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3418Y1 - 재 크 - Google Patents

재 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3418Y1
KR860003418Y1 KR2019820009808U KR820009808U KR860003418Y1 KR 860003418 Y1 KR860003418 Y1 KR 860003418Y1 KR 2019820009808 U KR2019820009808 U KR 2019820009808U KR 820009808 U KR820009808 U KR 820009808U KR 860003418 Y1 KR860003418 Y1 KR 8600034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jack
contact
piec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98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3446U (ko
Inventor
마사미 구와바라
Original Assignee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도오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도오루 filed Critical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34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34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34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4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5/00Three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재 크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2도는 동 실시예의 단면도.
제3도는 동 실시예의 플러그의 삽입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에 있어서의 X-X'선 단면도.
제5도는 동 실시예에 표시되어 있는 재크의 용도예를 나타낸 회로도.
제6도는 외부 부가스위치를 갖지 않은 커버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재크케이스 30 : 외부부가스위치
32 : 커버
11,13,15 : 재크접편(접지접편,링접편,팁접편)
16,17 : 내장스위치(접편스위치) P : 플러그
P1,P2,P3: 플러그의 각 전극부(접지쪽 전극부,링전극부,팁전극부)
본 고안은 재크케이스에 착탈가능하게 계착되는 커버의 교환에 의해서 외부 부가스위치를 추가, 철거할 수 있도록 한 재크에 관한 것이다. 근래, 장치의 다양화에 수반해서, 또 장치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재크케이스내에 단지 플럭측의 전극부에 접촉해서 접속 상태를 유지하는 재크접편 뿐만이 아니라, 플러그의 삽탈조작에 의해서 절환동작하는 복수의 절환스위치를 내장한 재크가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재크를 공급하는 제조자측으로서는 모든 사용형태를 고려하여 내장한 절환스위치의 수를 다르게 한 여러가지의 재크를 제조해서 수요자에 부응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재크를 개별적으로 설계 제작하는데 있어서는, 예를들면 재크케이스 등과 같이 개개로 전용부품을 필요로 하고 생산비적으로도 비교적 비싸지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재크접편 및 절환스위치의 각 단자부의 단자 정렬을 확보하기 위해서 재크케이스에 착탈가능하게 계착되는 커버쪽에 외부 부가스위치를 착설하는 것으로, 커버의 교환에 의해서 외부 부가스위치를 임의로 추가, 철거를 할 수 있는 등, 사용형태에 따른 임기응변적인 대응이 가능하며, 공통부품의 효과있는 이용에 의해서 값싼 재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중(1)은 후단부가 개구된 수지로 성형된 재크케이스이며, 그 앞면벽(1a)에 플러그삽입용의 통형상의 호울더부(2)를 돌설하고, 이 통형상의 호울더부(2)의 개구단 내부둘레에 금속성 슬리이브(2)가 감착되어 있다. (11)은 재크케이스(1)내에 삽입되는 플러그(P)의 전극부중, 접지쪽 전극부(P1)와 접촉하는 접지접편이며, 장방형 판형상의 메인부(11a)의 양쪽 가장자리를 재크케이스(1)내에 형성된 수용홈(12)내에 압입하고, 메인부(11a)의 앞가장자리로부터 뻗어나오게 한 설편부(11b)를 <형상으로 굴곡한 선단부(11c)를 통형상 호울더부(2)내를 향하게 하고 있다. 또 메인부(11a)의 후단부로부터 단자부(11d)를 메인부(11a)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13)은 플러그(P)의 전극부중, 한쪽 채널의 전극부를 구성하는 링전극부(P1)와 접촉하는 링접편이며, 장방형 판형상의 메인부(13a)의 양쪽 가장자리를 재크케이스(1)내에 형성한 수용홈(14)내에 압입하고, 메인부(13a)의 앞단부로부터 하부 후방에 메인부(13a)로 부터 1변을 남기로 타발한 설편부(13c)를 뻗어나오게 함과 동시에 미인부(13a)의 후단부를 직각으로 절곡해서 단자부(13d)를 형성하고 있다.
(15)는 플러그(P)의 전극부중, 다른쪽 채널의 전극부를 구성하는 팁전극부(P3)와 접촉하는 팁접편이며, 장방형 판형상의 메인부(15a)의 양쪽 가장자리를 상기 접지접편(11)과 마찬가지로 수용홈(12)내에 압입하고, 메인부(15a)의 앞단부에서 상부 후방에 메인부(15a)에서 1변을 남기고 타발한 설편부(15b)를 뻗어나오게 함과 동시에 메인부(15a)의 후단부로부터 단자부(15c)를 메인부(15a)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또한, 접지저편(11)과 팁접편(15)은 동일한 수용홈(12)내에 압입되나, 접지접편(11)을 재크케이스(1)의 앞단부쪽에, 또 팁접편(15)을 재크케이스(1)의 후단부쪽에 배치함으로서 양자를 서로 분리하고 있다. 또 상기 재크케이스(1)내의 양측부에 플러그(P)의 전극부에 압압되어서 절환동작하는 내장스위치로서 한쌍의 접편스위치(16)(17)를 각각 착설하고 있다.
상기 접편스위치(16)는 절환접편(18), 메이크접편(19) 및 브레이크 접편(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환접편(18)은 장방형 판형상의 메인부(18a)의 양쪽 가장자리부를 수용홈(도시하지 않음)내에 압입하고, 메인부(18a)의 중앙부로부터 이 메인부(18a)와 소요각도를 이루고 전방으로 뻗어나가게 한 설편부(18b)의 선단에 단차를 갖도록 절곡해서 접점부(18c)를 형성하고, 이 접점부(18c)의 배면부에 절연재제의 세퍼레이터(18d)를 계착하고 있다. 또 메인부(18a)의 하부 가장자리에 단자부(18e)를 일체로 돌설하고 있다.
상기 메이크접편(19)은 장방형 판형상의 메인부(19a)의 양쪽 가장자리를 수용홈(도시하지 않음)내에 압입하고, 메인부(19a)의 앞쪽 가장자리에서 선단부를 두갈래로 분기하고, 또한 <형상으로 굴곡시켜서 접점부(19b)(19b)를 형성한 설편부(19c)를 뻗어나가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접점부(19b)(19b)는 플러그(P)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나 절환접편(18)의 접점부(18c)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유지하고, 플러그(P)가 삽입된 상태로 서로 접촉하도록 하고 있다. 또 메인부(19a)의 후단부쪽 하부 가장자리에서 단자부(19d)를 일체로 돌설하고 있다.
상기 브레이크접편(20)은 장방형 판형상의 메인부(20a)의 앞단부 중앙에 절결홈(20b)을 형성하고, 이 절결홈(20b)을 사이에 두고 상하부에 접점부(20c)(20c)를 형성한 것으로서, 메인부(20a)의 양쪽가장자리를 수용홈(도시생략)내에 압입함과 동시에 메인부(20a)의 앞단부쪽 하부 가장자리에서 단자부(20d)를 일체로 돌설하고 있다.
한편, 접편스위치(17)도 상기 접편스위치(16)와 마찬가지로 이 접편 스위치(16)의 절환접편(18), 메이크접편(19) 및 브레이크접편(20)과 각각 대칭형상을 이루는 절환접편(25), 메이크접편(26) 및 브레이크 접편(27)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각각 대응하는 개소에는 각 번호뒤에 동일한 알파벳을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재크케이스(1)의 후단부쪽 개구부(1b)는, 배면부에 외부부가스위치(30)를 수용하는 케이스(31)와 일체로 형성된 수지제의 커버(32)로 폐색된다.
이 커버(32)에는 재크본체부쪽과 외부 부가스위치(30)쪽을 구획하는 간막이벽(33)을 기부(37)에 입설하고, 이 간막이벽(33)에 재크케이스(1)내와 스위치케이스(31)내를 연통하는 슬릿(34)(제1도 및 제4도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또 간막이벽(33)의 상단부에 감합볼록부(35)(35)(제1도 참조)를 형성하고 이 감합볼록부(35)를 재크케이스(1)의 상면부에 형성한 감합구멍(36)(36)에 감합시킴과 동시에, 기부(37)의 양쪽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감합돌조(29)(29)를 재크케이스(1)의 양측벽에서 일체로 뻗은 연결벽(1c)(1c)에 형성한 감합홈(38)(38)에 감합시킴으로서,커버(32)를 재크케이스(1)에 착탈가능하게 계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커버(32)의 기부(37)에 상술한 각 접편의 단자부를 삽통시키는 투공(39)…을 천설하고, 이 투공(39)…에 각 단자부를 삽통시킴으로서 단자정렬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커버(32)의 기부(37)는 재크케이스(1)의 양측벽에서 뻗어나가게 한 연결벽(1c)(1c)에 연결되어서 재크케이스(1)의 바닥벽(1d)으로부터 일정거리를 사이에 둔 위치에 지지되며, 이 바닥벽(1d)에서 돌출하는 각 단자부를 기부(37)에 천설한 투공(39)…에 삽통해서 각 단자부를 커버(32)로 지지함으로서, 각 단자부를 소정의 위치로 정렬시킬 수가 있고, 프린트기판 등에 대한 장착이 용이해 진다.
또, 외부 부가스위치(30)는 절환접편(40), 메이크접편(41), 브레이크접편(42) 및 절환접편(40)과 브레이크접편(42) 사이에 개삽되는 절연재제의 세퍼레이터(4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절환접편(40)은 장방형 판형상의 메인부(40a)의 하부 가장자리에서 단면 L자형상으로 굴곡시킨 설편부(40b)를 뻗어나가게 함과 동시에 그 선단부에 T자형상을 이루는 접점부(40c)를 형성하고 있으며 메인부(40a)의 양쪽 가장자리를 스위치케이스(31)의 내측벽에 형성한 수용홈(44)(제도 참조)내에 수용해서 상기 설편부(40b)를 상기 슬릿(34)를 개재해서 재크케이스(1)내에 돌출시키고 있다. 또한, 메인부(40a)의 한쪽부에서 단자부(40d)를 뻗어나가게 해서, 스위치케이스(31)의 바닥부에서 외부로 돌출시키고 있다.
또 상기 메이크접편(41)은 장방형 판형상의 메인부(41a)의 하부에서 설편부(41b)를 뻗어나가게 함과 동시에 그 선산부에 T자형상을 이루는 접점부(41c)를 형성하고 있으며 메인부(41a)의 양쪽 가장자리를 스위치케이스(31)의 내측벽에 형성한 수용홈(45)(제1도 참조)내에 수용해서 상기 설편부(41b)를 상기 슬릿(34)을 개재해서 재크케이스(1)내에 돌출시키고, 상기 접점부(41c)를 상기 절환접편(40)의 접점부(40c)에 소정간격을 사이에 두고 대향시키고 있다. 또한, 메인부(41a)의 하부에서 단자부(41d)를 뻗어나가게 해서, 스위치케이스(31)의 바닥부에서 외부로 돌출시키고 있다.
또 상기 브레이크접편(42)은 장방형 판형상의 메인부(42a)의 하부에서 메인부(42a)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편부(42b)를 뻗어나가게 함과 동시에 선단부에 두갈래형상으로 분기하고, 또한 아래쪽으로 굴곡시킨 접점부(42c)를 형성한 것으로서, 메인부(41a)의 양쪽 가장자리를 스위치케이스(31)의 내측벽에 형성된 수용홈(도시하지 않음)내에 수용해서 상기 설편부(42b)를 상기 슬릿(34)을 개재해서 재크케이스(1)내에 돌출시키고,상기 접점부(42c)를 상기 절환접편(40)의 접점부(40c)에 접촉시키고 있다. 또한 메인부(42a)의 한쪽부에서 단자부(42d)를 뻗어나가게 해서, 스위치케이스(31)의 바닥부에서 외부로 돌출시키고 있다.
또한 상기 세퍼레이터(43)는 스위치케이스(31)의 상부 개구부(31a)를 폐색하는 덮개부를 겸한 기부(43a)의 하부에서 단편 L자형상의 조작부(43b)를 뻗어나가게 하고 그 선단부, 즉 조작단에 세퍼레이터(43)와 동일한 절연재로 이루어지고, 정상부를 반구형으로 한 원기둥형상의 돌부(43c)를 돌설하고 있다.
또 상기 조작부(42b)를 상기 슬릿(34)을 개재해서 재크케이스(1)내에 돌출시킴과 동시에 그 조작단부인 돌부(43c)를 상기 팁접편(15)의 설편부(15b)의 배면부에 당접시키고 있다. 즉, 재크케이스(1)내에 플러그(P)가 삽입되고, 이 플러그(P)의 팁전극부(P3)가 상기 설편부(15b)를 압압했을 경우에 이 설편부(15b)가 아래쪽으로 압압되어서, 조작부(43b)도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절환접편(40)의 접점부(40c)가 브레이크접편(42)의 접점부(42c)를 떠나서 메이크접편(41)의 접점부(41c)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세퍼레이터(43)의 조작부(43b)의 기단부쪽에 단면이 반원형인 절결부(47)를 형성하여,조작부(43b)의 가요성을 증가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세퍼레이터(43)의 기부(43a)의 앞면벽에 한쌍의 연결부(48)(48)를 착설하고, 커버(32)를 재크케이스(1)에 계착하였을 때에 상기 연결부(48)(48)의 상단부를 재크케이스(1)의 후단부쪽 개구 가장자리부에서 압압하도록 해서 세퍼레이터(43) 및 외부 부가스위치(30)를 구성하고 있는 각 접편(40)(41)(42)의 스위치케이스(31)내로부터의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재크케이스(1)내에 재크접편[접지접편(11), 링접편(13), 팁전극(15)] 및 내장스위치(16)(17)의 각 접편을 배설함과 동시에,커버(32)에 외부 부가스위치(30)의 각 접편 및 절연재제의 세퍼레이터(18d)를 장착하고, 상기 커버(32)를 상기 재크케이스(1)에 계착함으로서 조립되며, 플러그(P)의 삽입시에는 재크접편[접지접편(11), 링접편팁(13), 전극(15)]이 플러그(P)에 각 접촉함과 동시에, 내장스위치(16)(17) 및 외부 부가스위치(30)가 절환작동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외부 부가스위치(30)를 재크케이스(1)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32)쪽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부가스위치(30)의 장착, 철거는 용이하며, 외부 부가스위치(30)가 불필요한 경우는, 상기 커버(32)대신에 제6도에 표시되는 바와 같은 외부 부가스위치를 갖지 않은 커버(100)로 재크케이스(1)의 후단부쪽 개구부(1b)를 폐색할 수가 있다.
따라서,이와같은 재크를 제공하는 제조자로서는, 재크접편 {접지접편(11),링접편(13),팁전극(15)} 및 내장스위치 {접편스위치(16)(17)}를 가진 재크본체부에 대해서, 외부 부가스위치(30)를 가진 커버(32) 및 외부 부가스위치를 갖지 않은 커버(100)를 제조해 놓음으로서, 재크 본체와 커버와 교환에 의해서 2종류의 재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재크본체부쪽을 표준부품, 혹은 공통부품으로서 양산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원가를 대폭적으로 삭감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외부 부가스위치(30)를 단자정렬을 확보하기 위한 커버(32)에 착설하고 있으며, 또한 이 커버(32)는 재크의 조립공정에 있어서의 최종단계에서 재크케이스(1)에 계착되는 것이기 때문에, 커버(32)를 장착하기 전의 재크본체를 반제품으로 해서 재고하여 두고, 수요자로부터의 주문이 있을 때에, 필요한 커버를 장착해서 출하할 수도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 부가스위치(30)의 각 접편(40)(41)(42)의 메인부(40a)(41a)(42a) 및 세퍼레이터(43)의 기부(43a)를 스위치 케이스(31)내에 수용하고, 각각 L자형상으로 굴곡시켜서 조작부만을 각막이벽(33)에 형성한 슬릿(34)를 개재해서 외부로 돌출시키도록 한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재크케이스(1)에 대한 커버(32)의 계착이 용이해지며, 외부 부가스위치(30)의 장착, 철거는 극히 용이하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내장스위치인 접편스위치(16)(17)를 그 조작단인 세퍼레이터(18d)(25d)를 플러그 삽입구에 가까운 플러그 삽입로(60)를 향해서 배치하고, 외부 부가스위치(30)의 조작단인 돌부(43c)를 팁접편(15)의 배면부에 배치하도록 한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접편스위치(16)(17)와 외부 부가스위치(30)와의 사이에 절환타이밍의 시간차를 확보할 수가 있다. 즉, 플러그(P)의 삽입시는, 먼저 내장스위치인 접편스위치(16)(17)가 절환동작 된 후에 외부 부가스위치(30)가 절환 동작한다. 또 반대로 플러그(P)를 뽑을 때는 외부 부가스위치(50)가 절환동작한 후에 접편스위치(16)(17)가 절환동작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실시예에 나타낸 재크를 트랜지스터 라디오와 카세트테이프 레코오더를 일체로 한통칭 「라디카세」라 불리우는 휴대형 라디오 등의 헤드폰용 재크로서 사용하면, 녹음시에 헤드폰을 사용해서 모니터할때에, 플러그의 삽탈조작시에 하우징 현상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각별한 이점도 가져오는 것이다.
제5도는 그 접속회로의 일례이다. 즉, 앰프(R) 및 앰프(L)의 양출력단을 내장스위치인 접편스위치(16)(17)의 각 브레이크 접편(20)(27)에 접속함과 동시에 접편스위치(16)(17)의 각 절환접편(18)(25)을 스피이커(50)(51)에 각각 접속하고 있다. 또 상기 브레이크접편(20)(27)을 감쇠기용기의 저항(R1)(R2)을 개재해서 팁접편(15) 및 링접편(13)에 각각 접속하고 있다. 또 뮤우팅회로(52)의 뮤우팅 동작을 해제하기 위한 리이드 단자를 외부 부가스위치(30)의 절환접편(40) 및 브레이크접편(42)에 각각 접속하고 있다.
다음에 이 회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통상, 녹음버튼을 조작해서 녹음을 개시하면, 동시에 뮤우팅회로(52)가 동작해서, 앰프출력이 0이 된다. 다음에 헤드폰의 플러그(P)를 재크케이스(1)내에 삽입하면, 먼저 내장스위치인 접편스위치(16)(17)가 절환 동작해서 스피이커 회로가 차단되고 앰프(R) 및 앰프(L)의 각 출력이 헤드폰족으로 절환된다.
이 동작에 이어서 외부 부가스위치(30)가 절환동작하기 때문에, 뮤우팅회로(52)의 뮤우팅 동작이 해제되고, 앰프(R), 앰프(L)로부터의 모니터 출력이 헤드폰쪽에 출력된다. 이동안, 스피이커회로의 차단동작이 뮤우팅 동작의 해제에 앞서서 행하여 지기 때문에, 플러그의 삽입시에 하우링 현상을 일으킬 염려가 없다. 또 플러그(P)를 뽑을때에도 뮤우팅 동작을 복귀시킨 후에 스피이커회로가 접속되기 때문에, 삽입시와 마찬가지로 하우징 현상을 일으킬 염려가 없다.
또 본 실시예의 재크에 의하면, 외부 부가스위치(30)의 조작단을 팁접편(15)의 배면부쪽에 배치하고, 플럭쪽의 팁전극부(P3)가 팁접편(15)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자체가 가진 탄성에 의해서, 즉 외부 부가스위치(30)의 절환접편(40) 및 메이크접편(41)이 가진 탄성에 의해서, 상기 팁접편(15)을 상기 팁전극부(P3)방향으로 압압편기 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팁접편(15)의 팁전극부(P3)에 대한 접촉력이 향상됨과 동시에 플러그를 뽑는 힘도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와 같이 팁접편(15)의 배면부에 코일스프링 등을 개삽할 필요가 없고, 외부 부가스위치(30) 자체가 가진 탄성력을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특별한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고, 외부 부가스위치가 착설된 재크를 값싸게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6도에 나타낸 커버(100)는 외부 부가스위치를 갖지 않은 커버이나, 종래에는 예를들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100)의 기부(102)에 통형상부(103)를 돌설하고, 이 통상부(103)에 삽입된 코일스프링(101)의 일단부로 팁접편(15)의 설편부(15b)를 압압하도록 하고, 팁접편(15)의 탄성력을 코일스프링(101)으로 보완하도록 하고 있다.

Claims (1)

  1. 플러그(P)의 각 전극(P1)(P2)(P3)에 각각 접촉되고 재크접편(11)(13)(15)이 착설된 재크케이스(1)와, 이 재크케이스(1)의 내부에 배설되고 상기 플러그(P)의 삽입에 의해서 절환작동되는 내장스위치(16)(17)와, 상기 재크케이스(1)에 착탈가능하게 덮개를 계착하고, 상기 재크접편(11)(13)(15) 및 내장스위치(16)(17)의 각 단자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플러그(P)의 삽입에 따라 접촉작동되는 재크접편(11)(13)(15)의 적어도 1개 (15)에 절연재제의 세퍼레이터(43)를 개재해서 연동되는 절환접편(40)을 절환 작동시키는 외부 부가스위치(30)가 착설된 절연재제의 커버(32)를 구비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크.
KR2019820009808U 1981-12-11 1982-12-07 재 크 KR86000341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1185435U JPS5888783U (ja) 1981-12-11 1981-12-11 ジヤツク
JP56-185435 1981-12-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446U KR840003446U (ko) 1984-07-25
KR860003418Y1 true KR860003418Y1 (ko) 1986-11-27

Family

ID=16170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9808U KR860003418Y1 (ko) 1981-12-11 1982-12-07 재 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S5888783U (ko)
KR (1) KR860003418Y1 (ko)
GB (1) GB2112589B (ko)
HK (1) HK2398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1470B1 (ko) * 1983-09-30 1989-05-04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접편(接片)을 매설지지시킨 스위치 구조체
US4548447A (en) * 1984-04-05 1985-10-22 Magnetic Controls Company Electrical jack
JPS6264082A (ja) * 1985-09-17 1987-03-2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コネクタ嵌合確認装置
JPH0449834Y2 (ko) * 1988-05-16 1992-11-24
JPH02131278U (ko) * 1989-04-03 1990-10-31
JPH0616411Y2 (ja) * 1989-04-07 1994-04-27 ホシデン株式会社 ジャック
JPH0616412Y2 (ja) * 1989-07-12 1994-04-27 ホシデン株式会社 ジャック
US5233501A (en) * 1992-02-27 1993-08-03 Telect, Inc. Digital telecommunication network cross-connect module having a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ed to jack switches
US5238422A (en) * 1992-03-23 1993-08-24 John Scherer Self-terminating phone plug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546282A (en) * 1995-05-02 1996-08-13 Telect, Inc. Telecommunication network digital cross-connect panels having insertable modules with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coaxial jack switches
US7165999B1 (en) * 2006-05-12 2007-01-23 Speed Tech Corp. Fastening structure for electrical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586Y2 (ko) * 1972-03-28 1978-01-17
JPS5386597U (ko) * 1976-12-20 1978-07-1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112589A (en) 1983-07-20
HK23987A (en) 1987-03-27
JPS5888783U (ja) 1983-06-16
JPS6121816Y2 (ko) 1986-06-30
GB2112589B (en) 1986-04-09
KR840003446U (ko) 1984-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92708A (en) Electrical jack
KR860003418Y1 (ko) 재 크
US5919052A (en) Earphone jack
US4634815A (en) In-the-ear hearing aid
US7226319B2 (en) Earphone jack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5306158A (en) Connector for circuit board
US20010017917A1 (en)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and equipment which includes it
KR860003181Y1 (ko) 재크
US4081751A (en) Plug-in radio set, and support therefor
JPH0877320A (ja) ゲーム機用カートリッジ
EP0439147B1 (en) Connector with short circuit and connector assembly
US20060166561A1 (en) Audio jack connector
US5586188A (en) Hearing aid
CA1321758C (en) Hearing aid
JPH035115Y2 (ko)
US6603068B2 (en) Tuning device
JP3549190B2 (ja) 多極コネクタ用レセプタクル
US6503106B1 (en) Electric jack
CN218769155U (zh) 一种双电源自动转换开关的壳体结构
JPH024462Y2 (ko)
US5923534A (en) PC card
KR840002897Y1 (ko) 재크
JPH0660927A (ja) ジャック装置
JPS5846553Y2 (ja) 配線板用電気接続装置
KR870000944Y1 (ko) 절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