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006A - 자동 급수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급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006A
KR870000006A KR1019860004725A KR860004725A KR870000006A KR 870000006 A KR870000006 A KR 870000006A KR 1019860004725 A KR1019860004725 A KR 1019860004725A KR 860004725 A KR860004725 A KR 860004725A KR 870000006 A KR870000006 A KR 870000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head
tubular portion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4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지메 다니가와
Original Assignee
다께다 간따로오
가부시끼가이샤 다께다 상교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9063585U external-priority patent/JPS6221850U/ja
Priority claimed from JP9063685U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07153U/ja
Application filed by 다께다 간따로오, 가부시끼가이샤 다께다 상교오 filed Critical 다께다 간따로오
Publication of KR870000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00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 급수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화분 또는 경작지에 퍼져 있는 다수 작물에 급수를 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 자동급수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급수관부가 지중에 삽설되어 있는, 제1도의 II-II선을 따라 절단한 자동 급수장치의 수직 단면도.
제4도는 지중에 삽설된 상태를 보인 제3도의 급수헤드의 확대수직 단면도.
제5도는 특히 화분에 사용한 경우를 보인 본 장치의 측면 개념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W : 물 T : 토양
Xa, Xb, Xc: 자동급수장치
1, 101, 201 : 저수조 31, 131 : 급수구
32, 132 : 급수 파이프(pipe)
35, 135 : 통기관 37, 137 : 개폐나사
50, 150, 250 : 급수관 60, 160, 260 : 급수 헤드(head)
70, 170 : 화분

Claims (11)

  1. 저수조(貯水槽), 급수 헤드(head) 및 이에서 연장되는 급수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급수 헤드가, 투수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하단이 원추형 단부로 막혀져 있으며 경작지에 재배되는 작물의 뿌리부근의 토양에 삽설되는 급수 관상부(管狀部)와, 방수재질로 만들어져 상기 급수 관상부의 상부 개방단에 연결되는 헤드부와 및 급수 헤드가 삽설되는 위치보다 낮은 수위를 갖는 저수조의 하부에서 연결되는 상기 급수관을 통해 이송된 급수될 물이 경유하여 급수헤드의 헤드부로 공급되게 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급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급수 헤드의 급수 관상부가 전 표면에 분포된 다수의 매우 미세한 기공을 갖는 세라믹(ceramic) 재질로 만들어져서, 관상부의 벽 양단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기공을 통해 급수될 물이 스며나가게 되며, 상기 급수 관상부의 내외직경, 두께 및 길이는 작물 및 토양의 종류 등에 따라 적당히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헤드의 급수 관상부가 점토를 주원료로 미세한 합수지 분말을 혼합한뒤 상기 혼합물을 1200 내지 1600℃로 가열하여 소성시키는 유약을 칠하지 않 초벌구이 도제품(陶製品)으로 만들어지며, 상기 벌구이 도제품은 벽의 양단 압력차에 의해 급수될 물이 스며 나가게 되는 매우 미세한 기공들을 전 표면에 걸쳐 무수히 가지고 있으며, 상기 기공은 상기 소성 과정에서 합성수지 분말을 증발시킴으로써 얻어지며, 상기 급수 관상부의 내외직경, 두께 및 길이는 작물 및 토양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급수 헤드의 헤드부는 비교적 높은 경도와 방수성을 가진 합성수지로 제작되며, 상기 헤드부의 내외 직경, 두께 및 길이는 작물 및 토양의 종류 등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급수 헤드의 헤드부가 저수조로부터 급수관을 통해 이송된 물이 경유하며 그수관상부 내부로 공급되게 하는 물 인입구와, 급수관상부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통기구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통기구는 개폐나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급수 헤드의 헤드부가 헤드부와 급수 관상부의 연결부위 근처의 측면에 플랜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플래지는 관상부와 함께 토양에 삽설되게 되는데 토양에 삽설되는 급수 헤드의 회전운동을 방지하는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플랜지의 외경 및 높이는 토양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급수관은 투명 또는 불투명하고 뛰어난 유연성을 가진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급수관이 하나의 주관(主管), 상기 주관에서 분기되는 분기관(分岐管)들 및 각각 급수헤드와 연결되는 다수의 지관(枝管)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저수조가 금속, 목재 또는 비교적 강한 합성수지로 만들어지고, 기본적으로 바닥판, 몸통부, 상판부로 구성되며, 저수조의 재질 및 용량은 놓여지는 장소에 따라 적절히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저수조의 몸통부가, 한 개방단이 바닥판 근처에 위치하고 타 개방단이 급수관의 일단과 연결되도록 몸통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연결관을 갖고, 저수조의 상판부가 깔때기형의 물 보급구와 개폐나사를 가진 통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물 보급구는 이에 결합되어 바닥판 근처까지 연장되는 보급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저수조가 두꺼운 벽을 가진 화분 몸통부의 내부공간과, 물 보급구와 이에 결합되어 하단이 내부공간의 바닥 부근까지 연장되는 보급판을 구비한 상판역할을 하는 화분의 상면과, 개폐나사를 구비한 통기구와 및 급수될 물이 이송될 결합관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관의 한 개방단은 내부공간의 바닥근처에 위치하며 타 개방단은 급수관의 일단과 연결되기 위하여 상판부 상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60004725A 1985-06-14 1986-06-14 자동 급수장치 KR8700000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635 1985-06-14
JP9063585U JPS6221850U (ko) 1985-06-14 1985-06-14
JP9063685U JPS61207153U (ko) 1985-06-14 1985-06-14
JP90636 1985-06-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006A true KR870000006A (ko) 1987-02-16

Family

ID=26432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4725A KR870000006A (ko) 1985-06-14 1986-06-14 자동 급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0206708A3 (ko)
KR (1) KR87000000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40453A (en) * 1990-02-02 1991-08-07 William George Lyne Self watering device for plants
GB9620155D0 (en) * 1996-09-27 1996-11-13 Andu Adedamola A Self watering system for plants
AT501883B1 (de) * 2005-09-12 2006-12-15 Weninger Ges M B H Selbsttätige einrichtung zur bewässerung von kulturpflanzen
US20160227718A1 (en) * 2015-02-11 2016-08-11 William Dunbar Fluid Emitter concepts for feeding the root system of a plant
CN110291968A (zh) * 2018-03-22 2019-10-01 榆林市榆阳区林业工作站 一种用于沙地造林插孔浇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256545B (de) * 1965-06-29 1967-08-25 Ipaco Internat Patent And Cons Einrichtung zur dauernden Bewässerung von Kulturpflanzen
FR1566566A (ko) * 1968-03-20 1969-05-09
DE2416802C3 (de) * 1974-04-06 1979-01-11 Manfred Dr. 6314 Ulrichstein Kitz Bewässerungsanlage für Gefäßpflanzen
DE2528748A1 (de) * 1975-06-27 1976-12-30 Manfred Dr Kitz Bewaesserungsanlage fuer gefaesspflanzen
DE2655656A1 (de) * 1975-12-12 1977-06-16 Peter Weninger Einrichtung zur versorgung von kulturpflanzen
JPS57500860A (ko) * 1980-05-27 1982-05-2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06708A3 (en) 1987-06-16
EP0206708A2 (en) 1986-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146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atural fertilization and irrigation of plants
US4177604A (en) Drip-action hydroponic garden
US4904112A (en) Underground irrigation system
US4211034A (en) Hydroponic growing systems
US3755965A (en) Plant cistern
US5209015A (en) Moistening device for flower pot stands and/or the like
FI84007B (fi) Foerfarande foer odling av vaexter med dvaergtillvaext samt vaextkruka daerfoer.
SE8505096D0 (sv) Automatisk bevattningsanordning for planterad mark
EP03828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RTIFICIAL IRRIGATION OF PLANTS.
KR870000006A (ko) 자동 급수장치
EP013647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atural fertilization and irrigation of plants
GB2112616A (en) A method of growing plants, and a growing bag for use by the method
US4928426A (en) Trough for soil irrigation and moistening
GB2267205A (en) Apparatus for watering plants
KR20140043921A (ko) 식물 재배용 친환경 양변기 물탱크 덮개
FR2310695A1 (fr) Bac de culture
CN206728690U (zh) 一种盆栽植物专用花盆
KR200493718Y1 (ko) 식물 재배용 파이프형 화분
FR2750565A3 (fr) Culture hors sol en etageres irriguees en circuit ferme par gravite
CN210143360U (zh) 一种可长时间不浇灌的盆栽
JPH10113081A (ja) 植物栽培装置及び植木棚
KR870000179Y1 (ko) 조립식 화분
DE3727463A1 (de) Drainageeinsatz mit belueftung und stabhalterungen fuer pflanzen in pflanzgefaessen
KR800001235Y1 (ko) 콩나물 재배기
JPH031316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