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908Y1 - 도로 차선 표시구 - Google Patents

도로 차선 표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908Y1
KR860001908Y1 KR2019840006438U KR840006438U KR860001908Y1 KR 860001908 Y1 KR860001908 Y1 KR 860001908Y1 KR 2019840006438 U KR2019840006438 U KR 2019840006438U KR 840006438 U KR840006438 U KR 840006438U KR 860001908 Y1 KR860001908 Y1 KR 8600019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e
yellow
rubber band
lan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64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1703U (ko
Inventor
조상래
Original Assignee
조상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상래 filed Critical 조상래
Priority to KR20198400064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1908Y1/ko
Publication of KR8600017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7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9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9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5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in the form of three-dimensional bodies, e.g. cones; capable of assuming three-dimensional form, e.g. by inflation or erection to form a geometric body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88Free-standing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도로 차선 표시구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본 고안은 차선도로상에서 일측진행방향의도로면을 공사하거나 기타공사 및 장애물이 있을 경우에 차선변경, 특히 중앙선을 일시적으로 변경시켜 차량의 진행소통이 원활하도록 하는 도로차선 표시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선표시구는 흑색고무제의 원추체의 외주면 상, 중하 부분에 황색 페인트를 W자모양으로 도색한 것이 대부부이었는바, 이는 원추체의 외주면에 도색된 황색 페인트가 외부와의 접촉에 의해 벗겨지는 사태가 빈번하게 발생되었고, 또한 차선표시구인 원추체를 보관할시 여러개를 끼워 적층시키기 때문에 적층되는 원추체의 마찰등에 의하여서도 황색 페인트가 벗겨지게 되며, 특히 사용중에 있어서 진행하는 차량이 원추체에 충격을 가하는 예가 허다하게 발생되는 고로 황색페인트가 쉽게 벗겨지고, 장시간 사용후에는 황색 페인트 자체가 퇴색되는 등의 좋지못한 페단에 의해서 변경차선의 구실을 확실하게 표시할 수 없게되는 결함이 나타나 차량의 충돌사고를 확고하게 예방할 수 없었으며 상기와 같은 차선표시구인 흑색 고무제의 원주체에 황색페인트를 착색시키는 과정에 있어서도 일차적으로 원추체를 압착성형한 다음 이차적으로 황색 페인트를 도장한 후에 삼찾거으로 110∼120℃ 정도의 고온으로 건조 처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제품생산 공정이 매우 번거로운 결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본 고안은 흑색고무제 원추체에 변경차선표시를 확실하게 알려주는 황색 바탕이 입체감으로 표시되게 함과 동시 진행차량에 부딪치거나 보관시 원추체를 여러개 적층시킬 때 생기는 마찰등에도 절대 황색바탕이 벗겨지거나 또는 탈색되는 결함을 제거하여 항상 동일한 색상효과를 가져 줄 수 있도록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통상의 흑색고무제 원추체(1)의 외주면에 황색 고무띠(2)가 약간 삽입될 수 있는 W형 홈을 4층형형성시키고, 상, 하에 돌출테(2'),(2″)를 외부로 돌설한 “W”자 모양의 황색고무띠(2) 내면이 원추체(1)의 주면의 홈에 약간 들어가게 압착성형하여서 된 것으로, 미설명부호 3은 원추체(1) 상단에 천공된 적색전구 설치공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외면상, 하에 돌출테(2'),(2″)가 돌설되게 황색고무제로 압착성형된 “W”형 모양의 황색고무띠(2)를 원추체(1)의 압착금형에 수개 삽입시킨 다음 흑색고무제로 원추체(1)를 압착성형하게 됨으로써, 금형내에 삽입된 황색고무띠(2)가 원추체(1) 외주면에 다층으로 견고하게 부착된 상태로 성형되어지며, 또한 황색고무띠(2)의 내면이 원추체(1) 외주면에 약간 들어가 있는 관계로 그 부착상태는 더욱 확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느 것이다.
이와 같이 원추체(1) 외주면에 황색고무띠(2)를 부착하였음으로서 원추체(1)가 진행차량에 의해 부딪치거나 심한 경우에는 부딪치어 넘어진 원추체(1)를 진행중인 차량의 타이어에 깔렸을 때에도 황색바탕자체가 페인팅된 것이 아니고 황색고무띠(2)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원추체(1)에 표시된 황색색상이 절대 떨어져 지워지는 폐단이 발생되지 않음으로써 원추체(1)로서 변경된 차선표시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잇으며, 원추체(1)에 다층으로 부착된 “W”자 모양의 황색고무띠(2)의 상, 하부분에 돌설된 돌출테(2'),(2″)가 원추체(1)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음으로써 이 돌출테(2'), (2″)에 의하여 황색고무띠(2) 자체가 입체적으로 표시되어져 진행 차량의 운전자가 원추체(1)의 놓인 위치를 신속하게 식별할 수 있어 차선의 변경사항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되어 차선 변경시 일어날 수 있는 각종 충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통상의 흑색고무제 원추체 외주면에 표시되는 황색바탕을 상, 하에 돌출테를 돌설한 황색 고무띠를 약간 매입 부착되게 압착성형하는 간단한 구조로 원추체에 표시된 황색 바탕이 지워지거나 탈색되지 않고 항상 선명한 표시색상을 간직하게 하여 차선이 변경된 것을 진행중인 차량의 운전자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식별하여 차량을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지닌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통상의 흑색고무제 원추체(1)의 외주면에 황색고무띠(2)가 약간 삽입될 수 있는 W형홈을 다층 형성시키고, 상, 하에 돌출테(2'),(2″)를 외부로 돌설한 “W”자 모양의 황색고무띠(2) 내면이 원추체(1) 외주면의 홈에 약간 들어가게 압착성형하여서 된 도로차선 표시구.
KR2019840006438U 1984-07-06 1984-07-06 도로 차선 표시구 KR8600019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6438U KR860001908Y1 (ko) 1984-07-06 1984-07-06 도로 차선 표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6438U KR860001908Y1 (ko) 1984-07-06 1984-07-06 도로 차선 표시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703U KR860001703U (ko) 1986-03-05
KR860001908Y1 true KR860001908Y1 (ko) 1986-08-16

Family

ID=19235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6438U KR860001908Y1 (ko) 1984-07-06 1984-07-06 도로 차선 표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190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703U (ko) 1986-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57444A (en) Portable traffic marker
US5303758A (en) Tire sidewall design patterns
US2333273A (en) Safety marker
US3618556A (en) Traffic cones as safety devices in road traffic
US3707320A (en) Inflatable and collapsible pylon
US3105457A (en) Road line markers
CA2234462A1 (en) An improved tire sidewall
JPH0834213A (ja) 標識を備えた車両用空気タイヤ
CA2156118A1 (en) Traffic Marker
CA2269152A1 (en) High impact logo structure for tire sidewall
US4253415A (en) Portable illuminated traffic light
KR860001908Y1 (ko) 도로 차선 표시구
US20070183140A1 (en) Multi-colored container
GB2156409A (en) Temporary road marker or sign
US5980178A (en) Ornamental bolt and nut
GB2108182A (en) Portable self-righting road- marker
JPS63106109A (ja) 空気入りタイヤ
US20020066507A1 (en) Vehicle tire equipped with temperature indicator
US4630744A (en) Container with registration rib
EP0607001B1 (en) Retro-reflective device
JPS63106107A (ja) 空気入りタイヤ
JPS63106108A (ja) 空気入りタイヤ
US4655356A (en) Tamper indicating package
EP0745538B1 (de) Kunststoff-Fass
JPS63106106A (ja) 空気入り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8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