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944Y1 - 절환기 - Google Patents

절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944Y1
KR870000944Y1 KR2019830003174U KR830003174U KR870000944Y1 KR 870000944 Y1 KR870000944 Y1 KR 870000944Y1 KR 2019830003174 U KR2019830003174 U KR 2019830003174U KR 830003174 U KR830003174 U KR 830003174U KR 870000944 Y1 KR870000944 Y1 KR 8700009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ntact
switch
terminal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31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7866U (ko
Inventor
도오루 다스다
Original Assignee
호시덴기 세이조오 가부시기 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기 세이조오 가부시기 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filed Critical 호시덴기 세이조오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78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78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9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9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7/00Switches operated by a removable member, e.g. key, plug or plate; Switches operated by setting members according to a single predetermined combination out of several possible settings

Landscapes

  • Slide Switch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절환기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스위치가 붙은 재크로서,
제1도는 플러그의 비삽입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2도는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3도는 동 실시예의 측면도.
제4도는 동 실시예의 저면도.
제5도는 제1도의 X-X' 단면도.
제6도는 제1도의 Y-Y' 단면도.
제7도는 동 실시예의 정면도.
제8도는 동 실시예의 덮개부분의 상면도.
제9(a)도, 제9(b)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세로형 슬라이드 스위치의 상면도 및 단면도.
제10(a)도, 제10(b)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가로형 슬라이드 스위치의 측면도 및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틀체 1a : 개구부
13 : 슬라이더 15 : 접동브러시
23 : 덮개부 24 : 고정측 접점부
32 : 단자부
본 고안은 접동브러시가 접촉하는 고정측 접점부를 틀체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덮개부에 일체적으로 착설한 절환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휴대를 목적으로 한 소형 라디오나 테이프레코오더 등은 박형화의 경향에 있으며, 이들 제품에 사용되는 전자부품도 역시 필연적으로 소형, 박형의 것이 요망되는 경향에 있다.
예를 들면, 이 종류의 전자부품의 하나에 이어폰이나 마이크 등의 플러그를 접속하기 위한 재크에 플러그의 삽탈조작에 의해서 절환동작하는 절환스위치부를 일체로 착설한, 소위 스위치가 붙은 재크가 있으나 종래는 이 종류의 절환스위치부를 슬라이드스위치에 의해서 구성하고, 이 슬라이드스위치의 접동부에 상당하는 슬라이더를 재크접편의 선단부에 결합시키고, 플러그의 삽탈조작에 의해서 슬라이더를 슬라이드이동시켜서 절환동작할 수 있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종류의 절환스위치에서는 슬라이더측에 지지되어서 접속자를 구성하는 클립 및 이 클럽에 협지 장착되어서 절환동작을 하는 절환단자부 등에 치수상의 제약을 받아, 박형화를 방해하는 요인의 하나가 되고 있었다.
또 상술한 절환단자부는 스위치부를 수용하는 틀체와는 별개로 한장의 절연기판위에 단자부를 배열한 것을 제작하고 있었던 것이나, 부품개수가 증가함과 동시에 조립공정도 증가하는 등, 원가절감의 방해요인으로도 되고 있었다.
또 이와같이 박형의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재크 혹은 절환스위치 등은 치수상의 제약으로 인해서 프린트기판에 바로 장착되는 경우가 많고, 절환스위치부를 구성하는 각 단자부도 틀체의 저면부측에서 돌출시킨 것이기 때문에, 프린트기판에 납땜등에 의해서 장착하는 경우에 단자부를 따라서틀 체내에 플럭스가 침입할 우려가 있고, 스위치의 접속불량의 원인으로도 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종래의 이 종류 절환기에 비해서 박형화를 가능하게 하고, 부품개수, 조립공정수가 감소해서 원가삭감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프린트 기판에 장착할 경우도, 틀체내에 플럭스가 침입해서 접촉불량을 일으킬 우려가없는 신뢰성이 높은 절환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상기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접동브러시가 접촉해서 접리동작하는 고정접점를 틀체의 개구부를 폐색하기 위해서 착설된 덮개부에 인서어트성형 등의 수단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형성하므로서, 고정측 접점부를 형성하기 위한 각별한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박형화를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고정측 접점부가 덮덮개와 일체로 설치되기 때문에 부품개수 및 조립공정이 감소해서 원가절감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이 고정측 접점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덮개부가 틀체에 형성된 상부개구부를 폐색하는 것으로서, 더우기 고정측 접점부에 연설되는 단자부를 틀체의 상부에서 틀체의 측벽부에 연하고, 또한 측벽부와 비접촉으로 꾸부려서 내리므로서, 프린트기판 등에 납땜에 의해서 장착할 때에 플럭스가 틀체내에 침입할 우려가 없고, 접촉불량 등을 초래하는 고장원인을 해소할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스위치가 붙은 재크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하고 있는 덮개부를 제거한 상태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제1도는 플러그(P)의 비삽입상태를 나타내고, 제2도는 플러그(P)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1)은 상부 개구부(1a)를 가진 수지제의 틀체이고, 그 좌측에 재크부(2)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품이, 또 틀체(1)의 우측에 절환스위치부(3)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품이 각각 수용된다.
먼저 재크부(2)에 대해서, 틀체(1)의 앞면벽(1b)에 플러그삽입 구멍(1c)을 돌설하고, 이 플러그삽입구(1c)에 연통하는 틀체(1)내에 틀러그삽입로(1d)를 형성하고 있다.
(4)는 플러그삽입구멍(10)의 내주부에 배설되는 접지측 재크접편이며, 판형상의 메인부(4a)의 양측부에서 서로 대치하는 협지편(4b)(4b)을 돌설함과 동시에, 쌍방의 협지편(4b)(4b)의 중앙부를 서로 내측으로 만곡 시켜서 접점부(4c)(4c)를 형성하고, 플러그삽입로(1d)에 삽입되는 플러그(P)의 접지측 도체부(P1)상 상기 접점부(4c)(4c)가 탄성적으로 접촉해서 플러그(P)와 접속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있다.
또, 메인부(4a)의 한측부 중앙으로부터 단자부(4d)를 메인부(4a)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설해서 틀체(1)의 저벽부(1e)에서 외부로 돌출시키고 있다.
(5)는 틀러그(P)의 한쪽 채널측 도체부(P2)에 접촉하는 제1의 재크접편이며, 판형상의 메인부(5a)를 틀체(1)에 형성되는 홈부(6) 내에 수용함과 동시에, 메인부(5a)의 앞가장자리부에 만곡형상으로 접어올려 이루어진 설편부(5b)를 돌설하고, 이 설편부(5b)의 선단부측을 원호형상으로 굴곡해서 접접부(5c)를 형성하고 이 접점부(5c)를 플러그삽입로(1d)에 면하게 하고, 삽입된 플러그(P)의 도체부(P2)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도록 하고있다.
또한, 이 재크접편(5)의 단자부(5d)를 메인부(5a)로부터 돌설하고,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틀체(1)의 저벽부(1e)에서 외부로 돌출시키고 있다.
(7)은 상기 재크접편(5)의 선단부에 접촉하는 봉형상의 브리이크접편이며, 선단부를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ㄷ자형으로 굴곡해서 접점부(7a)를 형성함과 동시에 기단부측을 틀체(1)의 저벽부(1e)에서 외부로 돌출시켜서 단자부(7b)로 하고있다.
(8)은 플러그(P)의 다른쪽의 채널측 도체부(P3)에 접촉하는 제2의 재크접편이며, 판형상의 매인부(8a)를 틀체(1)에 형성되는 홈부(9) 내에 수용함과 동시에, 메인부(8a)의 앞가장자리부에 만곡형상으로 접어올려져서 이루어진 설편부(8b)를 돌설하고, 이 설편부(8b)의 선단부측을 <형상으로 굴곡해서 접점부(8c)를 형성하고, 이 접점부(8c)를 플러그삽입로(1d)에 면하게 해서, 삽입된 플러그(P)의 도체부(P3)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도록 하고있다. 또한, 이 재크접편(8)의 단자부(8d)를 메인부(8a)로부터 돌설하고, 틀체(1)의 바닥벽부(1e)에서 외부로 돌출시키고 있다.
(10)은 상기 재크접편(8)의 설편부(8b)의 중간부에 접촉하는 봉 형상의 브레이크접편이며, 선단부를 ㄷ자형으로 굴곡해서 접점부(10a)를 형성함과 동시에 기단부측을 틀체(1)의 저벽부(1e)에서 외부로 돌출시켜서 단자부(10b)로 하고있다.
또한, 상기 각 접편(5)(7)(8)(10)의 단자부(5d)(7b)(8d)(10b)를 돌출된 틀체(1)의 외부측 저벽부(1e)에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함몰부(11)(11)를 형성하고, 틀체(1)를 프린트기판(PG) 등에 외부측저벽부(1e)를 프린트기판(PC)에 밀접시켜서 장착했을 경우에도 함몰부(11)(11)에 의해서 공극부(12)가 형성되도록 하고, 납땜시의 플럭스가 상기 단자부(5d)(7b)(8d)(10b)를 따라서 틀체(1)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다음에 절환스위치부(3)에 대해서, (13)은 틀체(1)내에 형성된 아내홈(14)내를 슬라이드 자재로 이동하는 수지제의 슬라이더이며, 이 슬라이더(13)의 양단부에 한쌍의 접동브러시(15)(15)를 지지하고 있다.
이 접동브러시(15)는 제5도 및 제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장방형 판형상의 메인부(15a)를 슬라이더(13)측에 형성한 수용부(16)내에 수용해서 수용부(16)내에 돌설한 연결부(17)에 연결시켜서 교정함과 동시에, 메인부(15a)의 앞가장자리부로부터 만곡형상으로 접어올린 3본의 접동설편(15b)(15b)(15b)을 돌설하고, 원호형상으로 굴곡된 접동접점부(15c)(15c)(15c)를 슬라이더(13)에 형성한 개구부(18)(18)를 개재해서 돌출시키고 있다.
또 상기슬라이더(13)의 한쪽벽에 조작부(19)를 돌설하고, 이 조작부(19)의 선단을 제2의 재크접편(8)의 선단부 뒷면에 배치해서, 틀체(1)내에 삽입되는 플러그(P)의 삽탈조작에 의해서 슬라이더(13)를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있다.
또 상기조작부(18)와 틀체(1)의 측벽부에 각각 스프링삽입구멍(20)을 형성해서 코일스프링(21)을 삽입하고, 이 코일스프링(22)에 의해서 슬라이더(22)를 화살표 α방향에 탄성적으로 기울어지게 하고 있다.
그러나, 틀체(1)의 상부 개구부(1a)를 수지제의 덮개부(23)에 의해서 폐색하는 것으로서, 이 덮개부(23)의 내측면에 상기접동 브러시(15)가 접촉해서 접리동작하는 고정측 접점부(24)를 인서어트성형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제8도는 상기 덮개부(23)를 상면부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고정측 접점부(24)는 소정형상으로 타발가공된 1매의 금속판(25)을 덮개부(23)를 성형 가공할때에 인서어트성형에 의해서 덮개부(23)의 내면부에 일체로 고정함과 동시에, 성형가공후에 이 금속판(25)의 불필요한 부분(도면중 사선부로 표시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을 절단해서 제거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고정측 접점부(24)는 그 접점면이 덮개부(23)의 내측면과 균일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은 말할것도 없다.
또, 접동브러시(15)의 각 접동접점부(15c)(15c)(15c)는 제8도에 나타낸 라인(ℓ1)(ℓ2)(ℓ3)에 연한 방향으로 접동하고, 또한 화살표(A) 및 (B)로 표시되는 범위내에서 왕복이동해서, 고정측 접점부(24)와의 사이에서 접리동작한다.
덮개(23)의 틀체(1)에 대한 장착은 덮개부(23)의 후단부측 양측부에 돌설한 클릭부(26)(26)를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틀체(1)의 양측벽에 형성된 결합부(27)(27)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덮개부(23)의 앞단부에 덮개부(23)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설한 결합철부(28)를 틀체(1)의 앞면벽(1b)에 형성한 결합요부(29)에 결합시켜서 장착하도록 하고있다. 또, 덮개부(23)에 위치결정용의 투공(30)(30)을 형성하고, 이 투공(30)(30)에 틀체(1)식에 돌설한 보스부(31)(31)의 선단부를 감합시키도록 하고있다.
또 상기 고정측 접점부(24)에 일체로 연설되는 단자부(32)…는 덮개부(23)의 옆가장자리부 근처에서 굴곡시켜, 틀체(1)의 측벽부(1f)에 연하고, 또한 측벽부(1f)와 비접촉으로, 즉 측벽부(1f)로부터 일정한 간극을 유지하면서 굽혀서 내리고 있다. 또 각 단자부(32)…가 지나는 틀체(1)의 외측벽에 함몰부(33)…를 형성하고, 틀체(1)를 프린트기판 등에 장착했을 경우에 이 함몰부(33)에 의해서 공극부(34)…가 형성되도록 해서, 틀체(1)내에의 플럭스의 침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있다.
(35)는 플러그삽입구(1c)에 감착되는 금속제의 장식고리이며, 덮개부(23)를 틀체(1)에 장착한 상태로 감착된다.
(36)…은 틀체(1)의 저벽부(1e)에 돌설한 위치결정용의 보스부이며 프린트기판측에 형성한 투공에 감합된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접동브러시(15)가 접촉해서 접리동작하는 고정측 접점부(24)를 틀체(1)의 개구부(1a)를 폐색하는 덮개부(23)에 인서어트 성형등의 수단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측 접점부(24)를 수용하기 위한 각별한 공간을 필요로 하지않고, 절환기로서의 높이치수, 즉 두께를 종래의 예를 들면 슬라이드스위치 형식의 것에 비해서 충분히 얇은 것으로 할수가 있다.
또 고정측 접점부(24)를 덮개부(23)에 일체적으로 형서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을 한개의 부품으로서 취급할수가 있고, 부품개수 및 조립공정이 감소해서 대폭적인 원가절감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덮개부(23)가 틀체(1)의 상부 개구부(1a)를 폐색하는 것이므로 이 덮개부(23)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고정측 접점부(24)가 항상 틀체(1)의 위쪽에 위치하고, 더우기 고정측 접점부(24)에 일체로 연설되는 각 단자부(32)…를 틀체(1)의 측벽부(1f)에 연하고, 또한 측벽부(1f)와 비접촉으로 굽혀서 내리고 있기 때문에, 프린트기판 등에 납땜에 의해서 장착할 때에, 단자부(32)…를 따라서 플럭스가 틀체(1)내에 침입할 우려가 없고, 접촉불량 등을 초래할 고장원인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자부(32)…가 지나는 틀체(1)의 측벽부(1f)에 함몰부(33)…를 형성함과 동시에 재크부(2)에 있어서도 재크접편(5)(8) 및 브레이크접편(7)(10)의 각 단자부(5d)(8d)(7b)(10b)가 돌출하는 저벽부(1e)에 함몰부(11)(11)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프린트 기판과의 사이에 공극부(12)(34)…가 형성돼고, 플럭스가 끼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이상은 재크와 일체로 절환스위치를 병설한 스위치가 붙은 재크에 대해서 설명한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에 만한하지 않고, 예를들면 제9도 및 제10도에 나타낸 절환스위치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제9(a)도는 조작부(50)를 상면부에 가진 새로형 슬라이드스위치의 상면도를 나타내고, 제9(b)도는 그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도 역시 틀체(51)내에 접동브러시(52)를 지지하는 슬라이더(53)를 슬라이드자재케 수용하고, 접동브러시(52)가 접촉해서 접리동작하는 고정측 접점부(54)를 틀체(1)의 상부개구부(51a)를 폐색하는 덮개부(55)에 이서어트성형 등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 고정측 접점부(54)에 연설되는 단자부(56)를 틀체(51)의 측벽부(51b)에 연하고, 또한 측벽부(51b)와 비접촉으로 굽혀서 내리고 있다. 또 상기 단자부(56)가 지나는 틀체(51)의 측벽부(51b)에 함몰부(57)를 형성하고 틀체(51)를 프린트기판(PC)에 장착했을 때에 공극부(58)가 형성되도록 해서 플럭스의 끼임을 방지하고 있다.
제10(a)도, 제10(b)도는 조작부(60)를 틀체(61)의 측벽부로부터 돌출시킨 것이며, 기타의 개소는 제9도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거나, 혹은 동일한 기능을 가진 것으로서, 동일번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또 제9도, 제10도에 나타낸 슬라이드 스위치가 이룩하는 작용효과도 이미 설명한 스위치가 붙은 재크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Claims (2)

  1. 일부측에 개구부(1a)를 가진 틀체(1) 내에 접동브러시(15)를 지지하는 슬라이더(13)를 슬라이드자재케 수용하고, 이 슬라이더(13)의 접동브러시(15)가 접촉해서 접리동작하는 고정측 접점부(24)를 상부 개구부(1a)를 폐색하는 덮개부(23)에 일체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시 덮개부(23)가 틀체(1)에 형성한 상부개구부(1a)를 폐색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측 접점부(24)에 연설되는 단자부(32)를 틀체(1)의 측벽부에 연하고, 또한 측벽부와 비접촉으로 굽혀서 내린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환기.
KR2019830003174U 1982-04-28 1983-04-11 절환기 KR87000094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2062723U JPS58165829U (ja) 1982-04-28 1982-04-28 切換器
JP?57-62723 1982-04-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7866U KR840007866U (ko) 1984-12-26
KR870000944Y1 true KR870000944Y1 (ko) 1987-03-14

Family

ID=30072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3174U KR870000944Y1 (ko) 1982-04-28 1983-04-11 절환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8165829U (ko)
KR (1) KR87000094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3247U (ja) * 1984-07-17 1986-02-12 松下冷機株式会社 サ−モスタツト
JPH0430794Y2 (ko) * 1985-09-17 1992-07-24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618Y2 (ko) * 1976-09-13 1980-04-1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122186Y2 (ko) 1989-06-30
JPS58165829U (ja) 1983-11-04
KR840007866U (ko) 1984-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23312A (en) Electrical connector receptacle
KR890004702Y1 (ko) 전화용 접속자
KR950003111Y1 (ko) 플랫 전기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JP2889562B1 (ja)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KR900002364Y1 (ko) 전자 기기용 케이스
US4392708A (en) Electrical jack
US6827610B2 (en) Electrical connector
KR940002222Y1 (ko) 전원소켓
US4875872A (en) Telephone connector
EP1047159B1 (en) Electrical switch assembly
US7670174B2 (en)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JP2549341B2 (ja) 通信用アウトレット
US6478617B2 (en) Soldering structure for an electrical connector
JP2000214971A (ja) Cfカ―ド用アダプタ
US20020193006A1 (en) Sink-type audio socket connector having improved grounding structure
KR870000944Y1 (ko) 절환기
US6719588B1 (en) Modular jack having a terminal module locked in a housing
US6352438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easily assembled shield
JP2001110527A (ja) シールド型コネクタ
US6735308B1 (en) Mobile telephone connector module
JPS5915395B2 (ja) パネル取付用電気機器
JP2800719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KR100629814B1 (ko) 프린트 배선판용 커넥터 위치 설정 및 보유 장치
JP4212012B2 (ja) コネクタ
JPH081584Y2 (ja) フレキシブル基板接続用表面実装コネク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7071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