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448B1 - 냉각장치를 구비한 벨트식 동력 전달장치 - Google Patents

냉각장치를 구비한 벨트식 동력 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448B1
KR890000448B1 KR828205774A KR820005774A KR890000448B1 KR 890000448 B1 KR890000448 B1 KR 890000448B1 KR 828205774 A KR828205774 A KR 828205774A KR 820005774 A KR820005774 A KR 820005774A KR 890000448 B1 KR890000448 B1 KR 890000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elt
power transmission
driven
transmiss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8205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2710A (ko
Inventor
야스오 이께노야
Original Assignee
가와시마 기요시
혼다기겐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시마 기요시, 혼다기겐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시마 기요시
Publication of KR840002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1/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vehicles or for driving propellers;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gearing
    • F02B61/02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vehicles or for driving propellers;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gearing for driving cy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2/00Motorised scoo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Transmissions By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냉각장치를 구비한 벨트식 동력 전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벨트 자동변속기를 구비한 자동 2륜차의 개략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자동 2륜차의 차체커버하부의 확대개략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벨트 자동변속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수평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벨트 자동변속기의 내부구성의 일부단면 측면도.
제5도는 피동풀리의 측면도.
제6도는 제5도에 있어서의 Ⅵ-Ⅵ선 단면도.
제7도는 원심클러치부의 확대측면도.
제8도는 케이스의 배기구부의 대략적인 부분사시도.
제9도는 변속기 케이스의 벽부의 확대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전향앞바퀴 6 : 케이스
7 : 외기흡입공 8 : 외기흡입통로
9 : 외기배출통로 10 : 외기흡입튜우브
11 : 외기배출구 12 : 크랭크샤프트
13 : 구동풀리 14 : 피동풀리
15 : 피동샤프트 13 : 구동풀리
14 : 피동풀리 15 : 피동샤프트
16 : 구동벨트 17 : 원심클러치
18 : 미션기어 20 : 크랭크케이스
21 : 미션커버 22 : 연결파이프
23 : 와실(臥室) 24 : 하부연통공
25 : 패킹 26 : 프로텍터(protector)
27 : 하부연통공 28 : 에어클리너
29 : 기화기 30 : 연료탱크
32 : 외기통로 33,34 : 감속기어
본 발명은 자동 2륜차 등의 벨트자동변속기 등의 벨트식 동력 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와같은 동력전달장치의 구성부재를 냉각하는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출력이 작고 구동바퀴에의 전달토오크가 작은 자동 2륜차에 있어서는 엔진의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을 구동바퀴에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예를들면 고무를 주체로 하는 구동벨트가 사용된다. 그리고, 엔진의 변속에는 엔진회전, 즉 크랭크샤프트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원심력을 이용해서 크랭크 샤프트측의 구동풀리의 피치직경을 자동적으로 변경하고,이 피치직경의 변화에 따르는 벨트장력의 변화로 구동바퀴측의 피동풀리의 피치직경이 변화해서 무단적으로 회전비가 변하는 자동변속기가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상기 벨트식 동력전달장치는 간단한 구조로 무단변속이 가능하므로 특히 자동 2륜차와 같이 소형이고, 값이 싸고, 또한 광범위한 작동속도 범위를 요구하는 차량에는 극히 유리하다.
그러나, 그 반면에 구동바퀴에의 동력전달효율이 (벨트의 마찰계수)×(압압력)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큰 전달효율을 얻기 위해 벨트의 압압력을 크게하면 벨트와 풀리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에 의해 벨트가 과열되어 동력전달 효율이 저하되고, 이에 따라 적용하는 차륜에 대한 엔진의 출력 또는 배기량에 상당한 제약이 있다.
한편, 먼지, 진흙, 물 등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전달기구를 케이스내에 수납하여, 외부와 차단하고 있는데, 그로인해 상기 발열에 의하여 케이스내의 온도가 상승하여 벨트의 과열을 촉진하고, 고무계의 벨트의 수명이 단축되는 일이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목적은 케이스내에 외기를 강제적으로 흡입하여 케이스내부를 냉각하고, 냉각에 사용한 외기를 다시 강제적으로 배출하도록한 냉각장치를 구비하여, 벨트의 과열을 방지하고 그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종래의 것보다 큰 동력 전달효율을 얻을 수 있는 벨트식 동력 전달장치를 제공하는 일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케이스내에 먼지, 진흙물, 세차시의 물 등의 흡입이 없는 청결한 외기가 도입되도록 구성하여, 이들 장애물에 의한 변속기 케이스내의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고,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한 벨트식 동력 전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케이스내에 도입된 외기가 피동풀리의 전체에 걸쳐서 분산 공급되어서 이것과 충분히 접촉되도록 구성하여 피동풀리의 냉각 효율을 높여서 벨트의 과열을 더욱 억제하도록 한 벨트식 동력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케이스내에서 발생하는 열을 케이스의 벽에 효과적으로 전도시킴과 동시에 케이스벽 외표면에서 대기중으로의 방열성능을 높인 벨트식 동력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구성이 간단하고 제작 및 조립성이 우수하고, 코스트가 낮은 벨트식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벨트자동변속기를 구비한 자동 2륜차의 전체구조를, 그리고 제2도는 그의 주요부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서 차체(1)는 전향앞바퀴(2) 및 구동뒤바퀴(3)를 장비하고, 자체(1)의 일부를 형성하는 차체커버(1')의 상부에 시이트(4)가 장치되고, 차체커버(1')의 하부에 엔진(5)이 장비된다. 벨트 자동변속기는 차체(1)의 한측면에 배치되며 엔진(5)측에서 구동뒤바퀴(3)를 향해 수평으로 배치된 케이스(6)내에 수납되는 동시에 뒤바퀴(3)에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6)는 후기와같이 엔진 조립체에 일체로 접합되고, 상기 엔진 조립체는 그 엔진조립체와 차체(1)의 프레임 사이에 피벗운동 가능하게 연결된 헹거(도시안됨)에 의하여 상기 차체프레임으로부터 이동가능하게 현가된 전단부와,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후방쿠션(35)에 의하여 차체프레임으로부터 이동가능하게 현가된 후단부를 구비하여, 운전시 엔진(5)의 진동이 차체 프레임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시키게 되어 있다. 케이스(6)의 전방부에 외기흡입공(7)이 있는 외기흡입통로(8)가 형성되는 동시에 후방부에는 외기배출구(11)가 있는 외기 배출통로(9)가 형성되어 있다.
외기흡입공(7)에는 외기흡입튜우브(10)가 접속되고, 그 선단의 외기흡입구 (10a)는 차체커버(1')와 시이트(4)로 둘러싸인 내부공간(S)으로 개구되고, 한편 외기배출통로(9)의 하단은 좌우방향으로 개구된 외기배출구(11)에 연통된다.
상기 내부공간(s)은 거의 밀폐되어서 외부의 먼지나 흙탕물 등의 침입이 방지되고, 그에따라, 여기에 내장되는 엔진(5), 에어클리너(28), 기화기(29), 연료탱크(30). 바테리(31) 등의 주요부품이 보호된다. 제3도 및 제4도의 도시와 같이 케이스의 일단부측에서 엔진(5)의 크랭트샤프트(12)의 일단에는 구동풀리가 연결되는데 이 구동풀리(13)는 크랭크 샤프트(12)에 고착되고 원주방향으로 배열되고 냉각팬(fan)을 형성하는 다수의 날개(13a)를 외면측에 형성한 구동페이스 (face)(13b)와, 크랭크 샤프트(12)에 끼워진 구동 페이스칼라(123c)와, 구동페이스(13b)에 동심상으로 또 대향해서 배설됨과 동시에 칼라(13c)상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페이스(13d)와, 크랭크 샤프트(12)에 고정된 경사판(13e)와, 상기 이동 페이스(13d)와, 경사판(13e) 사이에 설치된 웨이트로울러(13f)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적어도 구동페이스(13d) 및 이동페이스(13d)는 열전도성이 양호한 알루미늄에 의하여 주조된다. 웨이트로울러는 엔진(5)의 회전속도에 따라 변화하는 그의 원심력에 의해 크랭크샤프트(12)의 반경방향으로 변위하면서, 이동페이스(13d)를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구동페이스(b)와 이동페이스(d)간의 간격을 변화시켜준다. 이 간격은 구동풀리(13)의 피치직경, 즉 구동페이스(13b)와 이동페이스(13d)사이에 걸쳐서 걸어진 벨트(14)의, 터언부와 구동풀리(13)의 축중심, 즉 크랭크샤프트(12)의 축중심간의 거리를 결정한다. 따라서 엔진(5)의 회전속도의 변화에 따라 구동풀리(13)의 피치직경이 변화한다.
한편, 피동풀리(14)가 케이스(6)의 타단측에 배치되는데, 이피동풀리는 피동페이스(14a)와 이동페이스(14b)를 주요구성요소로 하고, 피동페이스(14a)는 피동샤프트(15)상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진 슬리이브상의 피동페이스보스(14c)의 일단에 고정되고, 원주방향으로 배열되고 냉각팬을 형성하는 다수의 날개(14d)가 외측면에 설치된다. 이동 페이스(14b)는 피동페이스보스(14c)상에 축방향 이동가능하게 끼워진 슬리이브상의 피동캠(14e)에 고정되어서 피동페이스(14a)에 동심상으로 또한 대향해서 배치되고, 이동페이스(14b)와 후기하는 클러치 판(17a)사이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14f)에 의하여 피동페이스(14a)측으로 압압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풀리(13)와 피동풀리(14)에 감긴 구동벨트(16)의 장력과 스프링(14f)의 탄발력이 절충된 지점에서 피동페이스(14a)와 이동페이스(14b)간의 간격이 설정되고, 피동풀리(14)의 피치직경이 가변된다.
또, 상기 피동페이스 보스(14c)의 타단에는 원심 클러치(17)의 클러치판 (17a)이 고정되고, 한편 피동샤프트(15)의 일단에 클러치아우터(outer)(17b)가 고정된다. 클러치판(17a)의 외주에는 원심클러치본체(17c)가 설치되어, 피동풀리(14)의 회전수가 소정수를 초과하면 원심클러치본체(17c)는 그의 원심력에 의해 그 슈우(17c)를 클러치아우터(17b)의 대향 내주면에 마찰 접촉시키고, 이에 따라 피동풀리(14)의 회전이 피동샤프트(15)에 전달된다. 피동샤프트(15)의 타단은 감속기어(33),(34)를 거쳐 샤프트(19)와 맞물리고, 이에따라 상기와 같이 피동풀리(14)와 회전결합한 피동샤프트(15)의 회전에 의해 미션기어(18) 및 샤프트(19)를 개재하여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구동뒤바퀴(3)가 회전 구동된다. 또, 상기 클러치 아우터(17b)의 외주에는 다수의 날개(17b)가 원주방향으로 배설되어 냉각팬을 형성한다. 또, 클러치판(17a)과 클러치아우터(17b)에는 각각 외기통과용의 통공(17a'),(17b')이 형성된다.
제5도 및 제6도는 피동풀리(14)의 상세를 도시한 것으로, 피동페이스보스 (14c)에는 핀(14g)이 반경 방향 외방을 향해서 수용설치되고, 이 핀(14g)은 피동캡(14l)에 형성된 긴 캠홈(14h)에 물려있다. 이 캠홈(14h)은 피동샤프트(15)의 축심에 대하여 경사해서 연장되고, 이동페이스(14b)가 피동페이스(14a)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는데 따라 피동페이스(14a)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는데 따라 피동페이스(14a)에 대한 그 원주방향의 위상을 변화시킨다. 또, 피동페이스(14a) 및 이동페이스(14b)에는 각각 다수의 축방향의 통공(14i),(14j)이 각각 페이스의 양측면으로 개구해서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의 통공(14i),(14j)은 서로수가 동일하고, 피동풀리(14)가 최소피치(Dmin)를 가질때, 즉 이동페이스(14b)가 피동 페이스(14a)에서 가장 멀리 떨어졌 을때의 벨트(14)의 터언부의 내주면 위치보다 반경방향 내방에 위치하고,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설치된다. 또, 이들 통공(14i),(14j)은 이동페이스(14b)가 피동페이스(14a)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상호의 간격이 최대가 되어 피동풀리(14)의 피치직경이 최소가 되었을때, 이동페이스(14b)의 통공(14j)은 제6도에 쇄선으로 도시하는 위치(14j)로 이동하여 피동페이스(14a)가 대응하는 통공(14i)의 위치와 원주방향거리가 최대가 되는 한편, 이동페이스(14b)와 피동페이스(14a)간의 간격이 최소가 되어 피동풀리(14)의 피치직경이 최대가 되었을때는 상기 원주방향 거리는 최소로 되어 통공(14i)과 그에대응하는 통공(14j)은 서로 대향 되도록 배치가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의 벨트 자동변속기를 수용하는 변속기 케이스(6)는 엔진(5)의 크랭크케이스(20)의 둘레벽의 일부, 미션커버(21)의 둘레벽의 일부, 그리고 전용의 둘레벽(6a)으로 형성된다. 둘레벽(6a)은 변속케이스(6)의 외측면부를 이루고, 그 전단부에는 외부와 연통하는 외기흡입공(7)과, 이 흡입공(7)에서 둘레벽(6a)의 내면을 따라 뻗어 크랭트샤프트 (12) 선단의 이동페이스(13b)의 외측면의 대량중앙에서 개구하는 외기흡입통로(8)가 형성된다. 외기흡입공(7)에는 연결파이프(22)(제4도)를 거쳐 외기흡입튜우브(10)가 접속되고, 상기와 같이 외기흡입튜우브(10)의 선단의 외기흡입구(10a)는 먼지, 흙탕물 등이 들어가지 못하는 차체커버(1')와 시이트(4)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s)내로 개구된다. 또, 흡입튜우브(10)는 미리 차체에 장착되고, 엔진(5)의 탑재시 연결파이프(22)에 밴드(22a)로 체결해서 연결한다.
또, 외기흡입구(10a)가 개구하는 공간은 상기공간(s)에 한정되지 않고, 차체내의 다른 장소에 형성되어서 먼지, 흙탕물 등이 혼입하지 못하는 폐쇄공간이면 된다.
케이스(6)내의 구동풀리(13)의 전반외주부에는 구동페이스(13b)의 팬(13a)에 의해서 송풍되는 외기가 진행하면서 용적이 서서히 확산되는 와실(23)이 설치된다.
제3도, 제4도 및 제9도의 도시와 같이 케이스(6)의 둘레벽(6a)의 외측면에는 다수의 방열휜(6b)이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또, 크랭크 케이스(20)의 외측면에도 방열휜(6b)과 같은 모양의 방열휜(6c)이 다수개 바깥방향으로 돌출하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기로는 도시 실시예와 같이 방열휜(6b),(6c)은 케이스(6)의 전단부로부터 후단부에 걸쳐서 수평방향 직선상으로 뻗는다. 한편, 케이스(6)의 둘레벽(6a)의 내측면에는 동일하게 제3도 및 제9도의 도시와 같이 다수개의 방열휜(6d)이 안쪽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바람하기로는 제3도의 도시와 같이 구동풀리(13)의 직하류측 위치로 부터 피동풀리(14)의 근방위치까지 수평방향으로 직선상으로 뻗어있다. 피동풀리(14)의 직상류측에서 피동풀리측으로 만곡한 원호상의 리브(rib)(6e)가 케이스(6)의 둘레벽(6a)내면에 설치되어 피동풀리(14)의 전방부 외주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또 구동벨트(16)의 상하 부분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다.
또, 케이스(6)는 제7도에 명시하는 바와같이 원심 클러치(17)의 부분에서 바깥쪽으로 팽출(膨出)되고, 클러치아우터(17b)의 외측면과 변속기 케이스(6)의 대향벽면(6a)과의 사이에는 외기통로(32)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제3도의 명시와 같이 케이스(6)의 둘레벽(6a)의 후방측벽부에는 내방후벽(6a')이 일체로 형성되고, 케이스(6)의 횡단방향, 즉 미션커버(21)측으로 뻗는 동시에 피동풀리(14)와 원심클러치(17)의 후방부를 따라 원주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뻗어있다. 이 내벽(6a')은 미션커버(21)에서 횡단방향으로 일체로 뻗고, 또 피동풀리(14)의 후방부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뻗는 제1돌기벽(21a)과 서로 접합된다. 또 둘레벽(6a)의 내벽(6a')의 외측후방에는 외방후벽(6a'')이 둘레벽(6a)의 후방측벽부로 부터 뻗어나오는데, 이 외방후벽(6a'')은 제1돌기벽(21a)의 외측에서 미션커버(21)에 일체로 형성되고, 제1돌기벽(21a)을 따라 원주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뻗는 제2돌기벽(21b)과 서로 마주접합된다. 내, 외벽(6a'),(6a")과 제2돌기벽(21a),(21b)와의 사이에는 패킹(25)(제8도)이 설치되어 접합부를 수밀상태로 유지한다. 내벽(6a'), 제1돌기벽(21a)과 외벽(6a"), 제2돌기벽(21b)사이에는 케이스(6)의 횡단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뻗는 외기배출통로(9)가 형성되고, 이 외기배출통로(9)의 상단은 내벽(6a')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연통공(24)을 거쳐 상기 외기통로(32)와 연통된다. 상기의 패킹(25)에 의하여 상기 접합부를 통해 흙탕물등의 외기 배출통로(9)로 이미 침입이 방지된다.
또, 도시예의 대신에 미션커버(21)의 제1돌기벽(21a) 및 둘레벽(6a)의 내후방벽(6a')의 한쪽을 배제하고 다른쪽만을 미션커버(21) 또는 외벽(6a)의 후방측벽부까지 일체로 연장시켜도 된다. 외방후벽(6a')과 제2돌기벽(21b)에 대하여도 동일하게 형성해도 된다.
외기배출통로(19)의 하단에 위치하는 변속기 케이스(6)의 외벽(6a')의 하단부에는 대략 활모양의 단면의 중공체로 구성되는 프로텍터(26)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 프로텍터(26)는 도시예에서는 일단을 상기 접합부와 동일레벨에 위치시키는 동시에 좌우 양단은 외부로 개구되고, 외기배출구(11)의 개구를 형성한다. 외벽(6a")의 상기 하단부에는 하부 연통공(27)이 형성되고, 외기배출통로(9)는 이배출공(27), 프로텍터(26)내부 및 상기 배출구(11)를 통해 외부와 연통된다. 상부 연통공(24)과 하부 연통공(27)은 상기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격리되는 동시에 제3도의 도시와 같이 상대적으로 전자는 차체좌측, 후자는 차체우측에 각각 위치해서 좌우방향으로 격리되어 있고, 이로인해 외기배출통로(9)내에 흙탕물이나 세차시에 물등이 들어가지 않고, 또 만일 들어간다해도 상기 외기배출공(24)은 높은 위치에 있으므로 변속기 케이스(6)내에는 침입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와 같이 외기 배출통로(9)를 둘레벽(6a)과 일체로된 벽(6a'),(6a")과, 미션커버(21)와 일체로된 돌기벽(21a),(21b)을 접착해서 형성했으므로 부품점수가 적고, 제작조립이 용이하고, 코스트가 낮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냉각기구를 구비한 본 발명의 벨트식 동력전달장치의 냉각작용에 대하여 다음에 설명한다. 크랭크샤프트(12)의 회전에 따라 구동풀리 (13)의 구동페이스(13b)가 회전하게 되나, 이 구동페이스(13b)상의 날개(13a)로 구성되는 냉각팬의 작용으로 외기가 먼지, 흙탕물 등이 침입되지 않는 공간(s)으로 개구하는 외기흡입튜우브(10)의 외기흡입구(10a)로부터 외기흡입튜우브(10), 연결파이프(22), 외기흡입공(7),외기 흡입통로(8)를 차례로 통과해서 케이스(6)의 앞쪽내부로 흡입된다. 구동풀리(13)와 구동벨트(16)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은 열전도가 좋은 알루미늄주물등의 제작된 구동풀리(13)의 각 구성부품에 전달되고, 이들부품은 흡입외기와 충분히 접촉해서 열교환하며 냉각된다. 구동페이스(13b)의 날개(13a)로 구성되는 냉각팬은 외기를 흡입하고, 또 후방으로 보내는 동시에 구동페이스(13b)의 전열면적을 크게 하고 냉각 효과를 높이는 작용을 한다. 구동풀리(13)를 냉각해서 온도가 상승된 외기는 외기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용적이 서서히 확산되는 와실(33)을 지나서 속도를 낮추지 않고, 또 유량을 확보하면서 후방으로 이송되어 구동벨트(16)에 접촉해서 이것을 냉각하는 동시에 케이스(6)의 둘레벽(6a) 및 크랭크케이스(20)의 벽에 열을 전달하고, 이에따라 외부로 열이 전달된다. 이때 케이스(6)의 둘레벽(6a)의 내면에 형성된 수열휜(6d)에 의하여 수열면적이 크게 되어 가열외기의 열이 효과적으로 수열되는 동시에 둘레벽(6a)및 크랭크케이스(20)의 외면에 형성된 방열휜(6b),(6c)에 의하여 방열면적이 커져서 대기로의 방열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후방으로 이송된 외기는 피동풀리(14)의 바로 전방의 원호상의 리브(6e)에 의하여 피동풀리(14)의 외주의 대부분의 걸쳐서 분산해서 클러치아우터(17b)상의 팬(17d)측으로 인도되고, 이로인해 구동밸트(16)와 피동풀리(14)는 과열되는 일없이 효율적으로 냉각된다.
클러치 아우터팬(17d)측으로 인도되는 외기는 외부클러치 아우터(17b)상의 팬(17d)에 의하여 클러치아우터(17b)의 외측중심으로 유도되고, 이어서 피동풀리 (14)의 피동페이스(4a)상의 팬(14d)의 흡인력에 의하여 클러치아우터(17b)의 통공(17b')및 클러치판(17a)의 통공(17b')을 지나 원심클러치 및 피동풀리(14)의 내부로 인도된다. 이때, 싱기팬(14d)에 의하여 외기는 효율적으로 방열되고, 또 정류된다. 이와같이 냉각 공기가 이동페이스(14b)에 분출되는 동시에 그 이동페이스 (b)와 피동페이스(14a)의 각 통공(14j),(14i)을 통과한다. 이와같이 냉각공기가 넓은 전열면적을 가지는 피동풀리 각 구성부품과 접촉해서 이들을 냉각하므로 높은 냉각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 설명과 같이 통공(14j),(14i)은 피동풀리(14)의 피치직경이 최소가 되었을 때 서로 대향되기 때문에 이들 통공의 통기저항은 작다.
구체적으로, 피동풀리(14)의 피치직경이 최소일때, 즉 구동륜(3)의 저회전시에 통공(14j),(14i)이 대략 정합되기 때문에 피동페이스(14a)상의 팬의 회전속도가 저하되어 이들 통공을 통과하는 공기 유량의 저하는 작은 한편, 피동풀리(14)의 피치직경이 최대이고 구동바퀴(3)의 고회전시에는 팬의 회전속도가 상승하여 통공(14j),(14i)이 서로 어긋나 있어도 통과공기 유량의 저하가 작다.
상기 클러치 아우터팬(17b)측으로 인도된 외기의 대부분은 클러치아우터 (17b)의 외측면측의 외기통로(32)에 인도되어 케이스(6)의 둘레벽(6a)의 후방부 내벽(6a')의 상방으로 개구한 상부연통공(24)으로 부터 외기배출통로(9)로 흘러, 하부연통공(27)을 통과하여 프로텍터(26)의 좌우양측의 외기배출구(11)로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외기 배출통로(9)가 상부연통공(24)과 하부연통공(27)사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의 먼지, 진흙, 물 등이 케이스(6)내로 침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벨트식 동력 전달장치를 자동변속기에 적용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벨트식 동력전달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20)

  1. 엔진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풀리 및 이 구동풀리에 벨트를 걸어 연결한 피동풀리로 구성되는 벨트 동력전달기구를 케이스에 수납하여 이루어지는 벨트식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그 케이스의 측방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상기 엔진을 격리시키기 위하여 케이스를 밀폐상태로 형성하는 한편, 외기를 도입하는 흡기구수단 및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수단을 상기 케이스에 형성하고, 상기 구동풀리 및 피동풀리의 적어도 한쪽에 그와 일체로 회전하는 동시에 상기 흡기구수단을 통해 외기를 상기 케이스내로 흡입하는 팬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능을 구비한 벨트식 동력 전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수단은 상기 케이스내의 상기 구동풀리근방에서 개구하는 출구단을 가지고 있고, 상기 배기구 수단은 피동풀리 근방에서 개구하는 입구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능을 구비한 벨트식 동력전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대략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동시에, 케이스내의 공기유로의 하류측에 위치하고 케이스의 횡단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뻗은 벽을 가지며, 상기 배기구 수단은 상기벽에 형성되고, 케이스 내부의 상방위치에 개구하는 제1연통공과, 상기벽을 따라 적어도 케이스의 대략 횡단방향과 대략 수직방향으로 뻗는 배출통로와 상기 제1연통공보다 낮은 위치에서 케이스에 형성된 제2연통공과, 대기로 개구된 배출구로 구성되고, 상기 배출통로는 상기 제1연통공 및 상기 제2연통공을 거쳐 케이스 내부 및 상기 배출구와 각각 연통되고, 상기 제1연통공과 제2연통공과는 케이스의 횡단 방향으로 서로 격차를 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능을 구비한 동벨트식 동력전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수단의 상기 배출구는 서로 상기 케이스의 측방향 반대측으로 개구하는 한쌍의 개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능을 구비한 벨트식 동력전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크랭크케이스와 이 크랭크케이스에 인접되는 미션커버를 가지는 엔진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크랭크케이스의 일부와 상기 미션커버의 일부와, 전용의 둘레벽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미션커버의 상기 일부는 그로부터 일체로 뻗어나오는 제1성형부를, 그리고 상기 전용벽부는 그로부터 일체로 뻗어나와, 상기 제1성형부와 접합되는 제2성형부를 각각 소유하고, 상기 배기구수단은 상기 제1 , 제2성형부사이에 형성된 배출통로와, 대기에 개구하는 동시에 상기 배출통로를 통해 케이스 내부와 연통하는 배출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능을 구비한 벨트식 동력전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대략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또한 상기 케이스는 서로 대향되는 제1, 제2측벽과, 케이스내의 공기유로의 하류측 위치에서 상기 제1, 제2측벽사이를 뻗는 내방벽 및 외방벽을 가지며, 상기 배기구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내방벽에 형성되고 케이스 내부로 개구하는 연통공과 상기 내방벽과 상기 외방벽 사이에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연통공을 통해 케이스 내부로 연통하는 배출통로와 대기로 개구하는 동시에 상기 배출통로의 타단과 연통하는 배출구를 가지며, 상기 내방벽과 상기 외방벽은 각각 상기 제1, 제2측벽의 적어도 한쪽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능을 구비한 벨트식 동력전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장치가 미션커버를 가지는 엔진과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1, 제2측벽의 한쪽은 상기 미션커버의 일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능을 구비한 벨트식 동력전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내방벽과 상기 외방벽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1, 제2측벽의 한쪽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제2측벽의 다른쪽으로 뻗은 제1부분과, 상기 다른쪽의 측벽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한쪽의 측벽측으로 뻗어 상기 제1부분과 결합된 제2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능을 구비한 벨트식 동력전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풀리는 서로 동심상으로, 또 대향해서 배치된 상기 구동벨트를 거는 한쌍의 피동페이스부재를 가지며, 상기 한쌍의 피동페이스부재는 각각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능을 구비한 벨트식 동력전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피동페이스부재의 한쪽은 다른쪽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하고, 상기 통공은 상기 한쪽의 피동페이스부재가 상기 다른쪽의 피동페이스부재로부터 최대로 이격되었을때의 상기 벨트의 내주면보다 더 반경방향안쪽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능을 구비한 벨트식 동력전달장치.
  11. 제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풀리는 상기 한쪽의 피동페이스부재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다른쪽의 피동페이스부재에 대한 그 원주방향위상을 변화시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위상변화 수단은 상기 한쪽의 피동페이스부재가 상기 다른쪽이 피동페이스부재에 가장 접근했을 때 상기 한쪽의 피동페이스부재의 각 통공이 상기 다른쪽의 피동페이스부재가 대응하는 통공과 대향하도록 상기 한쪽의 피동페이스부재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능을 구비한 벨트식 동력전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폐쇄공간을 가지는 차체를 구비한 차량에 배치되고, 상기 흡기구수단은 상기 폐쇄공간으로 개구하고, 이 공간내의 외기를 상기 케이스를 취입하는 흡입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능을 구비한 벨트식 동력전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수단은 또한, 상기 케이스의 형성되고 상기 구동풀리근방에서 상기 케이스내로 개구하는 흡입통로와, 상기 흡입구와 상기 흡입통로를 접속하는 튜우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능을 구비한 벨트식 동력전달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차체커버와 이 차체커버상에 배설된 시이트와, 상기 차체커버와 시이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폐쇄공간을 가지는 차량에 배치되고, 상기 흡기구수단은 상기 폐쇄공간으로 개구하여 이 공간내의 외기를 상기 케이스에 취입하는 흡기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능을 구비한 벨트식 동력전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풀리는 제1회전축과, 그 제1회전 축상에 서로 동심상으로, 또 대향해서 배치되어, 상기 구동벨트가 걸리게 되어있고, 상기 제1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상대 이동가능한 한쌍의 구동페이스부재와, 상기 제1회전축의 회전속도의 변화에 따라 상기 한쪽의 구동페이스부재를 상기 다른쪽의 페이스부재에 상대 이동시키는 원심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피동풀리는 제2회전축과, 그 제2회전축상에 서로 동심상으로 또 대향해서 배치되어 상기 벨트가 걸리게 되어있고, 한쪽은 상기 제2회전축에 장착되고, 다른쪽은 상기 한쪽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상대 이동이 가능한 한쌍의 피동페이스부재와 상기 다른쪽의 피동페이스부재를 상기 한쪽의 피동페이스 부재측으로 압압하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능을 구비한 벨트식 동력전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엔진을 탑재하고, 또 적어도 1개의 구동바퀴를 가지는 차량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풀리의 상기 제1회전축은 상기 엔진에 의하여 회전 구동결합되고, 상기 피동풀리의 상기 제2회전축은 상기 차량의 상기 구동바퀴와 구동적으로 연결가능하게 배치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능을 구비한 밸트식 동력전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풀리의 상기 제2회전축상에, 피동풀리의 회전속도에 따라 피동풀리를 상기 차량의 구동바퀴에 구동적으로 연결되는 원심클러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능을 구비한 벨트식 동력전달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풀리의 공기유로의 바로 상류측에 상기 케이스의 내벽면으로부터 뻗어나오는 리브가 설치되고, 그 리브는 피동풀리의 외주의 일부를 따라 연장되고, 또 상기 구동벨트내에 위치하고, 공기를 상기 피동풀리의 외주의 대부분에 걸쳐서 분산시키도록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능을 구비한 벨트식 동력전달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벽면에 다수의 방열휜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능을 구비한 벨트식 동력전달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벽면에는 다수의 방열휜이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내벽면에는 다수의 수열휜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능을 구비한 벨트식 동력전달장치.
KR828205774A 1981-12-23 1982-12-23 냉각장치를 구비한 벨트식 동력 전달장치 KR8900004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U192063?5 1981-12-23
JP1981192063U JPS5896157U (ja) 1981-12-23 1981-12-23 ベルト式動力伝達装置の外気導入式冷却構造
JP56-192063 1981-1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710A KR840002710A (ko) 1984-07-16
KR890000448B1 true KR890000448B1 (ko) 1989-03-17

Family

ID=16285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8205774A KR890000448B1 (ko) 1981-12-23 1982-12-23 냉각장치를 구비한 벨트식 동력 전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896157U (ko)
KR (1) KR8900004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47654B2 (ja) * 2012-06-13 2016-01-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用パワーユニットにおける伝動ケース構造
JP6567980B2 (ja) * 2016-01-25 2019-08-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変速機ケ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4759Y2 (ko) 1987-02-03
JPS5896157U (ja) 1983-06-30
KR840002710A (ko) 198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31928A (en) Belt transmission having air cooling function
US4493677A (en) Belt transmission having circulated air cooling function
US4712629A (en) Engine and drive belt cooling system for an all terrain vehicle
US4632070A (en) Device for cooling engine power unit
JP2000120847A (ja) 車両用パワーユニットの冷却装置
US4671781A (en) Cooling system for a belt type transmission
KR890000448B1 (ko) 냉각장치를 구비한 벨트식 동력 전달장치
EP0604937A1 (en) A shroud for an air-cool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0604936A1 (en) A shroud for forced cooling and noise-absorbing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TWI300818B (ko)
JPS6329149B2 (ko)
JPS6132197Y2 (ko)
JPS61282667A (ja) ベルト伝動装置
JPH0321728B2 (ko)
JPH0143358Y2 (ko)
JPS6229276B2 (ko)
JPS6113093B2 (ko)
JPS6332899Y2 (ko)
JPS6128912Y2 (ko)
JPS61282666A (ja) ベルト伝動装置
JPH0137357Y2 (ko)
JPH0771477A (ja) クラッチ冷却装置
JPS6132196Y2 (ko)
JPS6332898Y2 (ko)
TWI739347B (zh) 機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