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2248Y1 - 분말 약제 산포기 - Google Patents

분말 약제 산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2248Y1
KR860002248Y1 KR2019830010696U KR830010696U KR860002248Y1 KR 860002248 Y1 KR860002248 Y1 KR 860002248Y1 KR 2019830010696 U KR2019830010696 U KR 2019830010696U KR 830010696 U KR830010696 U KR 830010696U KR 860002248 Y1 KR860002248 Y1 KR 8600022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tube
cylinder
air
capsule
powdered medi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106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4408U (ko
Inventor
손성배
Original Assignee
동국제약 주식회사
손성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제약 주식회사, 손성배 filed Critical 동국제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300106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2248Y1/ko
Publication of KR8500044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44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22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2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capsules, e.g.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분말 약제 산포기
제 1 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 2 도는 동 작용상태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산포공 (2) : 나사
(3) : 실린더 (4) : 고무튜브
(5) : 배출공 (6) : 캡슐
(7) : 분말약제 (8) : 공기유통밸브
(9) : 삽입관
본 고안은 분말상의 약제나 화장품등을 산포하기 위한 분말약제 산포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귀나 코의 내부와 같이 약제가 산포되기 어려운 부위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이다.
종래 코나 귀와 같은 국소부위에 약제를 산포하기 위한 것으로서는 관상의 삽입관의 일단에 약제배출공을 형성하고 다른 일단에는 약제용기가 연결된 것이 공지된 바 있으나, 배출되는 약제의 양이 일정치 않고, 배출된 약제가 분말상태로 산포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몰려서 한꺼번에 배출되는 불합리한 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을 제거키위한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분말약제 산포기는 산포공(1)이 형성된 삽입관(9)이 나사(2)에 의하여 중간부의 실린더(3)에 연결되어 있고, 실린더(3)의 다른쪽 끝에는 고무튜브(4)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3)내에는 선단에 배출공(5)이 형성되고 내부에 미세한 분말약제(7)가 들어있는 캡슐(6)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고무튜브(4)의 하단에는 공기유통밸브(8)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공기유통밸브(8)는 고무튜브(4)에 연결되어 양면이 맞닿아 있다가 누르면 양면이 벌어지면서 공기가 유통되게 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먼저 나사(2)를 돌려 실린더(3)에서 삽입관(9)을 분리한 후, 선단에 배출공(5)이 형성되고 내부에 분말약제(7)가 들어있는 캡슐(6)을 실린더(3)내에 넣고, 다시 삽입관(9)을 실린더(3)에 돌려 끼운다.
사용키 위해서는 삽입관(9)의 선단을 코나 귓속에 넣고, 제 2 도에서와 같이 고무튜브(4)를 손으로 누르면 고무튜브(4)가 제 2 점쇄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수축되면서 고무튜브(4)내의 공기중 일부는 고무튜브(4) 하단의 공기유통밸브(8)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지만 대부분의 공기는 실린더(3)내로 유입됨과 동시에 캡슐(6)을 압압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공기는 캡슐(6)과 실린더(3)의 내벽의 사이에 간극으로 빠져나가 삽입관(9)의 산포공(1)을 통하여 외부로 급속히 배출된다.
공기가 급속히 배출될때 산포공(1)내의 압력은 빠른속도로 빠져나간 공기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감압된 상태에 있게되고, 이 감압된 압력에 의하여 캡슐(6)내의 분말약제(7)가 빨려나가 산포공(1)을 통하여 코나 귓속에 분말상태로 산포된다.
다시 상기 고무튜브(4)를 놓으면 수축되었던 고무튜브(4)가 원상으로 복귀되면서 상기와는 반대로 낮아진 고무튜브(4) 내의 압력에 의해 공기가 공기유통밸브(9)를 통하여 고무튜브(4)내로 유입됨과 동시에, 또다른 공기가 산포공(1)을 통하여 실린더(3)내로 유입되면서 캡슐(6)을 후측으로 밀어 원상으로 복귀시켜놓게 되고, 이와같은 작동을 수회 반복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와같이 고무튜브(4)의 하단에 공기유통밸브(8)를 형성해 줌으로써 약제산포후 고무튜브(4)를 놓았을때 수축되었던 고무튜브(4)내로 공기가 산포공(1)과 공기유통밸브(8)를 통하여 동시에 유입되어 고무튜브(4)가 속히 원상으로 되기 때문에 수회 연속하여 약제를 산포할 경우에도 시간이 소요되지 않고 신속히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캡슐(6)내의 분말약제(7)를 다 사용했을 경우에는 나사(2)를 풀고 새로운 캡슐(6)을 넣어 재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분말약제산포기는 약제를 미세한 분말상태로 산포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산포공(1)이 형성된 삽입관(9)을 선단에 배출공(5)이 형성되고 내부에 분말약제(7)가 들어있는 캡슐(6)이 삽입된 실린더(3)의 선단에 나사(2)로 체결하고, 공기유통밸브(8)가 형성된 고무튜브(4)를 상기 실린더(3)의 후단에 삽입하여서 된 분말약제산포기.
KR2019830010696U 1983-12-15 1983-12-15 분말 약제 산포기 KR8600022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10696U KR860002248Y1 (ko) 1983-12-15 1983-12-15 분말 약제 산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10696U KR860002248Y1 (ko) 1983-12-15 1983-12-15 분말 약제 산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408U KR850004408U (ko) 1985-07-22
KR860002248Y1 true KR860002248Y1 (ko) 1986-09-15

Family

ID=70160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10696U KR860002248Y1 (ko) 1983-12-15 1983-12-15 분말 약제 산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224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408U (ko) 198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67581B1 (de) Inhalationsgerät
EP1027165B1 (de) Verfahren zum ausbringen von wenigstens zwei verschiedenen medien und spender dafür
EP1220700B1 (de) Atemzugskontrolliertes Inhalationsgerät für Trockenpulver
JP2517780B2 (ja) 薬剤吸入装置および配合剤
HRP20010273B1 (en) Two chamber cartridge for atomizers
US5935101A (en) Two-compartment type prefilled syringe
ES2049675A1 (es) Dispositivo de dispensa de dosis unitaria.
KR970701572A (ko) 비강용 투약기(Medicine Administering Device for Nasal Cavities)
DE2106794A1 (de) Vorrichtung zum Apphzieren einer abgemessenen Pulvermenge unter Druck
KR970020124A (ko) 분말 약제 충전 캡슐용 투약기
DE4027391A1 (de) Treibgasfreies inhalationsgeraet
DE19708406A1 (de) Gerät zur dosierten Ausgabe von Substanzen
DE102005033397A1 (de) Inhalator für pulverförmige, insbesondere medizinische Substanzen
EP0082964B1 (de) Handgriff für eine fluidische Reinigungs- und/oder Massagevorrichtung
WO2005020925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osing solids
KR860002248Y1 (ko) 분말 약제 산포기
AR001423A1 (es) Aparato para dispensar una fina pulverización de partículas líquidas.
EP1344569A2 (de) Spender für fliessfähige Produkte mit kugelförmig eingekapselten Bestandteilen
US2122234A (en) Applicator
BR0208014A (pt) Mecanismo de acionamento para um dispositivo de injeção
DE1575063B1 (de) Dosiervorrichtung fuer eine Quetschflasche
WO2010118764A1 (de) Flüssigkeitspumpengerät
DE4306458C2 (de) Vernebler für medizinische Zwecke
EP0996478B1 (de) Spraymechanismus für dosier-sprayflaschen
EP0316266A1 (de) Vorrichtung zur Abdunstung von Wirkstoff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