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954B1 - 천연 유기질비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 유기질비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954B1
KR870000954B1 KR1019840007007A KR840007007A KR870000954B1 KR 870000954 B1 KR870000954 B1 KR 870000954B1 KR 1019840007007 A KR1019840007007 A KR 1019840007007A KR 840007007 A KR840007007 A KR 840007007A KR 870000954 B1 KR870000954 B1 KR 870000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lfate
phosphorus
fertilizer
mixed
organic ferti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7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3994A (ko
Inventor
조경섭
Original Assignee
조경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섭 filed Critical 조경섭
Priority to KR1019840007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0954B1/ko
Publication of KR860003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9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천연 유기질비료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충분히 부숙된 인분을 황산칼리 및 인산의 가열혼합물로 처리하여 비료성분을 염의형태로 고정시킨 다음 황산 제1철과 활성백토의 혼합물을 가하여 인분중의 고형물을 응집, 침강시켜서 여과하고 동결 건조한 것과, 분쇄한 계분에 수분을 첨가하고 요소 분해효소인 유리아제로 발효시킨 계분을 혼합하여 청결하고 위생적이며 인분과 계분성분을 동시에 함유한 천연유기질 비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인분이나 계분을 이용한 유기질 비료가 많이 제조 사용된 바 있다.
즉 인분에 분해균을 배양시시켜 황산이나 인산으로 처리하여 염의 형태로한 인분비료가 있었고, 또는 훼놀수용액으로 인분을 처리하여 비효성분을 응고시킨 다음 연탄재, 해초, 계분등을 혼가하여 비료를 제조한 예도 있으며, 또 계분만을 이용하여 쌀눈, 밀눈, 쌀겨등의 곡을 분말과 함께 발효시켜서 유기질비료를 제조한 것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공지기술과는 달리, 인분과 계분을 조합하여 비료성분이 골고루 함유되어 있으면서 청결하고 위생적이어서 제조, 보관, 판매, 시비등이 용이한 다용도 유기질비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인분이나 계분은 악취 및 기생충의 함유에 따른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 이를 사용하기에 불편한 점이 많았었고, 또 이를 가공하여 비효 성분만을 추출 하거나 다른 유기물질과 혼합하여 비료를 제조하는 데에도 많은 어려움이 수반되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현저히 개량하여 좀더 위생적이고 간편한 방법으로 인분과 계분을 처리하여 복합유기질 비료를 제조하고져 한 것이다.
부숙된 인분의 성분은 대체로 수분, 유기물, 회분, 질소 오산화인, 산화칼륨 , 소금등이 주성분으로서 악취가 나는 것은 대체로 주성분인 암모니아와, 유화수소등의 특유한 악취 때문이다.
인분은 부숙중 단백질과 요소가 분해되어 탄산암모늄으로 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따라서 인분중의 질소는 암모니아질소이며 알카리성이기 때문에 질소의 일부가 암모니아의 휘발손실되는 경우가 많다.
이상의 성질을 가진 인분을 질소의 손실을 가급적 줄여서 비료 성분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악취등으로 인한 처리의 어려움을 덜기 위하여 먼저 인분을 충분히 부숙시킨 상태에서 인산과 황산칼리를 2 : 1로 가열 혼합한 용액을 산성이 될때까지 가하고 혼련교반하여 인분중의 휘발성 물질인 암모니아와 요소를 황산암모늄, 인산암모늄 또는 인산칼리등 황산염과 인산염으로 전환시켜 휘발되지 않게 고정한 다음 이와같이 비료형태가 된 고형분을 응집, 첨강시켜서 수분등 액체와 쉽게 분리 여과되도록 하기 위하여 황산 제1철과 활성백토를 3 : 1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상기 고형물이 응집하여 침강될때까지 가하면서 혼련 교반한다.
고형물의 응집 및 침강이 끝나면 여과하여 고형분을 탄산가스나 질소가스와 같은 불활성 기체의 존재하에 동결 건조시켜서 수분 2-3%의 인분 처리 고형물을 얻는다.
여기에서 상기 인산이나 황산등은 이미 비료 제조공정중에서나 그 자체의 비료 성분으로서 공지된 것이지만, 과거에는 인분에 들어있는 고형분을 액체로 부터 분리시킨후 인산이나 황산등을 가하였기 때문에 분리 과정에서 암모니아 및 요소등 유리 휘발되기 쉬운 휘발분이 상당량 휘산되기 때문에 비료성분이 미약하고 반면인 분액에서 분리된 고형분은 미쳐 부숙되지 않은 즉 비효성이 적은섬 유질등만이 남게되어 비료로서의 성분이 미약한 결점이 있었는데 반하여 본원은 상기한 바와같이 인분중의 고형분을 먼저 분리하지 않고 인산과 황산카리를 처리하므로서 휘발성물질을 모두 고정시켜서 비료화 하는 것이 특징이며, 더우기 황산대신 황산칼리를 사용한 것은 인산염이나 황산염뿐 아니라 칼리염도 형성시켜서 인분중의 비료로서 유효성분을 버리지 않고 완전히 전환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황산칼리를 가하지 않고 황산만을 가한다면 인산칼리와 같은 염의 형성이 어렵고 따라서 인분중의 칼리분은 액체에 포함되어 여과시켜 버리게 되는 불이익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또 상기 공정에서 황산 제1철과 활성 백토로 상기 처리된 인분을 처리하므로서 황산 제1철에 의하여 고형물, 즉 상기에서 형성된 황산염, 인산염, 칼리염등 각종 염과 기타 인분중에 포함된 비효성이 있는 고형물을 응집시키면서 상기 공정에서 미반응된 잔여 악취를 흡착탈취하고 각종 기생충을 소독살균하여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하고 활성백토로 인하여 악취의 흡착과 탈취를 도모하면서 인분액을 청정하게 하여 고형물과 액상을 완전 분리시켜 주게되므로서 고형물과 액상의 여과분리가 용이하게 한다.
다만 황산 제1철과 활성백토를 각각 별도로 그중 한가지만 사용하는 것보다 두 가지를 함께 사용하므로서 상호 상승작용으로 인하여 응집 및 흡착, 탈취가 훨씬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며, 두 가지 중 한가지만 사용의 경우 응집작용이 원활치 못하거나 탈취, 청정작용이 원활치 못한 결점이 있기 때문에 이들 두 물질의 혼합물을 사용하게 된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여과된 인분 고형분은 불활성 기체의 존재하에 등결시키는 것은 휘발분의 휘산억제와 악취 제거 및 살균, 소독을 완벽하게 하면서 최종적으로 비효성의 인분 고형물을 얻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는 별로도 분말계분에 수분을 적량 첨가하여 유리아제로 발효시켜서 대체로 계분중에 다량 함유된 요소태 질소를 완전 분해하여 비효성이 있는 비료분으로 분해시킨 것을 역시 상기 인분 처리공정에서와 같은 불활성 기체하에서 수분 함량 2-3%가 될때까지 동결 건조하고, 상기 동결 건조시킨 인분 처리물에 상기동결 건조시킨 계분 처리물을 동일량으로 배합하거나 그 이하의 양으로 배합하고 여기에 공지의 각종 깻묵류, 쌀겨, 골분, 어비류등 부숙물을 적량 혼합하여 본 발명 유기질 비료를 완성한다.
여기에서 인분 처리물과 계분 처리물의 배합비는 동일량으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계분 처리물은 요소태 질소가 다량 함유되어 있으므로 계분 처리물을 반이상 혼합하게 되면 요소태질소가 과량이되므로 비료성분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계분 처리물을 동량으로 하거나 그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소, 인산, 카리등의 배합비를 고르게하여 어느 성분이 과량이 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인분 처리물보다는 계분처리물을 적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유리아제로 계분을 발효 분해시키는 것은 계분중의 주성분인 질소는 대체로 요소태 질소이므로 이를 완전분해시켜 비료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한 것이나 이 요소태 질소 역시 알카리성이어서 휘발성이 몹씨 강하기 때문에 대기중에서 건조할 경우 질소분의 소실이 많아서 비료성이 약하게 되므로 불활성 기체하에서 동결 건조하여 질소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여기에서 계분에 첨가되는 수분의 량에 따라 또 유리아제의 투여량에 따라 발효시간에는 차이가 있게되나 이들 수분이나 발효균량을 반드시 제한할 필요는 없다.
이상과 같이 제조된 본 발명 유기질 비료는 인분이나 계분의 독특한 악취나 기생충을 제거하면서 제조되므로 생산과정에서 매우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량산이 가능하고 또한 외관상으로도 완전 비료 성분으로 분해된 고형분말에 백로가 혼합되어 있어서, 미관상으로 흉하지 않으므로 시비에도 용이하며, 그 성분 및 효능에 있어서도, 상기 처리공정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질소분의 휘발을 최소한으로 방지하여 비료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음은 물론 질소, 인산, 칼리성분이 골고루 함유되어 있어서 각종 용도로서의 비료로서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고, 또한 악취나 기생충의 번식이 전혀 없어서 저장 및 사용에서 화학비료와같이 간편하고 위생적인 잇점이 있다.

Claims (5)

  1. 충분히 부숙시킨 인분에 인산과 황산 칼리를 가열용해한 혼합물을 산성이 될때까지 혼합교반한 후 황산 제1철과 활성백토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고형물이 침전될때까지 교반하고, 그 결과 고형물을 불활성 기체하에 수분 2-3%까지 동결건조하여 인분 처리물을 얻고, 별개로 분말계분에 물을 가하고 발효균으로 발효시킨 다음 상기 인분처리와 같은 조건으로 동결 건조하여 계분처리물을 얻어서 상기 인분 처리물에 상기 계분 처리물을 동량의 비율이나 그이하의 비율로 혼합하고 기타 공지의 유기질 부숙물을 소량씩 첨가하여 천연 유기질 비료를 제조하는 방법.
  2. 인신과 황산카리를 약 2 : 1의 비율로 혼합하는 제1항에 따른 방법.
  3. 황산 제1철과 활성백토를 약 3 : 1의 비율로 혼합하는 제2항에 따른 방법.
  4. 탄산가스나 질소가스를 불활성 기체로 사용하는 제1항에 따른 방법.
  5. 발효균으로 유리아제를 사용하는 제1항에 따른 방법.
KR1019840007007A 1984-11-09 1984-11-09 천연 유기질비료의 제조방법 KR870000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7007A KR870000954B1 (ko) 1984-11-09 1984-11-09 천연 유기질비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7007A KR870000954B1 (ko) 1984-11-09 1984-11-09 천연 유기질비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994A KR860003994A (ko) 1986-06-16
KR870000954B1 true KR870000954B1 (ko) 1987-05-14

Family

ID=19236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7007A KR870000954B1 (ko) 1984-11-09 1984-11-09 천연 유기질비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095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994A (ko) 198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22881C (en) Organic containing sludge to fertilizer alkaline conversion process
KR101175287B1 (ko) 축분 또는 축분슬러지를 이용한 축분탄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05804A (ko) 유기성쓰레기를 원료로 하는 비료의 제조방법
KR20030023231A (ko) 축산분뇨의 발효촉진 및 악취제거용 복합조성물
KR102257872B1 (ko) 부숙유기질비료의 살균, 탈취 및 부숙 촉진을 위한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13299B1 (ko) 유기질비료의제조방법
KR102183599B1 (ko) 부숙유기질비료의 살균, 탈취 및 부숙 촉진을 위한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7045698A (ja) 乳酸処理組成物
KR870000954B1 (ko) 천연 유기질비료의 제조방법
KR101195590B1 (ko) 액젓 부산물을 함유하는 사료 제조방법
US3961096A (en) Conservation and conversion of poultry waste products
KR910008731B1 (ko) 파인세라믹(fine ceramics)을 첨가한 퇴비의 제조방법
JPH0248486A (ja) 有機発酵肥料の製造方法
DE3539231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utterzusatz und futter aus keratinhaltigen abfaellen
KR100451856B1 (ko) 축산분뇨의 퇴비화방법
RU2243170C1 (ru) Способ подготовки сточных вод животноводческих комплексов для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RU2076087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жидкого комплексного гуминового удобрения
KR19990037793A (ko) 폐기물을이용한발효사료제조방법
KR20000000437A (ko) 가축용 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PL241559B1 (pl) Biopreparat stymulujący wzrost roślin
JPH08277188A (ja) 有機物醗酵促進剤とその製造方法
KR20000024410A (ko) 재(灰)와 인분을 주재로 한 활성 무기질 비료
KR20000054326A (ko) 양식장 오염 퇴적물의 살균화 방법을 이용한 유기질비료제조방법
KR970007560B1 (ko) 인분주재 비료 제조방법
KR960013279B1 (ko) 중란 및 중체용 양계 경제사료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