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723B1 - 크로스 직선 베어링 유닛 - Google Patents

크로스 직선 베어링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723B1
KR860001723B1 KR1019840005498A KR840005498A KR860001723B1 KR 860001723 B1 KR860001723 B1 KR 860001723B1 KR 1019840005498 A KR1019840005498 A KR 1019840005498A KR 840005498 A KR840005498 A KR 840005498A KR 860001723 B1 KR860001723 B1 KR 860001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load ball
guide
bearing unit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5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2660A (ko
Inventor
히로시 데라마찌
Original Assignee
히로시 데라마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시 데라마찌 filed Critical 히로시 데라마찌
Priority to KR1019840005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1723B1/ko
Publication of KR860002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6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크로스 직선 베어링 유닛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크로스 직선 베어링 유닛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단면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 단면 정면도.
제3도는 제1도 A방향의 요부 정면도.
제4도는 제2도 Ⅳ-Ⅳ선 단면 측면도.
제5도는 베어링 본체와 궤도대의 분해 사시도.
제6도는 측개의 사시도. .
제7도는 본 발명에 관한 크로스 직선 베어링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8도는 제7도의 Ⅷ-Ⅷ선 단면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어링 본체 (2) : 잔여부
(10), (11) : 요부 (12)-(15) : 내측벽
(16)-(19) : 부하볼용 안내홈 (20)-(23) : 무부하볼용 안내공
(24)-(27) : 돌조 (28)-(31) : 측개
(32) : 볼안내용 U홈 (40), (40a) : 하측의 궤도대
(41), (41a) : 상측의 궤도대 (42), (43) : 부하볼용 궤도홈
(44) : 부하볼열 (45) : 무부하볼열
본 발명은 보어링반이나 평삭반 등의 컬럼과 크로스 레일의 교차부 또는 일반의 반송 장치의 종축과 횡축의 교차부에 사용되며, 중량물을 지지하여 접동하는 크로스 직선 베어링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베어링 본체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크로스 직선 베어링 유닛 전체의 중량의 경량화를 가능케함과 동시에 관성력을 작게 억제할 수가 있으며, 빠른 움직임에 대하여도 충분히 적용할 수 있게 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여 잔여부를 통하여 서로 직교하는 한쌍의 요부와, 이 요부와 대면하는 돌조의 내측벽에 형성된 부하볼용 안내홈과, 이 부하볼용 안내홈과 평형이며 소요간격을 두고 양돌조에 관통하여서 형성된 무부하볼용 안내공을 갖는 베어링 본체와, 상기 무부하볼용 안내공과 부하볼용 안내공을 연락하는 볼안내용 U홈을 내면에 갖고 베어링 본체의 단부에 장착되는 측개와, 이 베어링본체의 상하요부에 볼을 통하여 접동 자재하게 감합하고 양의 측벽에는 절기 부하볼용 안내홈과 평행하는 부하볼용 궤도홈임 형성된 궤도대로써 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직선 베어링 유닛이 제안되었다.
상기 기술적 수단에 의하여 본 발명의 크로스 직선 베어링 유닛은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가 있으므로, 이 베어링 유닛의 좌, 우, 상, 하 이행에 의하여 발생하는 관성력을 작게할 수가 있다.
또 궤도대는 두께를 얇게함과 동시에 폭을 넓게 하였으므로, 좌, 우, 상, 하의 연삭상의 가공 오차, 즉 축방향의 비틀림 등을 방지할 수가 있으므로 소기의 정도를 충분히 올릴 수가 있다.
또 베어링 본체는 상기 궤도대와 같이 폭이 넓으므로 대형 연삭저석을 사용하여 부하볼용 안내홈을 좌우 동시에 연삭할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이 더욱 향상되어 원가 저감에 기여할 뿐 아니라, 정보틀 용이하게 나타낼 수가 있다.
또 베어링 본체와 궤도대에 관통공과 슬릿으로써 된 공소를 형성하면, 더욱 경량화가 가능하게 되며, 더우기 상기 관통공과 슬릿을 이용하여서 베어링 본체에 장착되는 테이블의 이동을 관측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6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예시번호 1은 약 직방체상의 블록의 상하면에 잔여부(2)를 통하여 서로 직교하는 요부(10)(11)를 갖는 베어링 본체로서, 이 베어링 본체(1)는 강재 또는 동등한 강도를 갖는 복합재료 또는 폰리아세탈 수지 등을 열처리한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료로써 되어 있다. 각 요부(10)(11)의 좌우 내측벽(12)(13)(14)(15)에는 볼의 곡율보다 약간 큰 곡율의 부하볼용 안내홈(16)(17)(18)(19)이 형성되어 있다.
예시 번호 21,21,22,23은 상기 요부(10)(11)와 대면하는 돌조(24)(25)(26)(27)에 관통하여서 형성된 무부하볼용 안내공으로서, 이 무부하볼용 안내공(20)(21)(22)(23)은 상기 부하볼용 안내홈(16)(17)(18)(19)과 평행이며, 소요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예시 번호 28,29,30,31은 금속 또는 비철금속,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 수지, 나이론계수지 등 합성수지재로써 되는 측개로서, 상기 무부하볼용 안내공(20)(21)(22)(23)과 부하볼용 안내홈(16)(17)(18)(19)사이를 연락하도록 그 측개(28)(29)(30)(31)의 내면에는 볼안내용 U홈(32)이 형성됨과 동시에 부하볼용 안내홈에 면하는 측에는 볼을 건지기 위한 설편(3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예시번호 34,35는 측개(28)(29)(30)(31)에 형성된 장착볼트용 관통공으로서 볼트 헤드부를 위하여 파여 있다.
예시 번호 36,37은 베어링 본체의 좌우 돌조(24)(25)(26)(27)측에 형성되는 암나사로서, 이 암나사(36)(37)의 위치는 상기 측개(28)(29)(30(31)의 볼트용 관통공(24)(25)(26)(27)에 대응하면, 조립시에 서로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예시번호 38은 베어링 본체(1)의 좌우돌조(24)(25)(26)(27)에 측개(28)(29)(30)(31)를 장착하는 볼트이다.
예시번호 40,41은 베어링 본체와 같이 강재 또는 동등한 강도를 갖는 복합재료 또는 열처리한 열간소성 플라스틱 재료로써 된 편평하고 폭이 넓은 궤도대로서, 이 궤도대(40)(41)는 상기 베어링 본체(1)의 요부(10)(11)에 볼(41)을 통하여 접동자재하게 장착되며, 그 폭은 요부(10)(11)의 폭과 거의 일치하며, 또 그 두께는 궤도대(40)(41)가 상기 베어링본체(1)의 양돌조(24)(25)(26)(27)보다 약간 외방으로 돌출해 있다.
예시번호 42,43은 궤도대(40)(41)의 외측벽의 좌우에 형성된 부하볼용 궤하홈으로서 이 부하볼용 궤도홈(42)(43)은 상기 베어링 본체(1)의 부하볼용 안내홈(16)(17)(18)(19)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면중 예시번호 44는 베어링 본체(1)의 부하볼용 안내홈(16)(17)(18)(19)과 궤도대(40)(41)의 부하볼용 궤도홈(42)(43)사이에 있는 무수의 볼로써 된 부하볼열, 45는 베어링 블록 본체(1)의 다부볼용 안내공(20)(21)(22)(23)내에 있는 다수의 볼로써 된 무부하볼열(46)(46)‥‥‥ 세트 볼트를 통하여 하측의 궤도대(40)를 베드에 고정하기 위한 관통공, 47은 세트 볼트를 통하여 상측의 궤도대(41)에 테이블 등을 고정하기 위한 관통공이다.
이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베어링 본체(1)에 볼을 통하여 조립한 하측의 궤도대(40)를 공작기계 등의 소요 개소에 세트 볼트를 통하여 고정하고, 상측의 궤도대(41)에는 테이블 등을 고정한다.
볼 나사등과 같은 구동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상기 베어링본체(1)를 제1도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이행시키면 부하볼용 안내홈(18)(19)과 부하볼용 궤도홈(42)(43)사이 및 무부하볼용 안내공(22)(23)내의 볼은 제4도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측개(30)(31)를 통하여 부하볼열(44)로부터 무부하볼열(45)로 또는 그 역방향으로 원활하게 순환이동한다.
다음에 상측의 궤도대(41)에 고정한 테이블을 좌우방향으로 이행시키면 부하볼용 안내홈(16)(17)과 부하볼용 궤도홈(42)(43)사이 및 무부하볼용 안내공(20)(21)내의 볼은 측개(28)(29)를 통하여 부하볼열(44)로부터 무부하볼열(45)로 또는 그 역방향으로 원활하게 순환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크로스 직식 베어링 유닛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제3도에 명시된 바와 같이, 잔여부(2)의 두께(T1)는 요부(10)(11)의 두께(T2) 및 궤도대의 두께(T3)와 거의 같으며, 그 결과 전체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베어링 유닛의 이행에 의하여 발생하는 관성력을 작게 억제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상하 궤도대는 폭넓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 궤도대의 양측연에 다수의 세트볼트용 관통공을 2열 배치로 천설할 수가 있으므로, 하측의 궤도대의 고정과 상측의 궤도대에 테이블 등의 고정이 확실하게 된다.
그리고 도시의 크로스 직선 베어링유닛은 볼탈락 방지를 위한 유지기틀 사용하지 않는 타입에 대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유지기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7도 내지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직선 베어링 유닛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를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은 개소에 대하여는 같은 부호를 붙여서 설명하면, 제7도에 있어서, 50은 베어링 본체(1)의 잔여부(2)의 약 중앙에 형성된 임의 형상의 관통공으로서, 이 관통공(50)의 폭은 베어링 본체(1a)에 조립되는 궤도대(40a)(41a)의 폭과 거의 같다.
예시 번호 51,52는 궤도대(40a)(41a)의 중앙부에 각각 형성된 창, 즉 슬릿으로서, 그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나 그 궤도대(40a)(41a)의 축중심에 평행하여 형성된 장방형 또는 타원형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베어링 본체(1a)에 관통공, 궤도대에 창, 즉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중량경감을 기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직각으로 교차화는 궤도대와 이들 궤도대를 안내 유지하는 베어링 본체에는 상시 공통의 연통공이 형성되므로 예를 들면 하방 또는 상방으로 광원을 둠으로써 2 광으로부터의 광선을 이용하면 방향으로 이동하는 테이블 등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가 있으므로 정밀 이송을 필요로 하는 정밀기기의 이송장치 에 최적합하다.

Claims (5)

  1. 잔여부를 통카여 서로 직교하는 한쌍의 요부와, 이 요부와 대면하는 돌조의 내측벽에 려성된 부하볼용 안내홍과, 이 부하볼용 안내홈과 평행이며 소요 간격을 두고 양 돌조에 판통하여서 철성된 무부하볼용 안내공을 갖는 베어링 본체와, 상기 무부하볼용 안내공과 부하볼용 안내홈을 연락하는 볼안내용 U홈을 내떤에 갖고 베어링 톤체의 단부에 장착되는 측개와, 이 베어링 본체의 상하요부에 볼을 통하여 접동 자재하게 감하할고 양 외측벽에는 상기 부하볼용 안내홈과 죙행하는 부하볼용 궤도홈이 형성된 궤도대로써 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직선 베어링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베어링 본체의 부하볼 안내홈을 돌조의 내축벽에 1조 철성함을 측징으로 하는 크로스 직선 베어링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베어링 본체의 약 중앙에 임의형상의 판통공이 형성되고, 이 임의 형상의 판통공에 열통하는 창이 상하 궤도대에 각각 형성되어 있음을 륵징으로 하는 크로스 직선 베어링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임의 형상의 판통공을 약 방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한 크로스 직선 베어링 유닛.
  5. 제3항에 있어서, 궤도대의 창을 이 궤도대의 축심에 평행의 장방형 또는 타원형운 형성한 크로스 직선 베어링 유닛
KR1019840005498A 1984-09-08 1984-09-08 크로스 직선 베어링 유닛 KR860001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5498A KR860001723B1 (ko) 1984-09-08 1984-09-08 크로스 직선 베어링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5498A KR860001723B1 (ko) 1984-09-08 1984-09-08 크로스 직선 베어링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2660A KR860002660A (ko) 1986-04-28
KR860001723B1 true KR860001723B1 (ko) 1986-10-18

Family

ID=19235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5498A KR860001723B1 (ko) 1984-09-08 1984-09-08 크로스 직선 베어링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17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263B1 (ko) 2015-07-30 2017-10-10 조명호 빗물받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2660A (ko) 1986-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5776A (en) Linear slide bearing
US4616886A (en) Linear slide bearing and linear slide table unit employing the same
KR101149967B1 (ko) 구름 안내 장치
JPS6238562B2 (ko)
KR890000319B1 (ko) 직선접동용 로울러베어링
JPS6211216B2 (ko)
US4988215A (en) Linear guide apparatus using a combination of balls and rollers
JP3547209B2 (ja) 直動転がり案内ユニット
US4598956A (en) Cross-linear slide bearing unit
EP0138360A2 (en) Bearing unit for sliding device
US4932279A (en) Feed screw apparatus
KR870001204B1 (ko) 베어링 유닛
JPH0416296B2 (ko)
EP1338812B1 (en) Linear motion guide unit
US20010017951A1 (en) Curvilinear motion guide units
US6851857B2 (en) Linear motion guide unit
KR860001723B1 (ko) 크로스 직선 베어링 유닛
US6309107B1 (en) Linear motion guide unit
JPH0359284B2 (ko)
KR860001684B1 (ko) 무한직선운동용 굴림대 축받이
JPH03153915A (ja) 直線摺動用ベアリング
KR870000389B1 (ko) 직선 슬라이드 베어링과 직선 슬라이드 테이블 유닛
JPH0514637U (ja) リニアガイド装置のボール転動溝構造
US5324118A (en) Linear motion rolling guide unit
KR910002180B1 (ko) 직선 접동용 로울러 베어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1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