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377B1 - 보행형 예취기 - Google Patents

보행형 예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377B1
KR860001377B1 KR8205279A KR820005279A KR860001377B1 KR 860001377 B1 KR860001377 B1 KR 860001377B1 KR 8205279 A KR8205279 A KR 8205279A KR 820005279 A KR820005279 A KR 820005279A KR 860001377 B1 KR860001377 B1 KR 860001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axle
engine
wheels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5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2198A (ko
Inventor
쇼오다 히야무다
마사가스 다나까
요시가스 도고시
다까유끼 오오노
마사아끼 모리
Original Assignee
미노 시계가스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노 시계가스,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미노 시계가스
Publication of KR840002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0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 A01D34/08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보행형 예취기
도면은 본 발명에 관한 보행형 예취기의 실시예를 예시하며,
제1도는 2륜 주행형태에 있어서의 전체측면도.
제2도는 2륜 주행형태에 있어서의 전체평면도.
제3도는 예취반송부의 확대측면도.
제4도는 예취반송부에의 전동구성을 표시하는 사시도.
제5도는 2륜 주행형태에 있어서의 차륜부착부를 표시하는 횡단 평면도,
제6도는 1륜 주형행태에 있어서의 전체측면도,
제8도는 1륜 주형행태에 있어서의 차륜부착부를 표시하는 횡단 평면도,
제9도는 차륜 부착부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횡단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예취반송부 10 : 예취곡간 횡반송장치
2 : 엔진 39 : 차륜전동 케이스
3 : 조종핸들 40,41 : 차축
4,4' : 차륜 41a : 메인차축
5a,5b : 메인프레임 41b : 연장차축
9 : 예취장치 48 : 축받이 아암
본 발명은 기체앞부분에 예취장치와 예취곡간 횡반송 장치를 갖춘 예취반송부를 설치함과 아울러 기체 뒷부분에는 엔진 및 조종핸들을 배치하고, 전기한 예취반송부와 엔진의 사이에 위치시킨 추진용 차륜으로서, 전진주행하면서 전기한 예취반송부에서 식립곡간을 예취하여 기체의 옆방향바깥쪽으로 방출하여 가도록 구성한 보행형의 예취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예취기에서는 기체의 좌우중앙에 설치한 차륜전동케이스의 좌우와 차축을 돌설하고, 이 양차 축에 각각 차륜을 부착하도록 구성한 2륜 주행식의 것이 알려져 있다. 이 2륜 주행식의 예취기는 경작지의 면이 비교적 편평한 경우에는 좌우의 안정이 좋게 주행될 수 있는 것인바, 요철이 큰 경작지에서는 오히려 좌우차륜의 접지면의 고저차 때문에 기체가 옆방향으로 요동되기 쉽게 되는 불편이 있었다.
또, 이랑에 식재된 작물열에 따라 주행하여서 여러줄의 작물을 수확하는 경우에 한쪽의 바퀴만이 이랑에 타고 올라가는 상태로 되는 일이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는 기체가 옆방향한 쪽으로 경사한 채로 주행하는 것으로 되어서 조종하기 어렵게 됨과 아울러 예취곡간의 작물길이가 균일하지 않게 되는 것이었다.
또한, 경작지등으로 갈때나올때, 경작지등에서 경작지등으로 주행하여 이동할 시에 농로가 좁으면 한쪽의 차륜이 농로에서 벗어나거나, 좌우로 크게 동요되면서 주행하는 것으로 되어 조종함에 있어서 큰 노력이 소요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기체좌우에 차륜을 위치시킨 2륜 주행형태와 기체좌우중앙에 차륜을 위치시킨 1륜 주행형태로 변환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경작지의 조건이나 농로의 상황에 따라 주형형태를 임의로 변경함으로써 안정된 자세로 능률적인 예취주행과 경쾌한 농로 주행을 행할 수 있는 편리한 보행형 예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보행예취기는 좌우 적당한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한 좌우 1쌍의 메인프레임의 뒷부분에 엔진을 연결함과 아울러, 전기한 메인프레임에서 뒷쪽으로 향하여 조종핸들을 연장 돌출시키고, 전기한 메인프레임의 앞부분에는 예취장치와 예취곡간 횡방향 반송장치를 갖춘 예취반송부를 연결하여 전기한 엔진에서 동력을 받는 차륜 전동 케이스를 전기한 엔진과 전기한 예취반송부와의 사이에 있어서 한쪽의 메인프레임에 근접하여 배설하고, 이 차륜전동케이스에는 좌우로 돌출하는 차축을 장비하고, 전기한 양 차축에 각각 차륜을 부착하여 전기한 메인프레임의 바깥쪽에 1쌍의 차륜을 위치시킨 2륜 주행형태와, 전기한 차륜 전동케이스의 기체안쪽으로 돌출된 한쪽의 차축에만 차륜을 부착하여 전기한 양 메인프레임의 사이에 1개의 차륜을 위치시킨 1륜 주행형태로 변환사용 가능하게 구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요철이 적은 대략편평한 경작지에서는 2륜 주행형태로 하는 것에 의하여 좌우 2지점 접지상태로서 안정되게 기체를 접지 지지할 수 있으므로 고속주행도 가능하게 되며, 고속으로서 능률적으로 예취주행을 행할 수가 있다.
정비된 넓은 농로에서도 2륜 주행형태로서 주행하는 것에 의하여 경작지에의 왕래나 경작지에서 경작지로의 이동을 안정성있고, 경쾌하게 신속히 행할 수 있다.
또, 요철이 많은 경작지에서의 예취나 이랑에 식재된 농작물을 예취할때에는 1륜 주행형태로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경작지면의 좌.우 고저차의 영향을 받지 않고 추진할 수 있으며, 2륜 주행형태보다도 기체의 좌우요동이 적어서 오히려 안정성있게 주행할 수가 있다.
또, 차륜이 크게 아래로 가라앉게 되는 연약한 경작지에서는 1륜 주행형태로 하여 차륜을 예취된 포기열의 위를 통과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차륜이 아래로 가라앉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확실하게 주행시킬 수도 있다.
또, 좁은 농토 사이의 길을 주행하는 경우에는 1륜 주행형태로 하는 것에 의하여 차륜을 농로에서 벗어나는 일없이 안전하게 주행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넓은 농로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의 손으로서 운반하지 않으면 안되어 예취수확기를 도입하지 못하였던 경작지에도 좁은 농로에 자체주행시켜서 용이하게 진입시킬 수가 있어서, 종래의 수동으로 예취하는 것만에 의하여 수확하고 있었던 경작지에서도 능률적인 기계예취수확이 행하여지도록 되어 예취수확작업의 기계화를 추진함이 유효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이 예취기는 기체앞부분에 4열의 곡간도입경로(ㄴ)…를 보유하는 예취반송부(1)와, 기체뒷부분에 엔진(2) 및 조종핸들(3)을 각각 배치함과 아울러 기체 전후중간에 추진용 차륜(4)을 배치한 기본구성으로 되어 있다.
기체 전후 중간부에는 둥근 파이프로 이루어진 좌우 1쌍의 메인프레임(5a) (5b)이 좌우 적당한 간격을 두어 배비되고, 양 메인프레임(5a),(5b)의 앞부분에 전기한 예취반송부(1)가 연결됨과 아울러 한쪽의 메인프레임(5b)의 뒷쪽끝에 엔진(2)이 연결되며, 이 엔진(2)의 옆쪽에 직결한 밋숀 케이스(6)가 다른 쪽의 메인프레임(5a)의 뒷쪽끝에 연결되므로써 좌우 메인프레임(5a),(5b)의 사이에 큰 상·하 관통공간을 보유하는 기체프레임 구조로 되어 있다.
전기한 예취반송부(1)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전기한 메인프레임(5a),(5b) 및 여기에서 연장돌출된 스템(7)에 의하여 지지된 옆으로 긴프레임(8)의 앞면에 따라서 바리칸형의 예취장치(9)가 설치됨과 아울러 이 옆으로 긴 프레임(8)의 윗쪽에는 체인(10a),(10a)에 반송돌기(10b),(10b)를 설치한 2조(組)의 횡반송장치(10),(10)가 상하 2단으로 배설되어서 예취된 곡간을 입설한 반송안내 커버(11)에 따라 우측옆방향으로 반송하여 기계외부로 방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기한 양쪽체인(10a),(10a)의 구동 스프로켓(12),(12)은 동일한 구동축(13)에 부착됨과 아울러 이 구동축(13)은 좌측 메인프레임(5a)의 앞쪽끝에 연결한 베벨기어 전동케이스(14)의 출력축(15)에 체인(16)을 개재하여 연동 연결되어 있다.
또, 각체인(10a),(10a)의 종단 스프로켓(17),(18)은 각각 독립적으로 위치 이동하여 텐션조절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전기한 좌측 메인프레임(5a)은 예취반송부(1)에의 전동 케이스에 겸용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밋숀 케이스(6)내의 기어전동 기구에 연동 연결된 전동축(19)이 삽통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동축(19)에 의하여 공급된 동력이 전기한 베벨기어 전동 케이스(14)내에 있어서, 교합식 클러치(20) 및 베벨기어 전동기구(21)를 개재하여 전기한 세로방향 출력축(15)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전기한 출력축(15)의 아래쪽끝에는 예취장치(9)를 좌우왕복구동하기 위한 크랭크아암(22)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전기한 클러치(20)는 조종핸들(3)의 좌측손잡이(3a)의 아래쪽에 설치한 예취용 클러치레버(23)에 와이어가 연계되어 있다.
전기한 옆으로 긴 프레임(8)에는 좌우 적당한 간격을 두어 5개의 아암(24)…이 앞쪽으로 향하여 한쪽으로 지지된 상태로 연신돌출되어서 이들 아암(24)…의 사이에 전기한 곡간도입경로(L)…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장 좌측의 아암(24')이외의 4개의 아암(24)…은 그 중간에서 윗쪽으로 굴곡되고, 이 윗쪽굴곡부분(24a)…에 부착된 브라켓트(25)…에 플라스틱으로서 성형한 스타휘일 형상의 회전 팩커(26)…가 고정지지축(27)을 개재하여 유전자재하게 지지보전되어 있다.
그리고, 이 팩커(26)는 약간 경사된 자세로서 회전하도록 지축(27)이 경사설치됨과 아울러 각 팩커(26)의 회전궤적과 상단의 횡반송장치(10)의 반송돌기(10b)의 옆쪽 이동궤적이 간섭하도록 구성되므로써 이 반송돌기(10b)군으로서 팩커(26)의 조(爪)(26a)를 순차적으로 계지하는 것에 의하여 이 팩커(26)를 연속적으로 회전구동하며, 도입경로(L)로 인도한 식립 곡간을 팩커(26)…로서 긁어올리도록 뒷쪽으로 잡아당겨 넣어서 그 아래쪽을 예취장치(9)로서 절단하여 계속하여서 팩커(26)…와 상하반송장치(10),(10)에서 예취된 곡간을 옆쪽으로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또, 각 아암(24)…의 앞쪽의 연신돌출된 끝부분과 팩커(26)…의 윗부분에 걸쳐서 앞쪽이 가늘게 된 형상의 분초판(28)…이 앞쪽으로 처져있는 경사자세로서 부착되어 식립곡간을 이들 분초판(28)…으로서 원활하게 분초하여 도입경로(L)…에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각 팩커(26)…의 아래쪽에는 예취곡간을 반송안내 커버(11) 앞면에 밀어붙이는 스프링선(29)…이 상하 2단으로 배설되어 있다.
또, 좌우중앙의 아암(24)의 앞쪽의 연신 돌출된 끝부분에는 둥근파이프제의 썰매체(30)가 상하요동 자재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썰매체(30)에서 윗쪽으로 연장설치된 연결판(31)과 아암(24)쪽에 설치한 부착용금속구(32)와의 볼트 연결위치를 상하로 변경하여 예취반송부(1)의 지상높이를 임의로 조절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기한 엔진(2)은 횡축형의 공냉식 개솔린 엔진이 채용되고, 그 바른편 바깥쪽에 엔진 시동용 로프를 감는 스타아터 풀리(33)가 설치되어 출력축인 좌측바깥쪽에 전기한 밋숀케이스(6)가 연결되어 있다.
또, 이 엔진(2)의 윗부분에는 연료탱크(34), 뒷부분에는 에어클리너(35), 좌측에는 소음기(36)가 각각 배설되고, 이 엔진(2)의 악셀레버(37)가 전기한 조종핸들(3)의 좌측 손잡이(3a)의 근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기한 조종핸들(3)은 메인프레임(5a),(5b)의 앞부분에서 뒷쪽으로 연신돌출됨과 아울러 그 중간스템(38)이 엔진(2)상부에 지지되어 있다.
전기한 밋숀케이스(6)와 좌측 메인프레임(5a)와의 연결부분에서 아래쪽의 밋숀케이스 좌측면에는 차륜전동케이스(39)가 연결되어서 밋숀 케이스(6)으로 부터의 출력이 케이스 내장의 체인 전동기구를 개재하여 전동케이스(39)의 앞쪽끝좌우에 돌설한 차축(40),(41)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즉, 엔진출력은 밋숀 케이스(6)내에서 2계통으로 분기되어 한쪽의 전동계가 좌측메인프레임(5a)을 개재하여 예취반송부(1)를 구동하는 전동계로, 다른 쪽의 전동계는 주행전동계로 되어 있다.
그리고, 양 전동계의 윗부분에서 동력 단절과 접속을 행하는 메인 클러치레버(42)가 전기한 조종핸들(3)의 우측손잡이(3b)의 근처에 설치됨과 아울러 주행전동 계만을 정·역전(正·逆轉)으로 변환하여서 전후진의 변환을 행하는 변속레버(43)가 밋숀 케이스(6)의 뒷쪽에 설치되어 있다.
전기한 차륜전동케이스(39)는 좌측메인프레임(5a)의 하부에 있어서 밋숀 케이스(6)의 주행계의 출력축심(p)을 중심으로 상하로 요동자재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전동 케이스(39)에서 한쪽으로 연신돌출된 원호장공(44)이 부설된 지지아암(45)을 메인프레임(5a)에 볼트(46)로서 조여부착하여 고정하여서 임의의 요동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전기한 차륜전동 케이스(39)의 앞쪽끝 좌우로 돌설된 차축(40),(41)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기체내부(도면상에서는 우측 방향)에 돌출한 차축(41)은 전동케이스(39)에 지지 보전된 메인차축(41a)과 그 앞쪽끝에 중계통축(中繼筒軸)(47)을 개재하여 핀으로 연결한 연장차축(41b)으로부터 구성되며, 구체적으로는 좌측차축(40)과 전기한 메인차축(41a)과는 일체로된 축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기한 중계통축(47)이 우측 메인프레임(5b)에 부착된 축받이아암(48)의 아래쪽끝에 축받이(49)를 개재하여 유전자재 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이 축받이아암(48)은 장공(50)과 볼트(51)를 개재하여 메인프레임(5b)에 대한 부착되어질 부분 높이를 이를 변경조절자재하게 장착되어 있어서 전기한 차륜 전동케이스(39)의 요동조절에 따라 축받이(49)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차축(40)과 우측차축(41)의 연장차축(41b)에 1쌍의 고무타이어 차륜(4),(4')이 각각 핀으로 연결됨으로써 좌·우의 메인프레임(5a),(5b)의 바깥쪽에 1쌍의 차륜(4),(4')를 위치시킬 2륜 주행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 예취수확기는 상기와 같은 2륜 주행형태를 주(主)된 주행형태로 하고 있는바, 제6도 내지 제8도의 표시하는 바와 같이 좌측차축(40)의 차륜(4)를 제거함과 아울러 연장차축(41b)을 제거하여 우측차륜(41)의 메인차축(41a)에 만 차륜(4)를 핀으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좌우 프레임(5a),(5b)의 사이에 1개의 차륜(4')을 설치한 1륜 주행형태로 변환할 수가 있다.
또한, 이 1륜 주행형태에서 사용하는 차륜(4)를 2륜 주행형태에서 사용한 차륜(4)보다도 폭이 넓은 타이어의 것을 사용하면 안전성이 좋게 주행할 수 있어서 좋다.
본 발명에 의한 예취수확기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 것이므로 경작지의 조건상황, 농로의 상황에 따라 상기한 2륜 주행형태 또는 1륜 주행형태를 임의로 선택하여 능률적인 예취주행 및 농로주행을 행할 수 있도록 고려되어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우측차축(41)을 메인차축(41a)과 해탈가능한 연장차축(41b)에 의한 2축구성으로 하고 있으나, 간단하게로는 제9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차축(41)을 우측메인프레임(5b)보다도 바깥쪽까지 돌출하여 그 중간을 축받이아암(48)으로서 지지하도록 하여서 실시할 수도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좌우 적당한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한 좌우 1쌍의 메인프레임(5a),(5b)의 뒷부분에 엔진(2)을 연결함과 아울러 전기한 메인프레임(5a),(5b)에서 뒷쪽으로 향하여 조종핸들(3)을 연신돌출하고, 전기한 메인프레임(5a),(5b)의 앞부분에는 예취장치(9)와 예취곡간 횡반송장치(10)를 갖춘 예취반송부(1)를 연결하여 전기한 엔진(2)에서 동력을 받는 차륜 전동 케이스(39)를 전기한 엔진(2)과 전기한 예취반송부(1)와의 사이에 있어서, 한쪽의 메인프레임(5a)에 근접하여 배설하고, 이 차륜 전동케이스(39)에는 좌우로 돌출하는 차축(40),(41)을 장비하고, 전기한 양차축(40),(41)에 각각 차륜(4),(4')을 부착하여 전기한 메인프레임(5a),(5b)이 바깥쪽에 1쌍의 차륜(4),(4')을 위치시킨 2륜 주행형태와, 전기한 차륜전동케이스(39)의 기체안쪽으로 돌출된 한쪽의 차축(41)에만 차륜(4)을 부착하여 전기한 차양메인프레임(5a),(5b)의 사이에 1개의 차륜(4)을 위치시킨 1륜 주행형태로 변환하여 사용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형예취기.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차륜 전동케이스(39)의 기체안쪽으로 돌출하는 한쪽의 차축(41)은 전기한 차축전동 케이스(39)에 지지보전한 메인차축(41a)과, 이 메인차축(41a)에 착탈자재한 연장차축(41b)로 부터 이루어지며, 전기한 2륜 주행형태에 있어서는 전기한 연장차축(41b)부분에 한쪽의 차륜(4)를 부착하고, 전기한 1륜 주행형태에서는 전기한 연장차축(41b)를 제거한 메인차축(41a)부분에 차륜(4)을 부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형 예취기.
  3. 제1항에 있어서, 한쪽의 메인프레임(5a)에 근접배치한 전기한 차륜전동 케이스(39)에서 기체안쪽으로 돌출한 한쪽의 차축(41)을 다른쪽의 메인프레임(5b)에 장비한 축받이 아암(48)으로서 지지보전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형예취기.
  4.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차륜전동 케이스(39)를 전기한 엔진(2)의 옆쪽한쪽부분에서 앞쪽으로 연신돌출시킴과 아울러 엔진(2)쪽의 부착근 기부의 끝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요동조절 및 고정자재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형 예취기.
KR8205279A 1982-07-13 1982-11-23 보행형 예취기 KR8600013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121562 1982-07-13
JP???57-?121562 1982-07-13
JP12156282A JPS5914717A (ja) 1982-07-13 1982-07-13 歩行型刈取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198A KR840002198A (ko) 1984-06-25
KR860001377B1 true KR860001377B1 (ko) 1986-09-22

Family

ID=14814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5279A KR860001377B1 (ko) 1982-07-13 1982-11-23 보행형 예취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S5914717A (ko)
KR (1) KR860001377B1 (ko)
GB (1) GB2123666A (ko)
PH (1) PH2133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9115A (en) * 1985-08-09 1988-10-18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Exposure control device for a camera
JPH0473628A (ja) * 1990-07-13 1992-03-09 Toshiba Corp 自動焦点合わせ装置
KR20020016606A (ko) * 2001-12-28 2002-03-04 고성광 석재의 착색방법
JP4597763B2 (ja) * 2005-05-10 2010-12-15 ヤンマー株式会社 歩行型作業機
KR100769401B1 (ko) * 2005-07-12 2007-10-22 주식회사 아세아텍 관리기용 연장차축
CN114503828A (zh) * 2022-01-12 2022-05-17 益阳创辉农业机械装备有限公司 一种多用途青饲料收获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540204A (ko) * 1954-07-29
GB872467A (en) * 1957-03-07 1961-07-12 William Thomas Teagl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otor-driven scythes
JPS5924028B2 (ja) * 1977-09-19 1984-06-06 株式会社クボタ 歩行型移動農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21339A (en) 1987-10-13
JPS5914717A (ja) 1984-01-25
JPH0149442B2 (ko) 1989-10-24
KR840002198A (ko) 1984-06-25
GB2123666A (en) 1984-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02051A (en) Independently operable dual drive wheel riding power mower
ES2704070T3 (es) Equipo de transporte que puede montarse en el lado frontal de una máquina de trabajo guiada manualmente con manceras y que presenta un eje de avance accionado, equipo de transporte que puede conectarse con accionamiento con la máquina de trabajo
KR860001377B1 (ko) 보행형 예취기
US6854255B1 (en) Berry harvester
US5560188A (en) Lawn tractor having a blower unit and a grass clippings transport duct
US8166735B1 (en) Pull type gang mower
US2388454A (en) Harvester
KR20160004308U (ko) 제초기 및 관리기가 결합과 분리가 가능한 무한궤도 운반기
KR860001376B1 (ko) 보행형 예취기
US3672140A (en) Cranberry harvesting apparatus
US2978857A (en) Lawn mower and propelling vehicle
US2818929A (en) Three-wheeled vehicle having a high arched front frame
US2508605A (en) Corn detasseling machine
JPS611581A (ja) 履帯車輛の施回装置
US3146832A (en) Plant thinner
KR870000843Y1 (ko) 보행형 예취기
JPH0137384Y2 (ko)
JPS645847B2 (ko)
JP2681052B2 (ja) 農作物用収穫機
CN210641425U (zh) 单行切茎大蒜收获机
FI74190B (fi) Kombination av en traktor och en slaotteranordning.
JP3052417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部
CN2246365Y (zh) 农田作业多用机
JP3408511B2 (ja) 収穫機
JPH0748029Y2 (ja) 茶葉全面摘採機における茶葉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