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757Y1 - 스냅패스너의 소케트 - Google Patents

스냅패스너의 소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757Y1
KR860001757Y1 KR2019840007313U KR840007313U KR860001757Y1 KR 860001757 Y1 KR860001757 Y1 KR 860001757Y1 KR 2019840007313 U KR2019840007313 U KR 2019840007313U KR 840007313 U KR840007313 U KR 840007313U KR 860001757 Y1 KR860001757 Y1 KR 8600017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spring
snap fastener
button
stu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73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1139U (ko
Inventor
요시히꼬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스코오비르 쟈판 가부시기가이샤
콘노 시게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코오비르 쟈판 가부시기가이샤, 콘노 시게루 filed Critical 스코오비르 쟈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8400073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1757Y1/ko
Publication of KR8600011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1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7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7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Landscapes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냅패스너의 소케트
제 1도는 종래의 스냅패스너의 결합부재를 예시하는 단면도.
제 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프링소케트의 단면도.
제 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프링소케트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스프링단추부 13 : 커버
19 : 개구 20 : 평판면부
21 : 연결부
본 고안은 의복용 스냅패스너의 소케트에 관한 것이다.
스냅패스너에는 여러가지 형식의 것이 알려져 있으나, 본 고안은 소위 스프링소케트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제 1도는 종래의 스프링소케트를 포함한 스냅패스너를 표시한 것으로서, 스프링소케트(1), 이것에 결합되는 스터드(2), 이것들을 의복에 고정하기 위한 핀이 붙은 부착부재(3)(4)로 구성되고 있다. 소케트(1)는 중앙을 향해서 돌출하는 분활된 스프링 (5)을 가지고 있으며, 내단이 둥글게 감긴 혀끝 모양을 한 단부(6)로 끝나고 있으며, 스터드(2)의 돌부(7)와 탄발적으로 결합 또는 이탈할 수 있게 되어있다. 소케트(1) 및 스터드(2)에는 안쪽으로 만곡된 받침부(8)(9)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부재를 의복지에 부착하려면, 부착부재(3)(4)의 다리(핀)(10)를 의복지에 꽂고, 이어서 이들 부재의 받침부(8)(9)에 압압해서 다리(10)의 선단을 구부려 붙인다.
스프링소케트(1)와 스터드(2)는 의복에 부착한 상태로 감합했을때 의복기지로부터 측방(제1도에서 좌우 방향)으로의 장력을 받게 된다. 이 때문에 소케트(1)의 스프링편(5)은 장기간의 사용중에 탄력성을 상실하는 일이 적지않다. 또, 이 형식의 스프링소케트의 표면은 만곡부분이 많아서 문자, 상표, 기호 등을 표시할 장소가 없다.
따라서, 본 고안은 스프링을 장수명이 되게 한 스프링소케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부수적인 목적은, 외장, 문자 등이 표시 가능한 표면을 가진 스프링소케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 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금속제 스프링소케트(11)를 표시한다. 본 소케트(11)는 스프링단추부(12) 및 커버(13)로 구성되어 있다. 스프링단추부(12)는 제 1도에 표시한 스프링소케트(1)와 동일한 구조를 하고 있으며, 환형상기부(14)와 이 기부로부터 안쪽 아래 방향으로 만곡되고, 이어서 복수의 분활편의 형태로 안쪽위방향에 뻗은 스프링편(15)과 이들 선단이 대략 원형으로 배열되어 끝이 둥글게 감긴 혀끝 모양을 한 단부(16)를 가지고 있다. 이들 단부(16)는 스터드의 돌기(제 1도의 (7)을 참조)를 탄발적으로 받게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단추부(12)는 다시 환형상기부 (14)로부터 아래 안쪽 방향으로 만곡해서 부착부재의 다리(제 1도의 (10)을 참조)를 받아들이는 환형상개구(17) 및 이 다리를 위한 시이트(18)를 가지고 있다. 커버(13)는 단추부(12)의 단부(16)의 내면이 형성하는 원보다 큰 개구(19)를 가진 판형상부(20) 및 단추부의 주변부를 껴안는 결합부(21)로 구성되어 있다. 개구(19)의 가장자리는 소케트(11)가 스터드와 결합되어서 사용될때, 가해지는 열방향(도면에서 좌우 방향)의 힘이 과도한때에 스터드의 돌기에 접촉해서 스터드의 작용을 제한하고 스프링편(15)이 과도하게 휘어늘어지는(영구변형)것을 방지하는 데에 충분할 정도로 작게하고, 한편, 스프링 편(15)의 작용을 저해하지 않을 정도로 크게 정한다. 이와 같은 최적한 치수 결정은 설계사항이며, 실험에 의해서 용이하게 정할 수 있다.
제 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프링소케트(11')를 표시한 스프링단추부(12)는 제 2도에 표시한 예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커버(13')는 전체적으로 링형상을 하고 있으며, 개구(19'), 평판면부(20') 및 단추부(12)의 주변을 껴안는 연결부(21')로 이루어져 있다. 이 예에서는 개구(19')는 스터드의 돌기를 안내할 수 있게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는 것과, 평면판면(20')을 크게 하기 위해서 연결부와 단추부(12)의 외주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어 있다고 하는 것이다. 기타의 점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이상의 구성이므로, 본 고안의 스프링소케트에 스터드를 결합해서 스냅식으로 결합 이탈시켜 사용할때 스터드의 돌기로부터 소케트의 스프링편(15)에 과도한 힘이 가해질려고 해도, 커버의 개구 가장자리가 이 작용을 제한해서 스프링편을 보호할 수 있다. 또 2차적인 이점으로는, 커버(13)(13')의 표면(20)(20')이 평탄하고 동시에 넓으므로, 여기에 의장 기타의 표식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스냅패스너의 자부(雌部)를 구성하는 소켓트에 있어서, 상기 소켓트(11)는 환형상기부(14)로부터 안쪽아래 방향으로 뻗고, 이어서 거기서부터 분활편의 형태로 안쪽 위방향으로 뻗어서 스냅패스너의 웅부(雄部)스터드와 탄발 결합할 수 있는 원형으로 배치한 단부(16)에 종단되고, 한편 상기 기부(14)로부터 바깥쪽 아래방향으로 만곡하고 이어서 안쪽으로 만곡해서 스냅패스너의 부착부재의 금속제 스프링 단추부(12)와, 상기 단부(16)의 내경 보다 큰 원형개구(19)를 가지며, 이 원형개구(19)는 웅(雄)부재와의 사이에서 상대적 힘이 가해졌을 시에는 가장자리에 접하여 스프링편(15)를 보존하고, 상기 단부(16)쪽에서 상기 환형상기부(14)의 둘레에 고착되어 있는 커버판(13)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커버판(13)은 스프링편(15)을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서 이루어져 있는 스냅패스너의 소켓트.
KR2019840007313U 1984-07-27 1984-07-27 스냅패스너의 소케트 KR8600017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7313U KR860001757Y1 (ko) 1984-07-27 1984-07-27 스냅패스너의 소케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7313U KR860001757Y1 (ko) 1984-07-27 1984-07-27 스냅패스너의 소케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139U KR860001139U (ko) 1986-02-26
KR860001757Y1 true KR860001757Y1 (ko) 1986-08-13

Family

ID=19236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7313U KR860001757Y1 (ko) 1984-07-27 1984-07-27 스냅패스너의 소케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175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139U (ko) 1986-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1401A (en) Socket for snap fastener
US3744104A (en) Non-releasable clasp
US4430777A (en) Socket component for snap fastener
JPS62283211A (ja) ル−フイング用遮蔽材のワツシヤ
WO2016079873A1 (ja) 雌スナップボタン
US2571394A (en) Mounting for fastening members and the like
KR860001757Y1 (ko) 스냅패스너의 소케트
US3159890A (en) Snap fastener
JPH038086Y2 (ko)
EP0169660B1 (en) Button
JP6719580B2 (ja) スナップファスナーの雄部材及びスナップファスナー
US2990595A (en) Snap fastener
KR870001165Y1 (ko) 단추 조립체
US2771653A (en) Snap fastener socket
US2648885A (en) Snap fastener socket assembly
US4288890A (en) Hook for a hook-and-eye fastener
GB2171446A (en) Socket for snap fastener
US3378890A (en) Molding fastener
KR870002831Y1 (ko) 스냅고정구의 소켓측편
US1732203A (en) Separable fastener
JPH0221929Y2 (ko)
JP3143347B2 (ja) スナップボタン
KR880000214Y1 (ko) 스냅 파스너를 의류에 부착하기 위한 캡 아일릿
US2624091A (en) Snap fastener stud installation
JPS6253605A (ja) スナツプ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80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