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0589Y1 - 뻐꾸기발성음 시보회로 - Google Patents

뻐꾸기발성음 시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0589Y1
KR950010589Y1 KR92011567U KR920011567U KR950010589Y1 KR 950010589 Y1 KR950010589 Y1 KR 950010589Y1 KR 92011567 U KR92011567 U KR 92011567U KR 920011567 U KR920011567 U KR 920011567U KR 950010589 Y1 KR950010589 Y1 KR 9500105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uckoo
sound
transistor
trig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15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1693U (ko
Inventor
김경현
Original Assignee
김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현 filed Critical 김경현
Priority to KR920115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0589Y1/ko
Publication of KR9400016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6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05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5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23/00Clocks with attached or built-in means operating any device at preselected times or after preselected time-intervals
    • G04C23/02Constructional details
    • G04C23/12Electric circuitr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뻐꾸기발성음 시보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상세한 회로도.
제2도는 종래의 뻐꾸기음 발생회로의 블럭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메모리단 2 : 주신호발생부
3 : 신호지연부 4 : 클럭부
5 : 필터링부 6 : 트리거스위치
7 : 스피커 8 : 신호지연단
9 : 음성트리거 신호부
본 고안은 뻐꾸기발성음의 시보회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성트리거 신호에 의해 메모리단의 실제 뻐꾸기의 발성음을 출력하고, 소정시간 지연시킨 후 재차 출력함으로써, 각 시각에 대응되는 횟수만큼 실제의 뻐꾸기 발성음이 울려짐에 따라 청각에 의한 자연미를 느끼게 됨은 물론 메아리효과에 의해 뻐꾸기발성음의 현장감을 향상 시키도록 한 뻐꾸기 발성음의 시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시각에 대응되는 뻐꾸기의 발성음이 해당시간에 울리게 함으로써 시간을 알려주는 장치가 보편화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장치의 뻐꾸기음 발생회로의 블럭도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발생회로는 시간을 카운트하는 계수부(70), 이 계수부의 현재시보 신호에 의해 뻐꾸기음과 유사한 음성주파수를 발진하는 가변발진부(71), 이 가변발진부의 발진신호를 증폭하고 정형하는 정형부(72)로 구성되어, 분침(도시안됨)이 360°회전하여 진동스위치(도시안됨)를 동작시키게 되면 계수부(70)는 현재 카운팅된 시보신호를 가변발진부(71)로 입력시키게 된다.
상기 가변발진부(71)의 현재 시보신호에 따른 발진펄스신호가 정형부(72)에 입력되고 이 정형부는 상기 발진펄스신호 즉, 버꾸기발성음 신호를 스피커(도시안됨)를 통하여 출력시키게 된다.
따라서, 현재시각만큼의 뻐꾸기발성음이 울리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뻐꾸기 발성음 시보회로는 현재시보를 알리는 뻐꾸기발성음이 발진펄스에 의한 인공음이므로 자연적인 현장감이 없게 됨은 물론 디지탈 발진펄스에 의해 뻐꾸기발성음이 발생됨으로 뻐꾸기발성음이 명확하지 못하다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보회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각 시각에 대응되는 횟수만큼 실제의 뻐꾸기발성음을 메아리 효과에 의해 울리게 함으로써, 자연의 아름다움과 실감있는 현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뻐꾸기발성음의 시보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현재시보에 의해 음성트리거신호부의 트리거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내장된 실제 뻐꾸기발성음을 증폭하여 울리게 하는 주신호발생부, 이 주신호발생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일정시간 지연시킨 후 그 지연된 신호음을 제차 출력하는 신호지연부, 이 신호지연부의 지연된 출력신호에 포함된 디지탈성분을 제거하는 필터링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뻐꾸기발성음의 시보회로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상세한 실시회로도로서, 시보회로는 현재시각에 대응하는 갯수의 트리거신호를 발생하는 음성트리거신호부(9)와, 상기 트리거신호가 입력될 때마가 메모리단(1)에 내장된 실제 뻐꾸기발성음을 증폭하여 출력시키는 주신호발생부(2)와, 이 주신호발생부(2)의 출력신호를 일정시간 지연시킨후 그 지연된 신호음을 재차 출력하는 신호지연부(3)와, 이 신호지연부(3)의 클럭펄스를 주기적으로 공급해주는 클럭부(4)와, 상기 신호지연부(3)의 출력신호에 포함된 디지탈 성분을 제거하는 필터링부(5)로 구성된다.
상기 주신호발생부(2)는 트리거스위치(6)의 일단에 실제 뻐꾸기음이 내장되어 있는 메모리단(1)의 입력측이 연결되어 있고, 이 메로리단(1)의 출력측에는 캐패시터(C1)를 거쳐 가변저항(VR1)이 연결되어 있으며,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단에는 상기 가변저항(VR1)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컬렉터단에는 저항(R1)을 거쳐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단이 연결되어 있고, 이 트랜지스터(TR2)의 켈렉터단에는 스피커(7)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신호지연부(3)는 다이오드(D)의 애노드단에 트리거 스위치(6)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다이오드(D)의 캐소드단에는 인버터(I1)와 저항(R2) 및 캐패시터(C2)가 연결되어 있으며,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단에는 상기 인버터(I1)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트랜지스터(TR3)의 컬렉터단에는 신호입력을 일정시간 지연하여 출력하는 신호지연단(8)이 연결되어 있고, 이 신호지연단(8)의 일단에는 가변저항(VR2)을 거쳐 스피커(7)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필터링부(5)에는 저항(R3)이 직렬연결된 저항(R4)과 저항(R5)이 직렬 연결된 저항(R6) 그리고 캐패시터(C3)가 서로 병렬연결되어 있고, 상기 저항(R3)과 저항(R4) 그리고 저항(R5)와 저항(R6)사이의 중성점이 신호지연단(8)의 출력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저항(R4)과 저항(R6) 및 캐패시터(C3)의 중성점이 저항(R7)을 거쳐 가변저항(VR3)과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단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클럭부(4)에는 인버터(I2)의 입력측에 저항(R8)이 연결되어 있고, 이저항(R8)의 일단에 인버터(I3)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인버터(I3)의 출력측으로 인버터(I4)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저항(R9)과 인버터들(I3, I4)사이에는 캐패시터(C4)가 연결되어 있고, 이인버터(I4)의 출력측에는 신호지연단(8)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단(1)과 트랜지스터(TR1, TR2, TR3) 그리고 저항(R3, R5)과 캐패시터(C3)에는 바이어스전압(Vcc)이 공급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동작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음성트리거신호부(9)가 현재시보에 해당하는 트리거신호를 출력함에 따라 트리거스위치(6)가 온/오프동작한다.
예컨대, 현재시각이 3시이면 음성트리거신호부(9)로부터 트리거펄스가 3회 출력되고, 현재시각이 6시이면 음성트리거신호부(9)로부터 트리거펄스가 6회 출력된다.
따라서, 트리거스위치(6)는 트리거펄스가 입력될 때마다 계속 온/오프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1회의 상기 트리거스위치(6)의 온동작으로 주신호발생부(2)의 메모리단(1)에 1회의 트리거신호가 인가되면 이 메모리단(1)에 내장된 실제의 뻐꾸기발성음 신호가 출력된다.
그러면, 이 뻐꾸기발성음 신호가 캐패시터(C1)와 가변저항(VR1)을 거쳐 트랜지스터(TR1)에 입력되어 트랜지스터(TE1)가 턴온되고 이 트랜지스터(TR1)가 턴온됨에 따라 바이어스전압(Vcc)이 에미터측으로 흐르게된다.
그러므로 뻐꾸기발성음 신호가 트랜지스터(TR1)에 의해 증폭되고 그 증폭된 발성음 신호는 저항(R1)을 거쳐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단에 인가된다.
이에 트랜지스터(TR2)가 턴온되고 그에 따라 상기 뻐꾸기발성음 신호가 스피커(7)를 통해 외부로 1회 출력된다.
이때, 가변저항(VR1)이 값을 조정하면 뻐꾸기 발성음의 음량이 조절된다.
한편, 트리거스위치(6)의 트리거신호 즉, 하이신호(6V)는 인버터(I1)의 입력단과 캐패시터(C2)에 인가되어 인버터(I1)의 로우출력신호를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단에 입력시킨다.
이때, 인버터(I1)의 로우신호는 캐패시터(C2)가 방전할 동안만 출력하게 된다.
상기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단에 인가된 로우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TR3)가 턴온되어 신호지연단(8)의 VDD단에 바이어스전압이 입력된다.
따라서, 스피커(7)의 일단으로부터 가변저항(VR2)을 통하여 뻐꾸기발성음 신호를 입력하고, 이 신호지연단(8)은 클럭부(4)의 클럭펄스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뻐꾸기발성음 신호를 일정시간 지연시킨 다음 신호의 음량을 일정 비율로 감쇠시킨 후 서로 반대되는 파형으로 두개의 출력단(out1, out2)을 통하여 필터링부(5)로 각각 출력한다.
이때, 가변저항(VR2)을 조정하여 스피커(7)로부터 유입되는 뻐꾸기발성음 신호를 증감시킴에 따라 스피커(7)를 통한 뻐꾸기 발성음의 원근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펄터링부(5)의 저항들(R3, R4)과 저항들(R5, R6) 사이에 신호지연된 뻐꾸기발성음 신호가 인가되면 이 저항들(R3~R6)의 필터링작용에 따라 뻐꾸기발성음 신호내에 포함된 디지탈성분이 제거되고, 이 디지탈 성분이 제거된 신호는 저항(R7)을 통해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단에 인가된다.
이때, 필터링부(5)의 개패시터(C3)는 신호지연된 뻐꾸기발성음 내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이어서,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단에 신호지연된 뻐꾸기발성음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이 트랜지스터(TR1)가 턴온되어 신호가 증폭되고, 다음 저항(R1)을 통하여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단에 입력됨으로 이 트랜지스터(TR2)는 턴온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TR1)가 턴온됨에 따라 신호지연된 뻐꾸기발성음이 스피커(7)를 통하여 재차 울리게 된다.
결국, 현재시보에 따른 트리거신호가 1회 입력될 때마다 주 뻐꾸기발성음이 울리고 이 뻐꾸기발성음이 울리게 됨과 동시에 음량이 감쇠된 상태의 뻐꾸기 발성음이 재차 울리게 됨으로 청취자에게는 뻐꾸기발성음이 메아리치듯이 들리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동작은 현재시각 1시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예컨대 현재시각이 11시일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동작을 11번 반복하게 된다.
즉, 음성트리거신호부(9)로부터 11회의 트리거신호가 출력되게 됨으로 뻐꾸기발성음이 상기와 같은 방식을 반복하며 11회 울리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메모리단에 저장된 뻐꾸기의 발성음을 음성트리거신호부의 트리거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출력하고, 동시에 일정시간 지연 후 재차 출력함으로써, 각 시각에 대응되는 횟수만큼 실제 뻐꾸기의 발성음이 울림에 따라 청각에 의한 뻐꾸기발성음의 자연미를 느낄 수 있음은 물론 시간지연에 따른 메아리효과에 의해 뻐꾸기발성음의 현장감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정정) 현재시각에 대응하는 갯수의 트리거신호를 발생하는 음성트리거신호(9)와 ; 이 음성트리거신호부(9)의 트리거신호에 의해 온/오프 동작하는 트리거스위치(6), 실제의 뻐꾸기발성음이 내장된 메모리단(1), 상기 음성트리거신호부(9)의 트리거신호에 의해 트리거스위치(6)가 온동작시 상기 메모리단(1)의 뻐꾸기발성음을 증폭하는 트랜지스터(TR1) 및 스피커(7)를 통해 뻐꾸기발성음을 외부로 출력시키는 트랜지스터(TR2)를 구비한 주신호발생부(2)와 ; 상기 음성트리거신호부(9)의 트리거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인버터(I1), 캐패시터(C2) 및 다이오드(D)의 신호에 의해 턴온되는 트랜지스터(TR3), 이 트랜지스터(TR3)의 턴온됨에 따라 바이어스전압을 입력하여 상기 주신호발생부(2)의 트랜지스터(TR2)의 컬렉터단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상기 주신호발생부(2)의 출력신호를 일정시간 신호지연하는 신호지연단(8)으로 구성된 신호지연부(3)와 ; 이 신호지연부(3)의 출력신호내에 포함된 디지탈성분을 제거하는 필터링부(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뻐꾸기발성음의 시보회로.
  2. (삭제)
  3. (삭제)
  4.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지연부(3)의 신호지연단(8)과 주신호발생부(2)의 스피커(7)의 사이에 뻐꾸기발성음 신호의 원근감을 줄 수 있도록 조정가능한 가변저항 (VR2)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뻐꾸기발성음의 시보회로.
KR92011567U 1992-06-26 1992-06-26 뻐꾸기발성음 시보회로 KR9500105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1567U KR950010589Y1 (ko) 1992-06-26 1992-06-26 뻐꾸기발성음 시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1567U KR950010589Y1 (ko) 1992-06-26 1992-06-26 뻐꾸기발성음 시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1693U KR940001693U (ko) 1994-01-03
KR950010589Y1 true KR950010589Y1 (ko) 1995-12-21

Family

ID=19335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1567U KR950010589Y1 (ko) 1992-06-26 1992-06-26 뻐꾸기발성음 시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058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1693U (ko) 199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01816A (en) Electronic chime
KR101233004B1 (ko) 다성음 발생 방법
US4482888A (en) Alarming apparatus
KR950010589Y1 (ko) 뻐꾸기발성음 시보회로
US4481852A (en) Sound generating circuit for timepiece
US4545279A (en) Electronic music note generator
JPS648914A (en) Toothbrush holder and toothbrush
KR940025240A (ko) 전화기의 통화 대기음 발생장치
KR940004183Y1 (ko) 토글식 강/약 스피커음 발생 회로
SU817745A1 (ru) Синтезатор музыкальной фразы
JPS6239911B2 (ko)
JPS6239910B2 (ko)
JPS6444613A (en) Sound volume adjusting circuit
JP2844981B2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
JPS6236548B2 (ko)
KR910005582Y1 (ko) 전자악기의 하이-하트 심벌음 발생회로
KR930005374Y1 (ko) 시보장치의 음성 발생회로
US3146309A (en) Synthetic speech sound generator
KR930004101B1 (ko) 모뎀의 스피커 제어회로
KR910000376Y1 (ko) 시간 지연 발진회로
KR800001584Y1 (ko) 귀뚜라미 소리 발진장치
JP2914663B2 (ja) 音響信号形成回路
JPS61273595A (ja) 発声玩具
JP2003161789A (ja) 音響発生方法、電子式メトロノーム
KR100232790B1 (ko) 링착신음 정형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