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3116Y1 - 유수검지장치용 밸브 - Google Patents

유수검지장치용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3116Y1
KR860003116Y1 KR2019840014574U KR840014574U KR860003116Y1 KR 860003116 Y1 KR860003116 Y1 KR 860003116Y1 KR 2019840014574 U KR2019840014574 U KR 2019840014574U KR 840014574 U KR840014574 U KR 840014574U KR 860003116 Y1 KR860003116 Y1 KR 8600031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water
valve
packing
wat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45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8081U (ko
Inventor
이석호
Original Assignee
새서울산업 주식회사
이석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새서울산업 주식회사, 이석호 filed Critical 새서울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400145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3116Y1/ko
Publication of KR8600080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80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31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1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75For recording or indicating the functioning of a valve in combination with test equipment
    • F16K37/0083For recording or indicating the functioning of a valve in combination with test equipment by measuring valve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수검지장치용 밸브
제1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일부 절개하여 분해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도.
제4도는 종래에 사용되었던 밸브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1a : 물배출부
1b : 물유입부 2 : 변좌
3 : 접속면 5 : 오물수집구
6 : 물배출공 6' : 닛풀
7 : 유동간 9 : 감지장치통로
10 :
본 고안은 스프링쿨러등의 소화설비가 화재등에 의하여 작동될 때 본 체내의 물유입부와 물배출부의 압력차이에 기인하여 물통과부를 폐쇄시키고 있던 변좌를 물의 압력으로 들어올려 물통과부를 개방시켜 물통과부로 통과된 물이 스프링쿨러등의 소화설비로 배출됨과 동시에 감지장치로 흘러가는 물이 감지장치를 작동시키계 한 것에 있어서 소화작업이 끝나계 되어 소화설비의 작동이 중지되었을 때 감지장치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정확하게 차단시켜 감지장치의 오동작이 전혀 없도록 한 유수검지장치용 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된 유수검지장치용 밸브는 첨부도면 제4도에 표현한 바와같이 본체(1)의 내부 일측에 변좌(2)를 상부로 유동이 가능하게 유설하고 그 변좌(2)의 저면에 밀착된 패킹(2')과 접하는 접속면(3)의 중앙부에형의 요입부(4)를 요설하여 요입부(4)의 수곳에 물배출공(6)을 천공하여 물배출공(6)의 끝단부가 감지장치 통로(9)와 접속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의 밸브는 소화설비가 작동되면 변좌(2)의 상부에 형성된 물배출부(1a)에 있던 물이 소화설비로 배출됨에 따라 물배출부(1a)의 압력이 물유입부(1b)의 압력보다 약하게 되므로 물유입부(1b)의 압력에 의하여 변좌(2)를 들어올리면서 물유입부(1b)의 물이 물배출부(1a)를 통하여 소화설비(도시었음)로 계속 배출이 되고 일부의 물은 접속면(3)의 중앙부에 형성된 요입부(4)의 물배출공(6)으로 흘러들어가서 감지장치통로(9)를 통하여 감지장치(10)로 전달되면 감지장치(10)가 동작되어 벨등이 울리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작동을 계속하다가 화재가 완전히 소화되면 소화설비를 통하여 배출되던 물이 완전히 정지되면 물배출부(1a)와 물입유부(1b)의 압력이 동일하게 되므로 변좌(2)는 자중에 의하여 내려 앉으면서 변좌(2)의 패킹(2')은 접속면(3)과 접하게 되어 밸브를 차단시키게 하는데 이 과정에서 소화용수에 있는 오물이나 스케일등이 접속면(3)이나 변좌(2)의 패킹(2')에 부착되면 변좌(2)의 패킹(2')과 접속면(3)이 밀접되지 못하게 되어 이들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고 이로 인하여 물배출부(1a)의 물이 요입부(4)의 물배출공(6)을 통하여 흘러들어가계 되므로 감지장치(10)가 오동작되는 경우가 가끔 있게 되고 또한 소화용수내에 있던 오물이나 스케일등은 물배출공(6)을 막히계 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감지장치의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하고 소화용수내의 오물이나 스케일등에 의하여 물배출공이 막히는 사례가 전혀 없도록 한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의 내부일측에 변좌(2)를 상부로 유동이 가능하계 유절하고 그 변좌(2)의 저면에 밀착된 패킹(2')과 접속면(3)의 붓싱(3')과 밀착되도록 하며 본체(1)의 내측에서 변좌(2)의 상, 하부로 물배출부(1a)와 물유입부(1b)를 각각 형성한 통상의 것에 있어서 변좌(2)의 요설부위가 형성된 부분이 낮도록 변좌(2)와 접속면(3)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유설부위의 하측에 오물수집구(5)를 요설하고 경사부위가 높은 접속면(3)에 물배출공(6)을 형성하여 닛풀(6')로 나사식 설치하며 닛폴(6')의 상단면과 접속되는 변좌(2)에는 상, 하로 약간 유동되는 유동간(7)을 설치하여 그 저면에 패킹(7')을 부착하여 패킹(7)과 닛폴(6')사이가 밀착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원 출원인의 실험에 의하면 변좌(2)와 접속면(3)의 경사 각도(α)는 약 10°-15°정도로 하는 것이 사용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8은 오물수집구(5)에 모인 오물을 청소하기 위하여 본체(1)의 일측에 형성된 후렌지를 표시한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에서 소화설비가 작동됨에 따라 물유입부(1b)의 물의 압력으로 인하여 변좌(2)가 들어올려져 물유입부(1b)로 공급되는 물이 소화설비로 물이 계속 방출됨과 동시에 그 물이 물배출공(6)과 감지장치통로(9)를 통하여 감지장치(10)로 전달되면서 벨등이 작동되는 것과 소화작업이 끝나게 되어 소화설비로 방출되는 물이 정지되면 변좌(2)가 자중에 의하여 접속면(3)과 접하도록 하여 물유입부(1b)의 물을 차단시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그런데 본 고안에서는 상기의 작동시에 소화용수내에 있던 오물이나 본체(1)내에서 생성된 녹이나 스케일등이 있다 하더라도 접속면(3)이 일정한 경사면을 갖고 있으므로 그 오물들은 경사부위가 제일 낮은 곳에 형성된 오물수집구(5)로 모이게 되어 오물에 의하여 감지장치(10)가 오동작되는 경우가 전혀 없게 된다. 뿐만아니라 물배출공(6)의 상단에 나사식 설치된 닛풀(6')의 상단면이 접속면(3)보다 약간 높게 형성되어 있고 그 상단면과 유동간(7)의 패킹(7')이 항상 밀접한 상태로 있게 되어 물배출부(1a)의 물이 물배출공(6)으로 흘러 들어갈 수 없게 되어 감지장치(10)는 비상시에만 작동하고 정상시에는 오동작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은 소화설비의 작동후에 소화용수내에 있던 오물이나 기타 오물에 의하여 감지장치가 오동작되는 경우가 전혀 없으므로 사용자들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본체(1)의 내부일측에 변좌(2)를 상부로 유동이 가능하게 유설하고 그 변좌(2)의 저면에 밀착된 패킹(2')과 접속면(3)의 붓싱(3')과 밀착되도록 하며 본체(1)의 내측에서 변좌(2)의 상, 하부로 물배출부(1a)와 물유입부(1b)를 각각 형성한 통상의 것에 있어서 변좌(2)의 유설부위가 형성된 부분이 낮도록 변좌(2)와 접속면(3)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유설부위의 하측에 오물수집구(5)를 요설하고 경사부위가 높은 접속면(3)에 물배출공(6)을 형성하여 닛폴(6')로 나사식 설치하며 닛폴(6')의 상단면과 접속되는 변좌(2)에는 상, 하로 약간 유동되는 유동간(7)을 설치하여 그 저면에 패킹(7')을 부착하여 패킹(7')과 닛폴(6')사이가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검지장치용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변좌(2)와 접속면(3)의 경사각도(α)를 10°-15°정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검지장치용 밸브.
KR2019840014574U 1984-12-31 1984-12-31 유수검지장치용 밸브 KR8600031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4574U KR860003116Y1 (ko) 1984-12-31 1984-12-31 유수검지장치용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4574U KR860003116Y1 (ko) 1984-12-31 1984-12-31 유수검지장치용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081U KR860008081U (ko) 1986-07-21
KR860003116Y1 true KR860003116Y1 (ko) 1986-11-08

Family

ID=70163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4574U KR860003116Y1 (ko) 1984-12-31 1984-12-31 유수검지장치용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311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081U (ko) 1986-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7460A (en) Condensate discharge device for combustion apparatus
US5797421A (en) Dry hydrant siphon assembly
CN101611201B (zh) 真空污水系统
US4241752A (en) Backflow preventer
KR860003116Y1 (ko) 유수검지장치용 밸브
US4725202A (en) Gas-operated pump
JP2816733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JPH08210534A (ja) 逆止弁
US1440827A (en) Flushing apparatus
JP3476254B2 (ja) フロ―ト式トラップ
JPS6359453B2 (ko)
JPH05617Y2 (ko)
JPH0623804Y2 (ja) 排気弁
GB1587063A (en) Valve assembly
JPS641643Y2 (ko)
JPS60161705A (ja) 分液装置
CN205954815U (zh) 一种新型的一体式污水提升器
KR20240029835A (ko) 반자동 절수 세척 밸브
JP4439689B2 (ja) 排気弁
JPH082560Y2 (ja) バケット式スチームトラップ
JPH10311447A (ja) 逆流防止型水抜弁
RU1828972C (ru) Водопроводный кран с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KR810001435Y1 (ko) 방화수용 배수구의 잔수(殘水) 배출장치
SU1576765A1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истем водоснабжени
JPH021335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