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019B1 - 모기향 착화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기향 착화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019B1
KR860001019B1 KR1019840004975A KR840004975A KR860001019B1 KR 860001019 B1 KR860001019 B1 KR 860001019B1 KR 1019840004975 A KR1019840004975 A KR 1019840004975A KR 840004975 A KR840004975 A KR 840004975A KR 860001019 B1 KR860001019 B1 KR 860001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nitrate
weight
mosquito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4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1526A (ko
Inventor
김재철
Original Assignee
태평양제약 주식회사
조권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평양제약 주식회사, 조권순 filed Critical 태평양제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40004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1019B1/ko
Publication of KR860001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0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기향 착화제 조성물
본 발명은 모기향의 착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착화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자면 기존의 모기향의 선단부를 비롯하여 일정 위치에 함침 시키기 위한 착화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컨대 코일형 모기향의 대표적인 대략조성비(중량비)는, 목분 계통의 모기향 파우더 96-98%, 살충 주성분인 알레스린 또는 피나민포르테 0.5%내외, 기타 착색제, 방부제 결합제, 등 1.5-3.5%로 구성되며, 통상 5-10%의 수분을 함유한다. 모기향 코일의 대부분은 모기향 파우더로 구성되는데, 이 파우더는 다른 성분 및 상당량의 수분과 혼합된 반죽 상태에서 모기향 타향기(성형기)에 의하여 상당한 압력으로 압축성형되고, 40-50℃에서 8시간 이상의 건조에 의하여 소정의 경도를 보유하게 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코일형, 봉형 및 캔형(can-yped) 모기향은 성냥이나 라이터로 불을 붙일 경우, 그 착화가 쉽게 이루어질 수 없는 경우가 많아 착화 소요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일단 착화가 된 상태에서도 모기향의 지속적인 연소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착화되었던 불이 꺼지는 일을 많이 경험하게 된다. 더우기, 모기향의 사용시기인 하절기에는 공기 중의 습도가 높아 모기향의 흡습 성질때문에 착화가 더욱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그리하여, 종전에도 이러한 불편을 극복하기 위한 여러가지 제안들이 제시된 바 있다. 예컨대, 코일형 모기향의 착화부에 착화성이 좋은 물질을 부착하거나 침투시킨 모기향(일본국 공개 실용 신안 공고(소)47-16980호, (소) 49-53082호. (소) 50-64669호와 (소) 51-23573호, (소) 55-71101호 및 일본국 공개 특허 공고 (소) 53-13654호)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들은 발화제로서 파라핀이나 황, 또는 테레핀유 등을 사용한다는 기재가 있는 출원 외에는, 그 발화제의 성분에 관하여 어떠한 예시도 하고 있지 않다. 파라핀은 양초 제조에 이용되는 저융점(융점 : 51-55℃) 화합물로서, 상기 관련 선행 기술에서는 낮은 온도에서의 착화성을 이용하는 것이고, 황을 사용하는 것은 착화시의 화염과 발열에 의해 모기향의 착화성을 조장시킨다는 시도에 의한 것이다. 또한, 테레핀유(A 또는 B)를 사용하는 것도 이들이 파라핀과 마찬가지로 저온에서 발화될 수 있다는 성질을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들 선행 기술에 의한 모기향들은 그 착화부에 저온 착화 물질을 부착하거나 침투시킴으로써 모기향의 용이한 착화를 도모한다는 착상을 나타내고는 있으나, 그 착화 물질로 사용되는 파라핀이나 테레핀유 등이 기온의 증가에 따라 녹아서 흘러내리는 등의 결점을 안고 있기 때문에 모기향의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떨어뜨리고 있어 사실상 시판되지 못하는 실정에 놓여 있다. 더구나, 전술한 선행 기술들의 대부분은 그 착화 물질로서 어떠한 물질 또는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는가에 관하여는 전혀 언급한 바가 없다. 더우기 황을 착화제로 사용하는 경우에서와 같이, 선행기술에서는 때로는 급격한 산화에 의한 폭발로 착화시 불똥이 튀기는 등의 위험성을 전혀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자는 전술한 선행기술에서 불안정한 착화 물질의 사용으로 인하여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주변의 조건, 즉 기온 및 습도등의 변화에도 안정하며 착화가 균일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모기향용 착화 물질을 찾아내기 위하여 장기간 예의 연구 검토한 결과 본 발명의 모기향 착화제 조성물에 도달할 수 있었다. 즉 발명자는 적절한 산소 공급제와 산화제를 적절한 비율로 혼합한 것을 적당한 용매에 용해하여 얻는 조성물을 모기향의 착화부를 비롯한 요소요소에 도포 또는 침투시킴으로써, 선행 기술에서 발견되는 불확실한 착화 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착화제의 물성 변화로 인한 상품오염 등의 제반 결점을 완전히 해소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취급이 용이하고 주변 환경 변화에 안정하며 모기향 기재와의 친화성이 양호한 새로운 모기향 착화제 조성물을 제시하고자 함에 그 주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산소 공급제로서 알칼리 금속 질산염, 알칼리토 금속 질산염, 암모니아 질산염 또는 요소질산염과, 산화제로서 알칼리 금속 염소산염 또는 과염소산염, 또는 암모니아 과염소산염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적절한 용매에 용해시킨 것이 특징인 본 발명의 모기향 착화제 조성물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산소 공급제로서는, 질산리튬(LiNO3), 질산나트륨(NaNO3), 질산칼륨(KNO) 등의 알칼리 금속 질산염과, 질산베릴륨[Be(NO3)2], 질산마그네슘[Mg (NO3)2], 질산칼슘[Ca(NO3)2], 질산스트론튬[Sr(NO3)2], 질산바륨[Ba(NO3)2]등의 알칼리로 금속질산염과, 질산암모늄(NH4NO3)등의 암모니아 질산염, 그리고 질산요소[CO(NH2)2NHO3] 등의 요소 질산염이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실시의 결과 질산칼륨/질산나트륨/질산암모늄/질산칼슘, 질산칼륨/질산나트륨/질산암모늄/질산마그네슘 또는 질산나트륨/질산칼슘/질산요소의 혼용이 바람직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유용한 산화제로서는, 염소산칼륨(KClO3), 염소산나트륨(NaClO3) 등의 알칼리 금속염소산염과, 과염소산리튬(LiClO4), 과염소산칼슘(KClO4), 과염소산나트륨(NaClO4) 등의 알칼리 금속 과염소산염 및 과염소산암모늄(NH4ClO4)등의 암모니아 과염소산염 등이 있는데, 이 중 염소산나트륨/과염소산나트륨, 염소산나트륨/과염소산암모늄 또는 과염소산나트륨/과염소산암모늄의 혼용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전술한 산소 공급제 및 산화제는 점화약 및 화약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는 것들이지만, 이들을 적절한 용매에 용해시켜 모기향에 적용한 예는 아직까지 제안된 바 없다.
용매로서는 전술한 산소 공급제 및 산화제의 용해도를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물 또는 공업용 메탄올을 사용한다. 이들 용매에 대한 산소 공급제와 산화제의 용해도는 다음의 표 1 및 2에 각각 간략히 나타나있다.
[표 1]
산소 공급제의 용해도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20℃ 용매 각 100㎖ 기준.
[표 2]
산화제의 용해도
Figure kpo00003
*20℃ 용매 각 100㎖ 기준.
본 발명에 의한 모기향 착화제 조성물에 있어서, 산소공급제의 작용에 모기향 연소시 산소 공급이 어려운 코일형, 봉형 또는 캔형 모기향의 내부 및 표면에서 분자 상태의 산소를 방출시킴으로써 모기향의 균일한 연소 반응의 촉진 및 발화력을 증강시키는 것이다. 위의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물을 용매로 사용하는 경우, 용해도가 큰 질산리튬, 질산나트륨, 질산베릴륨, 질산마그네슘, 질산암모늄, 질산요소 등을 단독 사용할 수도 있으나,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급적 세 가지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산소 공급량면에서 유리하다. 유사한 이유로, 메탄올을 용매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질산리튬, 질산베릴륨, 질산마그네슘, 질산요소, 질산칼슘 등을 두 가지 이상 혼합하여 사용한다.
산화제의 작용은 산소 공급제에 의하여 촉진된 연소반응(산화 반응)을 더욱 급격히 촉진시킴으로써 연소 불꽃의 증강 및 불꽃의 전개를 빠르게 하는 이중 효과를 가져오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위의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물을 용매로 사용하는 경우, 용해도가 큰 과염소산암모늄, 과염소산나트륨 등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가급적 두 가지 이상의 혼합 사용이 바람직하다. 메탄올을 용매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과염소산리튬 및 과염소산암모늄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표 1및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메탄올을 용매로 사용하는 경우, 용액의 모기향 침투 및 용매의 증발건조가 물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더 용이한 장점은 있으나, 가격면에서 불리할 뿐만 아니라, 이용 가능한 산화제 및 산소 공급제의 선택여지가 한정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화제 조성물의 조성비(중량비)는 용매 20-30부에 대하여 산화제 1-50부, 산소 공급제 10-60부이다. 바람직한 조성비는 용매 20-30부에 대하여 산화제 5-20부, 산소 공급제 20-40부이며, 가장 바람직한 조성비는 용매 30부, 산화제 10-15부 및 산소 공급제 30-35부이다.
본 발명의 착화제를 모기향에 적용시키고자 할 때 그 착화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는, 산화제와 산소 공급제의 혼합비, 산화제 및 산소 공급제의 용매 중의 농도, 모기향의 단위 면적에 침투되는 착화제 조성물 용액의 양등을 들 수 있다. 산화제와 산소 공급제의 혼합비(중량비)는 산화제 1부에 대하여 산소 공급제 2-4부로 할 때 가장 바람직한 착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산화제 및 산소 공급제의 전체 농도는 용매20-30 중량부에 대하여 10-110 중량부의 범위로 되도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보다 농도가 증가되면 그 착화력은 증강되지만, 용액의 점도가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되므로, 용액의 모기향에의 침투가 어렵게된다. 반대로, 그 범위 이하의 농도에서는 용액의 모기향 침투는 용이하나, 착화력이 감소되기 쉬워 그 착화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바람직한 농도는 용매 20-30 중량부에 대하여 40중량부 내외이다. 또한, 모기향의 단위 면적당 용액의 침투량이 증가할 수록 월등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그 침투 정도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용액의 분사량을 적절히 조절하여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성된 본 발명의 조성물을 모기향에 적용시키는 가공법에는 다음의 두 가지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첫째, 모기향의 타향(성형) 직후 모기향의 선단부 및 특정 부위의 표면에 상기 조성물 용액 일정량을 분사하여 침투시킨 다음, 모기향 전체를 건조시켜 용매를 증발제거함으로써, 침투 부위의 표면 및 내부에 착화 유도 성분인 산화제와 산소 공급제가 흡착된 상태로 남아 있게 하는 방법,
둘째, 미리 완전 건조시킨 모기향에 상기 조성물 용액을 분사한 다음 이들 건조가공하는 방법,
위의 두 가지 방법 중 첫째 방법의 경우, 모기향 성형 직후에는 다량의 수분이 모기향 기재 파우더에 함유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건조된 모기향에 비하여 용액의 침투가 어려운 단점이 있으나, 모기향을 두 번 건조시킬 필요가 없고, 가공 공정의 기계화가 비교적 용이한 장점이 있다. 반면에, 둘째 방법의 경우 용액의 침투는 쉽고 빠르지만, 모기향 성형 직후 수분을 건조시킨 다음, 건조된 모기향에 다시 용액을 분사하여 재건조 공정을 거쳐야 하는 제조 공정상의 번거로움이 뒤따르게 되고, 대량 생산에 필요한 가공 공정의 기계화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대량 생산의 경우에는 전자의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특정의 산화제와 산소 공급제의 상승 작용에 의하여 모기향을 안전하고 균일하게 착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모기향 착화제 조성물이라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를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정신 및 그 보호 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숙련자에 의하여 적절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이해하여야 한다.
[비교예 1]
질산칼륨 5중량부, 질산나트륨 10중량부, 질산암모늄 10중량부 및 질산마그네슘 5중량부(이상, 산소공급제)와 염소산나트륨 2중량부 및 과염소산나트륨 3중량부(이상, 산화제)를 물 20중량부에 용해시고, 이 용액을 성형직후의 코일형 모기향(시판품 ABC 모기향, 태평양제약주식회사 제품)의 선단부의 길이 2cm의 부위에 분무하여 50℃에서 8시간 건조시켰다,
[비교예 2]
다음의 성분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의 방법을 반복실시하였다.
물 20 중량부
질산나트륨 5중량부
질산칼슘 5 〃
질산요소 5 〃
과염소산나트륨 5 〃
염소산나트륨 5 〃
[비교예 3]
다음의 성분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의 방법을 반복 실시하였다.
물 20중량부
질산암모늄 35 〃
염소산칼륨 1 〃
과염소산암모늄 5 〃
과염소산나트륨 4 〃
[실시예 1]
질산칼륨 5중량부, 질산나트륨 10중량부, 질산 암모늄 10중량부 및 질산마그네슘 5중량부(이상, 산소 공급제)와 염소산나트륨 10중량부 및 과염소산나트륨 5중량부(이상, 산화제)를 물 20중량부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비교예 1에서와 같이 성형 직후의 모기향에 분무하고, 50℃에서 8시간 건조시켰다.
[실시예 2]
다음의 성분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을 반복 실시하였다.
물 20중량부
질산나트륨 10 〃
질산칼슘 10 〃
질산요소 10 〃
과염소산나트륨 5 〃
염소산나트륨 5〃
[실시예 3]
다음의 성분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을 반복 실시하였다.
물 30중량부
질산암모늄 5 〃
질산나트륨 15 〃
질산칼륨 5 〃
질산칼슘 10 〃
염소산칼륨 1 〃
과염소산암모늄 5 〃
과염소산나트륨 4 〃
상기 실시예 1,2 및 3의 조성물은 각각 비교예 1,2 및 3의 그것에 비하여 우수한 착화력 및 연소 현상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4]
다음의 성분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을 반복 실시하였다.
물 30중량부
질산칼륨 5 〃
질산나트륨 15 〃
질산암모늄 10 〃
질산칼슘 5 〃
염소산나트륨 10 〃
과염소산나트륨 5 〃
이 실시예에서 조제된 조성물로 가공처리된 코일형 모기향과 가공처리되지 않은 종전의 모기향의 착화 시험 결과는 다음의 표 3과 같다.
[표 3]
착화시험 결과
Figure kpo00004
“통상의 성냥불(순간 온도 600-800℃)에 의한 착화 시험 결과,

Claims (7)

  1. 질산리튬, 질산나트륨, 질산칼륨, 질산베릴륨, 질산마그네슘, 질산스트론튬, 질산바륨, 질산암모늄 및 질산요소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정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산소공급제와 염소산칼륨, 염소산나트륨, 과염소산나트륨, 과염소산칼륨 및 과염소산암모늄으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정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산화제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적절한 용매에 용해시킨 것이 특징인 모기향 착화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용매가 물 또는 메탄올인 것이 특징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용매 20-30중량부에 대한 산소공급제와 산화제의 조성비가 각각 10-60중량부 및 1-50중량부인 것이 특징인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용매 20-30중량부에 대한 산소공급제와 산화제의 조성비가 각각 20-40중량부 및 5-20중량부인 것이 특징인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용매 30중량부에 대한 산소공급제 및 산화제의 조성비가 각각 30-35중량부 및 10-15중량 부인 것이 특징인 조성물.
  6. 제1항, 제3항,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산화제 1중량부에 대하여 산소공급제 2-4중량부인 것이 특징인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산소공급제 및 산화제 전체의 농도가 용매 20-30중량부에 대하여 10-110중량부인 것이 특징인 조성물.
KR1019840004975A 1984-08-18 1984-08-18 모기향 착화제 조성물 KR860001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4975A KR860001019B1 (ko) 1984-08-18 1984-08-18 모기향 착화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4975A KR860001019B1 (ko) 1984-08-18 1984-08-18 모기향 착화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526A KR860001526A (ko) 1986-03-20
KR860001019B1 true KR860001019B1 (ko) 1986-07-28

Family

ID=19235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4975A KR860001019B1 (ko) 1984-08-18 1984-08-18 모기향 착화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101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526A (ko) 1986-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61566A (en) Illuminating pyrotechnic composition
CH258218A (de) Rauchentwickelndes Mittel.
US4096005A (en) Pyrotechnic cloud seeding composition
DE60011109T2 (de) Nicht-toxische und nicht-korrosive anzündmischung
KR860001019B1 (ko) 모기향 착화제 조성물
US4859454A (en) Paper distributing an active compound on burning, and a pyrotechnic distributor using such paper
CN111689824A (zh) 一种热敏线及其制备方法
US2568285A (en) Pyrotechnic match capable of repeated ignition
US4341573A (en) Compositions for pulsating flares
JP2000191391A (ja) 火工品組成物及びその製法
JPH07190696A (ja) 火炎花火
CA1203175A (en) Organic nitrate drug mixtures resistant to detonation by fire
US1565899A (en) Composition for producing lachrymating gases
USH367H (en) In situ dye smoke
JP3540833B2 (ja) 着火薬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3773575A (en) Method of burning a combustible substance by contact with combustion composition
US1941621A (en) Igniting stick
JPS5832094A (ja) 固形燃料用着火剤
DE850679C (de) Raeuchermittel zur Schaedlingsbekaempfung
US1147159A (en) Match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Singh et al. Selection of an igniter system for magnesium‐based solid fuel rich propellant
KR100473594B1 (ko) 위력이 강화되고 냄새가 적은 저비중 초유폭약
KR890002833B1 (ko) 고형 연료의 제조방법
US1287819A (en) Match.
US1736743A (en) Detonating firework com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