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040B1 - 저철손 비정질합금 - Google Patents

저철손 비정질합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040B1
KR870000040B1 KR8204102A KR820004102A KR870000040B1 KR 870000040 B1 KR870000040 B1 KR 870000040B1 KR 8204102 A KR8204102 A KR 8204102A KR 820004102 A KR820004102 A KR 820004102A KR 870000040 B1 KR870000040 B1 KR 870000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rphous alloy
iron loss
alloy
loss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4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1643A (ko
Inventor
코오이찌로오 이노마따
미찌오 하세가와
타다히꼬 코바야시
Original Assignee
사바 쇼오이찌
가부시기 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바 쇼오이찌, 가부시기 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사바 쇼오이찌
Publication of KR840001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저철손 비정질합금
도면은 본 발명의 비정질합금에 있어서의 Nb의 첨가량과 자속밀도 Bm-3KG에 있어서의 각 주파수에서의 철손과의 관계도이다.
본 발명은 전자기장치의 자심에 유효하게 사용되는 저철손 비정질합금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 말하면 고주파영역에서 철손저하, 열안정성 향상의 자기특성을 지니고 스위칭 레귤레이터등 고주파용 자심에 적합한 저철손 비정질합금에 관한다.
종래부터 스위칭 레귤레이터등 고주파로 사용하는 자심으로는 퍼말로이, 페라이트등의 결정질재료가 사용된다.
그러나 퍼말로이는 비저항이 작으므로 고주파에서의 철손이 커진다. 또, 페라이트는 고주파에서의 손실은 작으나 자속밀도도 겨우 5000G정도로 작고 그것으로 인해 큰 동작자속밀도에서의 사용시에 있어서는 포화에 가까워져서 그 결과 철손이 증대한다. 요즘, 스위칭 레귤레이터에 사용되는 전원트랜스등 고주파로 사용되는 트랜스에 있어서는 형상의 소형화가 요망되고 있으나, 그 경우 동작자속밀도의 증대가 필요해지기 때문에 페라이트의 철손증대는 실용상에 있어서 문제가 크다.
한편, 결정구조를 갖지 않는 비정질 자성합금은 고투자율, 저보자력등 우수한 연질자성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최근 주목되고 있다. 이들의 비정질 자성합금은 Fe, Co, Ni 등을 기본으로 하고, 이것에 비정질화원소(메탈로이드)로서 P, C, B, Si, Al, Ge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 비정질 자성합금의 전부가 고주파영역에서 철손이 작은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Fe계 비정질합금은 50-60Hz의 저주파영역에서는 규소강의 약 1/4의 대단히 작은 철손을 보이나, 10-50kHz의 고주파 영역에서는 현저히 큰 철손을 나타내고 도저히 스위칭 레귤레이터등의 고주파 영역에서의 사용에 적합한 것이 못된다. 또, 종래의 Fe계 비정질합금에 있어서 저손실을 얻기 위해서는 이 합금을 자장중에서 열처리하는 것이 필요하고 그것을 위해 처리공정이 복잡화하는 등의 제조상의 번잡이나 그 결정화온도가 낮기 때문에 열안정성도 결여되는 난점이 있었다.
종래, 비정질합금의 제작에 있어서 니오븀(Nb)을 첨가하면, 얻어진 비정질합금의 특성에 있어서 큐리온도, 포화자화가 저하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Nb의 철손, 열안정성등 기술적 자기특성에 주는 영향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발명자등은 상기와 같은 비정질합금에 관한 난점의 해소를 위해서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Fe의 일부를 소정의 원자%량의 Nb로 치환해서 구성되는 비정질합금은 고주파 영역에 있어서도 철손이 작고, 열안정성도 우수하고, 또 무자장중에서 열처리해서 제조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본 발명 비정질합금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은 고주파영역에 있어서 철손저하, 열안정성 향상의 자기특성을 가지는 비정질합금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비정질합금은 다음식 : (Fe1-aNba)100-bXb(식중, X는 B 또는 B와 Si(단 Si는 10원자%이하)를 나타내고, a, b는 각각 0.02
Figure kpo00001
a
Figure kpo00002
0.075, 15
Figure kpo00003
b
Figure kpo00004
21의 관계를 만족하는 수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것을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비정질합금에서 Nb는 고주파영역에서의 철손의 저하, 결정화온도의 상승에 기여하는 성분이고 그 포함되는 양 a는 원자%로 표시해서 0.02
Figure kpo00005
a
Figure kpo00006
0.075로 설정된다. a가 0.02미만인 경우에는 상기의 효과가 그다지 없고, 또 0.075를 초과하면 합금의 큐리온도가 저하되어서 실용성이 상실된다.
X는 비정질화를 위하여 불가결의 원소를 표시하고, B 또는 B와 Si이다. B와 Si의 양자를 포함했을때, Si의 양은 10원자%이하이고 Si가 10원자%를 초과하면 얻어진 합금의 철손이 커진다.
X의 양 : b는 15
Figure kpo00007
b
Figure kpo00008
21를 만족하는 범위에 설정되고, b가 15미만인 경우에는 합금의 비정질화가 곤란해지고, 또 21를 초과하면 철손에 대한 Nb첨가의 효과가 현저해지지 않는다. b가 17
Figure kpo00009
b
Figure kpo00010
19를 만족할 경우에는 고주파영역에서의 철손이 한층 더 저하되므로 호적하다.
본 발명이 비정질합금은 상기한 Fe, Nb, X(B 또는 B와 Si)의 각 성분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한 후, 용융하고 이것을 상법(예를 들면 용탕급냉법)에 의해서 비정질합금화하고, 이것을 무자장중에서 400-500℃의 온도범위에서 가열처리하므로써 쉽게 제작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한다.
[실시예 1]
표에 표시한 조성의 비정질합금을 압연급냉법으로 제작했다. 즉 2개의 고속회전하는 로울러사이에 석영관의 노즐에서 상기 조성의 용융합금을 아르곤 가스압(1.0-2.0㎏/㎤)으로 분출시키고, 얻어진 박체를 급냉해서 폭 2mm, 두께 30㎛, 길이 10m의 박대(薄帶)시료를 제작했다. 이 시료로부터 길이 100㎝를 절취하고 이것을 직경 20mm의 알루미나제 보빈에 감은 다음, 전체를 무자장중에서 430℃에서 10분간 열처리했다. 이것에 1차 및 2차 코일을 감아(감는 수, 모두 70회), 자속밀도 Bm=3KG에 있어서의 철손(mW/cc)을 와트미터를 사용해서 주파수 10kHz, 20kHz, 50kHz, 100kHz에 대해서 측정했다.
또, 포화자화는 시료진동형 자력계를 사용하고 결정화온도는 DTA(시차(示差)열분석법)를 사용해서 측정했다. 이들의 결과를 각 조성의 비정질합금에 대응시켜서 일괄해서 표시했다.
또, 비교를 위해서 종래부터 스위칭 전원용으로 사용되는 Mn-Zn페라이트의 결과도 아울러 기재했다.
Figure kpo00011
결과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정질합금은 자속밀도가 페라이트보다 크고, 또 페라이트보다 철손이 작다. 또, 비교예의 비정질합금에 비해서 결정화온도도 상승하고, 그 열안정성이 향상된다.
[실시예 2]
Nb의 첨가량을 변화시켜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Fe1-aNba)81Si6B13의 비정질합금을 제작했다. 이것을 Bm=3KG의 자속밀도하에서 10kHz, 20kHz, 50kHz, 100kHz의 주파수로 철손을 측정했다. 그 결과를 Nb첨가량의 관계로서 도면에 표시했다.
도면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0.02
Figure kpo00012
a
Figure kpo00013
0.75의 범위에서 그 철손이 특히 작아지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상 본 발명의 비정질합금은 자속밀도가 페라이트보다 크고, 고주파에서의 철손이 페라이트보다 우수하고, 또한 철을 주체로 한 재료이기 때문에 가격이 저렴하고 고주파 트랜스등의 소형화가 가능해지므로 공업상 유익하다.

Claims (3)

  1. 다음식 : (Fe1-aNba)100-bXb(식중, X는 B 또는 B와 Si(단, Si은 10원자%이하)를 나타내고, a, b는 각각 0.02
    Figure kpo00014
    a
    Figure kpo00015
    0.075, 15
    Figure kpo00016
    b
    Figure kpo00017
    21의 관계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저철손 비정질합금.
  2. 제1항에 있어서, b가 : 17
    Figure kpo00018
    b
    Figure kpo00019
    1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철손 비정질합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무자장중에서 결정화온도이하의 온도로 열처리되어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철손 비정질합금.
KR8204102A 1981-09-11 1982-09-11 저철손 비정질합금 KR8700000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142250A JPS5845355A (ja) 1981-09-11 1981-09-11 低損失非晶質合金
JP142250 1981-09-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643A KR840001643A (ko) 1984-05-16
KR870000040B1 true KR870000040B1 (ko) 1987-02-07

Family

ID=15310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4102A KR870000040B1 (ko) 1981-09-11 1982-09-11 저철손 비정질합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845355A (ko)
KR (1) KR87000004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845355A (ja) 1983-03-16
KR840001643A (ko) 1984-05-16
JPH0258342B2 (ko) 199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oshizawa et al. New Fe‐based soft magnetic alloys composed of ultrafine grain structure
US4385932A (en) Amorphous magnetic alloy
CN102304669B (zh) 高饱和磁感应强度低成本铁基纳米晶软磁合金
WO2016112011A1 (en) Magnetic core based on a nanocrystalline magnetic alloy background
JP2013100603A (ja) 高周波用途のための磁性ガラス状合金
JP2011102438A (ja) 直線的なbhループを有する鉄系アモルファス合金
JP2001508129A (ja) 低周波数用途で有用な軟磁性特性を有するアモルファスFe−B−Si−C合金
JP2552274B2 (ja) パ−ミンバ−特性を備えたガラス質合金
KR100227923B1 (ko) 향상된 AC 자성 및 취급성을 나타내는 Fe-B-Si합금
KR920007579B1 (ko) 철(Fe)을 베이스로 한 연자성 합금 및 그 열처리방법
JPS6332244B2 (ko)
EP0074640B1 (en) Low-loss amorphous alloy
KR870000040B1 (ko) 저철손 비정질합금
US4769091A (en) Magnetic core
KR870000039B1 (ko) 저철손 비정질합금
JPH0277555A (ja) Fe基軟磁性合金
Köszegi et al. Magnetic hysteresis loops for several amorphous alloys after various heat treatments below the curie point
KR19980073499A (ko) Fe 계 비정질 연자성재료 및 그 제조방법
JPS62167840A (ja) 磁性材料とその製造方法
JPH0461065B2 (ko)
KR100710613B1 (ko) 주철을 이용한 Fe계 나노 결정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KR0140788B1 (ko) 극박형 철계 초미세 결정 합금 및 극박형 박대의 제조 방법
JPS6122023B2 (ko)
JPH01180944A (ja) チョークコイル用非晶質磁性合金とその製造方法
JPH05132744A (ja) 高飽和磁束密度非晶質合金薄帯および非晶質合金鉄心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