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2736Y1 - 진공식 동력 서어보 부우스터 - Google Patents

진공식 동력 서어보 부우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2736Y1
KR860002736Y1 KR2019860002508U KR860002508U KR860002736Y1 KR 860002736 Y1 KR860002736 Y1 KR 860002736Y1 KR 2019860002508 U KR2019860002508 U KR 2019860002508U KR 860002508 U KR860002508 U KR 860002508U KR 860002736 Y1 KR860002736 Y1 KR 8600027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control valve
valve body
pressure chamber
valv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25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치오 고바야시
야스오 쯔유끼
Original Assignee
지도샤 기기 가부시끼 가이샤
노구찌 가즈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20000356A external-priority patent/KR830008857A/ko
Application filed by 지도샤 기기 가부시끼 가이샤, 노구찌 가즈미 filed Critical 지도샤 기기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600025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27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27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7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7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02Air treatment devices
    • B60T17/008Silenc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진공식 동력 서어보 부우스터
제1도는 종래의 브레이크용 동력 서어보 부우스터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브레이크용 동력 서어보 부우스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판 2 : 피스톤
2A : 밸브 하우징 3 : 격막
4 : 압력실(정압실) 5 : 가변 압력실
6 : 제어 밸브 7 : 제어 밸브 몸체
8 : 입력 축 9 : 푸쉬로드
10 : 스커어트 11 : 환형 시이트
12 : 리테이너 12A : 후단 스프링 시이트
13, 24 : 스프링 시이트 14 : 압축 스프링
15 : 스텝 16 : 소음기
20 : 리테이너 21 : 실린더
23 : 스프링 시이트 25 : 리세스
본 고안은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용 동력 서어보 부우스터로서 사용되는 진공식 동력 서어보 부우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진공식 동력 서어보 부우스터의 피스톤의 축부분으로부터 신장되는 밸브 하우징의 내부 구조가 개량된 서어보 부우스터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브레이크용 동력 서어보 부우스터를 나타낸다. 동도에서, 도면번호(1)는 외관을, 도면번호(2)는 외판(1)내에서 작동 가능하게 장착된 피스톤을, 도면부호(3)는 피스톤(2)과 함께 외판(1)의 내부를 압력실(정압실)(4)과 가변 압력실(5)로 구분하는 격막을 나타낸다. 제어밸브(6)를 포함하고 있는 밸브 하우징(2A)은 피스톤(2)의 축부분으로부터 신장되어 있다. 정상적인 조건하에서, 제어밸브(6)는 정압실(4)과 가변 압력실(5)이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탄성 재료로 된 제어 밸브 몸체(7)가 입력 축(8)에 의하여 제1도의 좌측으로 변위될때에는, 제어 밸브(6)는 두개의 압력실 (4와 5)의 교통을 차단한 다음, 가변 압력실(5)에 공기를 유입시킨다. 그결과, 두 압력실(4와 5)사이에 차동 압력이 기인되는 추력(推力)이 피스톤(2)과 푸쉬로드(9)에 가해진다.
또한, 제어밸브 몸체(7)의 후미에는 스커어트(10)와 환형 시이트(11)가 형성되어 있다. 환형 시이트(11)는 밸브 하우징(2A)의 내벽에 형성된 스텝(15)에 인접하여 인장 코일의 압축 스프링(14)의 의하여 지지되고 있는데, 상기 압축 스프링(14)은 환형시이트의 후단 부분과 내벽 부분을 덮고 있는 리테이너(12)의 후단 스프링(12A)과, 입력 축(8)에 고착된 스프링 시이트(13) 사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정압실(4)과 가변 압력실(5)은 환형 시이트(11)에 의하여 밀폐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구조의 대표적인 예는 미합중국 특히 제3,452,646호에 도시되어 있다.
최근에 들어와서 이러한 형태의 브레이크용 동력 서어보 부우스터 및 관련 부품들의 무게 및 크기를 축소 시킬려는 요구가 강력해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용하여 작동실의 공간을 확장시키기 위해서, 작동실에 돌입되는 동력 서어보 부우스터의 장착 길이(L)를 감소시키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상술된 종래의 구조로써는, 밸브 하우징(2A)의 길이의 감소가 어떤 일정한 값에 한정되어 간다. 따라서, 감소는 필러 또는 소음기(16)의 공간(S)를 희생하여 행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된 바와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작동실로 돌입되는 피스톤의 길이를 실제로 감소시킨 진공식 동력 서어보 부우스터를 제공하거나, 이와는 달리 돌입 부분의 길이는 종래 부우스터의 것과 동일하지만, 그안에 사용되는 필터 또는 소음기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진공식 동력 서어보 부우스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어 밸브를 밸브 하우징에 간편하게 삽입시킬 수 있는 부스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본 고안에 따른 진공식 동력 서어보 부우스터내에서 밸브 하우징에 대하여 환형시이트를 가입시키도록 장착된 압축 스프링의 스프링 시이트가 리테이너의 전방 단부에 형성되는 개량된 방식으로 제어 밸브 몸체로부터 연장된 환형 시이트용 리테이너가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 시이트의 전방측에는 제어 밸브 몸체의 스커어트를 수용하는 리세스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스프링 시이트를 형성시키고 또한 상기 밸브 동체의 스커어트를 이속에서 변형시켜 공간 혹은 리세스를 제공하도록 적당히 구부러져 있다. 이러한 구조에 기인되어, 리테이너의 종방향 축은 실제로 제어 밸브 몸체의 축과 일치한다.
다음은 본 고안을 실시한 실시예가 도시된 제2도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 것이다.
제2도에 도시된 진공식 동력 서어보 부우스터는 제어 밸브 몸체(7)와 일체로 이루는 환형 시이트(11)용의 리테이너(20)부근 부품의 배열 구성으로서 제1도에 도시된 종래의 부우스터와 상이하다. 여기서, 제1도 및 제2도의 부우스터는 동일 부품에 대한 도면 부호는 동일번호로 도시되어 있다.
리테이너(20)는 실린더(21)에 의해 조립 구성되어 외판측의 전방 부분과 입력축측의 후방부분을 갖고 있다. 상기 전방 부분과 후방부분은 그 경계면에 축받이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전방 부분에는 제어 밸브 몸체(7)의 환형 시어트(11)의 내벽 부분과 상기한 후방 부분을 덮어 내부공간(25, 이하 리세스라고 칭함)을 형성하기 위해 직경이 보다 작은 부분이 제공되어 있다. 반면에, 상기 리테이너의 후방 부분에는 동력 피스톤(2)의 슬리이브 부분과 접촉하며, 보다 큰 직경을 갖는 부분이 제공되어 있다. 스프링 시이트(23)는 리테이너(21)의 전방 단부를 내측으로 접은 다음, 다시 중심을 향에 접음으로써 형성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리테이너의 전방부분은(직경이 작은 부분)실제로 평행하게 뒤로 접혀지고, 이것의 팁(tip)단부가 내측을 향하여 방사형으로 굽어져 스프링 시이트(23)와 리세스(25)를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절첩된 부분은 직경이 작은 부분의 잔여 부분에 대하여 평행 배열로만 국한되지 않는다. 이 대신에, 직경이 작은 부분을 V자형으로 형성하도록 굽힌 다음 팁 단부를 내측을 향해 방사형으로 굽혀서 리세스(25)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형성된 스프링 시이트(23)와 입력축(8)에 고착된 스프링(24)사이에는 코일 압축 스프링(14)이 삽입되어 종래의 부우스터에서와 같이 환형 시이트(11)가 밸브 아우징(2A)의 내벽과 이 내벽에 형성된 스텝(15)에 인접하여 지지된다.
스프링 시이트(24)는 제1도의 스프링 시이트(13)에 해당한다. 그러나, 상기 스프링 시이트(24)는 스프링 시이트(13)에 비해 전방으로 변위되어 있음을 알아야 한다. 즉 리테이너(20)의 전방 부분에 스프링 시이트(23)를 형성시켰으므로, 압축 스프링(14)은 종래의 부우스터의 스프링에 비해 길이(ℓ)만큼 전방으로 이동되어 있다. 따라서, 스프링 시이트(24)도 전방으로 이동되어 있다.
스프링 시이트(24)의 전방측부에는, 리세스(25)가 스프링 시이트(24) 및 상술된 실린더(21)의 굽혀진 부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14)이 팽창하여 제어밸브 몸체(7)를 굽혀서 제어 밸브(6)를 밸브 하우징(2A)내에 변형 삽입시키도록 스프링(14)이 신장되면, 리세스(25)는 제어 밸브 몸체(7)의 스커어트(10)를 수납할 수 있다.
따라서, 만약, 필터 또는 소음기의 두께가 종래의 부우스터의 것과 동일하면, 본 고안의 부우스터 내의 밸브 하우징(2A)의 길이는 상술된 값(ℓ)만큼 축소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만약 밸브 하우징(2A)의 길이가 종래 밸브 하우징의 길이와 같을 때에는, 본 고안의 부우스터내의 필터 또는 소음기의 두께는 길이(ℓ)만큼 증가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공기 청정 효과와 소음 효과가 높아진다. 상술된 본 고안의 두가지 장점, 즉 축방향 길이가 단축되는 점과 소음기의 용적이 증가될 수 있는 점은 본 고안의 진공식 동력 서어보 부우스터가 사용되는 차량의 운전 요건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어밸브(6)를 밸브 하우징(2A)내에 삽입시킬 때에는, 상기 스프링(14)이 환영 시이트(11)를 밸브 하우징의 스텝(15)에 적극적으로 밀착시키기 위해 리테이너(20)를 전방으로 팽창 변위시킨다. 본 고안의 진공식 동력 서어보 부우스터의 경우에 있어서, 제어 밸브 몸체(7)의 스커어트(10)는 리세스(25)를 따라 적극적으로 합입되며, 따라서 리테이너(20)와 제어 밸브 몸체(7)의 종방향 중심축은 서로 일치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장치의 조립 효율이 상당히 증대된다.
상술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축길이가 축소되고, 필터 또는 소음기를 수용하는 공간이 증가된다는 장점외에 제어 밸브를 밸브 하우징에 삽입시킬때의 조립효율이 증대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1)

  1. 각각 피스톤의 전, 후방에 설치되어 정압실(4)과 가변 정압실(5)을 서로 고통하게 하고 입력축(8)의 변위에 따라 서로의 고통을 차단하여 외판(1)내에서 전, 후로 운동하는 피스톤(2)의 축부로부터 연장된 밸브 하우징(2A)내에 설치되어 있는 탄성재료로 된 제어 밸브 몸체(7)와, 입력축(8)측 후방부분 및 밸브 하우징(2A)의 내벽과 결합되어 일정 압력실의 공기 밀착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어 밸브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환형 시이트(11)의 후방 단부가 고정되어 후방부분 보다 소구경의 외판측 전방부분을 갖는 원통형 리테이너(20)를 포함하고 있는 진공식 동력 서어보 부우스터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20)는 전방부분에 플랜지 및 림을 갖고 있는데, 상기 림은 전방 단부에 위치되어 리테이너의 길이 방향축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는 림 부근에 위치되어 리테이너(20)의 길이 방향축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의 후방면에는 밸브하우징(2A)에 대하여 환형 시이트(11)를 가압하도록 설치된 압축 스프링용 스프링 시이트(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의 전방면에는 림의 내면과 결합되어 제어 밸브 몸체(7)의 스커어트부(10)를 수용하도록 환형 리세스(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식 동력 서어보 부우스터.
KR2019860002508U 1982-01-26 1986-03-04 진공식 동력 서어보 부우스터 KR8600027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2508U KR860002736Y1 (ko) 1982-01-26 1986-03-04 진공식 동력 서어보 부우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20000356A KR830008857A (ko) 1982-01-26 1982-01-26 진공식 동력 서어보 부우스터
KR2019860002508U KR860002736Y1 (ko) 1982-01-26 1986-03-04 진공식 동력 서어보 부우스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20000356A Division KR830008857A (ko) 1982-01-26 1982-01-26 진공식 동력 서어보 부우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2736Y1 true KR860002736Y1 (ko) 1986-10-17

Family

ID=26627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2508U KR860002736Y1 (ko) 1982-01-26 1986-03-04 진공식 동력 서어보 부우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273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69214B2 (ja) ユニット化したばね装置およびそれを含むマスタシリンダ
US4619185A (en) Brake booster
US4951550A (en) Brake booster with key member having an elastic member
JPS5940660B2 (ja) バキユ−ムブレ−キブ−スタ
US4729289A (en) Power brake booster for an automotive vehicle
KR960000778B1 (ko) 브레이크 부우스터
JPS5924021B2 (ja) バキユ−ムブレ−キブ−スタ
EP0879748A2 (en) Power booster sealing mechanism
JPH0657527B2 (ja) エアチャンバ用の単体後部シール
US6209442B1 (en) Brake booster with compressible air valve for braking speed of application enhancement
KR860002736Y1 (ko) 진공식 동력 서어보 부우스터
JPS5977956A (ja) ブレ−キ援助サ−ボモ−タ
US4546691A (en) Vacuum power servo booster
US4936635A (en) Brake booster
US5079991A (en) Brake booster
US6588317B2 (en) Power booster sealing mechanism
JPH061894Y2 (ja) 気圧式倍力装置
JP3350684B2 (ja) 倍力装置
US4587889A (en) Power-servo booster
JPS6134922Y2 (ko)
US5564325A (en) Valve mechanism for booster
US5272958A (en) Brake booster with compression spring extension limiting links
JPH10230840A (ja) 気圧式倍力装置
US5249423A (en) Master cylinder
US6431047B1 (en) Brake servo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1012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