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601B1 - 픽업아암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픽업아암의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601B1
KR870000601B1 KR1019830000119A KR830000119A KR870000601B1 KR 870000601 B1 KR870000601 B1 KR 870000601B1 KR 1019830000119 A KR1019830000119 A KR 1019830000119A KR 830000119 A KR830000119 A KR 830000119A KR 870000601 B1 KR870000601 B1 KR 870000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pick
terminal
level
driv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0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3517A (ko
Inventor
다까시 기꾸찌
신야 다까하시
마사오 오노
도시오 히라노
아쓰오 이께다
구니오 아베
Original Assignee
파이오니아 가부시끼가이샤
마쓰모노 세이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이오니아 가부시끼가이샤, 마쓰모노 세이야 filed Critical 파이오니아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3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3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00Recording by mechanical cutting, deforming or pressing, e.g. of grooves or pits; Reproducing by mechanical sensing;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3/02Arrangements of heads
    • G11B3/08Raising, lowering, traversing otherwise than for transducing, arresting, or holding-up heads against record carriers
    • G11B3/095Raising, lowering, traversing otherwise than for transducing, arresting, or holding-up heads against record carriers for repeating a part of the record; for beginning or stopping at a desired point of the recor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00Recording by mechanical cutting, deforming or pressing, e.g. of grooves or pits; Reproducing by mechanical sensing;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3/02Arrangements of heads
    • G11B3/08Raising, lowering, traversing otherwise than for transducing, arresting, or holding-up heads against record carriers
    • G11B3/085Raising, lowering, traversing otherwise than for transducing, arresting, or holding-up heads against record carriers using automatic means

Landscapes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픽업아암의 구동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레코오드플레이어를 표시한 개략사시로서 (a)는 닫힌상태, (b)는 열린상태를 각각 표시하며,
제2도는 픽업아암의 동작영역을 표시한 평면도.
제3도 및 제4도는 픽업아암의 구동기구를 표시한 개략평면도 및 조립전의 각부의 사시도.
제5도는 픽업플레이트와 번지센서부와의 위치 관계를 표시한 평면도.
제6도는 픽업아암 어셈블리를 표시한 개략사시도.
제7도는 헤드 셀부(head cell部)를 표시한 개략사시도.
제8도는 곡간(曲間)센서와 곡간과의 위치관계를 표시한도.
제 9 도는 곡간에 있어서의 곡간센서의 출력특성을 표시한도.
제10도는 제어부의 1예를 표시한 블록도.
제11도는 제10도의 일부분의 구체예를 표시한 회로도.
제12도는 곡간센서부의 구체예를 표시한 회로도.
제13도는 제12도에 있어서의 각부의 파형도.
제14도는 DD 구동계(19)의 구체예를 표시한 회로도.
제15도는 밴드서어보에 있어서의 곡간과 밴드서어보신호와의 관계를 표시한도.
제16도는 번지센서부의 구체예를 표시한 회로도.
제17도는 제16도에 있어서의 각센서 출력을 표시한 타이밍챠아트도.
제 18a,b도는 프로그램 연주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챠아트도.
제19도는 사이즈판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아트도.
제20도는 곡간검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아트도.
제21a,b도는 수동연주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챠아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픽업아암 7 : 메카(mecha.) 구동계
19 : DD 구동계
본 발명은 픽업아암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픽업아암(pickup arm)을 동작 모우드에 따라 양호하게 구동제어할 수 있는 픽업아암의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픽업아암의 구동장치는 픽업아암을 기계적으로 구동하는 제1의 구동계(系)와 픽업아암을 전자력에 의해서 직접 구동하는 제2의 구동계를 구비하고 동작모우드 또는 픽업아암의 이동위치에 따라서 제1및 제2의 구동계의 어느 한쪽을 선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레코오드 플레이어를 표시한 개략사시도이며, (a)는 닫힌(close) 상태, (b)는 열린(open) 상태를 각각 표시하고 있다.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레코오드 플레이어(1)는 본체 전방에서 디스크(도시하지 않음)를 세트할 수 있는 이른바 프런트 로우딩(front loading)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본체 전면의 조작부(2)에 설치된 개(open)/폐(close)키이(2a)를 압압하므로써 회전반(3)을 탑재한 슬라이드 베이스(4)가 전진하여 본체 전방으로 돌출하고(열린상태)이 열린상태에서 회전반(2a) 위에 디스크를 올려놓은 후 다시 개/폐 키이(4)를 압압하므로써 슬라이드 베이스(a)가 후퇴하여 닫힌 상태로 되어 디스크가 세트되는 것이다. 또 닫힌 상태(a)에서는 프로그램 선곡에 의한 완전자동연주가 가능하며 열린상태(b)에서는 수동조작에 의한 연주가 가능하다. 그리고 본체전면에 설치되어야 할 도어(door)를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 도어도 개/폐 동작시 슬라이드 베이스(4)에 연동하여 개폐동작을 한다.
픽업아암(5)은 슬라이드 베이스(4)의 폭을 축소하고 또한 디스크의 회전반(3) 위로의 세트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슬라이드 베이스(4)의 후단부에 위치하고 이 위치를 휴지(休止) 위치로 하고 있다. 이 픽업아암(5)은 제2도에 표시한 영역(X)을 연주영역으로 하고 있으며 휴지위치(A)로부터 디스크(6) 상방을 연주시의 추적방향(T)과 역방향(L)으로 회동하므로써 리이드인 동작을 하고 30cm LP판의 외연에서 약간 외측의 위치(B)에 달한 후 미리 지정된 곡간(曲間) 위로 향하여 T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이다.
픽업아암(5)은 휴지위치(A)로부터 휴지위치(B)까지의 회동범위를 2개의 구동계 즉 픽업아암(5)을 기계적으로 구동하는 제1의 구동계(이하 메카구동계라고 칭한다)
플레이어 광체(管體)측에는 아암스토퍼(1a)가, 슬라이드베이스(4)측에는 아암스토퍼(4a)가 설치되어 있고 슬라이드베이스(4)가 광체내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픽업아암(5)은 아암스토퍼(1a)에 맞닿아 있다(레스트인) 이때 후술하는(제3도에 있어서) 바와 같이 픽업플레이트(27)와 마그넷호울더(28)와의 사이에 스프링(30)이 끼어져 있기 때문에 픽업플레이트(27)에 고정되고 또한 메카구동계(7)에 의해 구동되는 핀부재(12)는 스프링(30)의 부세력에 버티면서 확실히 미는 상태로 대기한다. 그리하여 슬라이드 베이스(4)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아암스토퍼(1a)와 픽업아암(5)이 이간하기 때문에 핀부재(12)의 확실히 미는 것이 해제로 되어 픽업아암(5)은 아암스토퍼(4a)에 접촉할 때까지 후방으로 회동한다.
이와 같이 하므로써 디스크의 착탈시에 픽업아암(5)이 방해가 되지 않는 동시에 수납시의 스페이스요인이 향상한다.
제3도 및 제4도는 픽업아암의 구동기구를 표시한 개략평면도 및 조립전의 각부의 사시도이다. 제3도 및 제4도에 있어서 메카구동계(7)는 외주에 기어를 가지며 픽업아암(5)의 회전중심축과 동축적 또는 동심상으로 설치된 회전자유로 된 회전부재(8)와 구동원인 회전모우터(9)와 기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회전모우터(9)의 구동력을 회전부재(8)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0)와 회전부재(8) 위에 설치된 래치기구(11)를 구비하고 래치기구(11)가 픽업아암(5)과 연동하는 핀부재(12)에 회전부재(8)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계합하므로써 픽업아암(5)을 휴지위치(A)로부터 디스크 중심근방
한편 DD 구동계(19)는 예컨데 픽업아암측에 설치된 가동 마그넷과 아암스탠드측에 설치된 고정코일을 포함하고 대략 디스크 중심위치(D)로부터 30cm LP판의 외연에서 약간 외측의 위치(B)까지의 제2의 회동범위에서 픽업아암(5)을 구동한다. 가동마그넷(20)은 아암스탠드(21)의 베어링(22)에 의해 회전자유로 지지된 픽업아암(5)의 회전축(도시하지 않음)에 요우크(23)와 서로 소정간격만큼 떨어져서 대향하도록 고정되어 있으며, 원주방향으로 상이된 자극이 후술하는 구동코일 및 속도검출코일에 대응하여 교호로 늘어서게 두께방향으로 착자(着磁)되어 있다. 한편 마그넷(20)과 요우크(23)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기판(24)이 아암스탠드(21)에 부착되어 있고 이 기판(24)에는 마그넷(20)과 협동하여 픽업아암(5)을 전자력에 의해서 회전구동하는 1쌍의 구동코일(25a, 25b) 및 픽업아암(5)의 회동속도를 검출하는 속도검출코일(26)
마그넷(20)의 예컨대 하방에는 픽업아암(5)의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픽업플레이트(27)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픽업플레이트(27)는 자체에 형성된 장공(27a)을 통하여 마그넷 호울더(28)에 계합하는 편심캠(29)에 의해 픽업아암(5)에 대한 수평면내에 있어서의 위치조정이 가능하게 마그넷 호울더(28)에 부착되고 픽업아암(5)과 일체로 회동한다.
픽업플레이트(27)와 마그넷호울더(28)와의 사이에는 스프링(30)이 끼워있고 또 픽업플레이트(27)에는 앞서 설명한 핀부재(12)가 고정되어 있다.
픽업플레이트(27)에는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픽업아암(5)의 회동위치에 대응한 어드레스 설정을 가능케 하도록 다수의 슬릿으로 된 슬릿부(3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픽업아암(5)이 제2의 회동범위(제3도의 위치 D-B)에 있을때 픽업플
A, B센서(32a, 32b)는 픽업아암(5)의 바늘 끝 위치를 번지 대응으로 항상 감시하기 위한 것이며 번지 B센서가 번지 A센서보다 위상이 90°전진하고 있다. 또한 픽업플레이트(27)의 셔터부(33)의 회동궤적상에 위치하여 픽업아암(5)의 DD 에리오(제 3도의 위치 D-B)를 검출하는 DD 에리어센서(34) 및 엔드에리어를 검출하는 엔드에리어센서(35)가 설치되어 있다. DD 에리어센서(34)의 출력에 의해 리이드인 동작시의 메카구동계(7)로부터 DD 구동계(19)로의 절환을 한다.
엔드에리어센서(35)의 출력에 의해 프로그램연주, 통상의 완전자동연주, 수동연주시에 있어서 번지 A, 번지 B센서의 각출력에 의거한 엔드검출을 가능케 한다.
이들센서(32a, 32b, 34 및 35)는 픽업플레이트(27)를 끼고 대향하도록 설치된 발광 및 수광소자로 이루어지고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아암스탠드(21)에 부착되는 호울더(36)에 수납되어 있다.
제3도 및 제4도에 있어서 메카구동계(7)의 회전부재(8) 위에는 픽업아암(5)의 엘리베이션캠(37)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션캠(37) 위에는 아암스탠드(21)에 의해 상하동 자유로 지지된 엘리베이션축(38)의 일단이 맞닿아 있으며, 이 엘리베이션축(38)의 타단은 픽업아암(5)을 담지(擔持)하는 엘리베이션 플레이트(39)에 고정되어 있다. 아암스탠드(21)와 엘리베이션 축(38)의 일단과의 사이에는 스프링(50)이 끼어 있어서 엘리베이션 축(38)을 하방향으로 부세하고 있다. 메카구동계(7)를 탑재한 메카샤시(41) 위에는 엘리베이션 동작에 의한 픽업아암(5)의 상승완
이들 스위치는 회전부재(38)의 외주에 설치된 캠부(8a)에 의해 압압되므로써 작동한다. 상승완료 검지스위치(42)는 리이드인 동작시에 있어서 픽업아암(5)의 상승동작에 의한 강하 개시직전 위치의 검지에도 겸용되고 있다.
즉 리이드인 동작시에 픽업아암(5)의 구동동작을 종료한 후의 제2의 회동범위에서 DD 구동계(19)에 의한 픽업아암(5)의 회동보다 선행하는 메카구동계(7)를 상승완료검지스위치(42)의 출력에 응답하여 상승동작을 하는 최종행정(行程)의 직전에서 대기시키는 것이다. 메카구동계(7)의 회전부재(8)는 픽업아암(5)이 소망의 곡간상에 달한 시점에서 발해지는 강하지령에 응답하여 픽업아암(5)을 강하시키도록 재차회전을 개시한다.
제6도에는 앞에서 설명한 DD 구동계(19) 및 픽업플레이트(27)를 포함한 픽업아암 어셈블리의 개략사시도가 표시되어 있으며 픽업아암(5)의 선단에 부착된 헤드셀(45)은 레코오드판의 음홈과 곡간의 반사율이 상이한 것을 이용하여 곡간과 음홈을 판별하기 위한 곡간센서(46)를 그와 선단부에 구비하고 있다. 곡간센서(46)는 제 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카아트리지(47)의 바늘 끝(48)을 포함한 수직면내에 위치하는 발광다이오우드 등의 단일의 발광소자(49)를 공통광원으로 하고 있으며 이 발광소자(49)와 이 수직면에 관하여 대칭으로 되도록 픽업아암(5)의 회동방향에 따라서 배열된 포토 트랜지스터 등의 2개의 수광소자(50a, 50b)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급적 바늘 끝(48)의 근방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광소자(50a)는 제8도에 표시한 바와
그리하여 수광소자(50a, 50b)는 디스크(6)의 곡간(6a)에 있어서 각각 제9도에 있어서의 (a) 및 (b)에 표시한 바와 같은 출력을 발생하고 카아트리지(47)의 바늘끝(48)이 곡간 중심 위에 위치한 경우에는 출력(a) 및 (b)는 곡간중심에 대하여 제 9도에 표시된 관계로 된다.
제10도는 제어부의 1예를 표시한 블록도, 제11도는 제10도의 일부분의 구체예를 표시한 회로도이다. 제10도 및 제11도에 있어서 51은 각 블록의 전부를 집중하여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기이며 예컨대 4비트와 마이크로 컴퓨우터로 되어 있다. 이 시스템 제어기(51)에는 조작부(2)로부터의 각종지령신호, 스위치부(52)로부터의 시스템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신호, 번지센서부(53)로부터의 어드레스 신호 및 곡간센서부(54)로부터의 곡간신호등이 인가된다. 이들의 신호에 응답하여 시스템제어기(51)는 DD 구동계(79) 및 데크싱크로회로(58) 등에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조작부(2)에는 프로그램을 선곡하기 위한 모든 조작키이, 각종의 동작을 지령하기 위한 지령키이 및 이들 키이의 작동을 표시하기 위한 발광다이오우드가 집중해서 설치되어 있다.
아암구동부(56)는 시스템 제어기(51)로부터의 제어신호 및 강하완료 검지스위
여기서 데크싱크로란 테이프데크의 리모우트(remote)의 포우즈단자에 본 시스템의 싱크로출력단자(62)를 접속하여 녹음자세 상태로 해두고 싱크로스위치(61)를 온으로 하면 플레이어가 재생중에는 데크가 녹음상태로 되고 플레이어가 상승상태 또는 아암이동중에는 데크가 포오즈 상태로 된다고 하는 기능이며 데크는 포오즈단자에 1펄스 입력될 때마다 포오즈↔녹음(포오즈 해제)를 반복하도록 되어 있다. 스위치부(52)에는 픽업아암(5)의 상승완료 및 휴지위치를 검지하기 위한 스위치(42, 44)와 함께 플레이어본체의 닫힌 상태 및 열린 상태를 검지하기 위한 스위치(63 및 64)도 설치되어 있다.
제12도는 제10도에 있어서의 곡간센서부(54)의 구체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본 도에 있어서 곡간센서(46)는 제7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일의 발광소자(49)와 2개의 수광소자(50a, 50b)로 이루어지고 수광소자(50a, 50b)는 각각 디스크(6)에서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그 수광량에 따른 출력을 발생시킨다. 2개의 센서출력은 연산증폭기(OP1, OP2)를 포함한 증폭회로(65)에서 증폭된 후 차동증폭회로(66)에 공급되고
제 13a도에 있어서 (가)는 곡간, (나)는 도입홈, (다)는 도출홈을 각각 표시하고 있다. 차동증폭회로(66)는 2개의 센서출력을 반전, 비반전 입력으로 하는 연산증폭기(OP3)를 가지며, 2개의 센서출력을 차동증폭하므로써 제13b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출력파형을 얻고 있다.
제13b도로 명백한 바와 같이 곡간에 있어서의 차동신호는 대략 S자커어브로 된다.
차동신호는 곡간 컴퍼레이터(68)를 구성하는 연산증폭기(O4P) 및 제로크로스 컴퍼레이터(69)를 구성하는 연산증폭기(OP5)의 각 비반전입력으로 된다.
연산증폭기(OP4)의 반전입력단에는 기준레벨(V TH )이 인가되어 있으며 이 기준레벨(V TH )은 감도 절환스위치(70)에 의한 감도선택에 따라서 변화하고 또한 동일감도라 하더라도 픽업아암(5)의 상승, 강하동작에 따라서도 변화한다. 이것은 상승시(up時)와 강하시(down時)로 곡간센서(46)의 수광소자(50a, 50b)의 수광광이 변화하여도 기준레벨(V TH )을 변경하므로써 곡간과 음홈의 판별을 확실하게 행하도록 되는 것으로서 픽업아암(5)의 상승동작에 따라서 스위치수단(71)이 온, 오프하므로써 기준레벨(V TH )의 절환이 행하여진다. 연산증폭기(OP4)의 출력은 곡간신호로서 시스템 제어기(51)(제11도의 단자 15)에 입력된다.
AC 증폭회로(67)는 증폭회로(65)의 한쪽의 센서출력을 콘덴서(Co)로 직류커트하고 또한 연산증폭기(OP6)로 AC 증폭한 후 서어치컴퍼레이터(90)를 구성하는 연산증폭기(OP7)의 비반전 입력단에 공급한다. 제로크로스컴퍼레이터(69)에 있어서 연산증폭기(OP5)는 고정기준전압(B2)을 반전입력으로 하고 있으며 차동증폭회로(66)에서의 차동신호의 제로크로스 포인트를 검출하여 제로크로스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서어치 컴퍼레이터(90)의 연산증폭기(OP7)는 연산증폭기(OP4)와 같은 기준레벨(V TH )을 반전입력으로 하고 있으며 AC 증폭회로(67)에서의 신호를 받아서 기준레벨(V TH )을 끊은 신호를 곡간등록허가신호로서 출력한다.
제로크로스신호 및 곡간등록허가신호는 게이트회로(72)에 입력되어 있으며 시스템 제어기(51)(제11도의 단자 2)로부터 출력되는 뮤우트신호에 의거하여 픽업아암(5)의 강하시는 제로크로스신호가, 상승시는 곡간등록허가신호가 시스템제어기(51)(제11도의 단자 14)에 입력된다.
시스템제어기(51)에 있어서는 제로크로스신호와 곡간신호에 의거하여 연주중의 곡간심의 검출이 행하여 진다.
그리고 앞에서 설명한 스위치수단(71)의 온, 오프동작은 상기 뮤우트신호에 의거하여 행하여진다.
제14도는 제10도에 있어서의 DD 구동계(19)의 구체예를 표시한 회로도이다. DD 구동계(19)는 직렬로 접속된 구동코일(25a, 25b)과, 이 구동코일에 구동전류를
수평구동회로(73)는 연산증폭기(OP8)로 된 차동증폭기(75) 및 연산증폭기(OP8)로 이루어지고 계인(1)의 인버어터(76)로 구성되고 연산증폭기(OP8)의 반전입력단에는 곡간센서부(54)로부터의 밴드서어보신호가, 비반전입력단에는 증폭회로(74)에서 증폭된 속도검출코일(26)로부터의 속도서어보신호가 인가되고 양자의 기준전압에 대한 차를 증폭하여 구동코일(25a, 25b)에 전류를 공급하므로써 속도제어하면서 픽업아암(5)을 구동한다. 밴드서어보신호와 속도서어보신호는 각각 시스템 제어기(51)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온, 오프 동작하는 스위치수단(77, 78)에 의해 차동증폭기(75)에 필요에 따라 공급한다. 증폭회로(74)는 연산증폭기(OP10)를 가지며 픽업아암(5)의 회전속도에 따른 속도검출코일(26)의 미소발전량을 증폭하여 수평구동회로(73)에 속도서어보신호로서 출력하는 것이다. 증폭회로(74)에 있어서 VR1은 오프셋조정을 위한 볼륨이다.
여기서 밴드서어보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곡간센서부(54)에 있어서의 차동증폭회로(66)의 차동출력은 제13b도에 따라 설명한 바와 같이 곡간에 대하여 제15도와 같은 S자 커어브특성을 나타내고 이 차동출력이 밴드서어보신호로 된다. 지금 바늘 끝(48)이 곡간중심에 대하여 X[mm] 외주로 이동하였다고 하면 V[v]의 밴드서어보신호가 발생한다.
이 신호에 따라서 수평구동회로(73)에서 구동코일(25a, 25b)에 전류가 공급되고, 바늘 끝(48)은 내주방향으로 곡간의 중심위로 올때까지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항상 바늘 끝(48)을 곡간 중심 위로 위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밴드서어보라고 말한다. 밴드서어보동작은 프로그램연주시 픽엄아암(5)이 곡간 위로 달하였을 때에 개시하고 강하 와료시에 종료하도록 제어된다.
픽업아암(5)을 조작부(2)에서의 스타아트, 스톱 등의 지령 및 기타의 프로그램플레이에 의거하여 시스템제어기(51)에 의해 조작할 경우는 구동전압발생회로(79)(제 11도)에서 발생되는 구동전압을 연산증폭기(OP8)의 반전입력단에 인가하고 구동 전압발생회로(79)에 있어서 시스템제어기(51)의 단자(26, 27 및 28)로부터 출력되는 고속, 내주방향 및 외주방향의 구동을 나타내는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기준전압에 대한 구동전압의 치 및 극성을 바꾸므로써 픽업아암(5)의 이동속도 및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제14도에 있어서 구동코일(25b)에는 캔설코일(80)이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또한 속도검출코일(26)과 직렬접속되어 있다. 이 캔설코일(80)은 구동코일(25a, 25b)에 의해서 발생하는 노이즈성분을 캔설하므로써 속도검출코일(26)의 출력의 S/N을 올려 속도서어보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구동코일(25a, 25b)에 픽업아암(5)을 구동하기 위하여 전류를 흘리면 이 전류에 의해 자속이 발생하여 속도검출코일(26)에 교류가 흘러 노이즈성분으로 되지만 캔설코일(80)을 속도검출코일(26)과 직렬로 설치하므로써 교류성분을 캔설할 수 있는2 2
제16도는 제10도에 있어서의 어드레스센서부(53)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며 4개의 발광다이오우드를 가지는 발광부(53A) 및 이들 발광다이오우드와 대향배치된 4개의 포토트랜지스터를 가지는 수광부(53B)에 의하여 번지 A, B센서(32a, 32b), DD 에리어센서(34) 및 엔드에리어센서(35)가 구성되어 있고, 발광부(53A)와 수광부(53B)의 간극을 픽업아암(5)과 연동하는 픽업플레이트(27)가 회동한다. 수광부(53B)로부터의 각 출력은 파형정형회로(81)를 구성하는 인버어터(82-85)로 파형정형되고, 픽업아암(5)의 리이드인 동작시에 디스크(6)에 대하여 제 17 도에 표시한 타이밍으로 출력된다.
엔드에리어신호(a)는 시스템제어기(51)의 단자(10)에 번지 A신호(b)는 단자(12)에, 번지 b신호(c)는 단자(13)에, DD 에리어신호(d)는 단자(11)에 각각 인가된다.
각 센서의 역할은 제5도에서 설명한 대로이다.
다음에 상술한 구성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30cm LP판의 3곡목→1곡목 지정에 의한 프로그램 연주시의 동작을 제 18a도 및 제18b도의 타이밍차아트에 의거 설명한다.
이미 디스크(6)가 세트되고 플레이어 본체가 닫힌상태, 픽업아암(5)이 휴지위치에 있다고 한다. 프로그램세트하는 경우, 시점 t1에서 전원을 투입한 후 조작부(2)의
다음에 선곡키이 「1」을 온으로 하면, LED「1」(V)이 마찬가지로 점등한다. 프로그램세트미스한 경우는 스톱키이를 온으로 하므로써 프로그램이 지어지므로 다시 세트하면 된다. 프로그램세트 완료후 시점 t2에서 스타아트키이를 온으로 하면 시스템 제어기(51)의 단자(8(h))가 L 레벨로 되고 메카구동계(7)의 회전모우터(9(j))가 아암리이드인 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하여 자동리이드인을 개시한다. 이때 LED(스타아트(w))가 점등해서 자동리이드인 개시를 나타내는 동시에 휴지위치 검지스위치(44(a))가 반전한다.
픽업아암(5)이 리이드인을 속행하고, 바늘 끝(48)이 센터스핀들 부근(디스크 중심근방)에 도래한 시점 t3에서 DD 에리어센서(34)의 출력(0)이 시스템제어기(51)의 단자(11)에 H 레벨로 입력되고 이에 응답해서 단자(26(k) 및 28(m))가 각각 L 레벨로 되어 DD 구동계(19)를 동작시키고 여기에서 DD 구동범위에 들어간다. 구동범위에 들어간 후 메카구동계(7)의 래치가 해제되고 이 시점에서 픽업아암(5)의 구동계가 메카구동계(7)에서 DD 구동계(19)로 바꿔진다.
메카구동계(7)는 래치해제후도 DD 구동계(19)보다 선행해서 리이드인 방향으로 동작을 속행하고 회전부재(8)의 캠부(8a)가 상승완료검지스위치(42)를 오프로하고, 이 스위치(42)의 출력(f)이 H 레벨로 단자(39)에 입력되고, 이에 응답해서 단자(8(h))가 H 레벨, 단자(9(j))가 L 레벨로 바뀌고 회전모우터(9(j))를 리이드아우
DD 구동계(19)에 의한 고속에서의 리이드인동작이 속행하는 동시에 시스템 제어기(51)에 있어서는 시점에서 단자(12 및 13)에 입력시키는 번지 A센서(32a)(p) 및 B센서(32b)(q)로부터의 펄스신호에 의거 번지카운트가 개시되고, 소정번지에 달한 시점 t4에서 곡간(曲間) 등록하도록 서어치가 개시된다.
그리고 픽업아암(5)의 상승시(서어치시)에 곡간 센서부(54)로부터 단자(14)에 입력되고 곡간등록허가신호(r)에 응답해서 단자(15)에 입력되는 곡간신호(S)를 취입하고, 디스크 최 내주의 곡간에서부터 순차로 번지등록한다.
픽업아암(5)이 30cm LP판의 외연에서 외측의 서어치 종료번지에 달한 시점 t5에서 최종적인 디스크의 사이즈판정이 행해진다.
사이즈판정은, 미리 17cm, 25cm 및 30cm의 디스크 사이즈에 대응한 강하위치를 표시하는 번지에 이를테면 3을 가한치와 곡간등록된 최종등록곡(최외주의곡)의 번지를 서어치시에 제19도의 플로우차아트에 나타내는 것처럼 순차로 비교하므로써 행하여지고 최종등록곡의 번지
Figure kpo00002
강하 위치번지 +3이라는 관계가 성립하면 그때의 강하 위치에서 실제의 디스크 사이즈가 판정된다. 또 서어치시에 곡간등록된 최종등록곡 부근의 명곡의 번지와 사이즈 판정으로 결정한 강하번지 -5(강하 위치의 앞쪽 5번지)의 치를 비교하고 최종등록곡 부근의 명곡의 번지
Figure kpo00003
강하번지 -5의 관계가 성립하면, 그
사이즈 판정종료후, 시스템제어기(51)의 단자(27(1))가 L 레벨, 단자(28(m))가 H 레벨로 되고 (단자 26은 L 레벨인채), DD 구동계(19)의 구동방향을 발전시키고 이로써 픽업아암(5)은 최초의 프로그램곡인 3곡목으로 향하여 고속으로 이동하고 3곡목의 곡간검출동작으로 들어간다.
이때(시점 t5), 동시에 단자(4(d))가 L 레벨로 되고, 포노모우터(55)를 기동시키고 회전반(3(e))을 회전시킨다. 또 점동상태에 있던 LED「3」(u)는 시점(t5)으로부터 3곡목의 연주가 종료하기까지 점멸을 반복한다. 곡간검출 동작을 제20도의 플로우차아트에 따라 설명하면 디스크 내주방향으로 고속으로 이동하는 픽업아암(5)의 바늘 끝(48)이 3곡목의 등록번지의 이를테면 4번지 앞쪽(등록번지 +4)에 도래하면(시점 t5), 단자(K)가 H 레벨이 되고, 아암의 이동속도는 저속으로 된다.
그리고 저속구동상태로 3곡목의 앞쪽에서 곡간의 검출이 행해지고, 곡간 센서부(54)로부터의 곡간신호(S)가 단자(15)에 입력되면, 시스템제어기(51)는 그 펄스의 입상(시점 t7)을 포착하여 단자(27(1))를 H 레벨로 하여 DD 구동계(19)를 정지시키는 동시에 그때까지 점등해 있던 LED(「스타아트」(w) 및「업」(y))를 소등한다. 동시에 단자(8(h))를 L 레벨로 하여 그때까지 대기상태에 있는 메카구동계(7)의 회전모우터(9(j))를 동작시켜서 상승강하동작을 개시시킨다. 이때 단자(3(c))도 L 레벨이 되고 트랜지스터(Q2(제11도시)의 콜렉터를 H 레벨로 하므로써 스위치
상승강사동작이 속해하고 시점(t8)에서 회전부재(8)의 캠부(8a)(제3도시)가 강하완료검지스위치(43)를 온으로 하고 그 출력(g)이 L 레벨이 되면 단자(9(i))도 L 레벨로 되고, 메카구동계(7)의 회전모우터(9(j))가 정지하고 강하 동작을 완료하여 3곡목의 연주로 들어간다. 동시에 단자(3(c))가 H 레벨로 바뀌고, 트랜지스터(Q2)를 온으로 하므로써 스위치수단(77)을 비도통상태로 해서 밴드서어보를 오프로 한다. 또한 단자(2)에서 출력되고 있던 뮤우트신호(b)가 소멸하고(L 레벨로 된다). 버퍼(86)의 출력도 L 레벨로 되어 뮤우팅회로(87)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Q3)를 오프로 하므로써 뮤우팅릴레이(88)를 오프로 하여 연주상태에 들어간다. 뮤우트신호(b)가 L 레벨로 바뀜에 따라 곡간센서부(54)(제12도 참조)에 있어서의 트랜지스터(Q4)가 오프하기 때문에 스위치수단(71)이 도통상태가 되고, 연산증폭기(OP4, OP7)의 기준레벨(V TH )을 절환하므로써 곡간센서부(54)의 감도업/다운 절환을 다운으로 한다. 또한 뮤우트신호(d)의 L 레벨로의 이동에 따라 버퍼(89)의 출력도 L 레벨로 되고 스위치수단(78)(제10, 14 도시)을 비도통상태로 하여 DD 구동계(19)에 있어서의 속도검출코1 2 3 1
곡간검출에 있어서 곡간이 발견되지 않은 때는, 3곡목의 등록번지보다도 더욱 예를 들어 1번지 안쪽(등록번지-1)을 서어치하고, 곡간을 검지한 때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픽업아암(5)을 정지하고 상승강하동작으로 이행하도록 제어된다.
1번지 안쪽을 서어치해도 곡간이 발견안될 경우에는 픽업아암(5)을 고속으로 외주방향에 이동하고(등록번지+4)의 번지에 도래한 시점에서 픽업아암(5)의 이동방향을 반전시켜, 저속으로 내주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술함과 같은 곡간검출동작을 반복한다. 이와 같은 곡간검출동작을 소정회수, 예를 들어 4회 행해도 곡간을 검출치 못할 경우에는 다음의 순번의 프로그램곡의 선곡동작으로 이행한다.
3곡목의 연주가 행하여지고, 그 연주종료의 조금직전에, 예를 들어 4곡목의 등록번지의 2번지 직전이 되면, 시스템제어기(51)는 단자(14, 15)로 제로크로스신호(r), 곡간신호(S)의 입력대기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 시스템제어기(51)의 단자(14)에 H레벨의 제로크로스신호(r)가 입력되고, 또한 난자(15)에 곡간신호(S)인 정(正)의 1펄스가 입력된 후의 제로크로스신호(r)의 입상의 타이밍으로서 시스템제어기(51)는 바늘 끝이 3곡목과 4곡목의 곡간에9 9 3
회전부재(8)가 회전을 계속하고, 상승완료검지스위치(42(f))를 온으로 하면(시점 t10), 단자(9(i))가 H 레벨로 되고 회전모우터(9(j))는 정지하고 상승강하동작을 완료하고, 완료와 동시에 단자(26 및 28)가 L 레벨로 되고 메카구동계(7)가 동작해서 픽업아암(5)은 1곡목으로 향하여 외주방향으로 고속으로 이동한다.
픽업아암(5)이 17곡목의 곡간(30cm 강하 위치)을 통과하고, 1곡목의 등록번지에서 4번지 통과한곳(디스크의 외연밖에)에 이르면(시점 t11), 시스템제어기(51)의 난자(26)가 H 레벨, 단자(27)가 L 레벨, 단자(28)가 H레벨이 되고, DD 구동계(19)는 구동방향을 반전하고 또한 저속으로 픽업아암(5)을 1곡목에 향하게 하여 이동시킨다. 그리고 1곡목의 설정번지에 도래한 시점(t12)으로부터는 3곡목의 연주때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서 1곡목의 연주에 들어간다.
다만 1곡목은 등록번지에서 밴드서어보하는 것이 아니고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각 디스크사이즈에 따른 강하위치번지에서 밴드서어보 없이 수직강하한다.
3곡목의 경우와 동일하게 해서 1곡목의 연주종료를 검지하고(시점 t13), 상승강하동작을 완료한다.
프로그램은 모두 종료해 있기 때문에, 상승완료검지스위치(42)가 온오프된 시점(t14)에서 시스템제어기(51)의 단자(8)가 H레벨, 단자(9)가 L레벨로 유지되고, 메카구동계(7)의 회전모우터(9)는 리이드아우트방향으로 회전을 계속하고, 이것을 구동원으로 하여 픽업아암(5)은 휴지방향으로 고속으로 이동한다(자동귀환). 동시에 회전반(3)의 회전도 정지한다. 픽업아암(5)이 휴지 위치에 도달하고 휴지위치검지스위치(44)가 온으로 된 시점(t15)에서 시스템제어기(51)의 단자(9)가 H레벨이 되고, 메카구동계(7)의 회전모우터(9)가 정지하고 닛업아암(5)은 휴지위치에서 대기상태가 되고 프로그램연주를 종료한다.
다음에 수동조작에 의한 연주시의 동작을 제21a도 및 제21b도의 타이밍차아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최초 로우딩부는 닫힌 상태에 있는 것으로 하고, 시점(t1)에서 「개/폐」키이를 온으로 하면, 시스템제어기(51)의 단자(6)가 L 레벨로 되고, 로우딩모우터(60)가 여는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고, 슬라이드베이스(4)가 제1b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앞쪽으로 돌출해온다. 여는 동작을 계속하여, 슬라이드베이스(4)가 시점(t2)에서 오우픈검지스위치(64(e))를 온으로 하면, 시스템제어기(51)의 단자(6)가
만약 시점(t1)에서 소정시간 예를들어 25초 경과해도 오우픈 검지스위치(64)가 온하지 않을때는 자동적으로 모우터는 정지하여 그 장소에서 대기한다(폐일세이프).
회전반(3) 위에 디스크를 올려놓고 시점(t3)에서 아암수동세트 키이를 온으로 하면 시스템제어기(51)의 단자(19(t))가 L 레벨이 되고 이에 응담해서 단자(8(j))가 L 레벨이 되고 메카구동계(7)의 회전모우터(9(l))가 리이드인 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하고 픽업아암(5)은 리이드인을 개시한다. 이때 시스템제어기(51)의 단자(4(c))도 L 레벨이 되고, 포노모우터(55)를 회전시킨다. 이후 프로그램 연주시의 자동 리이드인과 동일하게 픽업아암(5)은 리이드인을 계속하고, DD 에리어센서(34)의 출력(q)의 발생시점(t4)에서 시스템 제어기(51)의 단자(261m) 및 28(o))가 각각 L 레벨이 되어 DD 구동계(19)를 동작시키고, 구동계를 메카구동계(7)에서 DD 구동계(19)로 바꾼다. 메카구동계(7)는 DD 구동계(19)보다 선행하여 상승 강하동작의 직전에서 대기한다.
픽업아암(5)이 고속으로 리이드인을 속행하고, 번지 A센서(32a)의 출력(r)의 예를 들어 103번째의 펄스의 입장이 시스템제어기(51)의 단자(12)에 입력된 시점(t5)에서 단자(26(m))가 H 레벨이 되고, 픽업아암(5)의 이동속도가 저속으로 된다.
픽업아암(5)의 저속인채 리이드인을 계속하고, 30cm 강하 위치에 대응한 번지 A센서(32a)의 예를 들어 105번째의 펄스의 입상의 시점(t6)에서 시스템제어기(51)의 단자(28(o))가 H 레벨이 되고, DD 구동계(19)가 정지하고, 픽업아암(5)은 승상태에
다음에 「상승」키이를 온으로 하면 시스템제어기(51)의 단자(8(j))가 L 레벨이 되고, 메카구동계(7)의 회전모우터(9(l))가 강하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승강하동작을 개시한다. 이때 그때까지 점등해 있던 LED「업」(w)이 소등한다. 메카구동계(7)의 회전부재(8)의 캠부(8a)가 강하 완료검지스위치(43(i))를 온으로 하여 강하동작을 완료하면(시점 t3), 시스템제어기(51)의 단자(9(k))가 L 레벨이 되고, 메카구동계(7)가 정지한다. 이때 동시에 단자(2)에서 출력되고 있던 뮤우트신호(b)가 소멸하고(L 레벨이 된다). 뮤우팅릴레이(88)가 오프로 되어 연주상태로 들어간다.
연주중에 시점(t9)에서 스타아트 키이를 계속 누르면 로케이트인 동작으로 이행한다. 먼저 시점(t9)에서 시스템제어기(51)의 단자(8(j))가 H 레벨이 되고, 메카구동계(7)의 회전모우터(9(l))가 상승방향으로 회전하고, 상승강하동작에 들어간다. 동시에 LED「스타아트」(v) 및 「업」(w)이 점등하고, 또 단자(2)에서 H 레벨의 뮤우트신호(b)가 출력되어 0뮤우팅릴레이(88)를 온으로 하고 연주를 중단한다. 상승완료검지스위치(42(h))가 온으로 되면(시점 t10), 시스템제어기(51)의 단자(9(k))가 H 레벨이 되고, 메카구동계(7)의 회전모우터(9(l))를 정지시키고 상승완료 상태가 된다. 다음에 단자(27(n))가 L 레벨이 되고, DD 구동계(19)를 동작시키고, 픽업아암(5)을 저속으로 내주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로케이트동작으로 된다. LED「스타아트」(v)는 로케이트동작에 들어간 시점(t10)에서 「스타아트」키이를 계속 누르고 있는 동안 점멸한11 12 13
또한 로케이트동작을 행하는 경우, 「스톱」키이를 계속 누르면 엘리베이션업동작이 완료하고 나서 시스템제어기(51)의 단자(28(o))가 L 레벨이 되고, 픽업아암(5)은 저속으로 외주방향으로 이동한다(로케이트아우트). 또 상승상태, 강하상태에 상관없이 픽업아암(5)이 DD 구동범위를 넘을 경우에는, 데카구동계(7)가 동작해서 자동적으로픽업아암(5)을 휴지위치에 되돌린다(강제귀환). 이 강제귀환은 DD 구동범위를 넘은 경우뿐 아니라, 그 범위를 임의로 설정하고, 그 범위를 넘은 경우에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연주를 속행하고, 바늘 끝(48)이 도출홈부근에 오면, 엔드에리어센서(35)의 출력(P)이 L 레벨로 시스템제어기(51)의 단자(10)에 입력되고, 번지(A), 번지(B)센서(32a, 32b)의 출력(r), (s)에 의거, 바늘 끝(48)의 도출홈에 들어가고 보내는 속도가 빨라지면 엔드검출이 행해진다.
엔드검출된 시점(14)에서 시스템 제어기(51)의 단자(8(j))가 H 레벨(단자(9)는 L 레벨인채)로 되고 상승강하동작을 개시한다. 이때 LED「업」(w)이 점등하고, 또한 뮤우드신호(b)가 출력되어 뮤우팅릴레이(88)가 온으로 되고 오오디오신호계를 차15
픽업아암(5)이 휴지유치에 복귀한 시점(t16)에서 휴지위치검지스위치(44(a))가 온되고 시점(t16)에서 소정시간경과한 시점(t17)에서 시스템제어기(51)의 단자(9(k))가 H레벨이 되고 메카구동계(7)를 정지하고 자동귀환을 완료한다. 이때 동시에 시스템 제어기(51)의 단자(4(c))가 H 레벨이 되고 포노모우터(55)를 정지시킨다.
시점(t18)에서 「개/폐」키이를 온으로 하면 시스템 제어기(51)의 단자(7(g))가 L 레벨이 되고, 이에 응답해서 로우딩 모우터(60)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슬라이드베이스(4)를 본체내에 수납하기 위하여 구동한다. 수납을 완료하고, 폐(閉) 검지스위치(63(d))를 슬라이드베이스가 온되면(시점 t19), 시스템제어기(51)는 이에 응답해서 단자(7(g))를 H 레벨로 하고, 로우딩모우터(60)를 정지시켜서 폐완료가 되고 모든 동작의 대기상태가 된다.
프로그램 연주 및 수동연주에 있어서 재생음을 자동적으로 테이프데크(도시하지 않음)에 녹음하는 이른바 데크신크로를 행하는 경우에는 먼저 테이프데크의 리모우트의 포우즈단자에 본 시스템의 신크로출력단자(62)(제11도시)를 접속하고 데크를 녹음포우즈상태로 하고 또한 시스템의 신크로스위치(61)를 온으로 해둔다.7 10 12 14 7 10 12 15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오프세트아암에 적응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리니아트래킹아암에도 적응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픽업아암을 기계적으로 구동하는 제 1의 구동계와 픽업아암을 전자력에 의하여 직접 구동하는 제2의 구동계를 갖추고, 동작모우드 또는 픽업아암의 이동위치에 따라 제1및 제2의 구동계의 어느 한쪽을 선택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픽업아암을 동작모우드에 따라 양호하게 구동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픽업아암의 이동범위가 넓은 경우, 제2의 구동계(DD 구동계)에서는 커다란 구동력으로 구동되는 영역에 제한이 있으므로, 그 영역을 연주영역에 대응시키므로써 곡간검출모우드시등에 그 검출정도(精度)를 높일수가 있고, 또 연주영역까지의 리이드인이나 귀환 모우드시에는 구동정도가 요구되지 않는 제1의 구동계(메카구동계)에 의하여 큰 구동력으로 픽업아암을 구동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픽업아암을 기계적으로 구동하는 제1의 구동계와 상기 픽업아암을 전자력에 의해서 직접 구동하는 제2의 구동계를 구비하고 동작모우드 또는 상기 픽업아암의 이동위치에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의 구동계의 어느 한쪽을 선택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아암의 구동장치.
KR1019830000119A 1982-01-18 1983-01-14 픽업아암의 구동장치 KR8700006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005511A JPS58122647A (ja) 1982-01-18 1982-01-18 ピツクアツプア−ムの駆動装置
JP57-5511 1982-0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517A KR840003517A (ko) 1984-09-08
KR870000601B1 true KR870000601B1 (ko) 1987-03-23

Family

ID=11613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0119A KR870000601B1 (ko) 1982-01-18 1983-01-14 픽업아암의 구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8122647A (ko)
KR (1) KR87000060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517A (ko) 1984-09-08
JPS58122647A (ja) 1983-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99820B1 (en) Disc changer
KR870000601B1 (ko) 픽업아암의 구동장치
US4437180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pickup arm in record or video disk player
JPH081738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ーの駆動装置
JPS6232329Y2 (ko)
US4580257A (en) Dual drive system for phono pickup arm
JPH0145128B2 (ko)
JPH0145129B2 (ko)
JPS58122650A (ja) デイスクサイズ判定方法
JPH0145127B2 (ko)
JPH0145125B2 (ko)
JPS58122665A (ja) ピツクアツプア−ムの駆動装置
JPS58122661A (ja) レコ−ドプレ−ヤにおける曲間検出装置
JPS58122660A (ja) デイスクサイズ判定方法
JPH0145126B2 (ko)
JPS58122671A (ja) ピツクアツプア−ムの駆動方法
JPS58122648A (ja) ピツクアツプア−ムの駆動方法
JPS58122649A (ja) ピツクアツプア−ムの駆動装置
JPS58122659A (ja) レコ−ドプレ−ヤにおける曲間検出装置
JPS58122672A (ja) ピツクアツプア−ムの駆動方法
JPS58122664A (ja) ピツクアツプア−ムの駆動装置
JPS58122656A (ja) レコ−ドプレ−ヤにおける曲間検出方法
US4535437A (en) Pickup arm driving control system with repeat playback function
JPS6138081Y2 (ko)
JPS5812658B2 (ja) レコ−ドプレ−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