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2024B1 - 순환공기 냉각기능을 지닌 벨트식 동력전달장치 - Google Patents

순환공기 냉각기능을 지닌 벨트식 동력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2024B1
KR860002024B1 KR828205865A KR820005865A KR860002024B1 KR 860002024 B1 KR860002024 B1 KR 860002024B1 KR 828205865 A KR828205865 A KR 828205865A KR 820005865 A KR820005865 A KR 820005865A KR 860002024 B1 KR860002024 B1 KR 860002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n
belt
chamber
pulley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8205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2711A (ko
Inventor
야스오 이께노야
Original Assignee
가와시마 키요시
혼다기켄 쿄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481381U external-priority patent/JPS58101049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481281U external-priority patent/JPS58101048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480981U external-priority patent/JPS58101046U/ja
Application filed by 가와시마 키요시, 혼다기켄 쿄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시마 키요시
Publication of KR840002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2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4/00Spinnerette packs; Cleaning thereof
    • D01D4/02Spinneret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Transmissions By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순환공기 냉각기능을 지닌 벨트식 동력전달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벨트변속기를 지닌 2륜 자동차의 개략측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의한 벨트 자동변속기의 일부 파단측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벨트 자동변속기의 내부구성을 표시하고, 제 2 도의 Ⅲ-Ⅲ선에 따른 평단면도.
제 4 도는 종동풀리의 측면도.
제 5 도는 종동풀리의 정면도.
제 6 도는 저속시의 종동풀리의 사시도.
제 7 도는 고속시의 종동풀리의 사시도.
제 8 도는 종동풀리와 일체(一體)의 원심 클러치와 케이스의 배치를 보이는 일부단면 평면도.
제 9 도는 통로부재의 사시도.
제10도는 제 9 도의 통로부재를 종동풀리에 부착한 상태의 수평단면도.
제11도는 제 3 도의 유도핀의 변형태를 보이는 단면부분도.
제12도는 변속기 케이스의 벽부의 확대부분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체 2 : 엔진
3 : 기화기 4 : 공기청정기
5 : 변속기 케이스 6 : 뒷바퀴
7 : 크랭크축 8 : 구동풀리
9 : 종동축 10 : 종동풀리
11 : 구동벨트 12, 13 : 감속기어
14 : 최종축 15 : 가동구동면
16 : 고정구동면 17 : 구동면칼라
18, 19 : 오일시일 20 : 너트
21 : 램프판 22 : 웨이트로울러
23 : 베어링 24 : 종동면보스
25 : 고정종동면 26 : 가동종동면
27 : 보스부 28 : 캠홈
29 : 핀 30 : 너트
31 : 클러치판 32 : 코일스프링
33 : 클러치 외곽부 34 : 너트
35 : 주측부 36 : 클러치슈우
37 : 클러치본체 38 : 크랭크 케이스
39 : 전동커버 40 : 전용커버
41 : 간막이패킹 42 : 구멍
43 : 와권실 44 : 구동면 팬
44a : 터어빈날개 45 : 연결통로
46 : 통로부재 47 : 나사
48 : 부착각부 49 : 제 1 면부
50 : 제 2 면부 51 : 방진고무
52 : 종동면 팬 53 : 중심평탄면부
54 : 통기공 55 : 평탄면부
56 : 통기공 57 : 클러치 외곽부 팬
58 : 클러치외곽부 수납요부 59 : 통기공
60 : 통기공 62 : 단부벽
63 : 수열겸유도핀 64 : 유도벽
66 : 방열핀 67 : 수열핀
본 발명은 자동 2륜차 등의 자동벨트 변속기등의 벨트식 동력전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러한 동력전달장치의 구성부재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체로 엔진출력이 작고 구동 바퀴에의 전달토오크가 작은 2륜 자동차에 있어서는 엔진의 크랭크축의 회전을 구동바퀴에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예컨대 고무를 주체로 하는 구동벨트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엔진의 변속에는 엔진의 회전, 즉 크랭크축의 회전에 의하여 생기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크랭크축에 위치하는 구동풀리의 피치지름을 자동적으로 바꾸고, 이 피치지름의 변화에 수반하는 벨트장력의 변화에 의하여 구동바퀴축의 종동풀리의 피치지름이 변화하여 무단적으로 회전비가 바뀌는 자동변속기가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상기 벨트식 동력전달 장치는, 간단한 구조로 무단변속을 할 수 있으므로, 특히 2륜 자동차와 같이 소형이고 값이싸며, 더우기 광범위한 회전속도의 범위가 요구되는 차량에는 극히 유리하다.
그러나, 반면에 구동바퀴의 전동효율이(벨트의 마찰계수×가압력)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큰 전달효율을 얻으려고 벨트의 압축압력을 크게하면, 벨트와 풀리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열에 의하여 벨트가 과열하게 되어 동력전달효율에 제한이 있고, 적용하는 차를 차륜에 대한 엔진의 출력 또는 배기량의 제약이 크다는 결점이 있다.
한편, 먼지, 진흙탕, 물 등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동력전달장치를 케이스안에 넣고 외부와 차단하고 있다. 그때문에 상기와 같은 발열에 의하여 케이스안의 온도가 상승하여 벨트의 과열을 촉진하고, 따라서 고무벨트의 수명이 짧아지는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케이스안에 있는 내기(內氣)의 강제순환에 의하여 케이스내에 발생하는 벨트와 벨트풀리 사이의 마찰열을 케이스의 벽에 효과적으로 전달시키고, 외부로의 방열정도를 높임으로써, 벨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종래의 것보다 큰 동력전달 효율을 얻을 수 있는 냉각장치를 지닌 벨트식 동력 전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기가 케이스 내부를 충분한 유속 및 유량을 가지고 순환하도록 하고, 순환공기와 케이스벽과의 사이에 열교환 효율을 좋게하는 동시에, 상기 열교환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이용하여 벨트의 냉각을 효율적으로 행하도록한 벨트식 등의 전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회전속도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항상 충분한 유량의 내기를 종동풀리 및 필요에 따라서는 종동풀리에 인접한 원심클러치를 통하여 순환시키고, 이들부품의 방열성(放熱性)을 향상시킨 벨트식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스벽의 내외면에 핀을 설치하여 케이스 내열의 수열(收熱) 및/또는 방열(放熱)을 보다 효율좋게 행하도록한 벨트식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기타의 목적, 특징 및 잇점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보다 한층 명백하게 될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 1 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적용된 벨트 자동변속기를 구비한 2륜 자동차가 표시되어 있다. 차체(1)의 후방부위에 엔진(2)이 탑재되고, 이 엔진(2)의 후방에 기화기(3), 공기청정기(4)가 각각 설치되는 동시에, 차체(1)의 좌측에 변속기케이스(5)가 설치되고, 그 내부에 엔진(2)의 회전을 변속시켜 구동바퀴인 뒷바퀴(6)에 전달하는 벨트 변속기구가 내장되어 있다. 변속기케이스(5)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엔진 조립체에 한덩어리로 접합되며, 상기 엔진 조립체는 차체와 엔진조립체 사이에 피봇연결된 행거(도시생략)에 의하여 차체(1)의 프레임에 현가(懸架)된 구성의 전단부를 포함하고, 아울러 리어쿳숀에 의해 차체프레임에 현가된 후단부를 포함함으로써, 엔진(2)의 작동시에 엔진의 진동이 차체의 프레임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한다.
상기한 벨트 변속기구 그 자체는 공지기술에 속하나, 그 개략을 제 2 도 및 제 3 도로 참조하여 설명하면, 변속기 케이스(5)의 앞부분에는 케이스내에 돌출한 엔진(2)의 크랭크축(7)위에 구동풀리(8)가, 케이스(5)의 후부에는 뒷바퀴(6)에 회전을 전달하는 종동축(9)위에 종동풀리(10)가 각각 배치되고, 이들풀리(8), (10)사이에는 고무를 주성분으로 하여 만들어진 V벨트형식의 구동벨트(11)가 걸려져서 엔진(2)의 회전의 종동축(9)에 전달하고, 상기 종동축(9)과 맞물리고 있는 전동커버(39)내의 감속기어(12), (13)을 통하여 최종축(14)에서 뒷바퀴(6)에 회전이 전달되도록 되어있다.
상기한 구동풀리(8)는 열전도성이 좋은재료, 예컨대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가동구동면(15)와 고정구동면(16)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동구동면(15)는, 크랭크축(7)에 고정된 구동면의 칼라(17)상에 오일시일(18), (19)를 통하여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도록 끼워넣어지고, 또, 고정구동면(16)는 크랭크축(7)의 축단에 고정되어 상기 축단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너트(20)에 의하여 상기의 칼라(17)가장자리에 고정되어 있다.
전기한 가동구동면(15)에 대향해서 크랭크축에는 램프판(21)이 고착되어 있고, 상기 램프판(21)과 가동구동면(15)와의 사이에는 웨이트(weicht)로울러(22)가 설치되어 있다. 전기한 램프판(21)과 가동구동면(15)은 서로의 간격이 그 외주연측 순서대로 폭이좁게 형성되어 있고, 크랭크축(7)의 회전에 의하여 웨이트 로울러(22)가 원심력을 받아서 바같쪽으로 이동할때, 그 원심력에 응한 위치까지 가동구동면(15)이 고정구동면(16)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양 구동면(15),(16)사이의 간격을 결정하도록 되어있다. 이 간격은 구동풀리(8)의 피치직경, 즉 두개의 구동면(15), (16)사이에 좁게 지지되어 걸쳐진 벨트(11)의 터언(turn)부와 구동풀리(8), 즉 크랭크축(7)의 축 중심사이의 거리를 결정한다. 이와같이 엔진(2)의 회전속도의 변화에 따라 구동풀리(8)의 피치직경이 변화하는 것이다.
한편, 종동풀리(10)는 종동축(9)위에 베어링(23), (23)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리이브 모양의 종동면의 보스(24)에 용접된 고정종동면(25) 및 전기한 종동면의 보스(24)위에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넣어진 가동종동면(26)를 주요 구성요소로 하고, 상기 가동종동면(26)는 제 4 도에 보이는 것처럼, 그 보스부(27)원주면에 축심에 대하여 소정각도(45°정도)로 경사지게 절단되어 설치된 캠홈(28)을 가지고 있으며, 이 캠홈(28)에는 종동면의 보스(24)에 고정된 핀(29)이 끼워넣어져 있어 가동종동면(26)이 종동축(9)위의 축방향 이동에 따라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종동면(26)는 종동면 보스(24)의 단부에 너트(30)에 의하여 고정되어 원심클러치의 일부를 이루는 클러치 판(31)과 상기 가동종동면(26)사이에 위치하는 코일스프링(32)의 신장력에 의하여 고정종동면(25)의 방향으로 치우쳐서 구동벨트(11)의 장력과 스프링(32)의 힘이 서로 균형을 이루는 점에 위치하여, 상기 가동종동면(26)과 고정종동면(25)와의 간격을 설정시키고 이에따라 종동풀리(10)의 피치직경이 설정된다.
전기한 종동축(9)의 축단에는, 원심클러치의 일부를 이루는 ㄷ자형의 단면을 갖는 클러치 외곽부(33)가 이 축단에 나사결합되는 너트(34)에 의하여 고정되고, 이 클러치 외곽부(33)의 원통상의 주측(周側)부(35)의 내면에 대향해서 클러치 슈우(shoe)(36)가 설치되어 있고, 전기한 클러치판(31)에 고착된 원심클러치 본체(37)가 상기 클러치슈우(36)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상기 종동풀리(10)의 회전수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회전수 이상으로 될 때 원심클러치 본체(37)의 슈우(36)가 클러치 외곽부(33)의 주측부(35)와 마찰 접촉하여 종동풀리(10)의 회전수를 종동축(9)에 전달하게 된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관한 냉각장치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동력 전달장치의 변속기케이스(5)는 밀폐구조로 된 것으로써, 엔진(2)의 크랭크케이스(38)의 일부와, 이 크랭크케이스에 인접 설치되는 전동커버(39)의 일부 및 크랭크 케이스(38)와 전동커버(39)에 접합된 전용(專用)커버(40)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38) 및 전동커버(39)와 전용커버(40)와의 접합면 사이에는 간막이 패킹(41)이 설치되어 이 패킹(41)에 의하여 상기한 접합면 사이의 기밀의 확보를 이루고, 아울러 변속기 케이스(5)내부를 대략 2분할하여 크랭크 케이스(38) 및 전동커버(39)축의 A실과 전용커버(40)측의 B실을 분리하여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전기한 구동풀리(8) 및 종동풀리(10)는 전기한 A실과 B실의 모두에 걸쳐서 위치하고, 이 부분의 간막이 패킹(41)에는 구동 및 종동풀리(8), (10)의 설치를 허용하는 구멍(42), (42)이 설치되어 있다.
전기한 구동풀리(8)의 전방 외주부의 반을 둘러싸는 변속기 케이스(5)의 내부 가장자리 부분은 구동풀리, 특히 고정구동면(16)상에 있는 후술하는 구동면팬(44)의 외주위와의 사이에, 크랭크축(7)의 축심에 대하여 제 2 도의 도시와 같이 구동풀리(8)의 회전방향, 즉 구동면팬(44)의 회전에 의하여 불어내어지는 내기의 진행방향으로 점차로 체적이 늘어나는 형상의 와권실(43)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구동풀리(8)의 B실내에 위치하는 고정구동면(16)의 외측면에는 제 2 도에 보이는 바와같이 구동면팬(44)을 형성하여 회전방향으로 凹면을 가지는 터어빈 날개(44a)가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이들 날개(44a)의 선단은 전용커버(40)의 내면에 근접되어 있다.
전기한 구동풀리(8)의 부분에는 전기한 A실과, B실의 크랭크축(7)의 축단부 위에 대응하는 고정구동면(16)의 중심부분에 걸쳐서 공기의 연결통로(45)가 설치되고, 전술한 와권실(43)과 연통하고 있다. 상기 연결통로(45)는 제 9 도에 보이는 통로부재(46)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이 통로부재(46)는 전용커버(40)측에 설치된 보스부(도시하지 않음)에 나사(47), (47)에 의하여 고정하기 위한 호상으로 뻗는 부착각(脚)부(48)와, 이 부착각부(48)의 중간부분에서 이 부착각부(48)에 대하여 직각으로 설치되고, 전용커버(40)과의 사이에 제 1 통로(49a)를 구성하는 제 1 면부(49)와, 이 제 1 면부(49)의 말단에서 다시 직각방향의 아래쪽으로, 즉 고정구동면(16)의 중심방향으로 확장하고, 전용커버(40)과의 사이에 제 1 통로(49a)에 이어지는 제 2 통로(50a)를 구성하는 제 2 면부(50)로 형성되어 있고, 이 제 2 면부(50)는 그 구동풀리(8)의 옆쪽으로 그 축방향으로 확장하는 동시에, 외면 양측연에 전용커버(40)의 내면에 접하여 구동풀리(8)와 변속기 케이스(5)와의 공진을 방지하기 위한 방진 고무(51), (51)가 부착되고, 다시 제 2 면부(50)는 구동풀리(8)의 단면 즉 고정구동면(16)의 외측면에 따라 그 반경방향으로 뻗는 동시에, 그 하단은 凹면 상태로 도려내서 바람이 구동풀리(8)의 방향으로 분산해서 유출되도록 되어있다. 이에 의하여 A실과 B실은 전기한 제 1, 제 2 통로(49a), (50a)를 통해서 연통하는 연결통로(45)가 확보되고, 또한 A실에서 B실로 들어가는 바람은 고정구동면(16)의 중심부에 유입하며, 이 고정구동면(16)의 구동면팬(44)에 의하여 중심에서 외주방향으로 방출하는 유로계통을 확보하고 있다.
한편 종동풀리(10)측에 있어서는, A실내에 위치하는 고정종동면(25)의 외측면에 종동면 팬(52)을 형성하는 여러개의 날개(52a)가 방사상의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종동면(25)의 중심평탄부(53)에는 제 5 도-제 7 도에 보이는 것처럼 종동축(9)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여러개의 축방향 통기공(54), (54), …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환상으로 설치되고, 이것과 서로 대향하는 가동종동면(26)의 평탄면부(55)에는 전기한 고정종동면(25)의 통기공(54), (54)……에 대응하여 동일간격을 두고 통기공(56), (56)……이 환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고정종동면(25)와 가동종동면(26)의 각 통기공(54)와 (56)의 위치관계는, 고정종동면(25)에 대하여 가동종동면(26)이 캠홈(28)과 핀(29)와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회전해서 가장 접근할때, 다시말하면 종동풀리(10)의 피치직경(종동축 (9)의 축심과 벨트(11)의 터언부 내주면 사이의 거리)이 최대의 경우, 즉 고정 및 가동종동면(25), (26)사이의 간격이 최소가 된 경우(제 6 도)에 양자의 통기공(54), (56)의 거의 합치하도록 되어 있고, 반대의 경우에는 통기공(54), (56)의 위치가 제 7 도와 같이 점차 벗어나도록 되어 있다.
전기한 클러치 외곽부(33)의 주축부(35)의 외주면에는, 제 2 도 및 제 1 도에 보이는 것처럼 프레스에 의하여 구멍을 내서 형성된 클러치외곽부 팬(57)을 형성하는 날개(57a)가 바람을 클러치 외곽부(33)의 외주에 보내는 방향으로 축선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하여 방사선상으로 고정 장치되고, 이 팬(57)의 선단은 전용커버(40)의 바깥쪽으로 클러치 외곽부(33)의 형상에 꼭 들어맞게 팽창돌출된 클러치외곽부 수납요부(58)의 내주 측면에 가급적으로 근접되어 있다.
또, 클러치 외곽부(33)의 측면부에 개구해서, 제 2 도와 같이 종동축(9)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통기공(59), (59)…이 환상으로 설치되고, 다시 클러치 판(31)에도 상기 클러치 외곽부(33)의 통기공(59), (59)…에 대응하는 위치에 통기공(60), (60)…이 환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수납요부(58)의 클러치 외곽부(33)사이의 간격에서 이들 통기공(59), (60)을 통하여 들어오는 바람이 종동면보스(24)의 주위 및 클러치본체(37)의 부분을 통하여 상기 종동풀리(10)의 각 종동면(25), (26)의 통기공(54), (56)에 유입하고, A실에 이르는 유로를 확보하고 있다.
상기 클러치 외곽부 수납요부(58)의 주측벽(61)에서 단부벽(62)에 걸쳐서 내면에 형성되고 일단은 클러치 외곽부(33)의 클러치 외곽부팬(57)의 주측벽에, 타단은 통기공(59)에 각기 대향한 형태의 수열겸유도핀(63)을 클러치 외곽부(33)의 중심을 향해서 여러개 방사상으로 설치하고, 이들 유도핀(63)에 의하여 바람이 통기공(59)에 유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유도를 조성하기 위하여 제11도에 도시한 것처럼,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수열겸 유도핀(63), (63)의 안쪽 말단사이에 거의 수직방향으로 확장하고, 통기공(59)에 향한 호상면(64a)를 갖는 유도벽(64)를 설치하고, 이 유도벽(64)의 호상면에 따라 흐르는 바람이 클러치 외곽부(33)의 통기공(59)에 바로 향하게하면 한층 효과를 올릴 수가 있다.
다시 제 3 도 및 제12도에 명확하게 도시한 것처럼, 변속기 케이스(5)의 전동커버(39)와 전용커버(40)의 외측면에는 여러개의 방열핀(66)이 바깥방향으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상기 방열핀(66)은 케이스(5)의 전단부에서 후단부에 걸쳐서, 수평방향에 직선상으로 확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변속기케이스(5)의 전용커버(40)의 내측 면에는 제 3 도 및 제12도에 보이는 것차럼 여러개의수열핀(67)이 안쪽방향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열핀(67)은 제 3 도에 표시한 것처럼 구동풀리(8)의 바로 하류측 위치에서 종동풀리(10)근방 위치까지 수평 직선 방향으로 확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냉각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엔진(5)의 구동축(7)과 한몸으로된 구동풀리(8)의 회전시, 고정구동면(16)과 구동벨트(11)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열은 열전도율이 좋은 알루미늄제의 고정구동면(16)에 전달되고, 여기에 설치된 구동면팬(44)이 그 넓은 표면적에서 순환공기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방열함과 동시에, 순환공기는 이 팬(44)의 회전으로 뒷쪽으로 보내진다. 이 공기는 간막이패킹(41)과 전용커버(40)사이에 구성된 실내를 뒷쪽으로 이동할때 전용커버(40)에 열전달을 하고, 외부로 열을 발산한다.
이때 변속기케이스(5)의 전용커버(40)의 내면에 형성된 수열핀(67)에 의하여 수열면적이 크고 가열 공기의 열이 효과적으로 수열되는 동시에, 전용커버(40)의 외면에 형성된 방열핀(66)에 의하여 방열면적이 크고 대기로의 방열이 효과적으로 행해진다. 또, 이때 공기는 구동벨트(11)의 표면에도 흐르기 때문에, 구동벨트(11)자체의 열을 흡수하는 작용도 한다. 이리하여 후방에 도달한 공기는 클러치 외곽부(33)의 클러치 외곽부 팬(57)에 의하여 클러치 외곽부(33)의 바깥측으로 보내져서 전용커버(40)의 클러치 외곽부 수납요부(58)에 의하여, 그 중심부로 날아들어간다. 그래서 수열겸유도 핀(63)에 접촉해서 그 열이 흡수되어 전용커버(40)외면의 방열핀(66)에 의하여 방열작용을 받는 동시에 상기 핀(63)에 의하여 정류작용을 받아서 클러치 외곽부(33)의 통기공(59)에 유입하고, 클러치 판(31)의 통기공(60)을 통해서 가동종동면(26)으로 불어온다. 상술한 과정에서 클러치의 구성부재도 따라서 냉각된다. 이 공기는 종동면 팬(52)의 원심력의 작용을 받아서 가동종동면(26)과 고정종동면(25)와의 통기공(54), (56)을 통하여 A실내로 분출되고, 구동벨트(11)와 종동풀리(10)의 각 종동면 사이에서 생기는 열을 빼앗아서 이 부분의 가열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통기공(54), (56)은 종동풀리(10)의 피치직경이 최소가 되었을때 서로 대향하므로 이들의 통기고의 통기저항은 작다. 구체적으로 종동풀리(10)의 피치직경이 최소일때, 즉 구등바퀴의 저회전시에는 통기공(54), (56)이 대략 적합하기 때문에 고정종도면(25)상의 팬의 회전속도가 저하되어도 이들 통기공을 통과하는 공기량의 저하는 작은 한편, 종동풀리(10)의 피치직경이 최대이고 구동바퀴가 고속 회전할때는 팬의 회전속도가 상승해서 통기공(54), (56)이 서로 어긋나도 통과공기 유량의 저하가 작다. 따라서 종동풀리(10)를 통과한 후의 공기는 변속기케이스(5)의 전동 및 전용커버(39), (40)등에 부딪쳐서 이들을 통하여 충분히 외부로 방열된다.
A실내로 유입된 공기는 변속기케이스(5)의 전용커버(40)에 부딪혀서 열을 발산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고 그 사이에 온도가 저하된 공기는 고정구동면(16)의 팬(44)의 작용으로 연결통로(45)의 제 1 통로 부분(49a)과 제 2 통로부분(50a)를 지나서 B실내로 유입한다. 이 공기는 구동풀리(8)의 중심부에 유입되어 고정구동면(16)의 팬(44)에 의한 원심력의 작용으로 외주방향으로 분출된다. 이 고정구동면(16)의 주위에 있는 와권실(43)은 유입공기의 속도를 저하하는 일없이 유량을 확보하도록 서서히 체적이 증대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공기는 저항이 없이 B실의 후방으로 보내진다. 따라서 변속케이스(5)의 커버 내면에 효과적으로 부딪혀서 외부로의 열의 방산이 효과적으로 실시되는 동시에 냉각된 공기가 케이스내를 유동하게 되어서 벨트의 과열을 방지한다.
또, 상기와 같이 변속기케이스(5)내를 상기 벨트의 회동면에 평행으로 설치하는 중간 간막이 패킹(41)으로 좌우 2실 A, B로 구분하고 상기 각 풀리의 팬으로 상기 케이스실내의 A와 B중 한쪽의 실을 공기의 왕로(往 路)로 하고 다른쪽의 실을 복로(復路)로 해서 내부에서 순환하도록 했기 때문에 풀리와 벨트의 사이에 있어서 발생하는 열을 변속기케이스를 구성하는 외벽부재의 구석구석까지 효과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고, 이 외벽면을 통하여 외부로의 열을 방산을 능률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밀폐형의 변속기실의 경우에도 그 냉각효과를 현저히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벨트의 발열을 경감하고, 그 수명을 대폭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에에서는 본 발명의 벨트식 동력전달장치를 자동변속기에 적용했으나, 이것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벨트식 동력전달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7)

  1. (정정) 구동풀리(8)와, 종동풀리(10)와, 이 구동풀리(8)와 종동풀리(10)에 감긴 구동벨트(11)와, 상기 구동풀리(8)와 종동풀리(10) 및 구동벨트(11)를 수용하는 대략 밀폐된 변속기케이스(5), 상기 구동풀리(8)및 종동풀리(10)의 각각에 설치되고, 이것과 일체로 회전되는 팬(44), (52)을 가지는 벨트식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케이스(5)내에 설치되어 이 케이스(5)내부를 A실과 B실로 분할하는 간막이패킹(41), 상기 A실과 B실은 다같이 적어도 상기 구동풀리(8)와 상기 종동풀리(10)에 걸쳐서 연장되고, 또 상기 A실과 B실을 상호 연통시키는 연통시키는 연결통로(45) 및 통기공(54)(56)(59)(60)을 가지며, 상기 팬(44)(52)와 상기 간막이패킹(41) 및 상기 연결통로(45) 및 통기공(54)(56)(59)(60)은 상기 팬(44)(5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케이스(5)내의 기체를 이 케이스(5)내의 상기 A실 및 상기 B실을 통하여 순환시켜서 이 기체로 하여금 상기 구동풀리(8)와 종동풀리(10) 및 팬(44)(52)과 벨트(11)와 열교환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A실 및 상기 B실의 한쪽은 상기 기체의 왕로(往路)로서, 다른쪽은 복로(復路)로서 각각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동력전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막이패킹(41)은 상기 구동벨트(11)의 한 촉면을 따라 확장하는 패킹(4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동력전달장치.
  3.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44)(52)은 상기 구동풀리(8)에 설치한 구동면팬(44)과 상기 종동풀리(10)에 설치한 종동면팬(5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동력전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구동면팬(44) 및 종동면팬(52)중 종동면팬(52)는 상기 A실에, 구동면팬(44)은 상기 B실에 각각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동력전달장치.
  5.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케이스(5)는 상기 구동풀리(8)의 외주를 둘러싸는 커버부분과 이커버부분과 상기 구동풀리(8)의 외주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A실 및 B실의 한쪽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풀리(8)의 회전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체적이 증가하는 외권실(43)을 가지고, 상기 연결통로(45)는 상기 A실, B실의 다른 방향에서 확장하여 상기 와권실(43)까지 이르며, 상기 A실과 B실은 상기 와권실(43)및 상기 연결통로(45)를 통해서 상호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동력전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통로(45)는 상기 구동풀리(8)의 측면을 따라 그 축방향으로 확장하는 제 1 면부(49)와, 상기 제 1 면부(49)에 연속되고, 상기 구동풀리(8)의 단면(端面)을 따라 그 반경방향으로 확장하는 제 2 면부(50)를 가지는 적어도 한개의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면부(49)와 상기 케이스(5)의 커버 부분의 대향면과의 사이에 상기 A실로부터 확장하는 제 1 통로(49a)를 구성하고, 상기 제 2 면부(50)와 상기 커버부분의 대향면과의 사이에 상기 제 1 통로(49a)와 연속되고 상기 B실로 통하는 제 2 통로(50a)를 각각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동력전달장치.
  7.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풀리(10)는 상호동심적이고 대향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벨트(11)가 감기는 고정 및 가동조동면(25)(26)을 가지고, 상기 고정 및 가동종동면(25)(26)의 각 양측에는 개구하여 형성된 적어도 1개의 통기공(54)(56)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동력전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및 가동종동면(25)(26)중 가동종동면(26)은 고정종동면(25)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변위가 가능하고, 상기 통기공(54)(56)은 상기 가동종동면(26)이 상기 고정종동면(25)에서 가장 이격되어 있을때의 상기 벨트(11)의 내주면보다도 반경방향으로 내측에 있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동력전달장치.
  9. (정정)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풀리(10)는 상기 가동종동면(26)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데 따라서 상기 고정종동면(25)에 대한 그 원주방향위상(位相)을 변화시키는 장치인 캠홈(28)과 핀(29)를 포함하고, 상기 캠홈(28)과 핀(29)은 상기 가동종동면(26)이 상기 고정종동면(25)에 가장 접근했을때 상기 가동종동면(26)의 통기공(56)이 이에 대응되는 고정정동면(25)의 통기공(54)과 대향되도록 상기 가동종동면(26)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동력전달장치.
  10.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풀리(10)의 회전속도에 따라 이 종동풀리(10)를 종동풀리(10)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감속기어(12, 13) 최종축(14) 및 뒷바퀴(6)에 구동결합하는 원심클러치를 포함하고, 상기 종동풀리(10)는 상기 감속기어(12, 13), 최종축(14) 및 뒷바퀴(6)에 구동적으로 결합된 종동축(9)과, 이 종동축(9)위에 상호 동심상이며, 또한 대향적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벨트(11)가 감기는 고정 및 가동종동면(25)(26)으로 구성되고, 상기 원심클러치는 상기 고정 및 가동종동면(25)(26)과 회전결합된 클러치판(31)과, 상기 종동축(9)에 고정된 클러치 외곽부(33)와, 상기 클러치판(31)에 지지되어 그 회전에 따라 상기 클러치외곽부(33)에 마찰결합 또는 이격되는 클러치본체(37)로 구성되고, 상기 클러치판(31)과 클러치외곽부(33)는 각각 양측면에 개구하는 적어도 1개의 통기공(60)(59)을 가지고, 상기 통기공(60)(59)을 통하여, 상기 변속기케이스(5)내를 순환하는 기체가 상기 원심 클러치내부로 유도되어 이 원심클러치를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동력전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및 가동종동면(25)(26)는 각각의 양 측면에 개구형성된 적어도 1개의 통기공(54)(56)을 가지고, 상기 변속케이스(5)내를 순환하는 기체가 상기 원심클러치의 클러치판(31)와 클러치외곽부(33)의 통기공(60)(59) 및 상기 고정 및 가동종동면(25)(26)의 통기공(54)(56)을 통하여 상기 A실과 상기 B실사이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동력전달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클러치의 클러치외곽부(33)에 대향해서 상기 케이스(5)의 내벽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된 여러개의 수열겸 유도핀(63)을 가지고 이 핀(63)의 일단은 상기 클러치외곽부(33)의 상기 통기공(59)에 대향되고, 상기 케이스(5)의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를 상기 통기공(59)으로 유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동력전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열겸 유도핀(63)의 단부사이에 확장하고 상기 클러치외곽부(33)의 통기공(59)쪽으로 향한 호상면을 포함하는 유도벽(6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동력전달장치.
  14.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풀리(8)는 크랭크축(7)과, 상기 크랭크축(7)위에 상호 동심상으로 또한 대향해서 배치되고 상기 구동벨트(11)가 감기는 1쌍의 가동 및 고정구동면(15)(16)과, 상기 1쌍의 구동면(15)(16)중 가동구동면(15)은 고정구동면(16)에 대하여 상기 크랭크축(7)의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크랭크축(7)의 회전속도의 변화에 따라 상기가동구동면(15)를 상기 고정구동면(16)에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웨이트로울러(22)로 구성되고, 상기 종동풀리(10)는 종동축(9)과, 상기 종동축(9)위에 상호 동심상으로 또한 대향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구동벨트(11)가 감기는 1쌍의 종동면(25)(26)중 고정종동면(25)은 종동축(9)에 장착되고 가동종동면(26)은 상기 고정종동면(25)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1쌍의 고정 및 가동종동면(25)(26), 그리고 상기 가동종동면(26)을 상기 고정종동면(25)측에 항상 밀어대는 코일스프링(3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동력전달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케이스(5)의 외벽면에는 다수의 방열핀(66)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동력전달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케이스(5)의 내벽면에는 다수의 수열핀(67)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동력전달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케이스(5)의 외벽면에는 다수의 방열핀(66)을, 상기 케이스(5)의 내벽면에는 다수의 수열핀(67)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동력전달장치.
KR828205865A 1981-12-29 1982-12-29 순환공기 냉각기능을 지닌 벨트식 동력전달장치 KR8600020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481381U JPS58101049U (ja) 1981-12-29 1981-12-29 ベルト動力伝達装置の冷却装置
JP19481281U JPS58101048U (ja) 1981-12-29 1981-12-29 ベルト動力伝達装置の内気循環式冷却構造
JP19480981U JPS58101046U (ja) 1981-12-29 1981-12-29 ベルト動力伝達装置の内気循環式冷却構造
JP56-194809 1981-12-29
JP56~194809 1981-12-29
JP56-194812 1982-02-25
JP57-29329 1982-03-01
JP56-194813 1982-03-01
JP57-28618 1982-03-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711A KR840002711A (ko) 1984-07-16
KR860002024B1 true KR860002024B1 (ko) 1986-11-15

Family

ID=27326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8205865A KR860002024B1 (ko) 1981-12-29 1982-12-29 순환공기 냉각기능을 지닌 벨트식 동력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20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1481B2 (ja) * 2004-08-10 2010-08-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パワーユニットの冷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711A (ko) 198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3677A (en) Belt transmission having circulated air cooling function
US4631977A (en) Power transmission casing in motorized two-wheeled vehicle
US4531928A (en) Belt transmission having air cooling function
US20070022979A1 (en) Coolant pump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509933A (en) Belt pulle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4153389A (en) Fan-fan drive assembly
US4417636A (en) Cooling fan ducting
GB2094420A (en) Diaphragm spring clutch
KR860002024B1 (ko) 순환공기 냉각기능을 지닌 벨트식 동력전달장치
US3749214A (en) Viscous coupling having an improved coolant system
JP2002081521A (ja) 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機構
JPS6256387B2 (ko)
JPS6128912Y2 (ko)
US4920927A (en) Cooling structure for liquid-cooled engine
JPS634852Y2 (ko)
JPS627893Y2 (ko)
US5899173A (en) Viscous fluid heater
KR890000448B1 (ko) 냉각장치를 구비한 벨트식 동력 전달장치
KR19980036570U (ko) 자동차동력조향장치의 오일펌프풀리
JPS6128913Y2 (ko)
US3951224A (en) Variable diameter pulley (ventilating)
JPS624760Y2 (ko)
JPS6132196Y2 (ko)
JPH0676823B2 (ja) ベルト伝動装置
KR100239327B1 (ko) 엔진의 냉각장치용 쿨링 팬 클러치의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