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988B1 - 모우드 판별회로 - Google Patents

모우드 판별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988B1
KR860000988B1 KR8201394A KR820001394A KR860000988B1 KR 860000988 B1 KR860000988 B1 KR 860000988B1 KR 8201394 A KR8201394 A KR 8201394A KR 820001394 A KR820001394 A KR 820001394A KR 860000988 B1 KR860000988 B1 KR 860000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signal
voltage
output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1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9850A (ko
Inventor
코오조오 요시히사
Original Assignee
사바 쇼오이찌
도오쿄오 시바우라덴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바 쇼오이찌, 도오쿄오 시바우라덴기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사바 쇼오이찌
Publication of KR830009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9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5/00Pseudo-stereo systems, e.g. in which additional channel signals are derived from monophonic signals by means of phase shifting, time delay or reverberation 
    • H04S5/02Pseudo-stereo systems, e.g. in which additional channel signals are derived from monophonic signals by means of phase shifting, time delay or reverberation  of the pseudo four-channel type, e.g. in which rear channel signals are derived from two-channel stereo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8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 H04H20/88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04H40/2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 H04H40/3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6Systems for the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one television signal, i.e. both picture and sound, by more than one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Stereo-Broadcasting Method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우드 판별회로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모우드 판별회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특성도.
* 도면의 주요부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파일럿신호 검출회로 또는 제어 신회 검출 수단
30 : 위상 비교 회로 50 : 정전류원 회로
60 : 슈미트 트리거회로 50,60 : 전압제어형 발진수단
70 : 전압 비교회로 80 : 부 반송파 검출회로
90 : 모우드 판별회로 100 : 모우드 절환회로
80,90,100 : 모우드 절환수단 110 : 매트릭스회로
본 발명은 음성 다중 방송의 방송모우드 등을 판별하는데 적합한 모우드 판별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약전계에서의 오동작을 억제시킨 모우드 판별회로에 관한 것이다.
다중 방송의 한 가지인 텔레비젼 음성다중방송은 영상신호 반송파에서 4.5MHz 떨어진 음성반송파를 중심으로 하여 ±250MHz의 주파수 대역에 음성신호를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시스템이다. 피다중음성 신호로서는 예를 들면 2개 국어를 방송할때 주 음성신호와, 이것과는 다른 언어에 의한 음성 신호인 부. 음성신호와 또 스테레오 방송시에 주. 채널신호(L+R)와, 그리고 부. 채널신호(L-R)를 들수 있다. 상기한 주. 채널 신호는 스테레오 방송의 경우에는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의 합신호(L+R)를 전송하고, 2개 국어 방송의 경우에는 주. 언어에 의한 주, 음성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한 부. 채널신호는 스테레오 방송의 경우에는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의 차신호(L-R)를 전송하고, 2개 국어 방송의 경우에는 부. 신호에 의한 부. 음성 신호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하여 2개 국어 방송신호 혹은 스테레오 방송신호가 방송되는데, 어느 방송인가를 수신기에서 판별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2개 국어 방송시에는 922.5Hz, 스테레오 방송시에는 982.5Hz의 정현파를 파일럿 신호로서 약 55.1KHz의 제어신호 부. 반송파에 의하여 AM변조하여 전송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부. 채널신호는 버즈의 영향을 고려하여 수평 동기 주파수 2배의 주파수인 31.5KHz의 주파수의 음성 부. 반송파에 의하여 전송된다.
이와 같이, 부. 채널신호가 다중화된 음성 다중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파일럿 신호에 의하여 스테레오 방송인지, 혹은 2음성 방송, 예컨대 2개국어 방송인지를 수신측에서 판별하는 것은 본래부터 2개국어 방송이 아닌 경우에 스테레오 방송인지, 혹은 모노 방송인지를 먼저 판별해야하므로, 이에 의한 음성회로의 모우드 절환제어가 필요하게 된다.
그 모우드 절환 제어 수단으로서, 종래의 예로서는 PLL(Phase Locked loop : 위상 고정루우프)내에 설치한 위상 비교 회로에 상기 파일럿 신호 및 (Voltage Control Oscillator : 전압제어발진기)의 발진 출력을 공급하고, 상기 위상 비교회로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시행하는 예를 들수 있다.
즉, 종래의 모우드 절환제어수단은 상기 VCO의 자주(Free-run) 발진주파수를 f0로 하고, 그 자주발진주파수 f0에 대하여 Δf 만큼 낮은 주파수를 f1으로 하고 Δf만큼 높은 주파수를 f2로 한 경우, 상기 위상 검파 회로의 출력이 주파수 f1과 f2의 입력 파일럿 신호에 대하여 다른 것을 이용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2음성 방송 예를 들면 2개국어 방송에 대한 파일럿 신호 922.5Hz를 f1에, 스테레오 방송에 대한 파일럿 신호 982.5Hz를 f2에 대응시켜 상기 위검파 회로의 출력단에서 얻어지는 출력의 소위 S자 특성의 전압레벨에 의하여 수신방송이 2개국어 방송인지, 모노 방송인지를 판별하고, 모노방송시에는 상기 VCO가 주파수 f0로 자주 발진하는 것을 이용하여 하기 UCO의 출력을 90°로 위상 시프트하고, 또한 별도로 설치한 위상 비교회로에 의하여 시프트후의 출력과 입력신호와의 같은 상의 비교를 행하고, 그 출력 레벨에 의하여 판별을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2개국어 방송과 스테레오 방송 및 모노방송의 세가지 모우드의 판별이 행하여 진다.
그러나, 약전계에서는 모노방송인지 혹은 음성다중 방송인지를 검출하는 상기한 위상 비교회로가 항상 모노방송에 대응하는 레벨만이 출력되지만은 않는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즉, 종래의 모우드 판별회로에 있어서는 약전계 일때, 2음성 방송인지 혹은 스테레오 방송인지의 식별신호인 파일럿 신호를 인지하기가 어렵고 모노방송이라는 오인식을 하게되는 것에 대처하는 수단이 요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에 입각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파일럿 신호를 식별하는 수단이외에, 부. 채널 신호의 반송파의 유무를 검출하는 수단을 설치하여 약전계에서의 모우드 식별에 대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모우드 판별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모우드의 모우드 판별회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부채널신호의 반송파 유무를 검출하는 반송파 검출회로 및 파일럿 신호의 종별을 판별하는데 제공하는 레벨설정회로를 가진회로를 이용하여 PLL방식 판별 회로에 의해 방송모우드의 판별을 행하는 것으로 부채널 신호의 반송파의 유무를 검출함에 따라, 모우드 절환의 오동작을 방지하도록한 것이다.
제 1 도에 있어서, 음성 다중 복합 신호중의 반송제어 신호는 단자(T10)에서 파일럿 신호 검출회로 또는 제어신호 검출수단(10)에 인가된다.
이 파일럿 신호 검출회로 또는 제어신호 검출수단(10)은 저항(R1-R10), 트랜지스터(Q1-Q9), 다이오드(D1-D3) 및 콘덴서(C1)을 가지고 있으며,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 측의 저항(R6)에는 (C10) 과(L10)으로 된 55.1KHz의 공진회로가 접속되어 있다. 이 공진회로에 의하여 파일럿 신호 또는 제어신호가 추출되어,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 에미터 사이의 다이오드와 콘덴서(C1)에 의하여 진폭검파된다. 그리고, 이 검파된 신호가 저항(R10)에서 콘덴서(C11)를 통하여 터미터회로(20)에 공급된다. 또, 콘덴서(C12)는 필요없는 신호성분을 측로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검파된 파일럿 신호 또는 제어신후는 그 주파수가 2음성 방송, 예를들면 2개국어 방송을 나타내는 922.5Hz인지 스테레오 방송을 나타내는 982.5Hz 인지를 판별하기 위하여 트랜지스터(Q21-Q27), 다이오드(D20),(D21), 저항(R20-R30)으로 구성된 리미터 회로(20)를 통해 트랜지스터(Q31-Q38), 저항(R31-R35), 다이오드(D31)로 된 위상비교회로(30)에 공급된다.
상기 파일럿 신호 검출회로 또는 제어신호검출수단(10)으로 검출된 파일럿 신호 또는 제어신호는 상기 리미터회로(20)로 리미터 작용을 받은 후, 상기 위상 비교회로(30)의 트랜지스터(Q31),(Q32)의 베이스에 차동적으로 인가된다. 또, 위상 비교회로(30)의 트랜지스터(Q34),(Q35)의 공통 접속 베이스 단부에는 트랜지스터(Q38)를 통하여 슈미트트리거회로(60)에서의 발진 출력이 인가되고, 상기 슈미트 트리거 회로(60)의 출력 신호와 상기 리미터회로(20)에 의해서 리미터작용을 받은 파일럿 신호와의 위상 비교가 위상 비교회로(3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그 비교 결과에 의한 신호는 콘덴서(C31),(C32)의 각각에 유지된다. 상기 콘덴서(C22)에 유지된 전압정보는 트랜지스터(Q40-Q43), 저항(R41-R48), 다이오드(D40)로 된 직류 증폭회로(40)의 트랜지스터(Q40)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진류 증폭된 후에 제어전압으로서 경전류원(50)에 인가된다.
정전류원 회로(50)는 트랜지스터(Q50-Q61), 저항(R51-R54)으로 되고, 트랜지스터(Q51-Q56)의 공통 클렉터 접속단에는 가변저항(R50)을 통하여 전원단자에 접속되고 있다. 상기 정전류원 회로(50)의 트랜지스터(Q57)의 에미터에는 적분콘덴서로서의 기능을 가진 콘덴서(C60)가 접속되고, 그 콘덴서(C60)에는 트랜지스터(Q61)가 "오프"되었을때 상기 저항(R50)을 흐르는 전류가 트랜지스터(Q55),(Q57)통하여 충전된다. 여기에서, 콘덴서(C60)의 단자 전압이 슈미트 트리거회로(60)의 임계치를 넘으면, 트랜지스터(Q61)가 "온"되어 트랜지스터(Q53)의 에미터 전위가 처지고 상기 트랜지스터(Q53)의 베이스 전위는 트랜지스터(Q57)의 에미터 전위 보다 낮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저항(R50)을 흐르는 전류가 트랜지스터(Q52),(Q53)를 흐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적본콘덴서(C60)에 충전되었던 전하는 트랜지스터(Q50),(Q59),(Q61)를 통하여 방전된다. 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충전전류와 방전전류의 시간적 변화율은 같다. 이와 같이 하여 트랜지스터(Q57)의 에미터에는 삼각파형상의 전압이 얻어진다.
상기 적분 콘덴서(C60)의 단자에 발생하는 삼각파 형상의 전압은 트랜지스터(Q62-Q72),(Q91), 저항(R61-R66)으로 된 슈미트 트리거회로(60)에 인가되고, 그 회로에 의하여 구형파로 변환된 후, 상기 트랜지스터(Q68)의 에미터를 통하는 동시에 트랜지스터(Q38)를 통하여 상기 위상 비교회로(30)의 트랜지스터(Q34),(Q35)의 공통 베이스 접속단에 공급된다.
즉, 상기 정전류원 회로(50)와 슈미트 트리거회로(60) 그리고 상기 저항(R50) 및 콘덴서(C60)는 VCO를 구성하고, 그 VCO는 상기 파일럿 신호 검출회로(10)에 의하여 검파된 파일럿 신호와 상기 VCO 출력과의 위상 비교 결과를 제어신호로 한다. 다시 말해서, 위상 비교회로(30)와 상기 VCO는 PLL회로를 구성한다. 그 PLL 회로에 있어서 상기 위상 비교회로(30)에서의 위상 비교 전압의 변화에 의하여 파일럿 신호 검출 회로(10)로 검파한 파일럿 신호의 주파수, 즉 2개 국어 방송인지, 혹은 스테레오 방송 및 모노방송 중 어느 것인지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위상 비교회로(30)의 출력전압 레벨의 변화는 트랜지스터(Q73-Q82), 저항(R71-R80)으로 된 전압비교회로(70)에 의하여 변화된다. 상기 전압 비교회로(70)는 콘덴서(C31)에 유지된 위상 비교 전압과 미리 설정한 전압(VL) 및 이것보다 높은 전압(VΗ)과의 전압비교를 행하여 2개국어 방송, 스테레오, 방송, 모노방송을 판별한다.
그 전압비교회로(70)의 판별동작을 제 2 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제 2 도는 VCO의 발진 주파수와 상기 위상 비교회로(30)의 출력 전압과의 특성을 나타내고, 그 도면중(f0)는 상기한 VCO의 자주 발진 주파수를 나타내며, (f1)는 2개국어 방송시의 파일럿 신호 주파수를, 또 (f2)는 스테레오 방송시의 파일럿 신호 주파수를 나타낸다. 또, (E1)은 2개국어 방송시, 또(E2)는 스테레오 방송시의 상기 위상 비교 회로(30)에서의 출력전압을 나타낸다. 상기 전압 비교회로(70)는 2개 국어방송시에는 트랜지스터(Q81)의 베이스에 인가된 상기한 위상 비교회로(20)의 출력전압에 호응하여 트랜지스터(Q80),(Q78)의 어느 것이나 "온"상태가 되게 한다. 즉, 2음성 방송시에는 트랜지스터(Q73),(Q75),(Q76),(Q77) 및 저항(R71-R75)에 의한 바이어스 회로에 의하여 트랜지스터(Q78),(Q80)의 어느 것이나 "온"하는 레벨에 설정된다. 한편, 스테레오 방송시에는 상기 위상 비교회로(30)의 출력전압이 높게되고, 상기 전압비교 회로(70)의 트랜지스터(Q78),(Q80)의 어느 것도 "오프"가 된다. 또, 상기 위상 교회로(30)의 출력전압이(E1)의 레벨보다 높고, 그리고(E2)의 레벨보다도 낮은 경우는 트랜지스터(Q80)가 "온"되고, 트랜지스터(Q78)이 "오프"되도록 트랜지스터(Q77),(Q79)의 바이어스 전압이 결정된다. 그런고로, 상기 트랜지스터(Q80),(Q78)의 콜렉터 측의 단자(P10),(P11)의 논리치는 상기 위상 비교회로(30)의 출력전압에 의하여 각 방송 모우드에 의하여 하기 표와 같게 된다.
Figure kpo00002
이와 같이 단자(P10),(P11)의 논리치에 의하여 2음성, 모노, 스테레오 방송의 어느 것인지의 식별을 할 수있는데, 그 경우에는 전술한 3종류의 모우드를 2개의 임계치 전압에 의하여 구분되는 전압 레벨을 판정하는 것으로 임계치를 복수로 설치하지 않은 종래의 모우드 판별 수단에 비해 오인식을 현저하게 억압할 수 있다. 그 효과는 약전계일때 더욱 현저해 진다.
상기와 같이, 전압비교회로(70)에 VCO의 자주 발진 주파수에 대응하는 전압(E0)을 중심으로하여 높고 낮은 2가지의 임계치 전압(VL),(VΗ)을 설치하고, 그리고 각각의 전압구간에 응하여 방송 모우드를 판별하는 것으로 방송모우드 판별오동작을 경감할 수 있게 된다.
제 1 도의 부. 반송파 검출회로(80)는 모우드 판별동작의 오동작을 다시 억압하는 역활을 한다. 즉, 무신호 혹은 잡음 상태하에서는 제 2 도에 나타낸 위상 비교회로(30)의 전압으로서 전압(VL)에서 (VΗ)의 전압에 상당하는 전압을 검지하여 모노 방송모우드인 것으로 판별되는 곳을 영상신호의 누설 등에 의해 전압 (VL),(VΗ)의 범위이외의 전압으로서 검지하므로 잘못하여 2음성 방송 혹은 스테레오 방송과 오인식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상기한 부. 반송파 검출회로(80)(80)가 유용하다. 이것은 부. 반송파의 유무의 검출 결과를 모우드 판별의 식별 정보로서 이용하는 것에 따른 것으로, 다음에 상기 부. 반송파 검출회로(80)의 동작에 의한 약전계에 있어서, 잘못하여 2음성 방송 혹은 스테레오 방송과 판별하는 오동작을 다시 방지할 수 있는 점에 대하여 기술한다.
부. 반송파 검출회로(80)의 입력단자(T20),(T30)에는 음성복합 신호가 31.5KHz의 음성부. 반송파 신호에 대한 대역 통과 필터(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인가된다. 그리고 그 신호는 트랜지스터(Q83),(Q84) 정전류원(I10)으로 구성되는 증폭기에 의하여 증폭된다. 또, 그 증폭된 신호는 트랜지스터(Q85),(Q86)와 콘덴서(C80)로 진폭검파가 된다. 그 경우, 음성 부. 반송파가 일치하고 있으면 검파출력 전압이 높게 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Q87-Q89), 저항(R81-R84), 정전류원(I11),(I12)으로 구성되는 부. 반송파 검출회로(80)의 트랜지스터(Q87)가 "오프"된다. 그 부. 반송파 검출회로는 상기한 데와 같이 음성 부. 반송파를 검출한 경우에도 상기 출력단측의 트랜지스터(Q87)를 "오프"되게 하여 출력단자(P80)의 전압 레벨을 낮아지게 하고, 반대로 음성부. 반송파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출력단자(P80)의 전압 레벨을 높아지게 한다. 따라서, 상기 부. 반송파 검출회로(80)의 출력단(P80)에서의 논리치는 부. 반송파를 검출한 경우에는「0」,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는「1」이 된다. 상기 부. 반송파 검출회로(80)의 출력단에 얻어진 논리치는 상기 전압비교회로(70)의 단자(P10),(P11)에 얻어지는 논리치와 어울려서 모우드 판별회로(90)에 의한 논리 연산에 의하여 모우드 판정이 행하여 진다.
상기 단자(P10)는 인버터(91)를 통하여 AND 회로(92)의 일측 입력단에 접속되는 동시에 AND회로(93)의 일측 입력 단에도 접속되고, 또, 상기 단자(P11)는 상기 AND 회로(92)의 타측 입력단에 접속됨과 아울러 인버터 (94)를 통하여 AND 회로(95)의 일측 입력단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부. 반송파 검출회로(80)의 출력단자(P80)는 OR회로(95)의 일측입력단에 접속된다. 또, 상기 AND 회로(92)의 출력단은 상기 OR 회로(95)의 타측 입력단에 접속됨과 아울러, 인버터(96)를 통하여 상기 AND 회로(93)의 타측 입력단에 접속된다. 상기 OR회로(95)의 출력단은 인버터(97)를 통하여 AND회로(98)의 일측 입력단에 접속되어 있고, 이 AND회로(98)의 타측 입력단에는 상기 인버터(94)의 출력단이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인버터(97)의 출력단은 AND회로(99)의 일측 입력단에 접속되어있고, 그 AND회로(99)의 타측 입력단에는 상기 AND회로(93)의 출력단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모우드 판별회로(90)의 제 1 출력단자(P91)는 AND회로(98)의 출력단자에, 제 2 출력 단자(P92)는 AND회로(99)에 제 3 출력단자(P83)는 상기 OR회로(95)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모우드 판별회로(90)의 연산에 의하여, 각 방송 모우드에 대응해서 상기 단자(P91),(P92),P(93)의 논리치의 모우드는 하기 표와 같게 된다.
Figure kpo00003
상기 표와 같이, 모우드 판별회로(90)의 3개의 출력단자에는 방송 모우드에 대응한 논리치가 얻어지므로 상기 제 1 내지 제 3 의 출력단의 각각의 논리치에 대응하여 모우드 절환회로(100)에 의해 주. 채널신호(L+R), 부. 채널신호(L-R)를 매트릭스 하는 매트릭스회로(110)를 방송 모우드에 대응해서 절환할 수있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우드 판별회로에 있어서는 약전계의 경우 뿐만 아니라, 영상신호의 누설에 대해서도 오동작 없이 방송 모우드의 판별을 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상비교회로(30)의 출력을 VCO의 제어 뿐만 아니라, 모우드판별용의 정보로서 사용하고 있으나, 양 정보는 독립적으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PLL 회로에 영상신호의 누설성분등의 잡음을 혼입하므로 상기 위상비교회로(30)의 출력이 불필요하게 변동하여도, 이 변동이 모우드 판별동작에 미치는 영향을 저지시킬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VCO 제어용의 콘덴서 C33에 대한 시정수와 모우드 판별용의 콘덴서 C31에 대한 시정수를 다르게 하거나 혹은, 전압비교회로(70)에 있어서의 비교용 기준전압을 적당히 설정하므로서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약전계에서의 방송 모우드의 판별은 물론, 영상신호의 누설, 잡음등의 환경하에서도 오동작을 억제할 수 있는 모우드 판별회로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상, 판별동작을 논리치에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논리 동작에만 국한되지 않고 검출레벨에 반응하여 동작하는 소위 아날로그 동작에 있어서도 그와 같은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2)

  1. (정정)주채널신호, 부채널신호 및 전송모우드 식별에 사용하는 제어신호가 다중화된 다중신호의 다중모우드를 판별하는 모우드판별회로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다중신호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검출하는 제어신호검출수단(10)과, 제어전압에 따라서 발진주파수가 제어되고, 소정의 주파수로 자주발진시키는 전압제어형 발진수단(50,60)과, 이 전압 제어형 발진수단의 발진출력과 상기 제어신호 검출수단의 출력과의 위상차에 따른 신호를 검출하고, 이 검출 결과를 전송모우드 식별을 위하여 사용하는 제 1 의 출력단자 및 상기 검출 결과를 상기 전압제어형발진수단의 제어전압으로 사용하는 제 2 의 출력단자를 갖는 위상비교회로(30)와, 이 위상비교회로의 제 1 의 출력단자의 신호와 부채널신호의 유무를 표시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다중신호의 전송모우드를 식별하는 모우드 절환수단(80,90,10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모우드 판별회로.
  2. (정정)제 1 항에 있어서, 모우드 절환수단(80,90,100)을 전압 비교회로(70)의 출력과 소정의 신호의 반송파의 유무를 검출하는 부반송파 검출회로(80)의 출력의 양출력에 응답하여 처리하는 회로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우드 판별회로.
KR8201394A 1981-03-31 1982-03-31 모우드 판별회로 KR8600009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8070 1981-03-31
JP56048070A JPS57162888A (en) 1981-03-31 1981-03-31 Mode discriminating circu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9850A KR830009850A (ko) 1983-12-23
KR860000988B1 true KR860000988B1 (ko) 1986-07-24

Family

ID=12793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1394A KR860000988B1 (ko) 1981-03-31 1982-03-31 모우드 판별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447901A (ko)
JP (1) JPS57162888A (ko)
KR (1) KR860000988B1 (ko)
DE (1) DE3212000C2 (ko)
GB (1) GB20972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21182A (ja) * 1983-05-31 1984-12-12 Sony Corp パイロツト信号判別装置
AU584624B2 (en) * 1984-08-31 1989-06-01 Sony Corporation Receiver device in a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DE4128727C2 (de) * 1991-08-29 2002-02-14 Thomson Brandt Gmbh Verfahren zur Mono-, Stereo- oder Zweiton-Umschaltung in einem Fernsehgerät
KR100603608B1 (ko) * 2003-10-29 2006-07-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젼 방송 시스템에서 동일채널중계기의 시간지연을 줄이기 위한 복조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60499B2 (de) * 1973-12-05 1977-11-24 Zusatz in: 24 47 407 SABA Schwarzwälder Apparate-Bau-Anstalt August Schwer Söhne GmbH, 7730 Villingen Schaltungsanordnung zur erkennung und anzeige eines von einem rundfunksender ausgestrahlten pilotsignals
JPS5113208U (ko) * 1974-07-17 1976-01-30
US3956710A (en) * 1974-11-20 1976-05-11 Motorola, Inc. Phase locked loop lock detector and method
US4000476A (en) * 1974-12-19 1976-12-28 Digital Communications Corporation Phase locked loop with circuit for preventing sidelock
CA1063719A (en) * 1975-04-28 1979-10-02 Control Data Corporation Phase locked loop decoder
JPS5533343A (en) * 1978-08-31 1980-03-08 Toshiba Corp Multiple signal processor
JPS5917589B2 (ja) * 1978-12-01 1984-04-21 ロ−ム株式会社 多重信号復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212000A1 (de) 1982-10-14
JPS57162888A (en) 1982-10-06
JPS6130465B2 (ko) 1986-07-14
KR830009850A (ko) 1983-12-23
GB2097229B (en) 1984-11-28
US4447901A (en) 1984-05-08
GB2097229A (en) 1982-10-27
DE3212000C2 (de) 1983-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3315A (en) Stereo audio mute circuit
KR860000988B1 (ko) 모우드 판별회로
US4047226A (en) Television signal-seeking automatic tuning system
GB997258A (en) Stereophonic fm receivers
GB992684A (en) Control apparatus for a broadcast stereophonic signal receiver system
GB1332515A (en) Multiplex decoding system
KR880000648B1 (ko) 스테레오 재생장치
US4404432A (en) Stereo identifying signal detection device
US492041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desired television signal
US3270138A (en) F. m. stereophonic receiver having noise prevention means in the pilot circuit
US3643167A (en) Automatic turnoff system for receiver with fm demodulator
KR850000956B1 (ko) 동작상황 검출 및 처리회로
JPS628606A (ja) Agc電圧発生回路
KR100242343B1 (ko) 음성 다중 수신기기의 음량 조절회로
US4944011A (en) Circuit for controlling operator indicators in an AM stereo receiver
JPS6133747Y2 (ko)
KR870002561Y1 (ko) 음성 다중 방송의 b방송 표시회로
KR900009925Y1 (ko) 음성다중 신호의 판별 시정수 조절회로
JPS6057266B2 (ja) 動作状況検出及び処理回路
JP2723187B2 (ja) 音声多重復調回路
JPH0317486Y2 (ko)
JPH0352064Y2 (ko)
KR850000955B1 (ko) 동작상황 검출 및 처리회로
GB2094583A (en) Binary signal processing circuit
KR900003698Y1 (ko) 음성다중복조기의 위상 보정회로