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2163Y1 - 기중(氣中)차단기 - Google Patents

기중(氣中)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2163Y1
KR860002163Y1 KR2019830000006U KR830000006U KR860002163Y1 KR 860002163 Y1 KR860002163 Y1 KR 860002163Y1 KR 2019830000006 U KR2019830000006 U KR 2019830000006U KR 830000006 U KR830000006 U KR 830000006U KR 860002163 Y1 KR860002163 Y1 KR 8600021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pin
pair
shaf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00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4219U (ko
Inventor
도시히꼬 고데라
기요시 에구찌
다까요시 이시가와
야스시 겡바
시게미 다마루
스스무 사또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카다야마히도 하지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2010974U external-priority patent/JPS58113944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2010973U external-priority patent/JPS58113943U/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카다야마히도 하지로 filed Critical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8400042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42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21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1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Landscapes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중(氣中)차단기
제1도는 종래 기중차단기의 축세(蓄勢)스프링 지지장치의 일부 절결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기중차단기의 일예를 표시한 측면단면도.
제3도는 핸들 축부의 설명도.
제4도는 축세스프링 지지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조립상태의 A-A선 단면도.
제6도는 축세스프링 압축지지부의 설명도.
제7도는 제4도의 조립상태에 있어서 지지장치의 기부의 측면도.
제8도는 제7도의 B-B선 단면도.
제9도는 ON 및 OFF조작부의 개략구성도.
제10도는 접점 폐로대기유지기구(待機維持機構)의 설명도.
제11도는 접점 개방유지기구의 설명도.
제12도는 ON조작시의 동작상태도.
제13도는 OFF 조작시의 동작 상태도.
제14(a)도-제14(c)도는 체인지 레버의 동작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축세부 유니트 케이스
(301)(302) : 제1, 제2스프링 홀더 (17) : 캠
(26) : 크로즈드암 (305)(306) : 한쌍의 가이드홈
(311)(312) : 돌출부 (316)(317) : 한쌍의 돌편
(318) : 지지핀 (319) : 스프링지지부재
(326) : 힌지핀 (35) : 링크
(43) : 방향전환레버 (44) : 연결핀
(51)(52) : 한쌍의 도체 (54) : 고정접점
(55) : 가동접점
본 고안은 기중차단기, 상세히 말하면 한쌍의 접점간을 폐로 시키기 위한 축세스프링의 지지기구를 개량한 기중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종류의 차단기에 있어서는 축세스프링을 축압(蓄壓)시키기 위한 핸들이나 ON 및 OFF지령의 조작성의 양호한 것이 요구될뿐만 아니라 구성의 간략화와 소형 콤벡트화 되는 것도 큰 기대중의 하나이다.
종래의 이종류의 차단기로서, 예컨데 일본국실개소 53-52604호 공보의것은 차단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축지되고 이본체의 전면에 돌출된 핸들을 내려미는 조작에 의하여 축세되는 축세스프링으로서, 인장 코일 스프링을 사용한 것을 기본구성으로 하고, 여기에 접점 개폐를 위한 태치수단이나 이들의 해제수단을 조합시킨 것 등이다.
그런데, 위의 구성에는 축세스프링이 인장코일 스프링이므로 핸들을 내려미는 조작에 의해 축세스프링에 충분한 축세력을 부여하려면 최대 축세력 보유 상태에서의 상기 스프링이 다른 구성요소의 배치공간을 점유하지 않는 위치에 이스프링을 배치하지 않으면 안되는 번거로움이 있고 더구나 핸들의 기단과 축세스프링과의 사이의 구성이 축세링크나 축세판등에 의해 복잡화되고 또 이구성의 복잡화에 가하여 부품의 배치관계가 제약되기 때문에 투입조작체등을 조작하기 쉬운 본체의 전면측에 배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고안자는 축세스프링으로서 압축 코일스프링을 사용함으로써 위의 문제를 해소하게 되었다.
이를 제1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이 도면에 있어서 (332)는 차단기본체(1)에 보울트(333), 너트(334)에 의해 고정된 베아링부재인데, 이베아링부재(332)에는 접시형 제1스프링홀더(301)을 용접 고정시킨 힌지편(326)이 회동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302)는 제2스프링 홀더로서, 선단부의 핀(315)으로 축세가압링크(26)에 연결되어 있다.
(31)은 압축 코일스프링으로된 축세스프링이고, 그 일단부(31b)는 제1스프링홀더(301)에, 그리고 타단부(31a)는 제2스프링홀더(302)의 축부(335)에 감착되어 돌출부(336)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위의 제2스프링홀더(302)는 링크(26)이 일정한 회전반경(R)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스프링 홀더(301)측으로의 압압력과 시계방향으로의 회동력을 동시에 받게 된다.
이때 제2스프링홀더(302)의 돌출부(336)과 제1스프링홀더(301)의 사이에서 축세스프링(31)의 압축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양스프링홀더(301)(302)과 축세스프링(31)이 힌지편(326)에서 화살표 C방향으로 일체적으로 회동하여 링크(26)의 움직임에 대응되고, 또 제2스프링홀더(302)의 축부(335)에 의하여 축세스프링(31)의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위의 구성에 있어서는 축세스프링을 압축할 때 소위 부러짐을 방지하는 스프링홀더가 고가로 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 제2스프링홀더(302)의 돌출부(336)은 축세스프링(31)의 단부(31a)를 안정하게 지지시키기 위하여 원반상(圓盤狀)으로 형성하고 이단부(31a)의 전주변을 지지하게끔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제2스프링홀더(302)는 1개의 환봉(丸棒)을 작성하여 형성하였으므로 위와 같은 돌출부(336)을 가진 제2스프링 홀더(302)를 형성하려면 큰소재(환봉)을 필요로 하게 되어 가격을 상승시키는 결과를 초래케 하는 결점이 있었다. 더구나, 스프링홀더의 기단부에 있어서는 접시형의 제1스프링홀더(301)의 힌지핀(326)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용접하고 있으므로 조립성이 나쁘고, 또 제1스프링홀더(301)을 포함한 홀더기부구조의 부품수가 많아져 고가로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의 결점등을 해소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제2스프링 홀더를 제1스프링 홀더에 스라이드식으로 핀 연결하여 축세스프링의 압축을 안정하게 함과 동시에 그핀연결을 원터치적으로 이룩하도록 하고 부품수를 감소케하고 코스트 다운 시킬 수 있는 기중차단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고안의 1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관한 기중차단기의 일예를 표시한 측면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본체, (2)는 축세부 유니트 케이스, (3)은 통전부 유니트케이스이다.
축세부 유니트 케이스(2)는 본체(1)의 좌측에 위치해 있고, 또 통전부 유니트케이스(3)는 본체(1)의 우측에 위치되어 있으며 본체(1)의 일부를 구성하는 측판(4)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5)는 복수개의 소호판(6)을 갖고 통전부 유니트케이스(3)에 교합된 소호실, (7)은 트리프 릴레이등의 전기 제어부의 수납케이스이다.
다음에 축세부 또는 통전부의 구성을 설명한다.
(11)은 본체(1)에 앞쪽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조작용 핸들인데, 그 조작부(11a)가 축세부 유니트 케이스의 전면(1a)상부에서 돌출되고, 기단부(11b)가 본체(1)의 전면(1a)하부에 근접된 위치에 설치된 축(12)을 갖고 축세부 유니트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기단부(11b)과 본체(1)측과의 사이에는 제3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핸들 복귀용 스프링(13)이 탄설되어 있다.
제2도의 (14)는 축(12)과 축(12)상에 장설된 래치에트, (15)는 핸들의 기단부(11b)에 장착되고, 압압스프링(16)(제3도)의 압압 스프링력을 받은 가동 파울(pawl)인데, 핸들(11)의 내려미는 조작에 의해 레치에트(14)를 반시계방향으로 간헐적으로 구동하는 것이다. (17)는 래치에트(14)와 동축상에서 핀(18)등으로 일체로 결합시킨 캠이다.
이캠(17)는 모우터(도시생략)으로도 구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19)는 후술하는 체인지 레버의 축에 장착되어 래치에트(14)의 역회전을 저지하는 로킹파울이다.
(20)은 캠(17)의 후방에서 그 상방으로 연장되어 캠(17)의 상방의 축(2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체인지 레버인데, 핸들을 조작할 때 캠(17)에 근접시키는 로울러(22)가 그 하단부(20a)에 취부되어 있고, 또한 축압완료시에 캠(17)의 핀(23)에 당접하는 지지편(24)이 일체적으로 돌설되어 있다.
체인지 레버(20)의 하단부(20a)의 후방위치에는 상단부(26a)가 축(25)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크로즈드압(26)이 설치되어 있고, 이 크로즈드암(26)은 체인지 레버(20)의 하단에 링크(27)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28)(29)는 링크(27)의 연결핀이다.
(30)은 축세스프링 지지장치인데, 제4도와 같이 판재에 의하여 구형으로 형성된 제1스프링 홀더(301)(302)간에는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된 축세스프링(31)이 제5도와 같이 감착되어 있고, 양스프링 홀더(301)(302)의 상하 양단부(303)(304)에 의하여 일직선상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 제1스프링 홀더(301)와 제2스프링홀더(302)에는 제4도와 같이 축세스프링(31)의 축방향으로 따로 서로 병행을 이루고 있는 가이드홈(305)(306)과, 이한쌍의 가이드홈(305)(306)의 단부에서 홈의 폭보다 큰원형의 凹부(307)(308)등이 형성되어 있다.
제1스프링 홀더(301), 제2스프링 홀더(302)에는 제5도와 같이 서로 일측면에서 병행으로 스라이드 자재하게 접촉되어 연결핀(309)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연결핀(309)는 가이드홈(305),(306)에 감합하는 축부(310)과 그 양단의 돌출부(311)(312)등으로 되어 있고, 이 돌출부(311)(312)의 직경은 가이드홈(305)(306)의 폭보다 크고 凹부(307)(308)보다 작다. 이로써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연결핀(309)는 우선 돌출부(311)(312)를 양스프링 홀더(301)(302)의 凹부(307)(308)에서 양스프링홀더(301)(302)의 외축부(313)(314)에 돌출시킨 후 축부(310)을 가이드홈(305)(306)에 감입시킴으로써 양돌출부(311)(312)를 양 스프링 홀더(301)(302)의 외측부(313)(314)에 계합시켜 제2스프링홀더(302)를 제1스프링 홀더(301)에 축세스프링(31)의 축방향, 결국 신축방향으로 스라이드 자재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4도에 있어서, (315)는 제2스프링 홀더(302)의 선단에 그판(板)의 두께방향으로 관통되게 설치된 핀으로서, 이핀(315)에 의하여 제2스프링홀더(302)가 제1도에 도시한 크로즈드암(26)에 연결되는 한편, 제2스프링 홀더(302)의 선단의 판폭방향(板幅方向)양측에 형성된 한쌍의 돌편(316)(317)과 핀(215)의 양단부(315a)(315b) 등에서 축세스프링(31)의 일단(31a)이 제6도와 같이 4개지점으로 지지되어 있다.
제4도에 있어서, (318)은 지지핀인데, 직경방향으로 관통되는 2개의 투공(321)(325)을 갖고 있다.
이 지지편(318)은 제4도, 제7도와 같이 스프링지지부재(319)에 설치된 핀공(320)에 삽입됨과 동시에 지지핀(318)의 한쪽투공(321)에 삽입 계지된 스토퍼부재(322)에 의해 와서(323)을 통하여 스프링지지부재(319)의 일단(324)에 계지되고, 지지핀(318)의 다른투공(325)에 삽입된 힌지핀(326)에 의해 지지부재(319)와 타단(327)에 계지되어 있다.
제4도, 제8도와 같이 지지핀(318)의 단부에는 凹부(328)이 형성되어 있다.
제1스프링 홀더(301)의 기부(329)는 凹부(328)에 갑합되어 좌우방향으로 위치가 결정됨과 동시에 이 凹부(328)를 횡단한 힌지핀(326)에 회동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힌지핀(326)은 투공(325)에, 예컨데 압입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제4도에 있어서, (330)은 기부(329)에 설치되어 힌지핀(326)이 회전자재하게 감합시키는 축공이다.
또 제8도와 같이 축세스프링(31)의 타단(31b)은 지지핀(318)을 걸쳐서 힌지핀(326)의 양단부(326a)(326b)에 지지되고, 스프링 지지부재(319)은 본체(1)에 고정되어 있다.
제2도에 표시한 크로지드암(26)의 구축(25)에는 스프링(31)의 탄력을 방세(放勢)할 때 크로지드암(26)의 상단축의 압상편(34)으로 위로 밀어 올려져 원호형으로 변위하는 링크(35)가 회동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36)은 링크(35)의 변위측단에 설치되어 압상편(34)으로 밀어올리는 핀, (37)은 케이스(32)에 형성된 핀(36)을 감합시킨 원호형 안내공, (38)은 크로지드암(26)의 시계방향 회동저지편이다. (38)(40)은 크로지드암(26)의 상방측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핀(41)로서 굴곡 가능하게 연결된 한쌍의 링크인데 하방측의 링크(40)의 하단부는 핀(36)에 연결되어 있다. (42)는 이링크(30)(40)에 상방부위, 즉 통전부 케이스(3)의 전방(좌측)에 위치되어 고정된 축, (43)은 이축(4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방향전환 레버이고, 이 레버(43)이 하단부(43a)에는 연결핀(44)을 통하여 한쌍의 링크(39)(40)에 상방측의 링크(39)의 상단부가 연결되어 있고, 그 상단부(43b)에는 후술하는 통전부축의 접점 개폐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절연링크(45)의 일단이 연결되는 핀(46)을 갖고 있다.
위의 한쌍의 링크(39)(40) 등에 의하여 축세력 전달용 링크기구(47)을 구성하고 있다.
(48)은 레버(43)의 반시계방향의 회동저지축, (49)는 레버(43)의 하단핀(44)에 장착되어 레버(43)가 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편, (50)은 이방지편(49)의 복귀스프링이다.
(51)(52)는 통전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한쌍의 도체, (53)은 한쪽의 도체(51)에 장설된 변류기, (54)는 이 도체(51)의 선단에 고착된 주고 정접점이다.
(55)는 고정접점(54)에 접탈되는 주 가동접점, (56)은 이 가동접점(55)을 고착한 가동자이고 이가동자(56)의 기단부와 다른쪽의 도체(52)와의 사이는 가요도체(57)로 접속되어 있다.
(58)은 지지핀(59)를 통하여 가동자(56)를 유지시키는 가동자홀더이고, 이홀더(58)의 하단부는 축(60)로서 케이스(3)에 회동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상단부는 핀(61)에 의하여 절연링크(45)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다.
(62)는 가동자(56)과 케이스(3)과의 사이에 괘설되어 이 가동자(56)에 대하여 접점폐로방향으로 스프링력을 가세시키는 접압스프링, (63)(64)는 각 가동아크 및 고정아크접점, (65)(66)은 각아크접점(63)(64)의 유지재재, (67)은 가동자홀더(58)에 대한 회동규제용 스토퍼이다.
위의 가동자(56), 홀더(58)나 절연링크(45)등에 의하여 접점개폐기구(69)가 구성되어 있다.
(제12도 및 제13도 참조)(70)(71)은 격벽이다.
위의 체인지레버(20)의 상방에는, 축(72)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자형 투입래치(73)이 설치되어 있고, 이래치(73)의 하단부(73a)의 선단에는 레버(20)의 상단부(20b)에 고정된 계지로울러(74)의 시계방향의 압압력을 받은 절결부(75)가 형성되어 있고, 축압완료시에는 압압력이 복귀스프링(76)의 시계방향의 스프링력에 대항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10도 참조)
(77)은 투입래치(73)의 상단(73b)를 괘탈가능하게 계지시켜 반시계방향의 회동을 저지시키는 횡단면 D형의 래치이고, 케이스(2)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투입래치(73)과 함께 접점폐로 대기 유지기구(78)를 구성하고 있다.
D형 래치(77)는 제9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폐로 대기상태를 해제시키는 ON조작체(79)에 의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80)은 투입래치(73)의 축(7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복귀스프링(76)(제10도)의 반시계방향의 스프링력을 받은 트리프래치, (81)은 이트리프래치(80)의 하방에 축(82)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제11도에 표시한 복귀스프링(83)의 반시계의 스프링력이 가세된 캠판이고, 트리프래치(80)의 하단돌출부의 계지로울(83)에 계탈가능하게 계합하는 요입부(85)를 갖고 있으며, 트리프래치(80)에 그 복귀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시계방향의 압압력을 가세시키도록 되어 있다.
제2도의 (86)은 캠판(81)의 핀(87)과 한쌍의 링크(39)(40)에 있어서 연결핀(41)과의 사이에 연결된 링크이다.
(88)은 트리프래치(80)의 시계방향으로의 회동을 저지시키는 횡단면 D형 래치이고, 케이스(2)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위의 트리프래치(80) 또는 캠판(81)등과 함께 압압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링크기구(47)을 신장시키는 접점개방 유지기구(89)를 구성하고 있다.
D형 래치(88)은 제9도에 표시한 OFF 조작체(9)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제9도 중(91)은 D형 래치(77), (88)의 자동복귀형 스프링, (92)(93)은 각 D형 래치(77)(78)에 설치된 피조각편, (94)(96)은 스토퍼, (96)(97)은 압입봉이다.
다음에 위의 구성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1)축세스프링이 축세할때, 우선, 제1도의 핸들(11)를 그 복귀형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내려미는 조작을 하면, 가동파울(15)이 래치에트(1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이로인하여 캠(17)도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므로 캠변(17a)에 접촉시키는 로울러(22)를 통하여 체인지레버(20)가 그 축(21)을 중심으로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제14(a)참조).
이 체인지레버(20)의 반시계방향의 회동변위에 의해 크로즈드암(26)이 링크(27)를 통하여 축(25)주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변위하여 제4도의 제2스프링 홀더(302)의 가압이 개시된다.
이로 인하여 제2스프링 홀더(302)가 제1스프링 홀더(301)에 대하여 가이드홈(305)(306)을 따라 되밀려져서, 제2스프링 홀더(302)의 돌편(316)(317), 핀(313)과 힌지핀(326)과의 사이에서 축세스프링(31)이 압축됨과 동시에 양스프링 홀더(301)(302)가 그 상하 양단부(303)(304)(제5도)에서 축세스프링(31)을 직선상으로 지지시킨 상태에서 힌지편(326)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제2도의 크로즈드암(26)의 회동에 대응하게 된다.
위의 축세스프링(31)은 핸들조작을 반복함으로써 압축병형이 진행된다.
위의 핸들(11)의 내려미로 조작을 소정회수, 예컨데 수회(數回)행함으로써 캠(17)이 체인지레버(20)을 최대로 변위시킨 위치(제14(b)도 참조)에서 약간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킴과 동시에 핀(23)이 체인지레버(20)에 있어서 저지편(24)에 닿게되어 (제14(c)도 참조) 캠(17)의 회동이 저지되어 축세스프링(30)의 압축조작이 완료되게 된다. (제2도의 상태)
위의 압축조작완료시에는, 축세스프링(30)의 신장 스프링력이 크로즈드암(26)및 (27)을 통하여 체인지 레버(20)을 축(21)의 주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려고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체인지레버(20)상단의 계지로울러(74)가 투입래치(73)의 하단절결부(75)를 압압하여 투입래치(73)를 그 복귀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려 한다.
그런데, 이 반시계방향 회동력 때문에 투입래치(73)의 상단(73b)이 D형 래치(77)에 계지되기 때문에 투입 래치(73)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동, 환언하면 체인지레버(20)의 시계방향으로의 회동이 저지된다. (제10도 및 제14(c)도 참조) 따라서 링크기구(47)에 있어서 핀(3b)에 대한 크로즈드암(26)의 압상력도 저지되고 링크기구(47)를 통하여 접점(54)(55)이 폐로되는 것이 대기상태로 설정된다.
(2) ON 조작시, 우선, 제9도에 표시한 ON조작체(79)를 복귀스프링력에 대하여 조작시켜 D형 래치(77)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14(c)도의 상태에서 투입래치(73)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므로 제12도에 표시한 것과같이 투입래치(73)의 절결부(75)에서 체인지레버(20)의 상단부(20b)의 계지편(74)이 풀려 체인지 레버(20)가 축세스프링력을 받아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때문에 링크(72)를 통하여 크로즈드암(26)도 그 축(25)의 주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로인하여, 제2스프링 홀더(302)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어 양스프링홀더(301)(302)는 역전되어 제12도와 같이 원상태로 복귀한다.
위의 축세스프링력을 받아 크로즈드암(26)이 회동함으로써 이크로즈드암(26)의 압상편(34)과 핀(36)을 안내공(37)을 따라 상방으로 압상 이동시키므로 한쌍의 링크(39)(40)도 신장상태 그대로 상방으로 변위구동된다.
위의 링크(39)(40)의 상방변위에 의하여 방향전환레버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레버(43)의 회동력이 절연링크(45)를 통하여 접점개폐기구(69)에 전달된다.
즉, 가동자(56)의 홈더(58)가 그축(60)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기 때문에 가동접점(55)은 접압스프링(62)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고정접점(54)과 접촉하여, 접점폐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축세스프링(31)은 방세되어 접압스프링(62)이 압축되어 축세된다.
위의 축세스프링력이 방세되고, 접점(54)(55)이 폐로된 상태에서는 신장하려고 하는 접압스프링(62)와 스프링력이 가동자(56), 홀더(58), 절연링크(45)를 통하여 방향전환레버(43)를 축(42)의 주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려고 한다.
그런데, 전환레버(43)가 반시계방향으로의 회동력을 받고 있기 때문에 이 레버(43)에 연결된 한쌍의 링크(39)(40)가 우측방향으로 압압력을 받고 있으며, 이 압압력에 의하여 제11도에 표시한 링크(86)을 통하여 캠판(81)이 축(82)의 주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력을 받는다.
이 때문에, 캠판(81)은 그 복귀스프링(83)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트리프래치(80)를 밀어올려, 이 트리프래치(80)에 시계방향으로의 회동력을 부가하지만, 이 회동력은 D형 래치(88)에 의해 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요입부(85)와 계지로울러(84)의 계합상태는 유지된채 있게되고, 래치(86)에 의한 지탱력이 링크(39)(40)에 작용되고 따라서 링크(39)(40)는 접압스프링(62)의 신장력에 대항하여 신장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이것을 환언하면 접점개방대기유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한다.
(3) OFF 9 조작시, 우선, 제9도에 표시한 OFF조작체(90)를 복귀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조작시켜 D형 래치(88)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1도의 상태에서 트리프 래치(80)가 복귀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약간시계방향으로 회동변위하므로 이래치(80)의 계지로울러(84)와 캠판(81)의 요입부(85)와의 계합이 해제된다.
이 때문에 캠판(81)은 복귀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제13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로 말미암아 링크(86)의 버티는 작용이 없어져 한쌍의 링크(39)(40)은 접압스프링(62)에 의한 신장력에 의하여 허리부분이 꺾여 굴곡된다. 이로 인하여 접점(54)(55)이 개방되게 한다.
접점(54)(55)의 개방상태, 즉 제13도의 상태에 있어서, 재차 전술한 핸들을 조작하여 축세스프링(31)을 축압시키면 이에 따라 링크(39)(40)가 하방으로 변위하면서 신장되고, 캠판(81)이 그 복귀스프링력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변위하므로 이캠판(81)의 요입부(85)가 트리프래치(80)의 계지로울러(84)와 계합되어 제1도의 상태로 된다.
여기에서, 상기 구성에서는, 축세스프링(31)의 압축시 제2스프링 홀더(302)는 가이드홈(305)(306)과 연결핀(309)등에 의해 제1스프링홀더(301)에 대하여 적당히 스라이드한다.
즉 제2스프링 홀더(302)의 스프링내단부(331)(제6도)는 축세스프링(31)와 충돌하여 요동함이 없이 축세스프링(31)은 인정되게 압축된다.
또한 제1스프링 홀더(301)과 제2스프링 홀더(302)간의 연결은 연결핀(309)의 축부(310)을 양스프링홀더(301)(302)의 凹부(307)(308)에서 가이드홈(305)(306)에 단지 삽입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원터치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위의 실시예에서는 스프링 홀더(302)를 판재에 의하여 구형으로 형성하고 그 판폭방향양측에 설치한 한쌍의 돌편(316)(317)과, 이 한쌍의 돌편(316)(317)간을 판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핀(315)등으로 축세 스프링(31)의 일단(31a)을 압축 가능하게 4개의 지점에서 지지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이와 같은 판재로 된 스프링 홀더(302)는 선단의 돌편(316)(317)을 포함하여 타발가공(打拔加工)에 의하여, 또는 핀(315)은 선재의 절단가공에 의하여 각각 염가로 얻을 수 있고, 또 위에서와 같이 4개의 지점에서 지지함으로써 축세스프링(31)의 압축을 안정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위의 실시예에 표시한 제1스프링홀더(301)는 제1도에 표시한 제1스프링홀더(301)로 바꿀수 있으며, 따라서 이 경우에는 축세스프링(31)의 허리부분의 꺾임은 종래와 동일하게 제2스프링홀더(302)에 의해 방지된다. 더구나, 위의 구성이 홀더기부(337)(제7도 참조)의 부품으로서는 적어도 지지핀(318), 스토퍼부재(322) 및 힌지핀(326) 등의 3개부품이 있으면 되므로 홀더기부(337)의 부품수는 종래 구성것보다 감소되고 그 결과로서, 코스트다운이 실현된다.
또한 상기홀더기부(357)의 조립에서는 용접이 필요없으므로 조립성이 개선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고안의 기중 차단기에 의하면, 축세스프링을 압축시키는 제2스프링홀더를 제1스프링 홀더에 스라이드자재하게 핀으로 연결시켜 그 압축을 안정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핀 연결을 원터치적으로 할 수 있고, 더구나 스프링 홀더에 핀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염가의 구성에 의하여 축세스프링을 안정하게 압축할 수 있으며, 또한 스프링 홀더기부의 조립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부품 개수를 감소시켜 코스트다운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등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압축코일스프링으로된 축세스프링(31)과, 서로 평행상으로 접촉하고 축세스프링(31)을 감착지지시켜 축방향으로 압축되는 한쌍의 제1, 제2스프링 홀더(301)(302)와, 상기 축세스프링(31)의 축방향을 따라 제1, 제2스프링 홀더(301)(302)에 서로 병행하게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홈(305)(306)과, 이 가이드홈(305)(306)의 단부에서 홈의폭부다 크게 형성된 한쌍의 凹부(307)(308)와, 이 한쌍의 凹부(307)(308)에서 한쌍의 가이드홈(305)(306)에 감합되는 축부(310) 및 제1, 제2스프링 홀더(301)(302)의 외축부에 계합하는 돌출부(311)(312)를 갖고 있으며, 제1, 제2스프링 홀더(301)(302)간을 스라이드 자재하게 연결하는 연결핀(309) 등을 구비하여, 상기 제2스프링 홀더(302)에 의하여 축세스프링(31)을 제1스프링 홀더(301)에 가압시켜 압축시킨후 그 가압을 해제함으로써 축세스프링(31)을 신장시키고, 제2스프링 홀더(302)를 통하여 한쌍의 접점(54)(55)간을 폐로시키도록 구성된 기중차단기.
  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한쌍의 스프링홀더(301)(302)를 판재에 의하여 구형으로 형성시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
  3.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제1스프링 홀더(301)의 기부(329) 측에 장설된 스프링 지지부재(319)와, 이 스프링지지부재(319)에 설치된 핀공(320)에 삽입되는 지지핀(318)과, 이 지지핀(318)을 스프링지지부재(319)의 일단에 계지시키는 스토퍼부재(322)와, 위의 지지핀(318)을 스프링지지부재(319)의 타단에 계지시키는 계지부재를 겸용하는 힌지핀(326) 등을 설치하고, 지지핀(318)에 힌지핀(326)을 통하여 스프링 홀더의 기단부를 회동자재하게 지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 기중차단기.
  4. 청구범위 제2항에 있어서, 제2스프링 홀더(302)의 판폭방향양측에 설치한 한쌍의 돌편(316)(317)과 이 한쌍의 돌편(316)(317)간을 판의 두께방향(被停方向)으로 관통하는 핀(315)으로 축세스프링(31)의 일단(31a)을 압축 가능하게 4개점에서 지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
KR2019830000006U 1982-01-28 1983-01-04 기중(氣中)차단기 KR86000216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10973 1982-01-28
JP1982010974U JPS58113944U (ja) 1982-01-28 1982-01-28 気中しや断器
JP57-10974 1982-01-28
JP1982010973U JPS58113943U (ja) 1982-01-28 1982-01-28 気中しや断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4219U KR840004219U (ko) 1984-08-25
KR860002163Y1 true KR860002163Y1 (ko) 1986-09-06

Family

ID=26346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0006U KR860002163Y1 (ko) 1982-01-28 1983-01-04 기중(氣中)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216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4219U (ko) 1984-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44417B (zh) 双电源转换开关及其切换机构
US3197582A (en) Enclosed circuit interrupter
US5944172A (en) Biasing assembly for a switching device
JP3930283B2 (ja) トグル機構を備えた電源切替開閉器
KR870000225Y1 (ko) 가중 차단기
JPH021000Y2 (ko)
JP2558378B2 (ja) 動力源切り替え装置
US7902472B2 (en) Arrangement, in particular, for activating a transport pawl and clamping device for a spring energy store of an electric switch comprising such an arrangement
US4580021A (en) Circuit breaker
US5069077A (en) Actuating mechanism for a vacuum-type interrupter with a contact spring
US4507641A (en) Driving mechanism for a three-position electrical switch
KR860002163Y1 (ko) 기중(氣中)차단기
US8357867B2 (en) Controller unit for switching device
US4149052A (en) Safety-disconnect power tool switch
CN101840807A (zh) 电气安装设备的开关模块
JP3401621B2 (ja) 高速電気開閉スイッチのばね駆動装置
US6046419A (en) Switch with sequentially operated contracts
DE10139917A1 (de) Schaltschloß für ein elektrisches Schaltgerät, insbesondere für einen Motorschutzschalter
JP3151075U (ja) 切り替え断路器
US3828151A (en) Snap switch actuator
JPH0451401Y2 (ko)
JP3936433B2 (ja) セレクタスイッチ
JPH03201329A (ja) 遮断器
US4681988A (en) Switch selector mechanism
JP3347587B2 (ja) 遮断器の開閉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901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