재(69)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그 하단각부(71)가 카세트(1)의 결합부(73)로 부터 벗어나 그것과 동시에 대지안내홈(15)의 전부에 있어서 대지(5)의 하면을 압압하고 있는 대지 압압편(74)의 스프링작용에 의해서 카세트(1)의 후부가 약간 부상하기 때문에 원터치로 용이하게 떼낼수가 있다.
본실시예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카세트를 프린터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바아코우드를 인쇄된 레이블연속체를 소정길이에 걸쳐서 자동적으로 권취할 수가 있고 카세트에 대한 레이블 장착시의 번잡한 작업을 없애고, 능률적인 조작을 행할 수가 있다.
또 카세트의 프린터에 대한 장착은 조작레버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원터치로 행할 수 있고 프린터측에는 박리 방지체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레이블 권취시에 레이블이 박리하는 일은 없다.
또 권취코어(8)에는 이것과 일체로 핀랜지(8a, 8a)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레이블권취시에 있어서 플랜지(8a)도 권취코어(8)와 일체로 회전하기 때문에 레이블연속체와 플랜지(98)와의 사이에 상대속도가 생기지 않고 레이블연속체의 양측연에 스며나온 접착제가 비벼지는 일없이 접착제가 부착하는 풀괴임이 생기는 일없이 레이블연속체의 감아내기와 되돌려 감는 것은 극히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플랜지의 스프레이트부(8b, 8b)에 대한 약간의 풀괴는 것은 반대로 권취시에 있어서의 레이블 연속체의 약간의 접착상태가 생기기 때문에 권취초기에 있어서의 레이블연속체의 고정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제2실시예]
제26도 내지 제2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권취코어를 생략하고 회동체(12)만을 카세트(1)에 설치되어 있다.
회동체(12)는 중공의 틀체로서 형성되어 있고, 그 좌우의 측벽으로부터 돌설된 원통부(12a)를 통하여 기틀(7)에 대하여 회동이 자유로히 베어링 지지되어 있다.
이 회동체(12)의 내주면에는 레이블압압부(13)의 배면으로부터 전주위에 걸쳐서 단면이 3각형상의 2가닥의 돌조(140)가 평행으로 돌설되어 있다.
그리고 레이블압압부(13)의 후단부로부터 회동체(12)의 원주방향이 거의 중앙부에 이르기까지 가늘고 긴 창부(12b)가 형성되어 있다.
본실시예에 있어서는 회동체(12) 이외에 권취수단을 갖고 있지 않다.
본 실시에는 이상과 같이 구서되어 있기 때문에 레이블연속체의 권취시에는 공급된 레이블연속체(4)는 제29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안내홈(139)을 통하여 일어난 회동체(12)의 개구부로부터 회동체(12)내에 들어가 돌조(140, 140)에 접하면서 회동체의 내부면에 따라 진행되고 원호상으로 감겨져 점차로 감아들어간다.
레이블연속체(4)를 송입하는 힘은 플래튼(97)의 회전력이며 레이블연속체(4)는 그 자체가 가진 강성과 탄성에 따라서 차례로 소용돌이상으로 감아들어간다.
그러나 권입량이 많아지면 감긴층간의 마찰력의 쪽이 레이블연속체(4)의 강성보다도 크게되기 때문에 대량으로 감아넣는데는 적합하지 않다.
이와같은 구조를 채용하여도 프린터측에 박리방지체(138)나 가이드부재(137)가 있는한 레이블연속체(4)를 자동적으로 권취할 수가 있다.
또한 창부(12b)를 개방한 그대로는 먼지등이 들어가 불편한 경우에는 제29도에 표시한 것과같이 일단을 레이블 압압부(13)의 근처에 있어서의 축(141)을 통하여, 회동을 자유롭게 베어링 지지된 투명한 재질로 된 커버(142)를 설치하여, 이 커버(142)를 원호상으로 형성하여 창부(12b) 속에 끼워 맞추도록 하는 동시에 그의 자유단측에 훅부(142a)를 설치하여 그 부분을 회동체(12)측에 설치된 결합부(142b)에 대하여 훅되도록 하고 있다.
이 커버(142)의 내측면에도 돌조(140)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조를 채용하면 투명한 커버(142)를 통하여 내부를 볼수가 있고, 회동체(12)내에서 레이블연속체(4)의 트러블 생긴 경우에는 커버(142)를 열고 대처할수가 있다.
[제3실시예]
제30도 및 제31도는 본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으로, 본실시예에 있어서는 회동체(12)의 주벽을 제30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거의 한바퀴의 소용돌이 곡선이 되도록 형성하는 동시에 제3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그 내측에 기틀(7)에 대하여 권취코어(143)를 회전을 자유로히 설치하여 있다.
이 권취코어(143)는 좌우의 플랜지(143a)를 가지고 이 플랜지(143a)의 내측면에서, 또한 외주연 근방에는 스트레이트부(143b)가 형성되어 있고, 양자간의 간격은 레이블연속체(4)의 폭보다도 약간 좁다.
이 스트레이트부(143a)로 부터 내주측에 향하여 차례로 플랜지간의 간격이 넓게되는 테이퍼면(143c)이 형성되어 있다.
또 권취코어(143)에는 프린터측의 회전측이 끼워 맞추어지는 보스(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동체(12)의 내주면에는 상술한 실시에와 마찬가지로 단면이 3각형상의 돌조(140)가 2가닥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실시예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안내홈(139)을 통하여인도된 레이블연속체(4)의 선단은 먼저 회동체(12)의 주벽에 인도되어서 회동체(12)내에 들어가 최초로 권취코어(143)의 플랜지의 스트레이크부(143b) 사이에 물려 들어간다.
플랜지(143a)는 프린터측의 회전측(108)에 의하여 회전되어 있기 때문에 곧 권취가 시작된다.
그리고 소용돌이상의 주벽에 형성된 돌조(140)에 접하면서 점차로 내측에 소용돌이상으로 말려들어가 순차적으로 스트레이트부(143b)로부터 강제적으로 벗어진다.
이와같이하여 순차적으로 소용돌이상으로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권취된다.
이와같은 구조로 채용하여도 레이블 연속체의 자동권취가 가능하다.
또 스트레이트부(143b)를 설치하므로써 인도되어온 레이블 연속체를 강제적으로 감아내는 것이 가능하며, 제1의 실시예에 표시한 바와같은 안내스프링(9) 등의 여분인 부품을 불필요로하며, 또한 스프링의 압접에 의한 저항등을 제거할 수가 있다.
[제4실시예]
제32도 및 제33도는 본발명의 제4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으로, 본실시예에 있어서는 회동체(12)의 내에 설치된 권취코어(144)에 플랜지는 설치하지 않고 그 외주면에 고무등의 마찰부재(145)가 감겨져 있다.
그리고 레이블압압부(130)의 내측으로부터 이 마찰부재(145)에 접하여 회동체(12)내에 거의 한바퀴도는 정도의 강설등으로 부터된 안내부재(146)가 설치되어 있다.
안내부재(146)의 선단은 자유단으로 되어 있어 그 도중은 항상 마찰부재(145)에 접촉하도록 탄성이 부여되어 있다.
따라서 레이블연속체(4)는 회동체(12)의 입구측으로 부터 안내부재(146)에 따라서 인도되어 마찰부재(145)와의 사이에 끼어지고 권취코어(144)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권취된다.
레이블 연속체가 감겨짐에 따라서 안내부재(146)는 그 접촉부가 차례로 외측으로 이동한다.
이와같이 하여 레이블 연속체를 자동적으로 감아내는 것이 가능하다.
[제5실시예]
제34도 및 제33도는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안내부재로서 판 스프링으로 된 안내부재(147)를 사용한 점만이 제4실시예와 다르게 되어 있다. 판스프링으로 된 안내부재(147)는 폭이 넓기 때문에 레이블연속체와의 접촉면적이 크고 레이블연속체 확실히 간직하나 마찰력은 증대한다.
이와같은 구조를 채용하여도 레이블연속체를 확실히 자동적으로 감아낼수가 있다.
[제6실시예]
제36도 내지 제38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으로, 본실시에 있어서는 권취코어(147)의 주면에서 또한 폭방향의 중앙부에 원주방향에 따라서 소정간격으로 복수개의 침(148)이 돌설되어 있다.
그리고 회동체(12)의 레이블 압압구(13)측에 일단이 고정된 안내부재(149)가 설치되어 있고 이 안내부재(149)는 그 도중을 권취코어(147)에 접하고, 회동체(12) 내에서 거의 한바퀴 돌고 있다.
이 안내부재(149)는 그 도중을 귄취코어(147)에 접하고, 회동체(12) 내에서 거의 한바퀴 돌고 있다.
이 안내부재(149)는 제38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판스프링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권취코어(147)와의 접촉부에는 침(148)을 피하기 위한 긴 구멍(長孔, 14a)이 소정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조를 채용하면, 인도되어온 레이블연속체(4)는 안내부재(149)에 따라서 권취코어(147)를 향하여 인도되어 안내부재(149)와 권취코어(147)와의 사이에 끼게되는 동시에 침(148)이 대지에 물려들어 레이블연속체(4)를 확실하게 감아내기 시작한다.
안내부재(149)는 그의 일단이 자유단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레이블연속체의 권취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중심으로부터 이탈된다.
또한 안내부재(149)로서는 제39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강선을 두겹으로 접어서 평행한 2가닥의 안내부재로서 구성하여도 좋다.
제40도 및 제41도는 본 발명의 제7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권취코어(147)의 외주면에 침에 대시하여 핀(150)을 소정피치로 돌설되어 있고, 안내부재(149)로서 제38도 및 제39도에 표시한 것과 마찬가지인 부재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같은 구조의 권취코어(147)를 사용한 경우에는 레이블연속체(4)로서는 제4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핀(150)의 피치(P)로서 레이블간에 형성된 투공(4a) 또는 긴구멍(4b)이 형성되어 있는것을 사용하면 편리하다.
이와같은 구조를 채용하여도, 제6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레이블연속체의 자동권취를 행할 수가 있다.
[제8실시예]
제42도 및 제43도는 본발명의 제8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으로 제2의 실시예와 동일한 커버(142)를 가지는 회동체(12)와 제32도에 표시한 마찰부재(145)를 주면에 설치한 권취코어(144)를 조합하고, 또한 안내부재로서 편지(片持) 지지의 안내부재(151)가 설치되어 있다.
안내부재(151)은 제4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그 일단이 회동체(12)이 레이블압압구(13)측에 고정되어 타단이 마찰부재(145)와 접촉한 상태에 있는 원호상으로 만곡한 판 스프링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조를 채용하여도 안내홈(139)으로부터 인도된 레이블 연속체(4)는 안내부재(151)와 마찰부재(145)와의 사이에 끌어넣어져서 강제적으로 또한 자동적으로 감아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안내부재(151)로서는 제4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강선(152)을 사용하여동 좋다.
[제9실시예]
제45도 내지 제48도는 본 발명의 제9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으로 본실시예에 있어서는 권취코어(153)로서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 형상으로하여, 안내홈의 부분에도 딴 연구가 가하여졌다.
즉 권취코어(153)는 방사상으로 배치된 소용돌이 곡선으로서의 단면을 가진 날개(154)을 소정간격으로 복수개를 가지며 제46도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같은 날개9154)의 만곡 방향으로 향하여 회전된다.
한편 박리방지체를 구성하는 안내홈부분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즉 레이블가이드(124)와는 별개이다. 이것에 연설된 고정적인 가이드부재(155)와 가동가이드 부재(156)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적인 가이드부재(155)는 단면의 그 자상으로 전체로서 1/4원의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그 일부에는 카세트(1)의 선단부의 기틀(7)에 형성된 요부(7d)에 끼워 마추는 만곡부(155a)을 가진다.
한편 가동가이드부재(156)는 고정적인 가이드부재(155)의 외측에 접동을 자유로히 끼워 마추어지는 원호상으로 단면이 그 자상으로 형성된 틀체로서 구성되고, 그 선단부에는 로울러(157)가 회전을 자유로히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동가이드부재(156)는 부채꼴의 지지판(158)에 고정되어 있고, 지지판(158)의 각부(角部)는 핀(159)에 의해서 기틀(90)또는 브래킷(136)축에 회동 자유로히 베어링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판(158)의 핀(159)의 근방에 돌설된 핀(160)과 고정적인 가이드부재(155)축에 돌설된 핀(161) 사이에는 스프링(161)이 장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하에 권취개시시에는 제46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가동가이드부재(156)는 핀(159)을 중심으로 하여 제46도중 시계방향으로 회동이 된다.
가이드로울러(157)가 권취코어(153)의 주면에 접하고 있다.
이상태에서는 스프링(162)은 핀(159)을 넘어서 카세트(1) 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지지판(158)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의 회동습성을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가이드로울러(157)는 권취코어(153)의 주면에 접속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가이드부재(155, 156)를 통하여 인도된 레이블연속체(4)는 권취코어(153)의 날개(154) 사이에 들어가 권취코어(153)의 회전에 따라 그 선단을 날개(154)에 의해 V자상으로 꺾어 구부린다.
그리고 이 절곡부와 날개(154)와의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레이블연속체(4)는 권취코어(153)에 강제적으로 감겨진다.
레이블연속체(4)가 감겨나가는데 따라서 이것에 첩하고 있는 가이드로울러(157)를 통하여 가동가이드부재(156)는 지지판(158)과 함께 도면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제47도 및 제48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스프링(162)과 핀(159)을 넣어서, 즉 사점(死點)을 넘으면 스프링(162)의 인장력에 의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급격히 회동된다.
지지판(158) 따라서 가동가이드부재(156)의 회동한(限)은 지지판(158)에 형성된 원호상의 가이드홈(160)과 프린터측으로부터 돌설된 가이드핀(163)에 의해서 규제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조를 채용하면 레이블연속체(4)를 자동적으로 감아낼 수가 있는 동시에 레이블연속체(4)가 소정량 감기면 자동적으로 이탈되기 때문에 이것을 한계스위치 등으로 검출하면 곧 감아내는 것을 정지할 수가 있다.
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권취코어의 중심부에 광학적 센서를 설치하여 이 센서에 의해서 레이블연속체의 선단을 검출하였을 때 비로소 권취코어(153)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필요시에만 모우터를 회전시킬 수가 있어 전력의 절약으로 된다.
이상의 설명으로 명백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카세트를 프린터측에 장착한 것만으로 바아코우드등이 인쇄된 테이블연속체를 자동적으로 감아낼 수가 있고 또한 카세트 저부에서의 대지의 세트도 자동화되어 지금가지 넥이였든 권취장착 동작을 완전히 자동화할 수가 있다.
또 카세트의 붙이고 떼는 기구는 조작레버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원터치로 행할수가 있고 붙이고 떼는 조작을 간략화하여 수고를 덜 수가 있다.
또한 박리 방지체를 설치하기 위해 연속체의 자동권취동작시에 있어서 레이블이 박리함이 없이 완전한 자동권취가 가능하다.

Claims (1)

  1. 대지(5) 위에 인접하여 레이블(6)이 가착된 레이블연속체(4)에 소정의 인자를 행하는 프린터(3) 측에는, 레이블 연속체 권취용의 카세트(1)의 장착장치와 이 장착장치에 인접하여 레이블연속체의 안내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다른쪽 카세트측에는, 이송되어 오는 레이블 연속체를 권취하는 자동권취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카세트의 장착장치는, 한쌍의 가이드핀(106, 107)과 조작레버(119)의 조작에 연동하도록 구성된 레이블 가이드(124)와 한쌍의 록레버(110, 111)로 구성되고,
    상기 레이블연속체의 안내기구는, 상기 레이블 가이드(124)와 상기 대지에 가착된 레이블의 박리를 방지하는 만곡상의 박리방지체(138)로 구성되고, 상기 레이블연속체의 자동권취기구는, 상기 카세트(1)의 권취코어(8)(144)(147)에 안내부재(9)(146)(149)(151)(152)를 탄성 가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블자동권취 장착장치.
KR1019840001043A 1983-03-02 1984-03-02 레이블 자동 권취 장착장치 KR8700014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913 1983-03-02
JP58032913A JPS59163139A (ja) 1983-03-02 1983-03-02 ラベル自動巻取装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7995A KR840007995A (ko) 1984-12-12
KR870001499B1 true KR870001499B1 (ko) 1987-08-19

Family

ID=12372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1043A KR870001499B1 (ko) 1983-03-02 1984-03-02 레이블 자동 권취 장착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505773A (ko)
JP (1) JPS59163139A (ko)
KR (1) KR8700014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4666U (ja) * 1983-05-28 1984-12-08 株式会社 サト− 巻取カセットへのラベル自動巻取装着装置
JPS61161207U (ko) * 1985-03-27 1986-10-06
US4917514A (en) * 1988-02-01 1990-04-17 Kroy Inc. Thermal printing device and tape supply cartridge embodying a tape cut-off mechanism
US5806713A (en) * 1996-04-29 1998-09-15 Dudley; Peter B. Self-adhesive stamp dispensing device
JP2008522293A (ja) * 2004-11-30 2008-06-26 パンデュイ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マーケットベースのラベリングシステム及び方法
US8100595B2 (en) 2007-12-07 2012-01-24 Dymo Label printing apparatus
US8465220B2 (en) * 2007-12-07 2013-06-18 Dymo, N.V. Label printing apparatus
US8465219B2 (en) * 2007-12-07 2013-06-18 Dymo, N.V. Label printing apparatus
WO2010054182A1 (en) * 2008-11-10 2010-05-14 Brady Worldwide, Inc. Cartridge media retention mechanism
CN108146756B (zh) * 2018-01-16 2023-11-28 安费诺电子装配(厦门)有限公司 一种线材自动卷绕标签机
JP1638358S (ko) * 2019-02-28 2019-08-05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01408A (en) * 1972-02-10 1974-04-02 V Kuring System for making color-coded index tabs
US3944455A (en) * 1973-09-27 1976-03-16 Compac Corporation Labelling system and cassette label applicator usable therewith
US4166588A (en) * 1978-09-11 1979-09-04 Kreonite Inc. Self-threading take-up magazine for a photographic printer
JPS57153844A (en) * 1981-03-05 1982-09-22 Sato Co Ltd Device for printing and pasting label
US4359939A (en) * 1981-04-21 1982-11-23 Kabushiki Kaisha Sato Kenkyusho Printing device
JPS57183941A (en) * 1981-04-30 1982-11-12 Sato Co Ltd Portable labeller
DE83070T1 (de) * 1981-12-28 1984-01-05 Kabushiki Kaisha Sato, Tokyo Tragbare etikettiermaschine.
JPS58166091A (ja) * 1982-03-26 1983-10-01 Teraoka Seiko Co Ltd ラベルプリン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9163139A (ja) 1984-09-14
KR840007995A (ko) 1984-12-12
US4505773A (en) 1985-03-19
JPH0123376B2 (ko) 1989-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0293A (en) Linerless label printer and transport system
KR870001499B1 (ko) 레이블 자동 권취 장착장치
KR870001613Y1 (ko) 레이블 첩부기용 권취카세트
EP083440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inting and for handling linerless liner-type and linerless-type label material
US8212851B2 (en) Portable printer
US4189337A (en) Real time labeler system
US20050121146A1 (en) Label printer that dispenses labels in non-peel or automatic peel modes
CN102791586A (zh) 用于贴标签的设备
EP0083070B1 (en) Portable label applying machine
KR870000269B1 (ko) 휴대식 레이블 첩부장치
KR870002340Y1 (ko) 프린터의 레이블 자동권취 장착장치
KR870000996B1 (ko) 레이블 자동 권취장치
EP0119524B1 (en) Automatic label winding and charging device
US4498950A (en) Portable label applying machine
JPH0123384B2 (ko)
JPS6244892Y2 (ko)
KR850001853B1 (ko) 휴대식 레이블 첩부장치(貼付裝置)
JPH0236452B2 (ko)
CN211970000U (zh) 一种仓储物流用条码打印机
JPH0130331Y2 (ko)
JPH024026Y2 (ko)
JPH0224725Y2 (ko)
JPH0123383B2 (ko)
JPH0123378B2 (ko)
JPH022721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14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