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3667Y1 - 뻐꾸기 시보회로 - Google Patents

뻐꾸기 시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3667Y1
KR860003667Y1 KR2019840009719U KR840009719U KR860003667Y1 KR 860003667 Y1 KR860003667 Y1 KR 860003667Y1 KR 2019840009719 U KR2019840009719 U KR 2019840009719U KR 840009719 U KR840009719 U KR 840009719U KR 860003667 Y1 KR860003667 Y1 KR 8600036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er
transistor
output
clock
oscil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97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5179U (ko
Inventor
김경현
장현권
Original Assignee
김경현
장현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현, 장현권 filed Critical 김경현
Priority to KR20198400097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3667Y1/ko
Publication of KR8600051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51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36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6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21/00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by electrical means
    • G04C21/04Indicating the time of the day
    • G04C21/12Indicating the time of the day by electro-acoust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뻐꾸기 시보회로
첨부도면은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가변 발진부 3 : 정형부
VB1,VB2: 발진기 N1-N4: 낸드게이트
TR8-TR15: 트랜지스터 D4,D5: 다이오드
R3-R16: 저항 C1-C4: 콘덴서
SP : 스피커
본 고안은 벽시계나 탁상시계 등에 있어서, 매시 정각에 각 시각에 대응한 횟수의 뻐꾸기 울음소리를 내도록 한 뻐꾸기 시보(時報)회로에 대한 것이다.
종래에는 본 고안과 유사한 목적을 위한 본 고안자의 선 출원 고안인 실용신안 등록록출원 제84-9215호의 시계의 타종회로가 있었으나, 이는 매시 정각에 「땡-땡-」하는 일반 괘종시계의 타종음을 내어 시보를 하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최근 벽시계나 탁상시계가 점차 소형화되어가는 추세에 비추어 볼 때 괘종시계의 타종음에 의한 시보가 듣기에 어색하여 딱딱한 느낌이 드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시보회로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매시정각에 각 시각에 대응한 횟수만큼「뻐-꾹」하는 뻐꾸기 울음소리를 내도록 함으로써 청각적으로 새소리에 의한 자연미를 느낄 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매시 정각에 각 시각에 대응한 숫자를 카운트하여 기억하는 통상의 계수부(1)내의 카운터(CT2)의 각 출력단자(Q1)(Q2)(Q3)를 발진기(VB1)(VB2), 트랜지스터(TR8)(TR9), 적항(R3)(R6-R8)및 다이오드(D4)(D5)로 된 가변발진부(2)에 연결하고, 이 가변발진부(2)의 출력측을 저항(R11-R16), 콘덴서(C3)(C4), 트랜지스터(TR10-TR15) 및 스피커(SP)로 된 정형부(3)에 연결한 구성으로서,
미설명 부호중 B+는 직류전원공급단자, N1-N4는 낸드게이트, C1,C2는 콘덴서, R0-R2, R4, R5, R9, R10은 저항, D1-D3는 다이오드, TR1-TR7는 트랜지스터, SW는 진동스위치, x,x'는 진동스위치의 접점 y는 시계의 분침측, z는 작동침, CT1은 카운터, Q1-Q7은 카운터의 출력단자, ck,rs는 카운터의 클럭 및 리세트단자, p는 일점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은 구성인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시계의 분침이 계속 회전하여 매시 정각에 이르렀을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시계분침이 시계방향으로 일회전하여 정각 1시를 가리키는 위치에 오면 시계의 분침측(y)에 고정설치된 작동침(z)이 계수부(1)내의 진동스위치(SW)의 접점(x)(x')을 진동시키게 되어 진동스위치의 접점(x)(x')이 여러번 진동하게 되므로, 계수부(1)내의 트랜지스터(TR7)의 에미터로는 여러개의 펄스가 입력된다.
진동스위치(SW)를 통해 최초로 한개의 펄스가 트랜지스터(TR7)의 에미터로 입력되면, 트랜지스터(TR7)의 베이스가 계수부(1)내의 접지된 저항(R0)에 의해 "0"레벨상태이므로 트랜지스터(TR7)가 도통된다. 따라서 계수부(1)내의 카운터(CT2)가 리세트되어 그 출력(Q1-Q7)이 모두 "0"으로 되며, 또한 카운터(CT1)의 클럭단자(ck)로도 상기 트랜지스터(TR7)의 도통에 의해 한 개의 펄스가 입력되어 카운터(CT1)의 출력(q1-q4)이 모두 "0"으로 리세트된 상태에서 "1.0,0,0"으로 전환된다.
그러므로 카운터(CT1)의 출력(Q1)은 "1"로, 카운터(CT2)의 출력(Q4)은 "0"으로 되어 트랜지스터(TR3)가 도통되며, 이에 의해 스탠드 바이(stand by)상태이던 트랜지스터(TR2)도 도통되므로 p점의 전위는 "1"상태로 전환되는 것으로서, 이에 의해 가변발진부(2) 내의 발진기(VB2)가 낸드게이트(N3)의 인에이블 단자가 "1"로 되어 발진을 개시함과 동시에 계수부(1) 내의 트랜지스터(TR7)의 베이스전위 또한 "1"로 되어 결국 진동스위치(SW)로 부터의 펄스입력은 최초의 한 개의 펄스만이 트랜지스터(TR7)를 통과한 후, 나머지 펄스는 모두 트랜지스터(TR7)에 의해 차단된다.
한편, 가변발진부(2) 내의 발진기(VB2)가 발진을 하여 그 발진출력 펄스가 계수부(1) 내의 카운터(CT2)의 클럭단자(ck)로 입력되면서 카운터(CT2)가 각 출력(Q1-Q7)이 차례로 반전을 반복하게 되는데, 카운터(CT2)의 클럭단자(ck)로 4개째의 발진펄스가 입력되면 비로소 카운터(CT2)의 출력(Q3)이 "1"상태로 반전되고, 이에 의해 가변발진부(2) 내의 발진기(VB1)가 발진을 시작하여 그 발진출력펄스가 정형부(3)로 입력된다, 여기에서 카운터(CT2)의 클러단자(ck)로 7개의 발진펄스가 입력된 때까지 카운터(CT2)의 출력(Q3)은 "1"상태로 유지되는데, 그동안 카운터(CT2)의 출력(Q2)은 "0"→"1"상태로, 카운터(CT2)의 출력(Q1)은 "0"→"1"→ "0"→"1"상태로 각각 반전되는 것으로서, 가변발진부(2) 내의 각 발진기(VB1)(VB2)에 연결된 트랜지스터(TR8)(TR9)는 계수부(1) 내의 카운터(CT2)의 각 출력(Q1)(Q2)이 "1" 또는 "0"상태로 반전됨에 따라, '오프' 또는 도통되므로, 이에 의해 각 발진기(VB1)(VB2) 내의 저항값이 변화되어 결국 각 발진기(VB1)(VB2)의 발진출력의 주파수가 변화되는 것이다. 즉, 발진기(VB1)의 출력펄스는 계수부(1) 내의 카운터(CT2)의 출력(Q2)에 의한 트랜지스터(TR8)의 '온-오프'에 의해 「뻐-꾹」하는 뻐꾸기(울음소리중 '뻐'음은 높은 음정으로, 그리고 '꾹'음은 낮은 음정으로 조정되며, 발진기(VB2)의 출력펄스는 계수부(1) 내의 카운터(CT2)의 출력(Q1)(Q2)에 의한 트랜지스터(TR9)의 '온-오프'에 의해 「뻐-꾹」하는 뻐꾸기 울음소리중 '뻐'음은 시간적으로 짧게, 그리고 '꾹'음은 길게 조정해 주는 역할을 하게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발진기(VB1)의 발진출력은 정형부(3) 내의 트랜지스터(TR10)에 의해 증폭되는 한편 저항(R12) 및 콘덴서(C3)에 의해 신호가 지연된 상태에서 트랜지스터(TR11)의 베이스 전위로 공급되므로 다시 각 트랜지스터(TR11)(TR12)에 의해 증폭된 발진출력은 아날로그 신호와 같은 부드러운 파형으로 되며 이 출력은 다시 계수부(1)내의 카운터(CT2)의 출력(Q1)이 "0"일 때만 도통상태로 있게되는 트랜지스터(TR13)를 통하고, 트랜지스터(TR15)에 의해 증폭된 후 스피커(sp)를 구동시키게 되는 것으로서, 계수부(1) 내의 카운터(CT2)의 출력이 "1"일 경우에는 트랜지스터(TR13)가 '오프'되므로 트랜지스터(TR12)의 출력은 저항(R13)을 통해 증폭용 트랜지스터(TR15)를 아주 약하게 구동시키게 되어 결국 스피커(sp)에서 출력되는 음은 「뻐-꾹」하는 울음소리중 '뻐'음과 '꾹'음의 사이가 띄어지면서 여운을 남기게 된다, 또한 이와동시에가변발진부(2) 내의 발진기(VB2)의 발진출력이 정형부(3) 내의 트랜지스터(TR14)의 베이스로도 공급되므로 트랜지스터(TR14)가 '온-오프'동작을 반복하게 되고, 아에 의해 증폭용 트랜지스터(TR15)의 바이어스전위를 가감시킴으로서 「뻐-꾹」소리가 메아리처럼 떨리게 되어 더더욱 자연스러운 뻐꾸기 울음소리를 만들어낼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상태로 가변발진부(2)내의 발진기(VB2)로 부터 8번째의 발진펄스가 계수부(1)내의 카운터(CT2)의 클럭단자(ck)로 입력되면 카운터(CT2)의 출력(Q1-Q3)은 각각 "0"으로, 카운터(CT2)의 출력(Q4)은 "1"로 각각 반전되므로, 이에 의해 가변발진부(2)내의 발진기(VB1)가 동작을 중지함과 동시에 계수부(1)내의 트랜지스터(TR3)(TR2)가 차례로 '오프'되므로 p 점의 전위로 "1"상태에서 "0"상태로 환원되어, 발진기(VB2)도 동작을 중지함으로서, 결국 정형부(3)내의 스피커(sp)에서는 한번의 「뻐-꾹」소리만이 출력되어 정각 1시를 알리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상태에서 시계분침이 다시 일회전하여 2시 정각이 되면 1시의 경우와 동일하게 진동스위치(SW)로부터 한 개의 펄스가 계수부(1)내의 트랜지스터(TR7)를 통해 입력되어, 카운터(CT1)의 출력(Q1-Q4)이 1시 정각에 "1,0,0,0"인 상태에서 "0,1,0,0"의 상태로 세트되기 때문에, 이번에는 계수부(1)내의 트랜지스터(TR4)가 도통되어 p 점의 전위가 "1"상태로 된다.
따라서 가변발진부(2)내의 발진기(VB2)로 부터 계수부(1)내의 카운터(CT2)의 클럭단자(ck)로 16개의 펄스가 입력되어야만 카운터(CT2)의 출력(Q5)이 "1"상태로 반전되어 트랜지스터(TR4)가 오프되기 때문에 결국 이동안에 가변발진부(2)내의 발진기(VB2)로 부터는 2번의 반복된 발진출력이 출력된 후 정형부(3)에서 구동됨으로서, 스피커(sp)에서는 「뻐-꾹, 뻐-꾹」하는 2번의 울음소리를 내게되어 정각 2시를 알리게 된다.
이렇게 하여 시계분침이 일회전 할 때마다 「뻐-꾹」소리는 하나씩 증가하게 되는 것이며, 12시 정각이 된 경우에는 계수부(1)내의 카운터(CT1)내의 출력(Q1-Q4)가 "0,0,1,1"로 세트되기 때문에 전술한 1,2시 정각의 경우와 동일한 회로동작에 의해 정형부(3)내의 스피커(sp)에서는 12번의 「뻐-꾹」소리를 내게 된다.
또한 12시 이후 다시 시계분침이 일회전하여 1시 정각이 되면 계수부(1)내의 카운터(CT1)의 각 출력(Q1-Q4)가 13번째 수에 대응하는 "1,0,1,1"로 세트되는데, 이때는 도통중인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로 부터 각 다이오드(D1-D3)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 전류를 빨아들이면 카운터(CT1)의 각 출력단자(Q1)(Q3)(Q4)가 모두 "1"상태로 되므로 트랜지스터(TR1)는 베이스전류가 차단되어 '오프'되기 때문에, 직류전원(B+)이 저항(R1)을 통해 카운터(CT1)의 리세트단자(rs)에 공급되어 카운터(CT1)의 출력(Q1-Q4)이 모두 "0"으로 리세트된다.
또한 계수부(1)내의 진동스위치(SW)로 부터의 펄스입력에 따른 트랜지스터(TR7)의 도통에 의해 카운터(CT2)의 출력(Q1-Q7) 또한 모두 "0"으로 리세트된 상태이므로, 트랜지스터(TR2)는 계속 '오프'상태에서 가변발진부(2)내의 각 발진기(VB1)(VB2)도 정지상태에 있게 된다.
그러나 계수부(1)내의 진동스위치(SW)로 부터 트랜지스터(TR7)의 에미터로는 여러개의 펄스가 계속하여 입력되기 때문에 2번째의 입력펄스에 의해 트랜지스터(TR7)가 다시 도통됨으로서 카운터(CT1)의 출력(Q1-Q4) 모두 "0"으로 리세트된 상태에서 1시의 경우와 같이 "1,0,0,0"으로 세트되는 것이며, 이하 진술한 1시의 경우와 동일한 회로동작에 의해 정형부(3)내의 스피커(sp)에서는 한번의 「뻐-꾹」음이 출력되어 정각 1시를 알리게 된다.
이상과 같은 동작을 되풀이 함으로서, 본 고안은 매시각에 대응하는 횟수의 뻐꾸기 울음소리를 낼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종래의 괘종시계의 타종음에 비하여 실제의 뻐꾸기 울음소리를 낼 수 있어 시계의 고급화를 이룩한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통상의 계수부(1)내의 카운터(CT2)의 각 출력단자(Q1)(Q2)(Q3)를 발진기(VB1)(VB2), 트랜지스터(TR8)(TR9), 저항(R3),(R6-R8) 및 다이오드(D4)(D5)로된 가변발진부(2)에 연결하고, 이 가변발진부(2)의 출력측을 저항(R11-R16), 콘덴서(C3)(C4), 트랜지스터(TR10-TR15) 및 스피커(sp)로 된 정형부(3)에 연결하여, 매시각에 대응한 횟수의 뻐꾸기 울음소리를 내도록 한 뻐꾸기 시보회로.
KR2019840009719U 1984-10-02 1984-10-02 뻐꾸기 시보회로 KR8600036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9719U KR860003667Y1 (ko) 1984-10-02 1984-10-02 뻐꾸기 시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9719U KR860003667Y1 (ko) 1984-10-02 1984-10-02 뻐꾸기 시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179U KR860005179U (ko) 1986-05-10
KR860003667Y1 true KR860003667Y1 (ko) 1986-12-20

Family

ID=70162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9719U KR860003667Y1 (ko) 1984-10-02 1984-10-02 뻐꾸기 시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366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179U (ko) 198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6230A (en) Timing
US4011516A (en) Frequency correction arrangement
GB2138975A (en) Analog electronic timepiece
KR860003667Y1 (ko) 뻐꾸기 시보회로
JPS6344872Y2 (ko)
US3534649A (en) Metronome with accentuated beats
US4697932A (en) Multi-signal alarm
US4437380A (en) Musical envelope-producing device
US3318084A (en) Transistor alarm clock
KR880000838A (ko) 다기능 아날로그 전자 시계
KR860003228Y1 (ko) 시계의 타종회로
US4187670A (en) Time signal generator circuit for use in an electronic timepiece
KR910002795B1 (ko) 시간에 따라 소리의 크기와 주기를 변화시키는 알람회로
JPS6017757Y2 (ja) アラ−ム時計
KR0140202Y1 (ko) 24시간 주기의 알람기능을 가지는 시계
JPH045037Y2 (ko)
KR930005374Y1 (ko) 시보장치의 음성 발생회로
JPS6319825Y2 (ko)
US3842586A (en) Crystal electronic timepiece
KR900001513Y1 (ko) 에코믹서의 지연시간 측정회로
JPH0431722Y2 (ko)
KR950010589Y1 (ko) 뻐꾸기발성음 시보회로
JPS6225747Y2 (ko)
JPS5812220Y2 (ja) ジドウリズムソウチ
JPS63529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IN ENTIRETY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