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642B1 - 활성 무기질 비료(活性無機質肥料) - Google Patents

활성 무기질 비료(活性無機質肥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642B1
KR870000642B1 KR1019810004706A KR810004706A KR870000642B1 KR 870000642 B1 KR870000642 B1 KR 870000642B1 KR 1019810004706 A KR1019810004706 A KR 1019810004706A KR 810004706 A KR810004706 A KR 810004706A KR 870000642 B1 KR870000642 B1 KR 870000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fertilizer
inorganic
nutrients
inorganic ferti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4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7470A (ko
Inventor
김근태
류재만
Original Assignee
김근태
류재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태, 류재만 filed Critical 김근태
Priority to KR1019810004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0642B1/ko
Publication of KR830007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7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6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1/00Mixtures of fertilisers belonging individually to different subclasses of C05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ertilizer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활성 무기질 비료(活性無機質肥料)
본 발명은 식물(植物) 종자의 발아에서부터 결실을 거둘 때까지 왕성한 성장력을 유지하도록 하고, 이렇게 기른 식물은 인간이 먹는 음식물로서 종래의 것보다 풍부한 무기질 영양소를 함유한 영양식물(營養食物)이 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연구하여 완성한 활성 무기식물 비교에 관한 발명이다.
본질적으로 인간이나 식물은 성장과 생명을 유지하는데 있어서는 다같이 다양한 영양성분들이 풍족하게 공급되어야 하며, 식용식물은 특히 무기질 영양분은 식물의 종류에 무관하게 비슷한 것이 필요로 되며 그 공급과정은 대자연의 순환계통에 의하여 토양중의 무기물질을 식물이 흡수 성장한 것을 인간이 음식물로 섭취하거나, 가축사료로 먹인 다음 성장한 가축을 인간이 요리하여 음식물로 섭취함으로서 섭취되는 것이 자연순환계통도에 기준을 둔 통례이다.
따라서 식물의 식생학적(食生學的) 환경조건 중에서 영양비료로서는 인간에게 필수적인 무기영양성분이 충분하되 불필요한 유해무기물질이 함유되지 않은 것을 공급하여서 식물이 왕성한 성장을 할 수 있게 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게 된다.
최근에 음식물의 과학화 붐이 조성됨에 따라서 중금속 등의 불순물이 오염된 하천 매립지나 강변등에서 채소를 비롯한 음식물용 식물재배를 금지시키는 것과 같은 관청의 조치는 무기식물 비료의 성분에 순수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음을 쉽게 알 수 있게 하는 예인 것이다.
종래부터 식물이 자연환경 조건에서의 자연상태 그대로 성장하는 것을 수집하며, 질소, 인산, 칼륨 등의 필수적인 비료 성분만을 집중적으로 시비해 줌으로서 토양이 산성화로 배지기능의 퇴화를 촉진하고, 토양 중의 미생물 생존량이 많지 못하여 비료효과가 있는 위기물질 생성량이 적고 지력이 약화되어 식물재배조건이 나빠지는 애로가 발생하고 있으며 무기물질 함유량의 조화가 깨어져서 식물의 성장이 나빠지고 그 성분이 결핍되어 있는 것을 수확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었고 이러한 현상은 무기물질의 성분이 토양중에 있다고 해도 성상(成狀)이 이온화되기 어려운 사질토(沙質土)와 같이 여러 종류의 무기질 성분이 없거나 있다 해도 불활성 상태로 있을 때에는 식물의 흡수성장이 불량한 현상이 일어나는 것임은 이 분야의 전문지식자는 상식화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서 토양의 비효(肥效) 유지력을 증가시켜 주고 무기질 영양분의 공급상태가 양호한 효과를 갖는 성상으로 된 활성체(活性體)로서 무수한 흡착성이 있는 모세공을 지니며 수분과 접촉하여 이온화가 잘 되어서 식물의 무기질 영양분으로서의 작용이 쉽게 되는 활성무기식물 비료에 관한 발명으로서 국내 화산맥지내에서 산출되는 수많은 종류의 미량원소를 함유하는 비석(沸石) 계통의 석영반암성분으로서 국내의 충청도 지역등에서 간헐적으로 산출되는 별명 양기석(陽起石), 경주, 포항, 구룡포, 괴산, 제조지역과 일본 동북부지방 등에서 간헐적으로 산출되는 별명 태양석(太陽石, 일명 日光石)과 일본 동북부지방 등에서 간헐적으로 산출되는 별명 성덕석(聖德石) 등 염기치환능력이 큰 비석계통의 천연무기질 70-90%와 본원 발명자 출원인의 권리인 한국발명특허 제16025호 "생리적 흡수성이 큰 무기식물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칼슘과 인이 주성분인 것으로서 가축동물과 어류동물을 골격만을 원료로 하는 골분 10-30%를 별도 분리하여 각각 열처리하거나 서로 혼합하여 1000℃ 이상에서 30분 이상 열처리하여 결정수가 없어지게 소정한 후 200메쉬 이상의 분말로 만들어 이것을 활성무기질 비료로 하는 것이다.
이렇게 만든 무기식물 영양제는 토양시비, 엽면시비, 수경재배용 비료로서 식물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사용함은 물론 본 무기질 비료 84.5-89.9%에 별도로 70-80농도%의 알코올 1.0-1.5%에 분해성 식물 성장제인 헥사메틸렌 디아민(HEXAMETHYLEN DIAMINE), 트리토판(TRYPTOPHANE), 오옥신(ANXZN), 스카톨(SKATOLE) 등의 공지의 식물성장 영양제 0.1-0.5%(과잉시에는 역효과가 남)를 식물에 따라 선택적으로 용해한 것을 상기 무기질 비료에 흡착시켜서 제조한 것을 식물종자의 발아수의 첨가물로 사용하는 것을 비롯하여 토양중에 시비식 및 살포식으로 사용하거나 퇴비나 기존의 화학비료의 첨가복합재로서 사용하여 수확을 늘리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비석계 석영반암성분과 동물골분의 성분표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양 기 석 (%)
Figure kpo00001
상기 표는 홍성지역에서 산출된 것을 한국동력자원연구소에서 분석한 것임.
산출 위치에 따라 성분비에 조금 변화가 있음.
태 양 석 (%)
Figure kpo00002
상기 표는 일본 국립위생시험소에서 분석한 것으로서 일본
Figure kpo00003
에서 발행한 奇跡文藥百책 194면에 기재된 것임.
한국 구룡포에서 산출된 것도 비슷한 숫자임.
성 덕 석 (%)
Figure kpo00004
상기 표는 일본 생활과학연구소에서 발행한 萬能藥の桃戰에 일본 국립위생시험소에서 분석한 것을 기재한 것임.
한국 구룡포, 괴산 등에서 조금 산출됨.
우 골 분 (%)
Figure kpo00005
상기 표는 일본 주식회사 슈퍼그린(ヌ一ハ一クリ一ン)사에서 밝힌 것임.
고래골분 (%)
Figure kpo00006
상기 표는 소재를 1000℃ 이상에서 소성하여 한국 동력자원연구소에서 분석한 것임.
상기 표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비석계 석영반암도 종류, 산출지에 따라서 무기질 성분비가 다르고 동물의 골분 또는 종류 성장환경, 먹이에 따라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더욱이 중요한 사실은 이들 성분의 무기질들은 자연 그대로 수집시에는 그 입자 자체가 다공질의 것이라 해도 불활성체가 대부분이어서 이온화되어 물에 쉽게 용출되기 어려운 상태인 바, 무기식물 영양제로서의 실효가 적은 결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비석계봉의 석영반암과 골분중의 결정수분 및 교질성 유기물질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1000℃ 이상의 용융되기 이전의 온도에서 완전소성함으로서 분자 내지 원자간 거리를 최대한 벌려서 활성체로 만들며 수분과는 수산기(OH-)를 띄는 약염기성 이온상태로 되어서 식물이 흡수하기 쉬운 상태로 되며 무기영양제 자체에 모세공이 발달하여서 제조과정상에서 유기영양제의 물리적 흡착이 잘 되며 다른 비료성분이나 토양과도 흡착고정이 잘되어 비료효과를 지속함과 동시에 지력을 증가하고 식물에 흡수되는 것 외에 식물의 성장자극작용 등의 효과가 있게 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식물의 무기비료 성분원소에 메카니즘에 대해서는 1955 일본 양현당(養賢堂) 발행의 식물의 영양이란 전문책자 등에 구체적으로 구술되어 있고 한국에서도 제4종 복합비료 및 기타 비료에서 인정하고 있는 원소성분 물질인 것이다.
그러나 이들 문헌과 극정에서는 무기 영양제의 소재나 그 가공 및 비료효과를 강화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아서 본 발명에 도움을 받지 못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여건하에서 식물과 동물 및 인체가 요구하는 무기질 성분을 주요소로 하는 무기질 성분의 영양제의 비료효과를 강화하는데 주목적을 두고 연구 발명한 것으로서 비석계 석영반암 성분 원료에 골분을 혼합하는 것은 식물의 생육에도 막대한 영양을 미칠 뿐만 아니라 식물을 음식물로 먹는 인체의 성장과 건강유지에 식물(食物)로서 중요한 영양소 역할을 하는 칼슘과 인, 마그네슘, 철 등의 성분이 주성분인 바, 이를 보강해 주는 것이며 이렇게 특수가공되어 활성화된 무기식물 비료는 각종 무기성분 영양분이 골고루 함유되어 있어서 이들 성분을 풍부하게 공급해 주는 역활을 담당하게 하는 것으로서 자체 성분의 평균 수소이온농도(P.H)는 7.7-10.4 사이로 조성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서 토양의 산성상태를 중화하고 또한 방지해 주는 효과도 있는 것으로서 토양조건, 식물의 종류에 따라서 유기질 영양제의 선택과 혼합비율을 적의하게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한편 알코올을 사용하는 것은 물에는 잘 용해되지 않는 분해성 식물 영양제인 헥사메틸렌 디아딘, 트리토판, 오옥신, 스카롤 등 공지의 것을 각각의 물에 완전히 용해 혼합되게 하고, 비석계 석영반암과 골분으로 된 무기질 영양성분에 쉽게 흡착 고정되게 하며 이때 무기질 영양성분의 P.H 7.7-10.4의 염기(OH-)의 작용으로 더욱 쉽게 흡착 고정되고 이것은 다시 토양이나 식물에 시비되었을 때 알코올 고유의 큰삼투압 작용으로 영양분이 식물에 확산 침투공급되어 조속하고 강력한 영양공급작용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분해성 영양제는 인공으로 제조하거나 동물의 배설물 특히 발효된 먹이를 주식으로 하는 토룡(土龍)의 배설물과 체액에서 대량 분리해 낼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참고할 사항은 분해성 식물 영양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서 제시한 것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이며 다만 이것들이 임상적인 실험에서 완제품으로 보존 중, 시비후 무기질 비료가 수분과의 결합에 의하여 굳어지는 현상이 없이 안전성이 좋았다는 점을 들어 열거한 것으로서 이것들을 용해한 것을 무기질 비료에 흡착시켜서 상호 중화 및 분해, 결합 등에 화학반응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제조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
제1공정 : 비석계 석연반암의 가공
양기석, 태양석, 성덕성 등 천연으로 비석계통의 석연반암 분말을 직경 5센치미터 이하로 분쇄한 것을 1000℃ 이상에서 30분 이상 소성하여 결정수분을 탈수 제거시키고 동시에 쉽게 미분화 및 물과 수화반응으로 이온화되는 활성체가 되게 한 다음 200메쉬 이상으로 미분쇄하여 700kg을 준비한다.
제2공정 : 골분의 가공
가축 및 해중동물에서 수집한 무기물 주성분의 골분(패류껍질을 포함함)을 한국발명특허 제16025호 생리적 흡수성이 큰 무기식물 영양제의 제조방법과 같이 1000℃ 이상에서 30분 이상 소성하여 유기물질을 소각제거하고 활성체로 되게 한 것을 200메쉬 이상으로 미분쇄하여 300kg을 준비한다.
제3공정 : 무기질 영양소의 혼합
제1공정에서 가공한 비석계통의 석영반암 분말 700kg과 제2공정에서 가공한 골분질 무기질 비료 원료 300kg을 혼합하여 활성무기식물 영양제로서 단독 사용할 수도 있는 1000kg의 것으로 한다.
제4공정 : 유기질 영양제의 흡착
70-80% 농도의 알코올 10kg에 유기분해성 식물 성장제인 헥사메틸렌 디아민, 트리토판, 오옥신, 스카톨 등의 분해성 식물영양제를 선택하여 1kg(0.1%)을 함유하게 혼합하여 완전 용해한 것을 제3공정에서 만든 무기질비료 1000kg에 흡착시켜서 분해성 유기질 영양제를 흡착 함유하고 있는 1011kg의 활성 무기식물 비료를 만들되 이때 혼합하면 분해되는 것은 분해되지 않는 것끼리 분리하여 무기질 비료원료에 흡착시킨 다음 혼합하여 상호간에 혼합에 의한 화학반응 손실이 없도록 한다.
제5공정 : 복합비료화 공정
제3공정에서 만든 활성무기식물 비료 단독으로 토양개발 및 무기질 영양소로서 식물재배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제4공정에서 열거한 공지에 유기식물 성장제는 이것 자체만으로도 식물재배에 도움을 주는 것이지만 이것을 제4공정에서와 같이 적의하게 각각 흡착시켜서 혼합 사용함으로서 종합적인 복합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것을 공지의 퇴비나 화학비료량에 대하여 5-30% 첨가 사용함으로서 상호 보완적인 상승비료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 비석계통의 석영반암 분말과 골분질 비료원료의 혼합비는 시비할 토양 및 작물에 따라서 다소 변화되는 것이며 사용방법은 토양중에 직접 시비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사용하기 직전에 물에 400-1000배로 희석하여 시비해 줌으로서 뿌리로부터의 흡수 및 줄기 및 엽면으로부터의 흡수 및 성장자극작용으로 비료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실시예 제3공정에서 완료한 순수한 무기비료만으로는 전, 답 300평당 500-1000kg의 시비량이면 좋고 실시예 중 제4공정 및 제5공정의 것은 시비량이 적어지며 때때로 시비하는 것이다.
이러한 무기질 비료의 비료효과는 천연의 비석계통에 석영반암 및 골분을 그대로를 각각 사용한 것보다 다용도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월등히 증가한 비료효과를 얻게 되는 획기적인 것으로서 이에 혼합 사용되는 유기식물성장 영양제의 흡착사용으로 상호 보완적인 비료효과를 얻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효한 것이다.

Claims (2)

  1. 비석계통의 석영반암 분말 70-90%와 동물골분 10-30%를 1000℃ 이상의 온도에서 30분 이상 소성하여 결정수를 제거하고 활성화한 것을 200메쉬 이상으로 미분쇄 혼합하여서 되는 활성무기질 비료.
  2. 상기 1항의 활성무기식물 비료에 헥사메틸렌 디아민, 트립토판, 오옥신, 스카톨 등의 공지된 유기질 식물 영양제를 0.1-0.5% 흡착 함유시킨 활성무기질 비료.
KR1019810004706A 1981-12-03 1981-12-03 활성 무기질 비료(活性無機質肥料) KR870000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4706A KR870000642B1 (ko) 1981-12-03 1981-12-03 활성 무기질 비료(活性無機質肥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4706A KR870000642B1 (ko) 1981-12-03 1981-12-03 활성 무기질 비료(活性無機質肥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7470A KR830007470A (ko) 1983-10-21
KR870000642B1 true KR870000642B1 (ko) 1987-04-03

Family

ID=19222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4706A KR870000642B1 (ko) 1981-12-03 1981-12-03 활성 무기질 비료(活性無機質肥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064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7470A (ko) 1983-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8387B1 (ko) 미생물공정을 이용한 비료 가용화에 의한 발효비료 및 그의제조방법
CN102653680A (zh) 一种土壤用重金属处理剂
CN106318395A (zh) 一种酸性土壤调理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5272720B (zh) 可修复土壤、降低作物镉吸收的复合肥及其应用
CN103958444A (zh) 流体离子化组合物、其制备方法和用途
CN104119162B (zh) 粉煤灰压缩营养土的生产方法
KR100643047B1 (ko) 미네랄을 다량 포함하는 활성용액의 제조방법
CN106699443A (zh) 一种促进含硒旱地土壤中硒活化的调理剂
CN1315757C (zh) 生物有机全料肥
KR100755779B1 (ko) 천연광물만으로 제공되는 토양개량제 및 그 이용방법
CN109928838A (zh) 迷迭香专用有机无机复混肥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3800973A (zh) 一种适用于酸性农田的土壤调理剂及其制备方法
JPH09268089A (ja) 微生物資材の製造法
DE4137171C2 (ko)
EA026899B1 (ru) Удобрительно-мелиорирующее средство
KR870000642B1 (ko) 활성 무기질 비료(活性無機質肥料)
Kłeczek et al. Humic substances and significance of their application–a review
CN108774631B (zh) 一种岩激酶的制备方法
KR100726345B1 (ko) 석영섬록영암 화산석을 이용한 친환경 부산물 비료퇴비
US2951755A (en) Fertilizers and method of making same
PL116223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ubsoil for plant growing
RU2174971C1 (ru) Комплексное органоминеральное удобрение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KR101479142B1 (ko) 친환경 토양 개량제 및 그 제조 방법
JPH01133992A (ja) 重金属吸収抑制性肥料組成物
RU2529174C1 (ru) Способ компостирования послеуборочных растительных остатков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культу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