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303B1 - 이미지파이버 촬상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지파이버 촬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303B1
KR870000303B1 KR1019840002076A KR840002076A KR870000303B1 KR 870000303 B1 KR870000303 B1 KR 870000303B1 KR 1019840002076 A KR1019840002076 A KR 1019840002076A KR 840002076 A KR840002076 A KR 840002076A KR 870000303 B1 KR870000303 B1 KR 870000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iber
image
stator
fiber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2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9027A (ko
Inventor
기미조오 오노
도미오 이와모또
슈우지 마쯔끼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덴기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나가하라 쯔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덴기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나가하라 쯔네오 filed Critical 스미도모덴기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9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9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a proximal camera, e.g. a CCD came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using light-conductive means, e.g. optical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61B1/24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with means for viewing areas outside the direct line of sight, e.g. dentists' 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24Instruments or system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e.g. fibrescopes
    • G02B23/26Instruments or system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e.g. fibrescopes using light gu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미지파이버 촬상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파이버 촬상장치의 종 단면도.
제2도(a) (b) (c) (d)는 제1도에 표시한 것의 각 부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미지파이버케이블 2 : 이미지파이버
2' : 이미지파이버의 피복 3 : 조명용 광파이버
4 : 피복층 5 : 보호피복
6 : 고정자부 7 : 회전자부
8 : 판스프링 9 : 반사경
10 : 렌즈계
본 발명은 이미지파이버를 사용한 대상물 촬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어느 대상물의 배후를 관측하는 장치로서는, 기울어진 작은 거울을 자루의 선단에 부착한 치과용 거울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치과용 거울로 치의 뒷측 등의 구강부 내측을 관측할 수 있다. 이 경우,
① 조명이 불충분하여 보기 힘든다.
② 관찰대상, 예를들면 치의 뒷측이 작으며 거울도 작으므로 상세히 볼 수 없다.
③ 한개의 치과용 거울로는 한 사람의 의사밖에 관찰할 수 없으므로 한군데의 환부에 대하여 여러 사람이 진단할 때는 한 사람 한 사람 거울을 돌려서 관찰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 작은 환부를 치과용 거울을 사용해서 관찰하고, 다수의 학생에게 교재로서 이용하려고 할 경우, 치과용 거울은 개인적인 사용에 한정되어 불편하다.
본 발명은 공업용 뿐만 아니라 의과용, 치과용 등 특히 신체의 내부진단에 알맞는 이미지파이버를 사용한 촬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한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파이버 촬상장치의 구성은 이미지파이버 및 조명용 광파이버를 수용한 가요성 이미지 파이버케이블과, 이 이미지파이버 케이블의 선단에 장착되어 손잡이부를 형성하여 선단에서 상기 이미지파이버 및 조명용 광파이버가 개방되어 있는 고정자부와, 이 고정자부와 같은축에 회전자재케 또한 간헐적으로 정지하도록 감합되고, 관찰대상으로부터 빛을 상기 고정자부 선단의 이미지파이버 개방단을 향해서 전향하는 반사경을 기지한 회전자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파이버 촬상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도는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파이버 촬상장치의 구성을 표시한 종단면도이고, 제2도(a) (b) (c) (d)는 제1도에 표시한 A-A' 단면, B-B' 단면, C-C/ 단면, D-D' 단면을 각각 표시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한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파이버 촬상장치에 있어서, (1)은 이미지파이버케이블, (2)는 그 속의 이미지파이버, (2')는 이미지파이버를 보호하는 피복층, (3)은 이미지파이버의 피복층(2') 외주에 배치된 복수본의 조명용 광파이버, (4)는 이미지파이버(2)와 조명용 광파이버(3)를 피복하는 유연성 수지피복, (5)는 보호피복이고 코일형상 가요금속 보호피복(5a)과 그 외주를 둘러싸는 수지피복층(5b)으로 구성되어 있다. (6)은 이미지파이버 케이블(1) 선단부에 장착되고, 조작자 예를 들면 치과용 이미지파이버 촬상장치라면 치과의사에 의하여 잡게되는 손잡이부를 형성하는 고정자부이다.
고정자부(6)는 고정자기부(6a)에서 이이지파이버케이블(1)의 보호단부와 장착되고 있다.
고정자부(6)는 스테인레스제로 중공원통 형상을 이루고, 고정자의 선단부에 이미지파이버(2) 및 조명용광과이버(3)가 각각 개방단(2a) (3a)으로서 개방되어 있다. 또한 이미지파이버의 개방단은 공극부와 렌즈계(10)를 개재하여 개방되어 있다.
이상의 이미지파이버케이블(1)과 고정자부(6)만으로는, 이미지파이버 케이블의 보호피복 등의 구조때문에 이미지파이버의 축둘레의 허용 비틀림각은 그다지 크게 잡을 수 없다. 그래서 고정자부(6) 선단근처에 고정자부(6)에 대하여 회전자재한 스테인레스제의 회전자부(7)를 빠지기 않도록 감합하고, 회전자부(7)에 관찰대상으로 부터의 빛을 고정자부(6) 선단의 이미지파이버 개방단(2a)을 향해서 전향하는 반사경(9)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회전자부(7)는 뒤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고정자부(6)의 주위를 회전함에 있어서 간헐적으로 정지할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소망하는 위치에 회전자부(7)를 정지시켜, 반사경(9)과 이미지파이버의 위치관계를 고정해서 텔레비화상을 보면서 작업을 할 수 있다. 작업중 다음 시야로 변경코저할 때는 회전자부를 희망하는 방향으로 돌리므로서 간헐적 정지가 벗겨져 다음 정지위치로 옮겨지고 그 위치에서 작업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반사경 위치의 회전과 고정을 다음대로 할 수가 있어 작업성이 뛰어나고있다. 또한, 회전자부(7)는 고정자부(6)의 선단확대부(6b)의 주위홈(6c)에 회전자부(7)의 간헐적 환상연결부(7a)가 연결되어 있다.
회전자부(7)의 원통형상 내벽은 고정자부(6)의 원통형상외주와 접동되어, 회전자부(7)의 내벽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홈(7b)이 고정자부이 일단을 고정하여 부착한 판스프링(8)이 부착된 보울(8a)이 탄성적으로 들어가므로서 간헐적정지를 할 수 있다.
이 모양은 제2도(b)에 표서한 제1도의 B-B' 단면을 참조하면 한층 명확해질 것이다. 제2도(b)에 있어서 고정자부(6)의 절결부(6c)에 판스프링(8)파 보울(8a)이 접동하는 회전자부(7)의 내벽에 복수개의 홈(7b)이 형성되어 있고, 보울(8a)이 절결부(6c)와 홈(7b)에 탄성적으로 들어가므로서 회전자부(7)가 고정자부(6)의 주위를 간헐정지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2도(a)는 회전자부(6) 선단부의 A-A'단면도이다. 제2도(a)에는 이미지파이버(2)의 선단부가 표시되어 있다. 제1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파이버의 선단(2a)에 더 앞에 렌즈계(10)가 장착되어 보다 넓은 개구각도를 얻고 있다. 또 반사경(9)은 그정자의 축에 대하여 기울어기게 부착되어 있으며, 관측 대상물의 뒷면이 보기 쉽도록 되어 있다.
제2도(c)는 제1도에 표시한 것의 C-C' 단면도로서, 고정자부(6)와 회전자부에서 360°회전하는 동안 1개소에서 고정자부의 와부(6d)와 회전자부의 철부(7c)에 의한 비대칭적 홈과 돌기가 합치되어, 회전자부(7)가 고정자부(6)에서 축방향으로 벗겨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파이버 촬상장치는 치과치료에 사용한 후 등 회전자부를 고정자부주위를 회전하여 감합요철홈이 합치된 위치에서 회전자부를 축방향으로 밀어내어서 고정자부에서 떼어내고, 회전자부와 고정자부를 소독 세경할 수 있다.
제2도(d)는 제1도에 표시한 것의 D-D'단면도로서, 이미지파이버(2)와 이것을 보호하는 피복(2'), 조명용 광파이버(3), 피복층(4), 보호피복(5)으로 구성된 부분이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파이버 촬상장치에 의하면 이미지파이버케이블 선단에는 고정자부(6)를 형성하고, 이것이 반사경(9)을 부착한 회전자부(7)가 회전 자재하고 또한 간할적으로 정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반사경(9)을 가장 보기 쉬운 위치에 회전자부(7)의 회전에 의하여 용이하게 선정할 수 있다.
회전은 간헐적이므로 회전자부(7)는 고정자부(6)의 정지 위치를 고정적으로 유지하고, 관측중 반사경과 이미지파이버의 위치관계가 어긋나서 의도하지 않는 방향으로 서서히 돌아가버리는 일은 없다.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파이버 촬상장치의 이미지파이버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텔레비촬상관에 결합되어 있으며 관측대상을 텔레비화상이 영출할 수 있다. 종래의 치과용 거울로는 한사람 밖에 관측대상을 볼 수 없었으나, 본 발명의 이미지파이버 촬상장치에 의하면 많은 사람이 관측대상을 동시에 볼 수 있고, 다수의 의사에 의하여 진단하거나, 또 교육용으로 널리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파이버 촬상장치는, 이이지파이버의 선단부에 조명용 파이버의 선단이 근접해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관찰부분을 조명용 파이버에 의하여 조명하여 관찰부분의 밝고 선명한 화상을 촬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치과용 거울의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파이버 촬상장치는 이비인후과등의 내시경에 널리 응용되고 또 공업적장치로서도 널리 용용할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이미지파이버 및 조명용 광파이버를 수용한 가요성 이미지파이버 케이블과, 이 이미지파이버 케이블의 선단에 장착되어서, 손잡이부를 형성하고, 선단에서 상기 이미지파이버 및 조명용광파이버가 개방되어있는 고정자부와, 이 고정자부와 같은 축에 회전 자재하고 또한 간헐적으로 정지하도록 감합되어, 관찰대상으로 부터 빛을 상기 고정자부 선단의 이미지파이버 개방단을 향해서 전향하는 반사경을 지지한 회전자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파이버 촬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부와 주위홈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자부와 이 주위홈에 결합하여 축방향에 연결되어서 주위방향으로 자재하게 회주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위홈과 연결부는 고정자의 축에 관하여 비대칭인 감합요철홈을 구비하고, 연결부의 주위홈에 대하여 360°회전하는 동안 1개소에 있어서 상기 감합요철홈이 합치되어 회전자부가 고정자부로 부터 축방향으로 벗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미지파이버 촬상장치.
KR1019840002076A 1983-05-17 1984-04-19 이미지파이버 촬상장치 KR8700003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85045 1983-05-17
JP58085045A JPS59211429A (ja) 1983-05-17 1983-05-17 イメ−ジフアイバ撮像装置
JP85045 1984-04-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9027A KR840009027A (ko) 1984-12-24
KR870000303B1 true KR870000303B1 (ko) 1987-02-26

Family

ID=13847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2076A KR870000303B1 (ko) 1983-05-17 1984-04-19 이미지파이버 촬상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9211429A (ko)
KR (1) KR8700003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78968B4 (de) * 2011-07-11 2019-01-17 Olympus Winter & Ibe Gmbh Endoskop mit seitlicher Blick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9027A (ko) 1984-12-24
JPS59211429A (ja) 1984-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4797A (en) Modular view lens attachment for micro video imaging camera
US4858001A (en) Modular endoscopic apparatus with image rotation
US2987960A (en) Optical system for endoscopes and the like
US4699463A (en) Multidirectional viewing borescope
US4947245A (en) Image picking-up and processing apparatus
US4781448A (en) Zoom lens adapter for endoscopic camera
US20020103420A1 (en) Endoscope with alterable viewing angle
US5329936A (en) Portable arthroscope with periscope optics
JPH0442817Y2 (ko)
US5528432A (en) Intra-oral optical viewing device
US5643176A (en) Endoscopic instrument with variable viewing angle
GB2149932A (en) Improved endoscope
EP0389453A1 (en) Fibre optical dental endoscope
EP0549097A1 (en) Portable arthroscope with periscope optics
KR870000303B1 (ko) 이미지파이버 촬상장치
JP3869535B2 (ja) 内視鏡
JPH09101465A (ja) 内視鏡用光学アダプタ
JP2539887B2 (ja) 根管内視鏡
JP3386187B2 (ja) 硬性内視鏡装置
JPH0224095Y2 (ko)
JPH01175827A (ja) ファイバスコープ先端首振操作部構造体
JPH08112248A (ja) 内視鏡
JPH0510647B2 (ko)
JPH0219775Y2 (ko)
JPH054168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21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